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곡시사』의 지명에 관한 연구-강원북부 여행지를 중심으로-

        김은철 운곡학회 2024 운곡논총 Vol.15 No.-

        운곡은 공적・사적으로 여행을 많이 하였고, 그때 쓴 시에는 당시의 지명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운곡의 경우 공식 기록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우리는 그가 남긴 시작품을 통하여 역으로 그의 일생과 세계관을 재구성하여야 한다. 그의 행적과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행 일정 및 이동 노선, 여행의 목적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시에 나타나는 지명 고찰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운곡시사』에 등장하는 지명 중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는 것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위치를 고증하고자 하였다. 『운곡시사』에 나타나는 여행지 및 지명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그의 1~3차 강원북부 여행에서 나타난 지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당시의 고지명과 현대의 지명을 고증하기 위해서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서 벗어나 여행 노정 및 당대의 교통망, 시대에 따른 지명 변천과정을 고려하였다. 지금까지는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 머물러 전혀 다른 곳의 지명으로 고증되어 행로가 어긋나는 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행 중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그 노선상에 있는 지명을 고찰하여 현재의 위치를 확정함으로써 운곡의 여행 경로를 충실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운곡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였기 때문에 역로를 따라 여정을 잡았고 주로 객사 또는 驛院에서 숙박하였다. 운곡의 경우 작품에서 유추되는 하루 이동거리는 평균 60~70리였고 때로는 120~130리를 이동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하루 평균 이동 거리와 역로를 따른 여정에서 당대의 지명과 현재의 지명을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추정 또는 확정하였다. 여정을 추적하는 지도로는 「대동여지도」를 기본자료로 사용하고 1930년도의 지적도를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본고에서 위치를 새로 밝히거나 구체적으로 논의한 지명은 ‘원양역’, ‘원천역’, ‘말흘촌’, ‘향성’, ‘통포현’, ‘청양’, ‘사물동’ 등이다. 여기에서 드러난 바는 운곡은 조선시대에 확정되는 지명을 이미 쓰고 있거나 자신이 임의로 고쳐 쓰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즉 고려 말에는 지명이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였고 임의로 변용도 가능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Ungok traveled a lot, publicly or privately, and many place names of the time appear in the poems he wrote at that time. In the case of Ungok,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so we must reconstruct his life and worldview in reverse through the original products he left behind. In order to understand his travels and worldview,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his travel itinerary, route, and purpose of the trip, and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place names that appear in the poems.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search the current location of place names that appear in 『Ungoksisa』 that have remained unresolved until now. Since the range of destinations and place names appearing in 『Ungoksisa』 is so wide, this study focused on place names that appeared during his first to third trips to northern Gangwon. In this paper, in order to research the old place names of the time and modern place names, we beyond the mer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considered travel routes, the transportation networks of the tim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place names over time. This is because,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path has been misaligned as it has been limited to a simpl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has been verified as a place name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aithfully reveal Ungok's travel route by tracing the distance and route traveled during the trip, examining place names along the route, and confirming the current location. Since Ungok mainly traveled on horseback, he followed the horse station and stayed mainly at Gaeksa or Yeogwon. In the case of Ungok, the daily distance inferred from the work was 60 to 70 ri(里) on average, and sometimes 120 to 130 ri(里). In this study, the current location was estimated or confirmed by comparing the old place name with the current place name in the average daily travel distance and the itinerary along the station route. To track the journey, 「Daedongyeojido」 was used as basic data, the cadastral map of 1930 was used as auxiliary data. And geography used 『Donggugyeojiseungnam』 as a basic data. Place names newly revealed or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are ‘Wonyangyeok’, ‘Woncheonyeok’, ‘Malheulchon’, ‘Hyangseong’, ‘Tongpohyeon’, ‘ Cheongyang’, and ‘Samuldong’. What is revealed here is that Ungok was already using place names confi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he had arbitrary corrected it himself.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place names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could be arbitrarily chang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