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김문희,조미영,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We first studied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irtee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e.,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en's University); 253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question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is experience in tea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liberal arts related to science were 3.9 credits, and 3 out of 13 curricula offered this course as an elective course rather than a mandatory course; (2)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science education majors were 4.9 credits. The major course included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content and experiment; and (3) many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recogniz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t should: (1) combine science content with experiment, (2) be in accord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3)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signing of experim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 교수 어려움의 원인을 찾고자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 초등교사 253명에게 대학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과 과학교과를 가르칠 때, 대학에서 다루었던 교육과정 프로그램 활용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대학의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교과와 관련된 교양과정은 평균 3.9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사한 13개의 양성대학 중 3개의 대학은 과학관련 교양과목을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공과정은 평균 4.9학점의 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 과정 안에서 과학교과 4가지영역의 교과내용과 관련 실험, 교과교육에 관한 이론수업까지 많은 양의 수업이 이루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직 초등 교사들의 양성기관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어 양성기관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제한된 시간에 맞추어진 교과내용수업과 실험수업의 통합이 필요함과 둘째,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와 부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양한 실험의 설계를 교사가 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

        강경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읽기·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서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에서는 국어교육의 역사와 연구 현황을 간략히 살펴본 후, 최근의 국어교육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독서와 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이 타교과교육과 어떻게 상호 연관성을 갖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국어교육과 타교과교육과의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국어교육학 연구는 국어학과 국문학 중심의 학제적 연구에서 더 나아가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국어사용 측면에 대한 연구가 심화 되었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고 체계화되어 왔다. 앞으로 국어교육학 내부의 세부 연구도 더욱 축적되어야 하겠지만, 학문적 폐쇄성이나 배타성을 버리고 관련 학문들과의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통합 교과교육적 접근의 시각이 요구된다. 이는 국어과 교과서에 실릴 텍스트의 선정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타교과의 효율적 교재 구성, 학습자의 종합적인 인지발달 단계 파악,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초중등 교육의 기틀 마련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research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after KLE) focu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reading i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or pedagogics. The researches of KLE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20 years. There are almost 150 doctoral dissertations and so many books regarding introduction to the KLE or subordinate area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reading, writing, pedagogic grammar and literature educations including Korean versions of translation. This study, on the whole, consist of three parts. I tried to explain briefly (1) the history of KLE, (2)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of KLE focused on reading education, (3)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KLE has so close relations with many subject-matter areas, which means there are so many tasks and researches we have to do interdisciplinary. In this contex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education area. In particular, we need to develop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which has not been developed efficiently compared to mathematics or science field. Most researchers agree that we should work more on the language development for learners in KLE including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ext and discourse. Soon, we will see a good deal of emphasis on the essential education related to 4 basis skill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every subject-matter areas also. Especially, the drive to combine reading and literature will be stressed in many levels of education.

      • KCI등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조명현,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구성 방식과 순서, 내용 서술의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생의 이해 수준에 따른 정당화와 수학적 과정(수학적 추론, 수학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 소통)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대한 교육과정의도 해석의 차이로 인하여 교과서 서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삼각형의 무게중심, 각의 이등분선, 할선, 수직이등분선, 원주 각의 성질, 닮음의 중심, 닮음의 위치, 삼각형의 중선 연결정리 등에 대한 제시 순서와 내용 서술은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당화에 대한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12 종 모두 가정, 결론, 증명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뿐 2007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증명서술 방식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적 과정의 특징에 따라 중학교 수학②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 소통의 문항수와 문항의 적합도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in the geometry area between th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ose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analysed how junior high school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cesses’ in the revised content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welve mathematics textbooks, the introduction to timing,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definition of a vertical bisector of a line segment, the bisector of an angle, and a chord differ betwee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section dealing with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understanding the congruence conditions of a triangle by construction’, nine textbooks show triangle congruence by specific conditions(SSS, SAS, and ASA) in the main text with examples and questions. Three textbooks do not deal with congruence conditions using construction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hapter sections: ‘exploratory activity’ or ‘open thinking’.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welve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textbooks, all twelve integrate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ircumference angle’ in the ‘application of circumference angle’ section.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do not seem to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each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성환,김오범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많은 학생들이 슬기로운생활 교과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명교육을 접해볼 수 있 도록 교과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총 15 차시)은 교과 내의 내용에 10가지 발명기법(새롭게 생각하기, 더하기, 자연을 따라하기, 큰 것을 작 게 하기, 반대로 생각하기, 모양을 바꾸기, 두꺼운 것을 얇게 하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재미있게 하기, 빼기)을 적용하여 생각해보기, 발명기법 알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평가하기의 활동 순서로 구성하였다.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 기 위해 실험집단으로 경기도 파주시 소재 S초등학교 2학년 27명을 선정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S초등학교 2학년 27명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Torrance가 개발한 TTCT 창의성 검사지를 우리말 로 번안한 ‘Torrance 창의력 도형 검사’(김영채, 2002)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해석 프로그램으로 는 i-STATistic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시간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자 연스럽게 발명교육을 접해볼 수 있는 15차시 분량의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 었다. 창의성의 하위 3개 영역(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중 사후 유창성 총점이 34.50으로 사전 유창 성 총점 26.74보다 통계적으로 p <0.001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독창성 총점의 경우 사후 독창성 총점이 22.85점으로 사전 독창성 총점 15.11보다 통계적으로 p <0.001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학교현장에서 발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 연구에서 개발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슬기로운생활 교과에 적용한다면 발명 교육의 일반 화에 좀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연구

        장선희,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총 8개교의 교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사 교육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의 「교원 양성 기관 현황」 과 음악교육과가 개설된 사범대학들의 2003학년도 요람에 근거하여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과 교육 과정의 편제 및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과정 편제에 따른 이수학점의 편성 현황을 살펴보고,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및 「기본이수과목」규정의 운영과 전공 개설 교과목의 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편제는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수학점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교양과 전공 교육 과정의 대학별 이수학점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한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의 규정을 대부분 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본이수과목」의 규정은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공 교육 과정의 대부분은 교과 내용학 과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 내용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는 전통음악 영역의 교과목이 서양음악 영역의 교과목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음악 교육학 영역, 서양음악, 그리고 전통음악 영역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학 과목에 편중되어있고, 또한 일반음악대학의 음악관련 과목과 차별화되지 못한 채, 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과 독자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범대학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 함양을 구체적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음악교육교과의 각 영역에 따른 교과교육학 과목의 비중의 확대와 교육실습과정의 보완을 통하여 음악교사의 실질적 능력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교육과정으로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a for secondary music education in eight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Status Quo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2003 Yearbooks of the eight colleges. More particularly, it seeks to ascerta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at have music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these programs. The curricula examined on whether they have the three areas of study, viz. (i) liberal arts;(ii) the major subject of study and (iii)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nd balance among these three areas. The study found that 8 colleges of education, 39 colleges of music, 1 college and 5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nduct music education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these programs were not specific enough to allow for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to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a consisted of the three areas listed above in all the eight colleges. However, the major subject of study took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of the colleges. The imbalance was most evident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n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colleges tended to concentrate on regular music courses. In the music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inadequate emphasi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was similar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music.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music teacher education were not achieved.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emphasis to music education, teaching courses and teaching practicum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소비자교육 교과모형 개발

        김현정,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2 교과교육학연구 Vol.6 No.2

        인간은 생애를 통해 끊임없이 소비자로서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생을 통해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생애주기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가정과 학교, 그리고 소비자교육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소비자교육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소비자교육을 살펴보면, 학교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학교소비자교육의 범주 속에 초 · 중 · 고등학교만 포함하고 대학소비자교육은 제외되고 있다. 대학 내 소비자교육은 소비자전공학과의 학생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양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은 그리 많지 않다. 사회교육차원에서 실시하는 대학생 대상의 프로그램 또한 소비자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전공학과의 학생에게 한정된 전공교육뿐 아니라, 대학생 전체를 수강대상으로 하는 교양과정에도 개설되어야 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대학의 교양교과를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내용은 가치교육, 구매교육, 시민의시교육이라는 3개의 대분류 하에 9개의 중분류와 24개의 소분류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이상적인 모형으로 대학의 16주 학사일정에 따라 교과목이 개설될 때는 꼭 필요한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 내 교양과정에 소비자교육교과를 개설 시 실제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16주 강의일정에 맞춰 강의계획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내의 소비자교육 교과목을 개설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 내에 전문적 소비자교육을 실행하는 교과를 개설하는 것은 올바른 소비를 하는 시민으로 육성한다는 소비자교육의 취지를 사회인을 준비시키는 단계인 대학에서 실현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소비자교육의 활성화에 여러 가지로 기여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사범대나 교직과목에 소비자교육과목을 필수수강과목으로 선정하게 되면 학교교육에서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받고 있는 소비자교육 담당 교사를 양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방학중에 초 · 중 · 고등학교의 교사 연수과정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학교소비자교육에의 기여 외에도, 대학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원이나 사회교육원에서 활용되거나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활발해 지는 상황에서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발전된다면,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requirement course. Existing curricula or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focuses on students who majors in consumer science. Few universities have courses for consumer education program as a compulsory course. This study classified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to 3 concepts ; consumer values and behavior, consumlers in the market place, and consume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But the curriculum suggested in this study is ideal model. In order to set up course according to the academic calender, essential contents are selected. So syllabus of 16 weeks for consumer education class was also proposed. The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opening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courses in a university. Also it will contribute to consumler education promotion in school and field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전혜진,강석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1

        An analysis of how environment and/or sustainability are introduced in the current textbooks allows exploring the role and th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could serve as a basis for formulating new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nd analyz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rom elementary school science, social studies,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classified as text/students’ activity, main topic/material, knowledge/attitude-value/competence/practice-participation, and ecological/economic/social perspectives represented in the cont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round half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social science, and ethics textbooks were the students’ activity type whereas most of them in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the text type. In additio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were presented as the main topic type while 40 to 60 percent of them in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were presented as the material type. Asp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value were properly introduced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hereas aspects of competence and practice-participation were rarely covered. Although the ecological perspective was represented, to some degree,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e presence of economic perspective widely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the social perspective was rarel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환경이나 지속가능성이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에 어떻게 도입되는지 분석한다면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교육의 역할과 방법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정책과 실천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 관련 교과라고 할 수 있는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의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환경교육 내용은 텍스트/학생 활동, 중심 주제/소재, 환경 지식/환경 태도·가치/환경 역량/환경 실천과 참여, 지속가능성에 대한생태적/경제적/사회적 관점 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사회, 도덕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은 절반 정도가학생 활동 유형이었으나 실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대부분 텍스트 유형이었다. 과학과 사회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대부분 중심 주제 유형이었으나 실과와 도덕 교과서는 40-60% 정도가 소재 유형이었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환경지식 범주와 환경 태도·가치 범주는 적절히 반영되어 있었지만, 환경 역량 범주와 환경 실천과 참여 범주는 거의 반영되지않았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태적 관점은 어느 정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제적 관점은교과에 따라 편차가 컸고 사회적 관점은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 KCI등재

        중등학교 GIS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성효현,주영주,조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8 교과교육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내에서 GIS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GIS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첫째, GIS의 모체학문이라 할 수 있는 지리교과의 기본개념과 그 개념에 입각하여 지리교과교육 내 GIS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중등학교에서 GIS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등학교 GIS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론교육측면에서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 활용을, 실습교육 측면에서는 실습모형을 바탕으로 한 교사들의 연수과정을 제안하였다. GIS 이론교육의 내용은 GIS의 기본적인 개념과 GIS의 운영과정, GIS 구설요소, GIS의 활용분야 4가지로 구성된다. GIS 이론교육의 수행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는 원격교육방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원격교육을 통한 GIS 이론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개발한 GIS원격교육 교재<http://mm.ewha.ac.kr/~hhsung/GIS/index.html>를 통해 중등학교에서는 GIS이론교육의 학습이 가능하다. GIS컴퓨터 실습은 컴퓨터의 기본 운용을 익히고 사용하고자 하는 GIS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운용에 익숙하게 하여야 한다. 실습내용은 속성 및 공간정보의 입력, 편집, 검색, 분석, 출력을 위한 기본 기술의 습득을 포함해야 하며,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 모텔링하기 위한 GIS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은 GIS실습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방학기간동안 GIS 실습과정을 교육시키고 소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게끔 하는 GIS연수프로그램에 의해 가능하다. The GIS education should possess a skill set based on useful and practical applications, and experiance that will prove useful professionally. The theoretical knowledge, critical thinking, and skills should targeted in a GI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Deployment of the technology in the absence of adequate theoretical knowledge leads to problems ranging from cost overruns and project stagnation to misuse of techniques and incorrect prescriptions for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 guideline for developing GIS-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theoretical basis of GIS, integrating GIS with geography, skills, and advanced techniques must be covered in GIS educations. The paper presents essential GIS themes in theoretical aspect and laboratory guide for GIS exercises in GI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As a essential GIS subject areas, GIS fundamental concepts, cartography, database management systems, spatial analysis, and GIS application are included. The theoretical themes of GI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can by educated by distance education through Internet(http://mm.ewha.ac.kr/~hhsung/GIS/index.html). The hand-on experience in computer practicals for GI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 GIS Lab-participants will understand the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 discussed in the GIS lecture better if they have a chance to work them out with the computers. GIS exercises serve as a chance for developing skills. The essential skills in GIS constitute the ability to pass data in and out of software packages, converting formats and coordinate systems, digitizing, scanning, editing, mapping and simple programming in problem-solving contexts. The computer exercise outline is presented as a guideline for helping computer practicals based on these essential skills. The computer practicals should implement to introduce the basic operation and functions of GIS, and to help participants gain confidence in using GIS software and computer hardware such as digitizer, scanner, printer, or plo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