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홍콩 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과 사례

        김선아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그동안 해외의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소개가 많이 되었지만, 홍콩의 대학 학부 과정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의 현황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홍콩의 대학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을 한국학/한국어 전공/부전공 과정을 개설한 주요 대학의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홍콩이공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현재 홍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문화 교육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홍콩의 학부과정에서 진행되는 한국어문화 교육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홍콩의 학습자들에게 주요 학습 동기이니만큼, 홍콩의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한국의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이 진행되고 이를 위한 다양한 교재가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는 홍콩의 학습자들에 대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실행되어 홍콩 학습자들에게 특화된 효과적인 교육방법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undergraduate programs at universities in Hong Kong are not nearly as well known as other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a of Korean Studies/Korean Language major/minor programs offered at four major universities in Hong Kong, and then to examine a specific cas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Korean minor program at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Korean popular culture, a.k.a. the Korean Wave, (e.g., K-pop songs, dramas and films, variety shows, webtoons) need to be actively utiliz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incorporating Korean popular culture need to be developed more. Second,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that could facilitate Korean learning by Hong Kong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Cantonese, especially at the beginning level, also need to be devised.

      • KCI등재

        5.4신문화운동기(新文化運動期)중국의 신여성(新女性)연구

        김은희 중국어문학회 (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語文學誌 Vol.30 No.-

        這篇文章考察了從十九世紀末到五四新文化運動期發生在女性身體的外觀上的變化和其文化的含意. 前此, 爲了考察在十九世紀末以後提起的女性話語, 首先察看自從國民母和女國民, 經過娜拉, 直到新婦女或新女性的變化過程, 然後察看了發生在女性的足, 頭髮與服飾等的具體變化, 分析了這些變化俱有的社會文化的含意. 國民母和女國民是在淸末民初的變法運動和革命運動的進程中被提起的, 基礎于民族主義的宏大話語之一部, 而新婦女和新女性是在五四運動期被提起的, 基礎于個人主義的微觀話語的産物. 同時, 發生在女性的足, 頭髮與服飾等的女性身體上的變化是衝洗浸透在女性生活的國家暴力的痕迹的工作, 也是打消印在女性身體的男性中心的視覺的工作. 雖如此女性的身體擺脫封建的抑壓和桎梏, 迎接走到近代的秩序的過渡期, 女性却還在舊時代的面熟和新時代的陌生之間感覺着迷망. 放着足逃脫閨房的女性的面前沒展開着烏托邦. 許多的女性們犧牲自己的生命控訴了頑固的封建秩序. 盡管這樣, 然而勇敢的女性們, 比如李欣淑, 白微, 丁玲等, 剪斷封建禮敎的鐵련而不停地創造出新神話. 타們做爲新時代的娜拉, 以自己的戱劇性的生活給同時代的女性們提示了新女性的出路.

      • KCI등재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아천문고(阿川文庫)《중화정음(中華正音)》에 대하여 -어휘적 특징을 중심으로

        박재연 중국어문학회 (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語文學誌 Vol.31 No.-

        朝鮮後期漢語會話書中, 以抄本形式保留下來的不多。目前所知只有《學淸》、《니니貴姓》和《騎着一匹》, 本文介紹的阿川文庫《中華正音》也是一種最近發現的漢語會話書。這些抄本作爲一種有關貿易方面的會話書, 是日常口語的充實記錄, 口語즘마說, 타就즘마寫, 與一般的書面文獻有着本質的區別。本文的主要討論內容是阿川文庫《中華正音》的文獻形式和體裁、與其他朝鮮後期的抄本漢語會話書的比較以及《中華正音》的詞彙特徵。首先,《中華正音》抄本一冊, 現藏於日本東京大學綜合圖書館阿川文庫。共38葉, 大小爲32.5×23厘米。作者不詳。卷末有"癸未五月日冊全李寫"的記錄, 從而推測此書的成書時間或傳抄時間爲1883年。此外, 與被推測爲19世紀前期成書的藏書閣藏《騎着一匹》、《中華正音》相比, 使用的文字、詞彙和內容非常相似。其二, 這些抄本漢語會話書有較多的記音字, 例如: `一候(會)`, `拉到(倒)`, `合通(同)`, `幾種(鍾)酒`, `甬(桶)`, `高性(興)`, `恒事(行市)`, `剛(강)口`, `太剛(擡강)`, `皮(脾)氣`, `두(賭)氣`, `一候(會)`, `多候(會)`, `打候(화)`, `雕(掉)`, `高性(興)`, `莫(摸)不着`, `상子…壓(啞)렬`, `渾(混)`, `正(整)個乙`, `?門(們)`, `仇(총)`, `전(錢)`, `板(盤)子`, `粧(裝)惱`, `哈(喝)`, `낭(弄)`, `勾(근)`,`曹(遭)탑`, `硬亮(朗)`, `小(少)不得`, `鷄蛋膏(고)`。在詞彙方面, 也帶有東北方言色彩, 如: `[車+尙]/塘(쟁)`, `打著`, `存`, `原起`, `歸起(齊)`, `寡(光)`, `本成(情)`, `底根`等。朝鮮時代, 東北一直是貿易的重要集散地, 東北方言自然而然地體現在其漢語和漢語敎學當中。筆者認爲, 包括《中華正音》在內的朝鮮後期的抄本漢語會話書如實地反映出這樣的社會情況和學習要求。

      • KCI등재

        명말청초(明末淸初) 여성(女性)의 문학(文學) 활동(活動)에 대한 시론(試論) : 《오몽당집(午夢堂集)》을 중심으로

        이지운 중국어문학회 (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語文學誌 Vol.30 No.-

        明末淸初是一個政治, 經濟, 文化都發生重大變化的時期, 也是才女文化發展的重要時期. 本論文首先考察明淸才女文化的背景, 幷通過分析《午夢堂集》所載的作品, 解釋當時女性文學的特徵. 其特徵是如下; 第一, 家族是文學活動的主要根據. 第二, 當時才女對女性文學保存和傳播開始重視. 第三, 日常生活是女性寫作的主要主題. 悤忙的日常裏, 寫作是一種安慰, 一種自我的表現. 타們的成就爲淸代乃至近現代女性文學的굴起提供了典範.

      • KCI등재

        수용자를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 방안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지니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lege writing textbooks that would start to be us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6.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ried to determine the directions for new writing textbooks, and determined to consider both thinking and expression in a synthetic way and to compile separate textbooks for different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learners: First, a wide variety of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for the sake of learners who feel the need for writing for practical purposes. Second, the speaking sec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strategies about how to prepare presentation materials should be stressed. Specifically, how to foster presentation skills and how to write the statement should primarily be taught. Third, the use of exercises is necessary to provide motivation for learners to engage in more activities in class. Fourth, the kind of example sentences that are accessible to learners should be placed in front, as the difficulty of existing example sentences was pointed out by the learners. Fifth, the writing strategy for term-end essay that is currently included in the appendix should be moved to the body of textbook, and the right directions for essay writing for different fields of study should separately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Ultimately, it's intended to compile efficient new textbooks to stimulate students, who use the textbooks in class, to continue to make use of them as their guides for writing even after they take all the classes in which the textbooks are used. To make it happen,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should try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new textbooks and to seek ways of fostering the thinking faculty of new college students, which is their biggest shortcoming. 본고는 2016년 1학기부터 사용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글쓰기 교재 개편의 방향성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교재편찬위원회는 그간 글쓰기 교재의 방향을 모색한 결과, 사고와 표현의 종합적 측면을 반영하는 동시에 전공영역에 따라 세분화된 계열별 교재를 편찬할 것을 목표로 내세우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교재편찬위원회는 수용자 설문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첫 번째, 향후 교재는 실용적 목적에 입각한 글쓰기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를 위해 보다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말하기 부분을 강화해 발표 자료 작성법, 특히 프레젠테이션 기술과 발표문 만들기에 대한 전략을 강조해야 한다. 세 번째, 수업 중 활동 비중을 높이기 위해 연습문제를 통한 동기부여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학습자가 지적한 예문의 난해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예문을 전면에 배치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현재 부록에 수록되어 있는 기말 소논문 쓰기 전략을 본문에 배치하되, 계열별 특성을 고려해 각 전공별 논문이 추구하는 방향을 차별화시켜 제시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개편 중인 교재가 지향하는 바는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난 후에도 교재를 지속해서 글쓰기의 지침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교재편찬위원회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며 실용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대학 신입생에게 가장 부족한 사고력을 메워 줄 방안을 함께 모색해 갈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로 가는 길 -한,중,일 문화유전자 지도 제작의 의미와 방안

        정재서 중국어문학회 (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語文學誌 Vol.31 No.-

        所謂`東亞話語`就是在全球地區化時代尋求擺脫强國的支配, 形成力量均勻, 體現多元體制, 拂拭一國主義, 結成政治·經濟·文化的聯帶, 追求東亞地區共同體而出現的。韓國在1990年以後開始打破了以往的一國中心東亞論, 在政治·經濟·文化等諸方面, 多方位多層次地展開了東亞話語。一覽國內外所提出來的東亞話語的主要內容, 我不由地想到所有希求東亞共同體的討論之那裏面還存在着對共有文化的認識。韓·中·日共有文化的探索是建立東亞共同體的先決條件, 我們可把타比喩成是制作韓·中·日文化遺傳基因地圖。此項工作將成爲東亞談話語興起走向聯帶的過程中最爲重要的文化實踐。正在向政治, 經濟東亞共同體邁出的步愈來愈加快, 歐盟(EU)也在順利發展之際, 向東亞文化共同體邁出的制作韓中日文化遺傳基因地圖所具有的旣具體又實際的意義可謂겁其重大。雖然開端微不足道, 但其結果昌大的課業擺在我們面前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