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만 정씨(鄭氏)집단 휘하 관상(官商) 임인관(林寅觀) 일행의 조선 표착(漂着) 사건(1667)과 조선 조정의 대응

        서원익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16세기 말부터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하였고, 17세기가 되자 서양 세력까지 동아시아로 들어왔다. 각국의 무역선이 당시 해상무역의 중심지였던 나가사키로 가는 도중 태풍이나 강한 조류에 휩쓸려 조선에 표류하였다. 임인관 일행의 표류 사건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첫째, 조선이 명나라와의 관계를 단절한 후 발생한 최대 규모의 한인 표착 사건이다. 둘째, 정씨집단이 대만으로 철수한 후 일어난 첫 한인 표착 사건이었다. 셋째, 조선이 청·일 양국과 외교적 갈등을 겪은 직후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넷째, 임인관 일행이 조선 사회에 머무르며 남긴 영향력이 상당하였다. 이런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조선 조정은 사건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존 연구는 주로 이 사건을 조선 위주로 사건을 서술하여 임인관 일행의 특수성이나 당시 중국 정세를 함께 살피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임인관 일행 자체의 분석에 집중하여 이들 집단이 가진 특수성을 밝힐 것이다. 조선 조정의 대응 과정을 통해 임인관 일행의 처분 문제에 대해 예측해보고, 마지막으로 임인관 일행 사건 이후로 조선 조정에서 정씨집단 관련 정보수집을 강화해나가는 과정도 살필 것이다. 서울로 송환되는 과정에서 많은 조선인이 임인관 일행에게 관심을 가졌다. 유생과 관리들은 송환 결정을 철회하라는 상소를 올렸고, 조선 백성들의 집단적 기억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등 민간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사건 종결 132년 후, 임인관 일행은 황조유민으로 지위가 격상되었지만, 이들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situation in East Asia changed drastically, and by the 17th century Western powers had entered the region. At that time, many merchant ships on their way to Nagasaki, the center of maritime trade, were caught in typhoons and strong currents and drifted to Joseon. Lim In-Koan(林 寅觀) and his sailors also encountered a typhoon on their way to Nagasaki and were stranded in Joseon. This is a historically significant event. First, it was the largest Chinese stranding incident after Joseon severed ties with the Ming Dynasty. Second, it was the first Chinese stranded after the Zheng group retreated to Taiwan. Third, it occurred shortly after Joseon's diplomatic conflict with both the Qing and Japan. Fourth, the influence of Joseon society was considerable. These complex factors made it difficult for the Joseon government to respond to the incident. Existing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Joseon side of the story,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Lim In-Koan's group or the Qing situation at the time.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group itself to reveal the uniqueness of the group. This paper will then examine the Joseon government's reaction to the group and speculate on its disposition, and final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Joseon government's intensification of intelligence gathering on the Zheng group in the aftermath of the Lim In-Koan incident. During the process of repatriation to Seoul, many Joseon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Lim’s group. Confucian scholars and officials appealed for the repatriation decision to be reversed, and the appeal was well received by the civilian population. Lim In-Koan and his group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Joseon people. 132 years after the end of the case, the group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Hwangjoyumin(皇朝遺民), but their identity remains controversial.

      • 한국과 베트남 문묘(文廟)의 현대적 수용 양상 고찰 - ‘서울 문묘(文廟)’와 ‘하노이 문묘(文廟)’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하나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2 No.-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를 의미하며, 문선왕은 유학의 성인(聖人) 인 공자(孔子)를 뜻한다. 한국과 베트남에는 모두 문묘(文廟)가 존재하는데, 양국의 문묘는 유교문화의 전통과 가치를 가시화하는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과 베트남의 문묘는 중세 유교문화의 토대에서 유입되고 계승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다른 수용의 양상을 보이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는 ‘한국과 베트남의 대표적인 문묘를 비교’하여 그 현대적 수용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과 베트남의 문묘 유입과 발전에 대해 관련 문헌을 토대로 논의한 후, 한국의 ‘서울 문묘(文廟)’ 와 베트남의 ‘하노이 문묘(文廟)’를 기본형태, 공간배치, 봉사 인물과 주상, 문묘제 례 구성 등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에서 문묘가 유입된 이후 어떠한 변화를 거쳐 현대에 이르게 되었는지 그 수용 양상에서의 차이점을 확인하며 앞으로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이러 한 작업이 전 세계에 여전히 살아 숨 쉬는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Munmyo (文廟) refers to the shrine dedicated to Munseonwang (文宣王), with Munseonwang being a reference to Confucius, the sage of scholarship.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have “munmyo” in existence. These monuments serve as symbolic representations of the Confucian cultural tradition and values. While both countries share the commonality of inheriting and incorporating these structures from the medieval Confucian culture, they have shown different patterns of acceptance and development leading up to the present. In the main body of the text, an attempt is made to compare representative “munmyo” in South Korea and Vietnam to examine their modern patterns of acceptance. Initially, discussions are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unmyo” in both countries. Subsequently, a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on South Korea's ‘Seoul Munmyo’ and Vietnam's ‘Hanoi Munmyo’ in terms of basic form, spatial arrangement, honored figures and main deities, and the composition of memorial ceremonies. Based on these comparisons, the final section of the main body delves into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acceptance, exploring how “munmyo” in South Korea and Vietnam have evolved since their introduction and assessing potential future developm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ork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vey the enduring values of East Asian Confucian culture to the global audience.

      • 한중 노년소설 속의 노년 죽음의 의미

        조진화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본고는 송하춘의 「청량리역」, 김별아의 「끝나지 않은 노래」, 陳然 (천란)의 「祖父在彌留之際」 (임종을 앞둔 할아버지), 王子 (왕쯔)의 「弒父」 (시부)에 나타 난 노년 죽음을 중심으로 그 이면에 내재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본고는 우선 「청량리역」, 「끝나지 않은 노래」, 「祖父在彌留之際」, 「弒父」가 모두 노인의 죽음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노인의 죽음은 노년의 삶과 가장 근접하면서도 삶과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한중 노년소설 속의 노년 죽음 의미 연구는 유교적 전통문화를 공유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언어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유사점과 차이점의 발굴로 이어질 수 있다. 네 작품은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갈등을 문학적으로 재현하였다. 갈등 해소 를 위해 노인은 자발적으로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부모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 밖에도 노년 죽음을 다루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은 각각 노모의 죽음을 통한 희생과 인내를, 노부의 죽음을 토대로 한 유교 관습의 약화를 드러내 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 노년소설에서 반영한 노인의 죽음은 인생의 마지막 단계로 서 노년소설의 한 소재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된 공통점 및 차이점을 통해 현대 사회의 사회적·문화적 모습들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죽음은 동일한 유교문화를 공유한 한중 소설의 한 갈래로 노년의 가치에 대한 통찰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가치가 있다. Focusing on Song Ha-chun‘s 「Cheongnyangni Station」, Kim Byul-ah's 「Unending Song」, Cheonran's 「Grandfather Ahead of Imjong」, and 「Patricide」 of Wang Zi,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herent behind it.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Cheongnyangni Station」, 「Unending Song」, 「Grandfather Ahead of Imjong」 and 「Patricide」 are all related to the death of the elderly. The death of the elderly is closest to life in old age, but it reveals life and perception as it is. Based on this, the study on the meaning of old age death in Korean and Chinese old age novels shares a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but it can lead to the discovery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different languages and social backgrounds. The four works literarily reproduce the conflict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the elderly voluntarily chose to die, emphasizing the value of paren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old-age death, Korea and China revealed sacrifice and patience through the death of their elderly mother, respectively, and the weakening of Confucian customs based on the death of their elderly father. As such, the death of the elderly reflected in old age novels in Korea and China is the final stage of life, and it expresses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society through inheren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particular, research related to this can be said to be valuable because the death of the elderly is a branch of Korean-Chinese novels that share the same Confucian culture and can lead to insights into the value of old age.

      • 한국 학술집단에서의 ‘트랜스내셔널’ 주제 연구 동향과 설화 연구의 방향

        이현서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1 No.-

        이 글은 국내 학술집단에서 트랜스내셔널 주제를 다룬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설화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계에서 ‘트랜스내셔널’의 의미를 트랜스내셔널의 접두어인 트랜스가 across (횡단), beyond((超), through(通)이라는 의미를 포괄한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국제이주의 확산으로 국경이 없는 지구촌시대, 다국적성, 초국가적이라는 현상황에서 하나의 연구방법론이며, 현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라고 인식하고 있었 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역사 연구, 소설 연구, 문화 연구 분야를 대상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세 분야는 트랜스내셔널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역사 연구는 식민지 시대에 국한된 연구가 아닌 일상적 삶의 실천을 연구하자고 제언하였지만 결국 내셔널 역사를 재검토하고 있었다. 소설 연구는 떠돌이를 벗어나지 못하는 주체가 ‘공존’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 을 다룬 것을 트랜스내셔널 문학이라 재정립하였다. 문화 분야에서는 1차원적인 비교방법론이 아닌 교차지점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트랜스휴머니즘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면서 주체로서의 소통에 더욱 관심을 두었다. 결국 국내 학계에서의 트랜스내셔널 주제 연구의 공통된 시각은 국지적 연구가 아니라는 점, 공동의 역사를 지닌 근대 경험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라는 점, 그리고 소통이라는 실천의 방법이라는 점이다. 이에 설화 연구도 또한 이와 함께 그 뜻을 같이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설화 연구는 이민자들에 의해 구연된 경험담 이나 생활담, 그리고 트랜스내셔널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주제(이주, 도시, 괴담, 전쟁, 재해, 질병 등)를 다루면서 세계시민주의의 성장으로 재조명된 타자와 분리하는 모든 경계와 차이를 가로지르고, 문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조화된, 소수·타자까지도 책임질 수 있는 ‘실천’에 다가가기 위한 방법의 연구를 지향해 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s in research on transnational topic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and seeks to explore directions for utilizing them in folklore studies. In academia, the term “transnational” is understood as encompassing the meanings of “across” “beyond(超)” and “through(通)” as indicated by the prefix “trans”. It is perceiv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a problematiz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ultinationalism, and supranationalism, where national bord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due to the spread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research, novel research, and cultural research, which are the most actively studied fields in South Korea. These three fields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ransnational methodology while seeking to complement those limitations. Historical research suggested studying everyday practice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colonial era, but ultimately it was a reexamination of national history. Literary studies redefined transnational literature as exploring the potential for the subject, who cannot escape being a wanderer,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 the field of culture, rather than employing a unidimensional comparative methodology, efforts were made to explore intersectional point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transhumanism as a subject of communication. However, the commonality of transnational research on the domestic academic scen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not limited to localized studies but utilizes a methodology that investigates the shared modern experiences and ultimately emphasizes communication as a practical approach. Along with this, folklore studies should also align with this meaning. By using a transnational approach, folklore studies should explore topics (such as immigration, urban life, urban legends, wars, disasters, diseases, etc.) that can reveal the experiences and narratives shaped by the immigrants of this land and the ongoing transnational situations. It aims to transcend all boundaries and differences that separate others and reevaluate the growth of cosmopolitanism, and to pursue research on methods that can harmonize all elements that constitute culture, reaching even the minority and others, and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taking responsibility.

      • 중국 설화의 트랜스컬처 주제별 연구의 가능성 - 혼인담(婚姻譚)을 사례로

        팡젠춘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1 No.-

        이 연구는 설화의 트랜스컬처(Trans-culture) 주제별 연구를 위해 중국 설화 연구사를 살펴보고, 혼인담을 사례로 하여 연구방법을 탐색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트랜스컬처 주제별 연구’란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설화의 문화적 수용 에 초점을 맞추고, 특정 이야기 주제에 대해 지역과 민족 및 언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비교연구를 말한다. 이 연구는 먼저 문화의 속성을 구별하고, 이렇게 구별된 다양한 속성의 문화가 서로 대화하는 방식에 중점을 둔다. 연구의 초기 단계로서 본 논문은 우선 중국 설화를 대상으로 해서 설화의 장르, 유형 및 주제를 개괄하여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한 다음, 그중에서 혼인담을 사례로 하여 트랜스컬처 설화 수집 3분법에 관한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혼인담 을 트랜스 내셔널 설화(trans-national folktale), 민족 설화(national folktale), 트랜 스 장르 설화(trans-genre folktale)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을 트랜스컬처의 시각에서 다른 나라, 또는 민족의 설화와 비교 연구하였다. 장르, 유형, 주제의 측면에서 볼 때, 20세기 중국 설화 연구는 주로 전통 설화(신 화, 전설, 민담)에 치우쳐 있다. 또 유형을 중심으로 한 설화 텍스트의 서사 연구에 치중하여, 동원(同源), 동류(同流), 동질(同質)적 측면에서 설화가 담고 있는 민족 또는 국가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일국학설(一國學說)’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혼인담의 연구는 주로 4대 전설과 이류 혼인담(異類婚譚)에 집중되었는데, 전통 설화에 편중된 기존 연구를 벗어나 현대의 혁명담과 신생활담 에서 혼인담을 발굴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트랜스컬처 설화 주제별 연구의 목표에 따라 전통 설화를 3분법에 따라 선별하여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다. ‘트랜스내셔널 설화’에는 <견우직녀 이야기(牛郞織女故事)>, <우렁각시형(田螺 娘型)>, <백조의형(百鳥衣型)> 등이 있다. ‘민족설화’는 <맹강녀 이야기(孟姜女故 事)>, <양산백과 축영대 이야기(梁山伯和祝英臺故事)>, <선녀 구부형(仙女救夫 型)>이 있다. ‘트랜스장르 설화’는 <백사전(白蛇傳)>, <천생연분 이야기(定婚 店)>, <바보 사위 이야기(呆女婿故事)>가 있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conduct trans-cultural theme research about folktale, examine the academic resources of Chinese folktales, and explore research paths using love-folktales as examples. ‘Trans-cultural theme research’ refers to a comparative study that focuses on the cultural acceptance of a folktale in different social contexts, crossing regional, national, and linguistic boundaries for specific themes.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ttributes of culture, with a focus on the ways of cultural communications with different attributes. As a preliminary stage of research, this article takes Chinese folktales as the object, examines the genres, types, and themes of Chinese folktales, clarifies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folktale resources, and then takes love- folktales as an example to explore the promotion path of collecting trans-cultural folktale trisection. The three-way classification organized according to trans-national, national, and trans-genre folktale, and conducted trans-cultural research with folktales from other countries and ethnic group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re, type, and them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Chinese folktale studies since the 20th century have mainly focused on the collection and writing of traditional stories (myths, legends, and folktales), as well as the genre centered narrative research of texts. The focus is on exploring the nature of homology, sameness, and homogeneity in stories, and exploring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nations carried by stories, with a strong one country doctrine. In terms of love-folktales,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the four-major-legends and exotic-love-folktales, emphasizing the study of traditional stories. The love themes in revolutionary-folktales and new life-folktales need to be explored. Based on the goal of trans-cultural theme research, this article selects representative works from them and categorizes them according to a three-way classification, including “trans-national folktale”: the story of Niulang and Zhinv, the Tian-Luoniang type, and the Bainiaoyi type; “national folktale”: the story of Meng Jiangnv, the story of Butterfly Lovers, and the story of Fairy Saving Her Husband. “trans-genre folktale”: The Legend of the White Snake, the story of the Match By Fate, and the story of A Dull-looking Son-in-law.

      • 융복합시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 -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를 중심으로

        임영선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1 No.-

        이 연구는 21세기 문화융복합 시대에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다. 신화는 인류가 세계와 삶에 대해 경험하고 인식해 온 것들을 담고 있는 이야기이다. 오늘날 신화는 그 특유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새로 유입된 콘텐츠와 대중들의 다양한 요구가 결합되어 재창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신화가 TV드라마, 영화, 게임서사에 수용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구체적 사례로,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매트릭스>, 그리고 게임 서사에 나타난 신화적 소재와 상상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Myths are stories that contain what mankind has experienced and perceived about the world and life. Today, based on its unique imagination, myths are being recreated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contents with various demands from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mythology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being accepted in TV dramas, movies, and game narratives. As a specific example, the drama “Toggaebi(Goblin)”, the movie “Matrix”, and the mythological material and imagination shown in the game narrative were considered.

      •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에서 자연과 인간의 화해

        백주진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본 논문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원령공주>에 등장하는 생태철학을 분석한다. 미야자키에게 인간은 자기실현을 위해 자연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해야 하지만, 또한 충만한 자기실현을 위해 자연과 화해해야 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점을 본 논문은 우선 영화의 인물 분석을 통해서 보이고자 한다. 아시타카는 자연을 사랑하고 그러한 사랑이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지는 인물이다. 모노노케히메는 과학기술로 인간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 자연의 모습을 여전히 보는 태고의 인간이다. 그렇지만 그녀는 인간에 대한 증오로 괴로워한다. 에보시 고메 는 자연과의 분리를 단행하고 과학과 문명의 힘을 얻은 인간을 대변한다. 하야오 는 이러한 인물들 사이에서 아시타카와 사슴 신의 만남을 통해 아시타카의 성장을 그린다. 사슴 신은 우주적 제사장으로서의 우주의 운행을 관장하며, 우주의 창조 를 의례 안에서 반복한다. 아시타카는 사슴 신을 통해 생명의 창조성을 깊이 느끼고, 자연과 인간을 화해시켜야 한다는 자신의 사명을 깨닫는다. This paper analyzes the ecological philosophy depicted in Hayao Miyazaki's Princess Mononoke. According to Miyazaki, humans must separate themselves from nature for their self-realization, yet they must also reconcile with nature for a fulfilling self-realization.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aims to support this interpretation through character analysis in the film. Ashitaka loves nature, and his love for nature extends to love for humanity. Princess Mononoke represents ancient humans who still perceive nature in ways no longer visible to those reliant on science and technology, yet she suffers from her hatred towards humans. lady Eboshi symbolizes humanity that has gained the power of science and civilization through separation from nature. Miyazaki illustrates Ashitaka's growth among these characters, through his encounters with the Deer God. The Deer God, as the cosmic priest, oversees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and repeats by ritual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rough the Deer God, Ashitaka deeply feels the creativity of life and realizes his mission to reconcile nature and humanity.

      • Picturing Society after Humanity - Land of the Lustrous, a Post-Apocalyptic Depiction of Japanese Society?

        Apolline Dambrine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학지 Vol.3 No.-

        이 논문은 이치카와 하루코(市川春子)의 만화 시리즈 《보석의 나라(宝石の国)》를 포스트 아포칼립스 문학의 영역으로 놓아 작가가 이 장르에 가져온 참신함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는 ‘결함’을 강조 하고 잠재적인 미래를 탐구하는 등 사회 비판적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으 며, 사회와 환경 문제에 대한 경고나 관심을 이끄는데 사용되기도 하는데, 주요 초점은 사회에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 영감을 얻은 이치카와의 작품은 이러한 규범에서 벗어나 카타르시스적인 경험을 주고 인류의 본성과 목적에 대한 질문 위에 그 빛을 비춘다. 웰빙과 자기 관리가 인기를 얻고 있는 사회에서 전통적인 업무 문화(Working Culture) 와는 대조적으로 《보석의 나라》 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에서 새로운 시대, 즉 자아의 시대가 도래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This paper, locating Haruko Ichikawa’s manga series Land of the Lustrous in the domain of post-apocalyptic literature, aims to highlight the novelty brought to the genre by the author. The post-apocalyptic genre tends to be used as a way to criticise societies ? underlining flaws and exploring potential futures. While the genre can be used to alert or raise attention onto social/environmental problematics, the focus remains the society. Parting from these canons, and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Japanese society, Ichikawa’s work offers a cathartic experience and sheds light above the question of Humanity’s nature/purpose. In a society were wellbeing and self-care are gaining in popularity, contrasting with the traditional work culture, Land of the Lustrous paves the way for the emergence of a new era within the post-apocalyptic genre: an era of the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