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중심으로-

        김유연,이규빈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an identity, historically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ast, but have now acknowledged the constant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at occurred in Australia during the 1970s and in Korea during the 2000s have respectively started to implement and review their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case of Australia, which holds a longer history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n Korea, may be able to provid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licy document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and supplemented them by both an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key people concerned. We have discovered that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as a part of its multicultural policy since 2006. However, while it is still in a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paradigm’ targeting primarily on immigrant students, Australia’s policy is moving beyond transitional and conservative bilingual education elements to additional bilingu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 also includes Auslan(Australian Sign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policy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to help immigrant stude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to move in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an authentic and cohe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this, however, we will need to propose a method to reorganiz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elect the languages of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a bilingual education. 2. When choosing a language for a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3.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ilingu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policies should be revised as well. 본 연구는 한국과 호주의 학교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시대의 바람직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호주는 인구 구성과 정부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일원론적 국민 구성을 표방하다가 각각 1970년대와 2000년대에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보다 오래된 다문화 정책 시행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는 한국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연구 범위는 초중등학교에서 시행되는 다문화학생의 모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과 호주의 정책문서들과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책 담당자와의 이메일 혹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보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2006년부터 다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2010~2012년 시기에 이중언어강사 양성 및 다문화거점학교 지정 등의 정책이 시작됐고, 2013~2017년에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며 이중언어교육보다는 한국어교육과정(KSL)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주는 1978년부터 지속적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이주 학생을 위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인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는 1981년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포함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두 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정책은 아직 다문화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에 머물러있는 반면, 호주의 정책은 이행적․보존적 이중언어교육을 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첨가적 이중언어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수화언어도 대상 언어에 포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학생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외국어교육을 이중언어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언어를 단위학교가 선택하도록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이중언어교육 시행 언어를 선택할 때 좀 더 소수자의 시각에서 배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상과 같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언어강사와 특수교육교사 양성정책도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Raising ‘Ambi-cultural’ Children: Korean Immigrant Parents’ Ambitious Project for Bilingual Education

        박휴용 이중언어학회 2009 이중언어학 Vol.39 No.-

        이중문화 길들이기: 재미교포부모들의 이중어교육에 대한 열망과 언어정체성. 이중언어학 39, 113-145. 본고는 재미교포 아동들의 언어정체성의 형성에 부모들의 이중어교육에 관한 열망과 기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 본고는 언어와 정체성과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중언어 및 문화의 환경 하에서 교포아동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혼성된 정체성의 양상이 언어 및 문화간 세력불균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내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교포2세 아동들과 그 어머니들에 대한 참여관찰 및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 중에서 재미교포 어머니들의 자녀들에 대한 이중어교육 목표와 계획이 그 자녀들의 이중어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 및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첫째, 교포2세 아동들의 이중어정체성은 그들 부모들이 가진 민족적 정체성의 성향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부모들의 이중어학습에 대한 교육적 열망이 자녀들의 이중어학습 과정에 과도하게 투사되어 아동들이 한국어와 영어, 한국문화와 미국문화에 동시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감속에서 혼융되고 파편화된 언어정체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중어학습이 아동들의 언어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中国少數民族雙语教育之浅析

        정진강,박정애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본고는 중국소수민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이중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모델을 총론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에 제기된 각론적인 문제들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완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중국은 56개의 민족이 80여종의 언어를 사용하는 다민족․다언어 국가의 전형이다. 일부의 소수민족은 음성언어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일부의 소수민족은 다종의 언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같은 중국소수민족언어의 다양성은 이중언어교육의 복잡성과 직결된다. 본고가 추구하는 문제의식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어교육과 민족어문교육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것인가이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중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의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중이다. 필자들은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중언어의 효율적인 교육차원에서 중국소수민족들이 직면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의 유형과 모델에 대하여 분석한 후, 그 문제점의 해결방식은 이중언어교육 모델의 혁신에 있음을 거듭 강조하였다. 물론 이중언어교육의 문제는 민족, 문화, 언어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접근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다양한 가치 속에 내재된 보편적인 이론의 구축이야말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에 틀림없다. 본고는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일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전환의 형식과 기능

        성귀복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0 No.-

        성귀복. 2006. 02. 28.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전환의 형식과 기능. 이중언어학 30, 245-273. 1950년대 이후 언어 전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구어적 레파토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왔다. 이 연구는 최근 새로운 문어 의사소통 장르로 자리잡아온 이메일 담화에서 성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의 언어전환 현상을 분석하였다. 영어를 주 언어로 쓰는 상황에서 그들이 이메일로 의사소통 할 때 모국어인 한국어로 전환하는 다양한 형식과 기능적인 측면을 연구하였다. 데이터는 25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이 주고 받은 70개의 이메일 편지들로 총 87개의 언어전환 케이스가 발견되었다. 구조적인 면에서 명사가 전체의 74.6%였고 격조사, 감탄사, 문장 단위, 동사, 명사구 등이 차례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전환 사용 중인 한국어 단어 내에서 다시 영어의 소유격 혹은 복수형 형태소로 전환하는 현상도 발견되었다. 그들의 언어전환 표시 전략에는 대문자화, 빈칸, 대쉬, 이들의 병합 등이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 이 이중언어화자들은 그들의 이메일 속에서 공손함 표시, 영어에 해당 표현의 부재에 대한 대안, 친숙함 표현, 문화적 정체성 표시, 언어적 경제성 성취 등의 기능을 위해 두 언어를 전환 사용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언어행동이 무작위적이거나 언어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두 다른 언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중언어화자들의 이해를 반영하는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행위라는 것을 보여준다.(고려대학교)

      • KCI등재
      • KCI등재

        이중언어 구사자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인식이 이중언어 유지와 계승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미향,서희정,남정섭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bilingualism of immigrants in Korea influence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is going to check whether bilingual speakers are willing to maintain their language proficiency or pass them to their children, and it will also pay attention to what the causes would be if one gives up speaking or transferring bilingual usage in Korean society. The study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First, the perception of bilingual and culture is different by countries of origin; Second, target learners’ perceptions of bilingual and culture depend on period they lived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affirms that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about diverse cultures and mutilingualism have a negative impact on linguistic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individuals residing in Korea. Multilingual speakers’ taking a passive attitude on their multilingual ability means a grave disadvantage at not only an individual level but also societal and even national leve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reate a social atmosphere to acknowledge multilingual abilities of minority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가 이중언어 구사자로서의 삶을 유지하고 전승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아울러 이중언어 구사자로서 본인의 이중언어 능력을 유지하거나 자녀에게 전수할 의지가 있는지를 직접 듣고, 이중언어 유지와 전승을 지지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출신 국가별, 거주 기간별로 이중언어 및 다문화 인식이 다르다. 그리고 이민자의 다언어 구사 능력이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진술한 것을 통해, 이들이 이중언어 구사력을 유지하고 전승하는 것이 한국 사회에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유추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및 다언어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점과 인식이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구성원의 언어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보았다. 다언어 구사자들이 자신의 언어 사용 능력에 대해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의 손실이다. 그러므로 소수 구성원의 다언어 능력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긴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마그레브 아랍어와 프랑스어 이중언어 화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 -아랍어권 학습자 분류를 위한 기초연구-

        홍승아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1 No.-

        This study aims to show the heterogeneity of native Arabic speakers based on their linguistic background. To this end, bilingual speakers of Arabic and French, from Morocco and Tunisia, were examined their discriminability of Korean monophthongs. Considering the facts that each colloquial Arabic has a distinctive vowel system, and the French vowel system is what they can exploit in common, we could hypothesize that either two groups have discrepancies in perceiving Korean vowel contrasts due to the dialectal effect or they show some commonalities based on French influence. Overall, the participants across the groups discriminated the contrasts accurately, but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perceiving /a-ʌ/ and /o-u/ contrasts. The results are distinct compared to Arabic speakers from other regions(e.g., Egypt) in the previous study(Hong and Jun 2013). Although their higher sensitivity in common might reflect the French influence, the Arabic dialects are still involved in their perception of novel contrasts. This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from Arab region shall not be treated as a single community, but instead they need to be classified more carefully based on their linguistic background. 이 연구에서는 언어 경험을 토대로 아랍지역 출신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분포하는 지역은 광범위하며, 지역마다 언어 환경이 다르다. 특히 지역마다 사용되는 구어체 방언에 차이가 크며, 국가적 차원에서 이중언어 혹은 다중언어 사회를 지향하기도 한다. 외국어의 말소리 습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모국어를 비롯한 기습득 제2 외국어 등의 학습자의 언어 경험 전반인 점을 고려한다면, 이렇듯 다양한 언어 환경에 처해있는 아랍 출신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분류는 반드시 요구되는 작업이다. 특히, 이러한 분류는 단순히 국가적 경계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닌 아랍어 방언의 갈래 및 학습자가 속한 언어 공동체의 특성을 토대로 한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언어 환경을 기준으로 아랍지역을 나누고, 이 중 마그레브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 화자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접근을 토대로 마그레브 지역 국가로 대표되는 모로코와 튀니지가 처한 언어 환경을 비교하고, 실험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지각적 차이와 공통 속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는 다른 지역과는 대비되는 공통적 속성이 발견되는 동시에 집단 간의 차이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랍지역의 학습자 분류 시 학습자가 사용하는 방언의 갈래 및 제2 외국어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 KCI등재

        A Study of Syntactic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김경령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0 No.-

        김경령, 2006. 2. 28. A Study of Syntactic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이중언어학 30, 61-76. 본 연구는 제2외국어로써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언어 실험을 근간으로 수행되었다. 언어 실험 참여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모국어 화자와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능숙도는 한국어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반응 시간(Reaction Time)과의 관계를 측정하여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 능숙도, 모국어 화자의 언어 능숙도 비교, 학습자의 문법 항목별 언어 능숙도, 성별, 학력 차이와 언어 능숙도 등으로 세분화하여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문법 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 시간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반응 시간과 정확도는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언어 능숙도도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반응 시간 측정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에 대한 인식을 언어 실험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능숙도를 측정하고 이를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숙명여자대학교)

      • KCI등재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윤석연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6 No.-

        이 연구는 제2언어인 영어가 먼저 습득한 제1언어인 한국어 자음 및 모음을 정조음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7개월을 거주한 8~13세 아동 9명, 만 11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8개월을 거주하고 미국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33세 성인 8명, 영어권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으며, 학교 교과과정 외에 영어학습을 하지 않은 8~13세 아동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세 집단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따르지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16개의 무의미단어를 듣고 따라 말하였다. 이들의 발화전사를 토대로 계산한 음운정확도,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 의하면 이중언어아동의 조음정확도(M=90.2)가 이중언어성인(M=94.9)과 단일어아동(M=94.6)보다 발음 정확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성인의 조음정확도가 차이가 없음은 일반적으로 조음음운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후에 습득한 영어는 한국어 음소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시사한다. 반면에, 만9세 이전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조음정확도는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기 때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경우 제1언어인 한국어를 조음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원광디지털대학교)

      • KCI등재

        Korean Immigrant Youth’s Individual Trilingualism within the English-French Bilingual Framework of Canada

        박성만,배상희 이중언어학회 2013 이중언어학 Vol.52 No.-

        본 논문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캐나다의 영어–불어 이중언어 구조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인이민자녀들의 한국어 발달이 다른 두 언어와 동시에 이루어 지는 삼중언어발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시에 살고 있는 한인이민 자녀 19명, 한인이민 성인 18명이 인터뷰에 참가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자녀들이 캐나다의 영어-불어 이중언어 구조에도 불구하고 모국어를 포함한 삼중언어 화자가 되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인이 삼중언어발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캐나다 주류사회와 지역사회 내에서 영어, 불어와 더불어 이민자들의 모국어가 공존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되고 있다, 둘째, 한인이민 성인들은 불어 표현 능력이 매우 낮다, 셋째, 공식언어가 불어인 캐나다 몬트리올 한인이민 사회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이와 같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에서는 몬트리올시의 이중언어 구조와 다국어 환경이 한인이민자녀들의 모국어 유지 및 더 나아가 그들의 삼중언어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