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역사민속학회 1990‘; 창립당시의 학계 정황과 창립의 학사적 의의
주강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본 연구는 어떤 견고한 논문이나 학술적 문제제기를 하려는 성격의 글이 아니라 보다 ‘자료적’ 성격의 글이다. 2010년 봄은 한국역사민속학회가 창립 20주년을 맞는 의의를 지닌다. 창립 당시의 학계정황을 회고하고 창립의 학사적 의의를 정당하게 인식함으로써 향후 학회의 향방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창립 당시의 정황에 관한 정확한 인식을 못할 경우도 있기에 이를 재정리함은 이후 학사 서술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글은 1990~1993년의 3~4년 사이에 국한하여 한정하기로 한다. 이후의 논의는 별도의 지면을 통하여 서술되어야한다. 1990년은 1987년의 민주화투쟁으로부터 불과 3년의 시점이다.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은 중견 및 소장층 연구자에 의한 학회결성의 조짐이 극대화된 시점이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창립도 이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창립 취지와 방향은 ‘민중생활사연구’에 있으며, 독립과학으로서의 ‘학’을 창출할 수 있는 현실적 배려 등 중층적 요구를 반영하여 한국역사민속학회로 학회 명칭이 결정되었다. 역사민속학을 태동시킨 일군의 연구자들이 희망하였던 목표 중에서 일부는 성취되었고, 일부는 여전히 미완성이다. 시대가 변하면 학문의 방향과 내용도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창립 당시의 목표가 오늘에 부합되지 않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우리 학계에 뿌리내리겠다는 역사민속학회의 입장과 학문적 조건은 변한 것이 별로 없다. 이상의 학사 초기 자료를 통하여 21년 전의 학계 동향을 읽어내고, 이를 후대의 학사 서술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남기고자 한다.
이해준(Lee, Hae-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고는 연구논문의 성격이라기보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25년을 회고하면서 그동안 이루어낸 학술사적 성과와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들을 점검하는 소박한 글이다. 학회 창립기의 의식과 방향성이 과연 무엇이었으며, 또한 그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반추하면서, 앞으로 좀더 보완하여야 할 부면을 지적하여 본 것이다. 1990년 한국역사민속학회의 태동은 기존의 민속학연구가 지닌 역사적 이해의 한계, 즉 ‘민속의 역사적 변천과 전개 양상의 차이’에 대한 불만과 아쉬움, 그리고 역사학의 민중생활사에 대한 무관심을 반전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모색이자 시도였다. 창립의 주역들은 평소 민속학 연구에 대하여 비판과 문제의식을 가졌던 소장 민속학, 역사학, 인류학, 종교학 등 여러 분야 소장연구자들로 이들은 민중생활사 정리방법론, 역사민속학사의 정리, 지역자료의 광범한 발굴과 활용, 종합문화로서의 학제적 연구방법 시도 등등 기존의 학계와 다른 연구성과를 축적하였다. 본고에서는 민중생활사, 생활문화사와 관련하여 기록 자료의 다양한 탐색과 광범한 동원 활용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필자의 자료 동원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생생한 생활일기 자료라든가, 집안의 교육의 산 자료로서 가훈류 자료, 그리고 마을의 운영과 세세한 생활문화를 기록화한 성책 고문서 자료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지적과 제안을 토대로 향후 역사민속학이 쓰여 지지 않은 자료와 쓰여 진 기록자료 사이에서 더 많은 자료원을 찾고 활용하는 방법들을 모색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is not so much a research paper as a plainly written article to examine the results, reflections, and follow-up tasks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terms of its academic history by looking back on the last 25 year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and directivity of the society’s foundation, reflect how much its goal has been achieved, and the auxiliary aspects to be complemented further afterwards. The birth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1990 was a new grouping and trial to reverse indifference to history of folklife in our history within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at previous folklore research has, that is, complaints and regrets about ‘the historical changes of folklore and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The initiators of its foundation were the researchers in such areas as folklore, history,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having a critical mind about the folklore research constantly, and they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cademic circles by organizing the arrangement methodology of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excavating and using regional data exclusively, or tr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as general culture. Meanwhil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to explore diversely and mobilize and use exclusively recorded data regarding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living culture. Particularly they include the lively diary data found by this author’s data mobilization experience, data of family mottos as living data of family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data recording a village’s operation and detailed living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pointing out and suggestion will be used as methods to find and use more data sources from the recorded data as well as unwritten data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afterwards.
주강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5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is a product of '87'system which desire a certain transformation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threw conservertive attitude in studies. In the field of folkstudies the exit of academic identity was being sought, and in the field of history the thirst and desire for the challenge of history, ‘folklife as a historic scienc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historical-folklife studies was inevitable departure. In the name of historical-folklife, the terms of contents represent a studies of people's life. The historical-folklife include in the historical categor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evitably requires negotiation with diversity of studies. What is the name of the folk-life there has been expansion of the concept. Pre-modern deconstruction and creation of new changes in the last 100 years alone, the existing concept of folklife was unable to lead the 21st century.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성립은 ‘87체제’의 산물이다. 87년 체제는 일정한 변혁성을 담보하며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희구하였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출현은 종전의 민속학이 갖는 성격의 불투명함, 심하게 말해 지나친 체제 온존성과 수구적 태도 등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던졌다. 당시 민속학 분야에서는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출구가 모색되고 있었으며, 1970~80년대 이래의 민속연희운동을 통한 일정한 진보적 역량이 갖추어진 상태였다. 역사학 분야에서는 ‘쓰이지 아니한 역사’에 대한 갈증과 욕구가 역사민속학이라는 과제로 수렴되고 있었다. 역사민속학의 출발에서 학제 연구가 필연적이었다. 한국역사민속학회는 학회 명칭에서 ‘역사민속학’을 표방했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민중생활사’ 구현을 최대 목표로 설정했다. 역사민속학은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의 줄인 용례이다. 역사민속학은 역사학 범주이며, 학사적으로는 향후 史學史 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통섭 및 학제 연구의 필연성과 확충은 역사민속학이 구현하고자 했던 방향과 일치된다. 학제 연구는 필연적으로 제 학문과의 교섭을 요구한다. 또한 민속이란 이름의 개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근대 풍속의 해체와 새로운 풍속의 생성이라는 지난 100년 간의 변동 속에서 기존 민속개념만으로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수 없게 되었다.
주강현(Joo Kang-Hy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성립은 '87체제'의 산물이다. 87년 체제는 일정한 변혁성을 담보하며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희구하였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출현은 종전의 민속학이 갖는 성격의 불투명함, 심하게 말해 지나친 체제 온존성과 수구적 태도 등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던졌다. 당시 민속학 분야에서는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출구가 모색되고 있었으며, 1970~80년대 이래의 민속연희운동을 통한 일정한 진보적 역량이 갖추어진 상태였다. 역사학 분야에서는 '쓰이지 아니한 역사'에 대한 갈증과 욕구가 역사민속학이라는 과제로 수렴되고 있었다. 역사민속학의 출발에서 학제 연구가 필연적이었다. 한국역사민속학회는 학회 명칭에서 '역사민속학'을 표방했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민중생활사' 구현을 최대 목표로 설정했다. 역사민속학은 '역사 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의 줄인 용례이다. 역사민속학은 역사학 범주이며, 학사적으로는 향후 史學史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통섭 및 학제 연구의 필연성과 확충은 역사민속학이 구현하고자 했던 방향과 일치된다. 학제 연구는 필연적으로 제 학문과의 교섭을 요구한다. 또한 민속이란 이름의 개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근대 풍속의 해체와 새로운 풍속의 생성이라는 지난 100년 간의 변동 속에서 기존 민속개념만으로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수 없게 되었다.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is a product of '87'system which desire a certain transformation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threw conservertive attitude in studies. In the field of folkstudies the exit of academic identity was being sought, and in the field of history the thirst and desire for the challenge of history, 'folklife as a historic scienc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historical-folklife studies was inevitable departure. In the name of historical-folklife, the terms of contents represent a studies of people's life. The historical-folklife include in the historical categor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evitably requires negotiation with diversity of studies. What is the name of the folk-life there has been expansion of the concept. Pre-modem deconstruction and creation of new changes in the last 100 yeats alone, the existing concept of folklife was unable to lead the 21st century.
최상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한국역사교육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역사교육연구』 창간호부터 제20호까지게재된 총 143편의 글을 검토하고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분류 체계와 개론서를 참조하여 연구 성과를 분류할 10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범주별 글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21편, 역사교육과 역사학 15편,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2편,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12편, 역사교육의 교재 23편, 역사수업의 방법 22편, 역사학습의 평가 9편, 역사적 사고 14편, 한국 역사교육사 7편, 외국의 역사교육 18편. 각 범주별로 주목할 만한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범주에서는 박현숙허은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역사교사 3명의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교과서에 대한 해석 양상과 교수내용지식의 활용 방식을 규명하였다. 역사교육과 역사학 범주에서는강선주의 젠더 개념 규명과 류현종의 초등학생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가 의미 있었다.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범주에서는 발표된 글이 두 편에 불과하므로 의미 있는 글을 지적하기는 어렵지만두 글에서 제안한 방안을 교육과정 집필이나 평가문항 출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범주에서는 황지숙의 글이 돋보이는데 동아시아사가 처음 등장한상황에서 내용구성이나 학습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역사교육의 교재 범주에서는 천은수의 오개념 형성을 유발하는 교과서 서술 분석에 관한 글이 눈에 띄었다. 역사수업의 방법 범주에서는 이영효, 이해영, 권정애, 류현종의 글이 방법론적으로 새롭고의미 있는 성과를 제시했다고 보았다. 역사학습의 평가 범주에서는 오정현과 김미선의 글이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다. 오정현은 출제과정에서 난이도와 관련해서 고려해야 할 준거를 제시하였고, 김미선은 내용타당도를 제고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적 사고 범주에서는 방지원의 글이 돋보였다. 방지원은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에 대한 재개념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한국 역사교육사 범주에서는 김한종의 연구가 일제시기 교육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국의 역사교육 범주에서는 김정인과 신주백의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관련 연구가 돋보였고, 신경희의 미국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하였다. 『역사교육연구』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여 학술대회를 꾸준히 개최해야 한다. 학술대회 발표자와 토론자도 회원에게만 한정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참여시켜야 한다. 그래야 학회의 저변이 확대되고 학회지의 내용이 풍성해질 수 있다.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필요하다.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학교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역사수업의 실체를 살펴보거나 학생들에 대한 질문지 조사나 심층면접을 통해 역사교사와 학생들의 역사인식이나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와 아울러 연구 성과가 부진한 범주의 연구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the theses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History Education Association and review their tendencies and prospec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I set up t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frames and the introduction textbooks of history education. The number of the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21),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15),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2),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12),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23), methods of history teaching(22),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9), historical thinking(14),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7), foreign history education(18). The features of significant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In the category of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is representative. This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patterns about textbooks and the practicable metho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on classes of three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ategory of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he study on gender concept and the study on history representation of primary school pupil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theses are only two, but they are worthy of being applied to curricula reforms and making questions. In the category of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East Asia is significant because that suggested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learning methods of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sentences in textbooks leading to the misconceptions formations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methods of history teaching, the studies using new methodologie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 two studies are remarkable. One suggested criteria to consider about the difficulty of items in making questions, and the other suggested the methods to raise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thinking, the study on reconception of the empathetic history understanding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the study o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at Japan conquest era is significant. Lastly in the category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the studies on the accounts of Japan textbooks are significant, and the survey on American history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s is remarkable, too.
이정빈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4 No.-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North Korea regards this as the first peasant war in Korean history and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description and research history background of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Since the 1950s,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define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as a class struggle developed in medieval feudal society and find its causes i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a centralized state centered on aristocrats.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came from Paek Nam-un's study of medieval history in the 1930s. His understanding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was the common view in North Korean history until the 1950s. With the deepening of research,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medieval history changed, and so was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to some extent. Accumulation of full-scale research took place in the first half of the1960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history textbook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is period. The term peasant war began to be used after the late 1970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and this further emphasized the nature of the class struggle. In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late 1990s, Jeokgojeok(赤袴賊, red trousered banditti) was highlighted because the class struggle was more emphasized along with the curriculum reform. Meanwhile,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the point of opening of medieval history was moved up from Unified Silla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led to the regulation that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the background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not an establishment period of a feudal society but a reorganization period.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achieved the improvement of the people's situ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Bugok(部曲), and the meaning of the Bugok also changed. The Bugok inhabitant developed from a lower class with the character of a serf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a commoner with the character of a serf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reduction of Bugok was reinterpreted to mean “reorganization of medieval feudal society” in that it meant the cleaning up “the vestiges of slavery and community” af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the establishment of a view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in the long-lasting history of medieval feudal society. North Korea's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on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is rather difficult to accept from the empirical view in that it is biased toward emphasizing the class struggle.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9th century peasant revolt was viewe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intended to give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It is expected that a point of contact with North Korea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will be developed along with the progress in discussion. 9세기 농민항쟁은 신라 말⋅고려 초 정치⋅사회 변동의 중요한 계기 중 하나였다. 특히 북한에서는 한국사 최초의 농민전쟁으로 평가하며 그 역사적 의의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북한의 역사교과서 서술과 연구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북한 역사교과서에서는 9세기 농민항쟁을 중세 봉건사회에서 전개된 계급투쟁으로 규정하고, 그 원인을 귀족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가 가진 구조적 모순에서 찾고 있다. 이와 같은 이해의 기초는 1930년대 백남운의 중세사 연구에서 마련되었다. 그의 고대사⋅중세사 이해는 1950년대까지 북한 역사학계의 통설이었다. 그런데 연구의 심화와 더불어 중세사 이해가 변모하며 역사교과서 서술도 다소 변화하였다. 본격적인 연구는 1960년대 전반에 축적되었는데, 이를 전후해 발간된 역사교과서부터 그 성과가 반영되었다. 그리고 주체사상이 확립되며 1970년대 후반 이후 농민전쟁이란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계급투쟁의 성격을 한층 강조한 것이다. 1990년대 후반 이후의 역사교과서에서는 적고적이 부각되었는데, 이야기체 서술에서 계급투쟁의 순수성이 중시된 까닭이었다. 한편 1960년대 전반 중세사의 개막 시점은 통일신라에서 삼국시기로 상향되었는데, 이에 따라 9세기 농민항쟁의 배경이었던 통일신라 시기는 봉건사회 성립기가 아닌 재편기로 규정되었다. 9세기 농민항쟁은 부곡의 축소를 통해 인민 처지의 개선이란 성과를 얻었다고 하였는데, 부곡의 의미도 변화하였다. 부곡민은 삼국시기의 농노적 천민에서 통일신라시기 농노적 양민으로 성장하였다고 하였고, 부곡의 축소는 삼국시기 이후 “노예제적, 공동체적 잔재” 청산이란 의미를 가졌던 데서 ‘중세 봉건사회 재편’이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재해석하였다. 장기 지속된 중세 봉건사회사 속에서 9세기 농민항쟁을 바라보는 시각이 정착된 것이다. 9세기 농민항쟁에 대한 북한의 역사학⋅역사교육은 계급투쟁을 강조하는 데 치우쳐 실증의 측면에서 그대로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 적지 않다. 다만 9세기 농민항쟁의 배경과 전개과정을 거시적인 시야에서 조망하고 민의 시각에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으로 논의의 진전과 아울러 북한 역사학⋅역사교육과 대화의 접점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