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문화권별 관광객의 한국 방문 전반적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신용재 ( Yongjae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여행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아시아 국가의 관광객이 문화권별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차이에 따라 어떠한 관광요소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 외래관광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단계 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결과 중국과 일본은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구분하였고 반면, 아랍문화권은 동아시아 문화권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한국 방문 만족도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구분된 문화권역을 기준으로 한국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를 비교한 결과 동아시아 문화권은 치안과 길 찾기를 제외한 10개 요소, 동남_남부 아시아 문화권은 언어소통과 길안내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요소, 건조문화권(아랍 및 외몽골터키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들과 달리 한국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가 5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잠재적 아시아 관광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from Asian countries who visit Korea for the purpose of travel by culture, and to find out which tourism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To this end, a two-step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2019 Foreign Tourist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China and Japa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so they were classified as East Asian cultures, whereas Arab culture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visiting Korea from East Asian cultur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based on the cultural regions divided according to this, the East Asian culture includes 10 factors except for security and navigation, and the Southeast_South Asian culture shows all factors except language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service. Unlike other cultures, in the element and dry culture (Arab and Outer Mongolia and Turkey),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were found to be less than 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attract potential Asian tourists.

      • KCI등재

        중국 신석기 시대 사회구조에 대한 연구 - 교동반도 대문구문화를 중심으로 -

        원중호 ( Wone Joong H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 대상은 중국 신석기 고고학 연구의 한 획을 그은 중요한 연구성과물로 그 연구방법과 과정에서 수많은 의견들이 공존하는 대문구문화다. 연구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대문구문화 유적에서 발견된 특징적인 유물들에 대한 분석이다. 두번째는 부장유물에서 보이는 사회 생산을 주도적으로 책임진 노동 인력에 대한 변화다. 중기 이후 생산 공구들이 발견되면서 여자 무덤에서 보이는 부장품들과 차별화가 시작된다. 이러한 부장품의 변화 현상은 당시 사회구조에서 존재한 중심 구성원의 존재와 그들 역할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연구목적은 분기설정과 특징유물, 매장 문화 분석을 통해 대구문문화의 기본적인 사회형태 안에서 존재한 부의 격차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문명 발생을 위한 사회구조 개혁의 본질적인 변화 속에서 등장한 사유재산 개념과 구분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농경과 정착생활이 시작되었지만 가축을 사육하고 각종 수공업이 중요시된 과도기 사회구조로의 변천은 철이나 구리, 납을 다루는 연금술이 출현하고 문자가 발명되며 도시가 세워지고, 순장(殉葬) 등이 가능한 대형농경정착사회로의 발전과정과 서로 구분되어 설명되어야 한다. 대문구문화 신석기 시대 과도기 사회구조의 존재와 변천과정은 문명사회 진입기로 주장(主張)된 동북(만주)아시아 홍산(紅山)문화 후기 사회구조 재해석의 근거가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culture of 大汶口(Dawenkou) is a part of The Chinese Neolithic archeology research, which have an important of research to the result, but also could have many opinions about th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rocess coexist. There are two main contents of this study. The first i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relics found in the cultural relics. The second is a change in the labor force, what is responsible for the social production seen in the director`s relics. As the production tools are discovered after the middle of the century, differentiation begins from the items found in the female tombs. The change of these item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core members, who were existed in the social structure at the time, which could be changed of their r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wealth gap in the basic social form of 大汶口(Dawenkou)culture through branch setting, characteristic artifacts, and store culture analysis. And that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 of private property emerging in the essential change of social structure reform for civilization. The transition to a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which livestock and settlement life began but the transition to a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which livestock were raised and the importance of various crafts was emphasized and due to the emergence of alchemy dealing with iron and copper lead, It should be explain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to a Big farming settlement society, which are same of the country or civilization. The existence and transition process of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in 大汶口(Dawenkou) Neolithic period can be the basis of reinterpretation of the late social structure, which are the Northeast Asia(Manchuria) Hongshan culture claimed as a civilized society.

      • KCI등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김용민 ( Kim Yong Min ),백상욱 ( Baek Sang W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조직문화를 입체적으로 측정하여 조직문화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측정방법은 현재의 조직문화와 미래의 조직문화를 사전 사후 평균차이 비교를 통해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의 정도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는 현재보다 미래에 증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현재보다 미래에 감소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유연근무제 활성화, 비정규직의 처우개선, 멘토·멘티제 운영, 동호회 활동지원, 4차산업혁명 교육강화를 통해 조직문화의 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by applying a competitive value model an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 members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Measuring methods analyze the degree of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marke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through comparison of the present organizational culture and future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lan culture and the adhocracy culture generally require an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e market culture and the hierarchical culture demand more reduction than the present. The Asian Culture Center is required to improve its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the promo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irregular workers, mentor and mentee management, support for club activities,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강한 타자` 제국주의의 시선 극복하기: 동남아시아 근대회화 속의 동남아시아 표상

        김용철 ( Kim Yong Cheo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이 논문은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관점에서 동남아시아 근대회화를 조명한 것이다. 19세기 서양 제국주의의 통치 아래 놓여 있던 동남아시아의 회화는 서양인의 이국취미를 반영하는 자연경관이나 생활을 다룬 회화경향이 주류를 이루었다. 야자수 그늘과 원주민 여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와 같은 경향은 필리핀의 화가 아모르솔로의 그림이나 `무이 인디`로 불린 인도네시아의 풍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 필리핀에서는 그와 같은 시선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오기 시작했고 인도네시아에서도 스죠요노와 같이 이전 세대의 경향을 비판하는 화가들이 나왔다. 새로운 세대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의식하며 자연경관과 현실을 정면에서 다루었을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도 지역정체성과 결합하여 묘사되었다. 불교나 이슬람교와 관련이 있는 전통적인 문화요소 또한 서양인의 이국취미와 다른 자신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동남아시아 화가들은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가장 큰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했다. 화가들은 자신들의 지역을 전쟁피해지역으로 묘사하고 일본 군인에 의해 수탈당하는 농촌을 묘사했다. 당시 인도네시아 일부 화가들은 계민문화지도소(啓民文化指導所)의 지도를 받으며 일본인의 이국취미와 군부의 통치를 협력하려는 태도를 보였지만, 화교 화가들은 일본군에 의한 탄압 속에서 이주와 정착을 경험했고, 이방인으로서의 시선을 담은 풍경화와 풍속화를 그렸다. 영국의 영향을 받은 싱가포르에 정착한 화교들은 유럽에 대한 동경을 담아내는 한편으로 화교의 정착에 의해 달라진 싱가포르의 새로운 지역정체성을 묘사하였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독립과 새로운 국가건설을 경험하며 현실을 고발하거나 미래의 희망을 담아서 묘사하였다. 패트릭 온과 같은 화가들은 전통적인 종교나 문화적인 요소들도 강렬한 색채와 다이나믹한 묘사를 통해 새로운 시대정신과 강한 지역정체성을 반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Southeast Asia modern paintings in the view of post colonialism. In the 19 century, it was main stream to paint beautiful landscape or life in Southeast Asia painting. They are characterized by palm tree and figure of native women which reflected painters purpose to identify themselves to imperialists, `Strong the Other` as in the Fernando Amorsolo`s works and `Mooi Indie` (Dutch for “Beautiful Indies”) which are landscape paintings of Indonesia. But younger generation like Victorio Edades in Philippine, since late 1902`s, and S. Sudjojono in Indonesia, tried to overcome or criticised old generation who internalized imperialist`s view. Younger generation handled landscape and the reality with their own identity, and described Christianity as combined with identity of area. Traditional culture elements as Buddhism or Islam are also had the meaning of expression of their own identity which was different from Westerner`s exoticism. Painters of Southeast Asia had experienced the change of identity very much through World War II. They painted their own country as ruined area by war, and farm village taken by Japanese Army. Although a part of Indonesian Painters who were guided by Cultural Center for Enlightening People(啓民文化指導所) established by Japanese Army showed pre-Japanese attitude, overseas Chinese people experienced immigrant and diaspora under the oppression by Japanese Army, and painted landscape and life as stranger. Overseas Chinese who settled in Singapore where was influenced by British very much, depicted new area identity changed by settlement of overseas Chinese with yearning for Europe.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painters painted social problems and hope for future through experience of independence and establishment of government. Some painters like Patrick Onn expressed new time-spirit and area identity with strong color and dynamic depiction.

      • KCI등재

        환경으로 본 안데스 전통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

        박호진 ( Hoj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안데스 ​​전통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두 지역의 환경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교의 관계성의 원리를 안데스 전통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특히 환경-문화 관계론, 특히 쌀 문화권 대 밀 문화권이라는 이분법적 문화론을 제기한 이철승의 문화-환경론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가 안데스 전통 문화와 상대적으로 유사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분석을 통해 강력한 협업 문화는 벼농사 문화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물 공급과 자연재해와 같은 어려운 환경적 요인을 갖는 안데스 전통 문화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학자들이 안데스의 독특한 문화와 환경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넓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in the And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 East Asian culture, and it argues that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stem from the environments of the two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lationshi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 culture, was compared with the Andean principle. On the base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analyzes why East Asian culture has relative similarities to Andean traditional culture relying on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culture relationship especially expounded by Cheolsung Lee (2021). He distinguishes East Asian rice farming culture from wheat farming culture. But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ong cooperative cultur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rice farming culture but other styles of farming is also accompanied with a cooperative culture, as Andean traditional culture proves. In this culture difficul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stable water supply and natural disasters make Andean farmers keep such a strong cooperative culture as East Asian’s.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East Asian scholars give an attention to the Andean pecular cul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나은주 ( Eun Ju Na ),나은영 ( Eun Young N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이 글의 목적은 우리 사회 구성원인 다문화 가정 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중 문화 속에서 생활하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대부분 정체성 확립과 한국어 습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 다름을 수용하면서 한국어를 재미있고 심도 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교육연극은 수업 목표에 맞는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학생들의 언어 문화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다각적 활동을 전개하는 학습 방법이므로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수법이 될 수 있다. 언어 교육에서의 교육연극은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설정한 가상의 ‘현실’ 속에서 실생활에서 있을 만한 언어 문화적 문제를 탐구하는 과정이다. 자신이 사는 실제 세계를 구조화된 연극적 상황 안에 투영하여 행동하고 이야기해 보는 교육연극의 접근 방식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 방법으로 매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연극 방법과 실제 수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any multicultural children are struggling to learn Korean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method that helps children accept cultural differences while learning Korean fun and intensely in a comfortable setting. Using drama can be a holistic approach to teaching Korean to children with diverse cultures. Drama in language teaching is a process of inquiry in an imaginary “real” world, where children manifest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experiences from real life. It is a process of doing language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in a drama world. This article looks at drama as a teaching method and presents several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using dram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 KCI등재

        한국에 거주하는 동남아시아인의 비자종류에 따른 한글학습에서의 언어학습전략 차이

        칼로타스미스 ( Carlota Smith ),윤현숙 ( Hyun Suk Yoon ),오선아 ( Sun A Oh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동남아시아인들의 비자 종류에 따른 한글학습에서의 언어 학습전략 차이를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A대학 외국어학습교류센터와 N구 이주민문화센터에서 한글공부를 한 총 125명의 동남아시아인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였다. 이후 이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와 언어 학습전략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비자 종류에 따라 배우자 비자, 워킹비자, 학생비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비자 종류에 따라 워킹비자 집단이 기억, 보상, 정의적 전략에서 배우자 비자집단이나 학생비자집단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여주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동남아시아인들이 한글을 학습할 때 비자 종류에 따라 다른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어학습교류센터와 이주민문화센터 등에서 한글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학습자들의 비자 종류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isa status effect between th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LLSs)in Hangeul learning of South-eastern Asians who live in Korea. The 125 South-eastern Asian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learned Hangeul at the Foreign Language and Exchange Center at A university and the Nam-gu Migrant Culture Center at G city. They answered to our questionnaires composed of LLSs including a few about demographic information. We divided them into three visa category groups: the spouses, the workers and th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LLS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visa status. The working visa group showed better skills in memory, compensation and affective strategies than the spouse and students groups.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cording to visa category of South-eastern Asians, they used different LLSs to learn Hangeul. This study suggests that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Hangeul learning program the Foreign Language and Exchange Center, the Migrant Culture Center, other language institutions and policy maker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visa status of learners.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정치문화 방향에 관한 소고

        김태운 ( Tae Woo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2 인문사회 21 Vol.3 No.2

        본 논문은 한 나라의 정치발전은 정치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정치문화의 특징과 현실을 검토하는 가운데 바람직한 정치문화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개별국가들의 정치문화는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참여형이 주류 정치문화라고 하더라도 지방형이나 신민형의 정치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국의 정치문화 양상도 이와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유교적 전통이 정치문화 속에 강하게 배어 있는 가운데 온정적이고, 감정적이며 권위주의적 성격이 강하다. 특히, 혈연, 지연, 학연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인적 네트워크 중심의 정치문화가 정치문화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20세기와 비교하여 21세기의 한국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크게 변화되었다. 성숙된 민주시민사회로의 변화, 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 양상은 새로운 정치문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한국의 정치문화는 자유주의적 이념과 합리주의적 가치를 기초로 새롭게 정립될 필요가 있다. 특히, 광범위한 정치 참여를 통해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정치문화 정립이 필요하다. 아울러, 다문화사회에 부응하는 사회통합형 합리주의적 정치문화를 정립·발전시켜야 한다. This thesis includes recognition that the political culture plays important role in a country``s political development and finds a desirable way of political culture by reviewing Korean political culture``s feature and reality. Each country``s political culture appears multiply. Participative could be the mainstream in political culture, but regional or subject political culture can appear multiply. Korean political culture is not big different with this appearance. Still, the confucian tradition is strongly soaked in political system, and has compassionate, emotional, and authoritarian character. Especially, personal networking political culture, which is based on kinship, regionalism, and school relations, rules the whole political networking. Compared with 20th Century, and 21st Century, Korean society materially altered in policy, economy, and sociocultural. change of matured democratic civil, and of multicultural society aspect requires fresh political culture. By this aspect, Korean political culture needs to be constructed newly, based on liberalistic ideology, and rationalism value. Especially, we need construction of political culture that all parties can recognize and share by pretending wide politics. Also, it needs to be set up and development the socially integrated rational political culture that accommodates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옴니보어 관점에서 본 문화 이용권 사용실태 분석

        장혜지 ( Jang Hye Ji ),장혜미 ( Jang Hye Mi ),김재범 ( Kim Jai Beo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계층의식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시작으로 계층의식과 문화자본과의 연관성, 그리고 문화자본이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를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옴니보어론이 한국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밝혀내고, 그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기존의 문화 바우처와 현재의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을 비판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현재의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은 사회적 소외계층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계층의 상승을 통해 양극화 심화 현상을 문화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는 중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한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과의 연계 강화와 기획프로그램의 확대를 제시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noticing a problem of stratum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and continu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stratum consciousness and cultural capital and how cultural capital exists. In the process, we have worked on what the theory of Omnivoire means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voucher. Despite cultural voucher having the power to culturally mitigate the polarization by improving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of the minority, it is not functioning well in our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such shortcomings, this study suggests to reinforce the link with policies regarding education of art and culture.

      • KCI등재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 모델’ 구현의 방향

        박은진 ( Eunjin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국어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적 문식성은 국어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념 논의를 토대로 하되,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공유 모델’을 국어교육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의 최대 목표가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 있다고 했을 때 국어 교과서는 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도모하는 문식성 교재에 해당한다. 이에 주목하여 교과서에 드러난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드러난 한계점을 파악한 후, 중세 사대부 여성의 문식성 실천 사례를 살펴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모델 실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진행한 결과, 목표 기술이나 학습활동의 확장 부분에서 학습자 집단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기존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한계점으로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중세 사례에의 고찰을 통해 지식 공유의 양상과 그를 통한 문화 창조의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결론에서는 공유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네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way to realize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cultural literacy educatio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is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cultural literacy education is not materialized in education area.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is abstract, so it is also abstract in real education field. In this discussion, I tried to clarify the concept of cultual literacy education and realize the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For this goal, this discussion tried to check up the aspect of sharing condition in Korean text book. And searched the principle of sharing theory in mid era, Chosun dynasty, looked for suggestion. In conclusion this discuss suggested four suggestions to realize sharing model in korean literacy education. Although many limitations in this discussion, this discussion have preview point in dealing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