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교육연구』 게재논문의 동향과 전망

        최상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한국역사교육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역사교육연구』 창간호부터 제20호까지게재된 총 143편의 글을 검토하고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분류 체계와 개론서를 참조하여 연구 성과를 분류할 10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범주별 글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21편, 역사교육과 역사학 15편,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2편,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12편, 역사교육의 교재 23편, 역사수업의 방법 22편, 역사학습의 평가 9편, 역사적 사고 14편, 한국 역사교육사 7편, 외국의 역사교육 18편. 각 범주별로 주목할 만한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범주에서는 박현숙허은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역사교사 3명의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교과서에 대한 해석 양상과 교수내용지식의 활용 방식을 규명하였다. 역사교육과 역사학 범주에서는강선주의 젠더 개념 규명과 류현종의 초등학생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가 의미 있었다.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범주에서는 발표된 글이 두 편에 불과하므로 의미 있는 글을 지적하기는 어렵지만두 글에서 제안한 방안을 교육과정 집필이나 평가문항 출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범주에서는 황지숙의 글이 돋보이는데 동아시아사가 처음 등장한상황에서 내용구성이나 학습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역사교육의 교재 범주에서는 천은수의 오개념 형성을 유발하는 교과서 서술 분석에 관한 글이 눈에 띄었다. 역사수업의 방법 범주에서는 이영효, 이해영, 권정애, 류현종의 글이 방법론적으로 새롭고의미 있는 성과를 제시했다고 보았다. 역사학습의 평가 범주에서는 오정현과 김미선의 글이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다. 오정현은 출제과정에서 난이도와 관련해서 고려해야 할 준거를 제시하였고, 김미선은 내용타당도를 제고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적 사고 범주에서는 방지원의 글이 돋보였다. 방지원은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에 대한 재개념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한국 역사교육사 범주에서는 김한종의 연구가 일제시기 교육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국의 역사교육 범주에서는 김정인과 신주백의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관련 연구가 돋보였고, 신경희의 미국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하였다. 『역사교육연구』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여 학술대회를 꾸준히 개최해야 한다. 학술대회 발표자와 토론자도 회원에게만 한정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참여시켜야 한다. 그래야 학회의 저변이 확대되고 학회지의 내용이 풍성해질 수 있다.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필요하다.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학교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역사수업의 실체를 살펴보거나 학생들에 대한 질문지 조사나 심층면접을 통해 역사교사와 학생들의 역사인식이나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와 아울러 연구 성과가 부진한 범주의 연구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the theses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History Education Association and review their tendencies and prospec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I set up t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frames and the introduction textbooks of history education. The number of the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21),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15),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2),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12),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23), methods of history teaching(22),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9), historical thinking(14),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7), foreign history education(18). The features of significant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In the category of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is representative. This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patterns about textbooks and the practicable metho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on classes of three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ategory of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he study on gender concept and the study on history representation of primary school pupil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theses are only two, but they are worthy of being applied to curricula reforms and making questions. In the category of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East Asia is significant because that suggested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learning methods of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sentences in textbooks leading to the misconceptions formations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methods of history teaching, the studies using new methodologie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 two studies are remarkable. One suggested criteria to consider about the difficulty of items in making questions, and the other suggested the methods to raise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thinking, the study on reconception of the empathetic history understanding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the study o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at Japan conquest era is significant. Lastly in the category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the studies on the accounts of Japan textbooks are significant, and the survey on American history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s is remarkable, too.

      • KCI등재후보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임기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how recent research finding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can be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ourses as well as history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writing standards for textbooks were reviewed to obtain the main element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presently being employed was examined. The recent trend and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associated wit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centering on the book, New Research Trends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were reviewed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recent research direction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was appropriately reflected, to some degree,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yet there also were some discrepancies. Examination o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compiling system seems warranted for newly-accepted orthodox view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o be presented in textbooks. Furthermore, a new content composition appears required for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overall flow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us, a new direction for description was proposed with a stance on the ancient society and the ancient state’s nature whereas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history focusing on the ancient state development was criticized. A direction for describing the ancient stat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nvironment from an East Asian history’s perspective was examined as well for a multifaceted yet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본 논문에서는 한국고대사의 최신 연구성과를 역사교육 및 초 중 고등 역사교과서 서술에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을 검토하여 역사교육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고, 그러한 교육과정의 제시가 적절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이란 책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등의 내용요소와 연관되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같이 역사교육과정과 최근의 연구성과를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등이 연구동향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면이 많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부분에서 연구 동향과 거리를 두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물론 연구의 흐름과 내용이 역사교육에 반영되기까지는 일정한 시차가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차는 역사교육에서 내용 선정이 보다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당연하다. 하지만 이미 연구에서 새로운 견해가 제출되고 그것이 통설로 받아들여지는 내용 조차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반영되지 않는 면이 적지 않음에서 알 수 있듯이, 현행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편찬 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 물론 개개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등에서는 최신 견해와 자료 등을 반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고대사 전체의 내용 구성의 맥락이 더 중요하며, 이 부분에서 연구의 동향을 반영할 필요가 절실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필자는 고대국가 형성론 중심의 고대사 교육과정을 비판하고, 고대사회론과 고대국가 성격론의 입장에서 구성가능한 내용 구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고대사의 입체적 이해를 위해서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고대사의 이해, 즉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및 국제환경에 대한 이해 방식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물론 앞으로 교육과정 등의 구성에서 반영될 수 있는 하나의 시론적 제안이기 때문에, 보다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성과를 반영하는 측면만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교육의 입장에서 교육과정의 구성 등을 통해 역사 이해의 맥락을 재구성하여 역사연구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측면을 통해, 양자의 접촉점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진로 모색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nly works with studentdirected- researches, which see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korean modern history’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 of history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recent surveys on ‘Student’ s Opinion o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aken in large scale more then 1,200 every time by teachers and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History Education Institute, Over 70 percent of students choo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s worthy of study in all ages of korean history. Another one thing to remember as productive result in the field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the ‘History’, the new-born subject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best feature of it is comprehensive recognition and reflection through World-Korean history. Until then, our history education has been very rigid and has lacked any diversity. On top of that, in these days, some researchers and teachers began to look at the potential of history education as core subject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They are seeking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y curriculum which vased on democratic values. Then I put forward three future-oriented propositions, necessary for progression in the study of student-centered program history curriculum. First is to examine critically ‘state-centric-narration’ Which deeply ingrained in history textbooks and ordinary public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Second, we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for organizing democratic values-based curriculum; peace, civil rights, the respect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nd so on. Third, we must realize that to delay is no option in the fight with a series of measures designed to entrench of deep- right- biased history curriculum.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함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긍정적 유산으로두 가지를 들었는데, 첫 번째는 근현대사 교육의 강조이고, 두 번째는 국사 중심 역사교육에서 세계사와 함께하는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이다. 이어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공감대를 넓혀가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연구와 실천의 동향을‘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으로 잠정 정의하고, 이 맥락에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현실 진단의 과제로서 국가 중심 서사 및 그 재생산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수십 년간공고하게 형성 유지된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토대를 확고히 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래 역사교육의 상을 마련하는 과제로 평화와 인권, 다문화와 공존 등 민주적 가치와 덕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필요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급격히 달라진 역사교육의 외적 조건을 인식하기위한 것으로 ‘우파’ 역사인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리이다. ‘우파’ 역사교과서의등장이 역사교육계에 몰고 온 충격에 대해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차원에서 대응하고, 학습자를 위한 역사교육 내용 체계를 모색하는 또 다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조지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ng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affects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had introspected the origins which composed student’s histor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The results analyz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had wanted students to think history to connect history knowledge to current society and students’ life, not merely regarding history as truth of the past. Students could connect historical truth of the past to current society issues as a result of history learning. Some students went even further and felt empathy to the historical agents and looked back on themselves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agents. There just remains some doubts that this thought can lead students into practice, because students accept history and the practicability of history education as an oughtness. Second, the teacher had considered history as a consequence of human autonomous choice and expected students to move forward to be ‘autonomous subject’ in their present lives through history learning. Nevertheless, most of the students had sought for reasons to study history from learning lessons. Sometimes, they had made a choice of conflicting lessons,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their own values and perception of reali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As mentioned above, the view of teacher’s history education and student’s history understanding in history classroom were considerably connected, but it also seemed that students did not embrace teacher’s history educational view as it is. Students had formed their own historical perspective in combination with their sociocultural context, perception of socie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수업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역사교육관이 학생들의 역사이해로 어떻게연결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의 역사교육관을 구성하는 근원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연계하여 성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역사가 단지 지나간 과거의 사실이 아니라 현재 사회와 학생들의 삶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역사 수업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현재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역사적 행위자의 삶에 공감을 느끼며 자신의 삶과 비교하여 성찰하는 학생들도 있다. 다만 이런 생각이 실천으로 이어질 지는 의문이다. 학생들은 역사와 역사교육의 실천성을 ‘해야 하는 행위’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는 역사가 인간의 주체적 선택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역사 수업을통해 현재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행위’를 선택하길 기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역사를배우는 이유를 교훈에서 찾는다. 특히 학생자신의 가치관과 현실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작용하며 상반된 교훈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교실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역사이해는 상당부분 연결되고 있다. 그렇지만 학생들이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과 사회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자기 나름의 역사적 관점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호인식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이 당위론적으로가르치고 배우는 역사적 사실과 가치에 대해 함께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방지원(Jiwon B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4

        인류의 장구한 경험을 여러 각도에서 들여다보고 탐구하는 역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진 다양한 ‘렌즈’에 따라, 인류의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적 삶과 미래에 대한 상상력이 풍부해질 수 있다. OECD와 UN이 제시한 새로운 교육론을 통해서도 이와 같은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국제 문서가 강조한 학생 행위주체성, 변혁 역량 등의 개념은 학생의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역사교육에 관한 기왕의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 유용하다. 또한 ‘손상된 지구를 위한 교육과정’과 같은 아이디어에 담긴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적 전환은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오랜 서사적 전통을 반성하도록 한다. 역사교육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환경적 전환은 ‘생태적 시민으로서의 학생의 자기 형성’에 관한 문제이다. 인간이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한 역사교육의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 전제를 성찰하고 동시에 역사와 인간을 생태적 관계성 속에서 사유하도록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교육적 질문을 만들어내자는 절박한 제안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아득한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생태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역동적으로 살피도록 돕는 역사학습주제를 찾고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역사학습은 학생들이 생태적 감수성을 깨우고, 오늘날 환경위기를 극복하는데 나서는 주체로서의 의지를 진작시킬 수 있다. 역사학이 담당하고 회복해야 할 공적 역할을 생태환경사와 역사교육의 적극적 제휴와 그것을 통한 교육적 실천으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history class, students explore the long experience of mank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be empowered to look at the past and present, and to imagine possible futures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he new education theory proposed by the OECD and the UN supports the importance of such history education. Two international documents proclaime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the student's agency and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thi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advance the discussion of history education that helps students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The long narrative tradition of history curricula and textbook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ight of ideas on the curriculum proposals of the UN report. In the en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in history education is a matter of ‘self-formation of students as ecological citizens’ It is also an urgent proposal to reflect on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 of history education on how human beings relate to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create educational questions necessary to change history and humans to think in ecological relationship.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develop a history learning topic that helps students to dynamically examine how humans as ecological beings have lived in the environment from the distant past to the present. Such history learning can awaken students' ecological sensibility and boost their will as subjects to overcome today's environmental crisis. The role that history studies should play and restore for the public can be found in the active alliance between eco-environmental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it.

      • KCI등재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과 지향 - 회보 『역사교육』의 ‘수업이야기’를 중심으로 -

        정미란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is in an important position as a research group and an exercise group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It has been publishing a quarterly magazine History Education, the ‘Lesson Stories’ in the magazine is very meaningful as a material to study a aspect and direction of history teaching practice of history teachers. History teaching practice through history ‘Lesson Stories’ was characterized by persistence of orientation and change of practice method. The orientation of the association became more evident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such as waves of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nationalization’. This was embodied in history class contents reconstruction of emphasizing values of democracy, peace and human rights and so on. From the earliest days of the association, the method of historical material, drama, and discussion, which had been emphasized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y teaching, evolved to support reconstruction of valueoriented history teaching contents. In particular, the history teachers tried to make a history teaching by confirming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ing and the history perception in detail and reflecting and supplementing. At last seas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history class practice of the association was the offensive of political on history education contents such as history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This emphasized the character of the association as a historical educationrelated movement group, and has concentrated and exhausted their internal capabilities. I hope that the association will become more stable and active as a history education research group. 1988년에 결성된 전국역사교사모임은 역사교육 운동단체이자 역사교육 연구단체이다. 교사모임의 회보에 실린 역사 ‘수업이야기’는 학교 역사 수업의 성격과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하다. 역사 ‘수업이야기’를 통해 본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은 지향의 지속성과 수업 방법의 진화라는 특성이 있다. 역사교사들은 모임 초창기부터 역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교사모임의 지향은 <한국 근・현대사>교과서 파동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등 역사교육의 위기 국면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분명해지고 견고해졌다. 역사 ‘수업이야기’의 근현대사 수업 사례가 많아지고, 민주주의, 평화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내용 재구성이 강조되었다. 교사모임 초기부터 학생의 수업 참여를 북돋우기 위해 강조되었던 사료학습, 극화학습, 토론학습은 가치 지향적 역사 수업 내용 재구성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었다. 역사교사들은 이전보다 학생의 수업 반응과 역사 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여 배움이 있는 역사 수업을 만들어나갔다. 지난 시기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에 있어 가장 큰 변수는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 등 역사교육내용에 대한 정책 변동과 사회적 논쟁이었다. 이는 교사모임의 역사교육 운동단체로서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내부 역량을 집중시켰다. 역사교육 정책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선을 비롯한 현장 역사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교사모임의 역사교육 연구단체로서의 저력과 성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과 지향을 통해 볼 때 역사수업연구는 역사 수업의 주체와 학교 안팎의 교육 여건 및 관련 논의를 고려하여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인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8

        Recently, Historical understanding has been emphasized in historial research and education.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 of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 and suggesting history classroom strategies for developing such an view. Whether the history education should involves value education or not has been under dispute. But it is inevitable that the history education deal with the problem of value because the evaluation of historical facts involve the moral judgement and the important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moral education. The pluralistic view is one of value which history education should make pupils have. Historical value is pluralistic. The pluralistic view makes the pupil understand historical facts with multiple viewpoint and have his own eyesight. But the pluralistic view may be misused to validate the social position of a person and support his interest by concealing his purpose. So,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 should be reasonablel and defend the universal value of humanity. It is necessary to connect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nd to intense social history or cultural history in curriculum. History textbook should avoid to write contents with a singular view or value, and to ope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e teacher should decrease the invention with pupils and ask questions for pupils to have the opportunities to think value problems with. Pupils should be come in contact with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historical fact, and develop the ability of rational decision making on the basis of contextual knowledge. It is useful to utilize the source of oral history in history lesson. But the rational standard should support moral judgement. 근래 역사학과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가 가지는 성격을 밝히고, 다원적 관점을 기르기 위한 역사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이 가치교육의 성격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찬반 논란이 있다. 그렇지만 역사적 사실의 평가에 도덕적 판단이 들어가며, 역사교육의 목적 중 하나가 도덕교육임을 고려하면,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다루는 것은 불가피하다. 다원적 관점은 역사교육으로 길러야 할 가치 중 하나이다. 역사적 가치가 다원적 성격을 띠고 있다. 다원적 관점은 역사적 사실이나 현상을 여러 각도에서 이해하게 하며, 역사를 바라보는 자신의 눈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다원적 관점은 자신의 사회적 처지나 이해관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내세워, 본래의 목적을 숨기고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는 합리성을 가져야 하며,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사나 문화사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서술이 특정 관점이나 가치를 피하고,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수업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판단하는데 교사의 개입을 줄이고, 학생들이 가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진다. 역사적 사실의 다양한 해석을 접하게 하고, 맥락적 지식을 바탕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수업에서 구술사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도덕적 판단에서는 합리적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독일 역사교육의 사례 : 역사적 사고 지향의 FUER모델을 중심으로

        박미향(Park, mihy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독일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에서 독일 학생들의 저조한 성적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2000년대 중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이에 역사과목의 역량모델들이 개발되었는데, FUER모델(2006/2007), 한스 위르겐 판델 모델(Hans-Jürgen Pandel)(2005), 페터 가우치 모델(Peter Gautschi)(2009), 독일역사교사협회의 교육표준(2006, 2010)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모델들 중에서 가장 체계적인 모델로 인정받으며 독일 각 주의 역량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FUER모델을 중심으로 독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 역사교육에서 논의되었던 역사의식 이론들이 FUER모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FUER모델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에서도 전이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역사적 사고의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역사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FUER모델에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 과정은 학생들이 과거와 역사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제기하고, 비판하면서 해체하고, 자료들을 토대로 과거를 재구성하여 그것을 삶에 적용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이다. 질문제기, 재구성과 해체, 방향설정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이해해야할 역사적 원리, 개념 등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FUER모델은 역사적 질문역량, 역사적 방법역량, 역사적 방향설정역량, 역사적 사실역량을 도출했던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 사고를 하나의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한 것은 역사의식 이론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역사의식을 역사해석에 대한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활동’으로 이해했던 야이스만과 역사의식을 합리적인 역사서사 ‘행위’로 이해했던 뤼젠의 이론이 그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역사의식이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역사적 사고의 ‘과정’으로 치환되었다. 역사적 역량은 역사적 사고의 학습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독일 역사교육은 다음과 같은 근원적인 질문들을 제기했다: 역사교육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가? 역사를 학습하고 난 이후 학생들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어떤 능력이나 역량을 가질 수 있어야 하는가? 학생들에게 그러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 역사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하는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할 한국의 역사교육 역시 이러한 근본적 질문들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구체적인 역사적 역량들은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Germany introduc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ince the mid-2000s as a way to overcome the poor grades of German students in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s a result, competency models for history subjects were developed: FUER Model (2006/2007), Hans-Jürgen Pandel Model(2005), Peter Gautschi Model (2009),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in Germany(2006, 2010). Among these competency models, this paper examines the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centering on the FUER Model. At the same time, how theoretical discussion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re applied to the FUER Model were examined. The FUER model presented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transferable and applicable even in the social life of students, and historical competence was derived from this process. The historical thinking process presented by the FUER model i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students ask questions about the past and history themselves, deconstruct it while criticizing it, reconstruct the past based on data, and apply it to their lives. Based on the process of questioning, reconstruction, deconstruction, and direction setting and knowledge of historical principles and concepts to be understood in these processes, the FUER model derived historical questioning competence, historical method competence, historical direction setting competence, and historical fact competence. Thi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hinking as a dynamic process can be said to be the influence of previous theori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are the theories of Jeismann,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flective and critical ‘activity’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uesen’s theory,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ational historical narrative ‘action’. As such, in German history education,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understood as an ‘activity’ or ‘action’ rather than any substance, theory, or philosophy, so it was reduced to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suggested by the FUER Model, Germany s history education seems to have taken a major direction in defining historical competence as the learning of historical thinking. Until this conclusion, Germany s history education faced and discussed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at does history education teach students? What should students be able to do after studying history, and what abilities or competencies should they have? How should history lessons b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such competencies in students? History education in Korea, which should app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so seems to answer these fundamental questions.

      • 역사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의 모색

        김남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5 역사교육연구 Vol.- No.2

        Peace education is thought to be a kind of powerful mechanism that we can actively cope with the whole crisis of human history and be the needs of the times to secure our human life of the present and guarantee even the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But peace education is never such an easier problem than we expected. The greatest difficulty of peace education is that the present world we live is so anti-peaceful that we lack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by being insensible to this anti-peaceful reality and having no interest in peace problem. Only when peace education includes the important contents of anti-war peace, security of human rights, unification of the divided peninsular, or education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se important elements also can be the core contents in history education.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wo educa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think over how peace education can be taught and what its methods are in the present history education. I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eace education are secured in history education, the concrete and practical peace education can be possible in history education of all the schools. History teachers in Korea are keeping making efforts to achieve inter-Korean reconciliation, cooperation, unification and construction of peaceful order. Especially, the main contents they teach with interest are as follows. 1. project for understanding real circumstances about the dispatch of Korean troops to Vietnam and cooperating with it 2. Knowing hidden truths about U.S. soldiers' crimes and massacre of Korean civilians by U.S. armed forces and teaching them to students 3. Development of anti-war peace classes about U.S. invasion upon Iraq 4. investigating and teaching the infringements upon human rights by state authorities such as Uprising April 3 in Jeju, Uprising in Yeosu and Suncheon and massacre of civilians during Korean War. A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mmunity of East Asia is remarkably appearing, which is for protesting against the hegemonism exposed to China's “Northeastern Project”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 distortion and groping peace in East Asia. Especially, the historical exchanges and joint research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re necessary for constructing peace not only in East Asia but in the world. Like this, the problems about unification of the divided peninsula, war and massacre of civilians, history distortion and peace of East Asia being in priority highlighted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peace education will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in history education. After all, history education has to aim to give clues to secure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contribute to making the world peaceful. 평화교육은 반전평화, 인권 보장, 분단 극복과 통일, 개발과 환경교육, 또는 화해와 협력 교육이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역사교육에서도 그런 중요한 부분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역사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런 문제인식 하에 역사교육에서 평화교육은 어떤 식으로 가능하고, 그 방법은 무엇일까를 고민하는 것은 지금 당대의 역사교육에서도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역사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의 내용과 방법론의 확보는 물론 현장역사교육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평화교육이 가능할 수 있는 선결과제이다.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교사들은 민족의 화해와 협력, 통일의 실현, 평화질서의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실상 파악과 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미군범죄와 미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감춰진 진실을 알고 가르치기,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전평화수업 전개, 현대사에서 비극이었던 4.3항쟁, 여순항쟁, 한국전쟁 시기의 민간인 학살 등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 유린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가르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으로 나타나 패권주의에 저항하면서 동북아시아의 평화모색을 위한 움직임이 가시적인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중.일간의 역사교류와 공동연구는 동아시아의 평화는 물론 세계의 평화를 구축하는 소중한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 현대사에서의 분단극복과 통일, 전쟁과 양민학살, 역사왜곡과 동아시아의 평화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평화교육이 역사교육에서도 중요한 과제임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결국은 역사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를 확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게 하는 것이어야 하고, 그것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 정상화의 과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회복 문제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8

        Today, we have great concern about issues and direction of normalizing or reinforcement policy of history education. There are two key questions here, I think, the one is how to assure the security of the subject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o systematize of learning content based on student’s life is the other.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was the ‘definitive edition’ of many researches and discussions for normalizing history education by 2005. It contained useful and promising suggestions, that can improve the age-long problems of history education. Problems include the western oriented tendency in world history content, narrative structure mired in excessively nationalist ideology and conventional repeated learning in korean history education. But 2009 revised history curriculum, which rough-and-readily developed in 2011, withdrew the important proposals of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Nevertheless, intention of reformatio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is still very important, if we are eager for success in the upcoming curriculum development.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left a large inheritance to u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opened up the possibility to us that democracy and nationalism can work together as contents selection criteria for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This approach mak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inquiry the future value of democracy in history class; peaceful coexistence, conservation of nature, multculturalism, etc. Second, the subject ‘history’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ried ‘total history’ for understanding human life in past and present over all. The remaining task will be to set up the ‘total history’ for young students, with appropriate amount of learning content. Third is the subject ‘history’ itself. It took more integrated approach in organizing learning contents, emphasizing the interrelation of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This organization allows the introspection on various aspect of life and human being in history. 현재 우리에게 요청되는 역사교육 정상화는 초중고등학교 전체 교육과정 안에서 역사교과의 위상을 안정화시키고 학생들 삶의 요구에 따라 학습내용을 체계화하는 일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는 2005년 무렵까지 국사와 세계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해 제기되었던 비판과 정상화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일차적 결실이었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그 취지와 정신이 상당 부분 후퇴하였다. 이 글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역사교육 정상화의 논의 속에서 나온 2007 개정 교육과정 ‘역사’의 성취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역사’의 설정 취지와 기본 정신, 내용 구성면의 시도 가운데, 앞으로 역사 교육과정 개선 연구와 개발 작업에서 비판적으로 계승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10 부분 수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한국사’ 의 성격과 내용 구성 방향을 큰 틀에서 비교하였다. 검토의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두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성이 약화되고 민족 중심 서사가 강화되었다. 중학교 한국사 영역에서는 동아시아적 맥락이 약화되었고, 세계사 영역에서는 상호의존과 교류의 관점이 탈락되었다.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세계사 관련 성취기준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 결과 중고등학교 역사교육의 체계와 내용은 1997년의 제7차 교육과정과 유사한 상태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 글에서는 현재 역사교육이 처한 상황, 한국사와 세계사 교육에 대한 학계의 논의 상황, 교육과정 비교 검토 결과를 종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가 남긴 유산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자국사에서 민족사적 관점과 민주적 관점의 공존 및 조화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둘째, 인간의 삶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통사적 내용 구성을 탐색한 점, 셋째,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를 통한 역사의 전반적 이해와 삶의 성찰을 추구한 점이다. 앞으로의 역사교육 내용 구성 연구와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이러한 유산의 계승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