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선진국의 스포츠 상담 서비스와 스포츠 심리학자 고용창출

        김진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3 No.2

        스포츠 선진국에서는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학자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회사를 설립하거나 아니면 자기고용을 통해 고용창출을 확대해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도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학교에 일자리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스포츠 심리학자의 과잉공급을 초래해 심각한 실업문제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국의 스포츠 심리상담 서비스를 조사하여 우리 나라 스포츠 심리학자들의 고용창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미국의 경우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포츠 현장에서 일을 하기보다는 학교에서 직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시간이 나거나 상담의뢰가 들어올 때 상담을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스포츠 현장보다 학교를 선호하는 반면, 임상심리나 상담심리를 전공한 사람은 학교보다 현장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임상심리학이나 상담심리를 전공한 사람이 스포츠 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보다 상담료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대부분은 자기고용 상태에 있으며 프로구단이 전일제로 상담사를 고용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경우도 상담사 제도가 있으며, 윤리규정을 만들어 의뢰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도 자기고용을 통한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known that many clinical, counseling, and sport psychologist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Oceania provide sport psychology consultant services to athletes, coaches and team managers for the aim of improving performance in sport settings. Some chartered psychologists by AAASP, APS, and BPS established their own consulting firm where they can earn a living in this speci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ort psychology consultant service systems in North American, Europe and Oceania to obtain information about how sport scientists could be hired from professional teams as a consultant, range of services provided, consulting fee, consulta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sport psychologists are more interested in academic settings than in applied settings. However, for those trained in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prefer applied settings rather than academic settings, and made significantly higher incomes than sport psychologists. Based o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applied sport psychology is truly interdisciplinary field with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full-time sport psychologists by professional teams are sparse. However, for those trained in sport psychology have the potential to broaden employment opportunities through hiring self.

      • KCI등재

        12주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변영채 ( Young Chae Byun ),이동호 ( Dong Ho Lee ),류호상 ( Ho Sang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댄스스포츠 활동이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기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은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η2 =.952).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이고 예술적인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이 인지적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보다 자아탄력성이 높다는 Lee(200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연구대상자는 다르지만 스포츠 활동참여가 아동들의 자아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Kang, 2008),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 집단이 비참여 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이 높다고 보고한 Byun at al의 연구(2011)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특히, Byun at al(2011)은 활동이 단체운동일 때, 매일 참여할 때, 2시간 이상 참여할 때, 또래와 함께 활동할 때 자아탄력성이 높다고 보고한 바 있다. 댄스스포츠는 예술적 신체활동으로서 노인들이 내적 감정을 표현하고 구성원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며 정서적 안정을 높이는 가운데 자아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에서 장기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은 여성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η2 =.895). 이러한 결과는 걷기, 배드민턴, 게이트볼, 요가, 등산, 자전거 타기와 같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를 많이 할수록 노인들의 정서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Kim & Lee(2011)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생활무용 참여를 통하여 노인들의 정서적 행복감이 증가함을 관찰한 Lee, Park & Chun(2010)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스포츠나 신체활동에 참여한 노인은 비 참여 노인보다 심리적으로 행복감을 더 느끼며, 생활만족도도 더 높다는 보고가 있었다(Lee, 2005). 운동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결국 높아진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 바 있다. Park & Kim(2010)의 연구도 중년여성들의 댄스활동 참여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어 이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능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현저한 정서 반응의 하나는 재미를 수반하는 즐거움이다. 이는 활발한 신체활동으로부터 경험되는 긍정적인 인지적·정서적 상태를 의미하며 신체활동을 통한 기분전환과 정서변화가 운동의 행복감 증진 효과를 설명하는 기전이 될 수 있다(Lim, 2010). Oh & Shin(2008)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신체활동으로 긍정적 정서의 향상, 변화에 적응하는 조절능력의 향상, 자신감의 증가 등으로 연결되어 주관적 행복감이 높아 진다고 기전을 설명한 바 있다. 그 외에도 규칙적 운동은 다양한 이유로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데 운동능력을 향상시켜 자존감을 높이거나 사교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행복감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근육의 이완으로 불안을 감소시키며, 자신의 건강상태, 외모, 성격, 재능 등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건전한 성격발달과 함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Kim & Lee, 2008). 다음으로 장기간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들의 평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것은 다이나믹 시스템의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동적 평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Kim & Choi(2006)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에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택견 품밝기(Lim at al, 2008), 새라밴드운동(Kim at al, 2011), 산림운동(Choi, 2011), 수중운동 및 지상운동(Byun, 2012), 댄스스포츠(Jeong at al, 2008) 등을 적용하여 노인들의 평형성에 긍정적 향상을 관찰한 선행연구들과도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신체활동을 통한 노인들의 평형성 향상은 낙상 예방에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동반되었다. 댄스스포츠는 특성상 균형감각을 많이 요구하는 활동이다. 즉, 댄스스포츠 활동은 다양한 신체적 균형동작이 필요하므로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여성노인들의 유연성과 평형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들의 신체활동은 근력과 심폐 지구력 같은 체력 향상 외에 반사능력과 근신경의 협응 향상 및 유연성과 평형성의 향상을 가져와 심리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Rose, 2003). 노인의 행동 양식은 환경적, 사회적, 심리적 조건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주어진 환경과 조건에 맞는 적절한 댄스스포츠 같은 신체활동을 한다면 스스로의 생활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정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들은 스포츠센터나 지역 문화강좌와 같은 사회적 활동에 참가할 때도 긍정적 심리상태를 경험하므로(Kim, Choi & Kim, 2007) 노인대상의 운동 상담과 프로그램 개발 및 코칭 시에 숙지해야 할 정보로 사료된다. 향후에는 노인들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보다 다양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들의 생리심리적 효과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활동을 적용하여 종속변인들의 변화를 분석한 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2주간의 규칙적 댄스스포츠 활동은 여성노인들의 자아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평형성에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ng-term dance sports activity on ego-resilience, subjective happiness and balance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40 women who attended in a silver school in a medium-sized city. They all were over 64 years old and have not done exercise for past 6 months. Method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n=20) or control group (n=20). The dance sports ac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 of ‘cha-cha’ and ‘jive’, and was done for 12 weeks, 3 times per week, 90 minutes per da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the pre-test data as covariate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α=.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o-resilience [F(1,37)=726.108, p=.000, η2=.952], the subjective happiness [F(1,37)=299.353, p=.000, η2=.895], and the balance[F(1,37)=32.167, p=.000, η2=.738].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long-term dance sports activity have very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and balance for elderly women considering each effect sizes η2.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diverse dance sports programs which are proper for older adult`s physical features.

      • KCI등재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에 미치는 영향

        양명환 ( Myung Hwan Yang ),김덕진 ( Deok Jin Kim ),김정수 ( Jung Su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측정시기에 따라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동아리에 가입한 학생(n=100)과 교양체육을 수강하는 학생(n=100) 총 20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분할구획요인설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12주 간격을 두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스포츠 집단에 관계없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확인적 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외적 동기는 교양체육 집단보다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 교양체육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웰빙 변인 중 쾌락적 즐거움,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은 스포츠동아리 집단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자율성 지지의 환경이 심리적 욕구 만족과 동기 발달 및 심리적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SDT) as a framework,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sport club 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practice period on th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ponents among collegiate students. The sport club student(n=100)and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students(n=100)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s obtained us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vealed that a) need satisfaction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more increased at posttest(12 weeks) than pretest(1 week), b)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of sport club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at posttest than pretest, c) sport club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of sport club students showed lower score at posttest than pretest, d) hedonic pleasure, flow experience, competence and self-realization level of sport club students changed more positively at posttest than pretest. We propose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of autonomy support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스포츠클라이밍 동호인들의 감각추구성향과 기본적 심리욕구 및 스포츠 동기의 관계

        남정훈 ( Jung Hoon Nam ),이인화 ( In Wha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스포츠 클라이밍 동호인들의 감각추구성향과 기본적 심리욕구 및 동기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감각추구성향의 수준에 따른 기본적 심리욕구와 스포츠 동기의 차이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매개분석을 통하여 감각추구성향과 기본적 심리욕구 및 스포츠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감각추구성향의 수준에 따라 기본적 심리욕구와 스포츠 동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스릴모험추구와 경험추구는 자율성에 정적영향을, 스릴모험추구와 탈제지 및 권태민감성은 유능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성에는 경험추구만이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 심리욕구와 스포츠 동기의 관계에서는 자율성과 유능성 및 관계성이 스포츠 동기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및 확인적 동기에는 정적영향을 미치며 무동기에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추구성향과 스포츠 동기의 관계에서는 스릴모험추구와 탈제지 및 권태민감성은 외적동기에 정적영향을, 스릴모험추구와 권태민감성 및 경험추구는 내적동기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동기에는 스릴모험추구와 경험추구가 정적영향을 미치며 무동기에는 탈제지와 권태민감성 및 경험추구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추구성향과 스포츠 동기의 관계에 대하여 기본적 심리욕구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behavior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sport climbing club members. For this,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 motiv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ensation seeking propensity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behavio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 motivation depending on sensation seeking propensity.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nd experience seeking affected self-determination positively whereas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nd disinhibition and boredom susceptibility affected competence positively. But only experience seeking affected relation posi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port motivati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 affected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confirmatory motivation but influenced amotivation nega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propensity and sport motivation,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disinhibition, and boredom suscept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trinsic motivation and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boredom susceptibility, and experience seeking affected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affected confirmatory motivation positively, whereas disinhibition, boredom susceptibility, and experience seeking affected amotivation negatively.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propensity and sport motivation.

      • KCI등재

        스포츠 상황에서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척도 개발과 자기결정이론의 모형 검증

        김덕진 ( Duk Jin Kim ),양명환 ( Myung Hwan Y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3편의 순차적 연구를 통해 대학교 체육수업과 생활체육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척도가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연구모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심리욕구만족 척도의 3요인 구조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타당화 검증단계로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1곳의 대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이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사-재검사 표본으로 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외적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시간 차이에 따른 도구의 안정성도 확보하였다. 연구 2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된 심리욕구만족 척도가 다양한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이론적 가설들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 대인, 단체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자율성 지지와 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욕구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심리욕 구만족은 부모와 친구의 자율성 지지와 동기유형간에 적절히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3은 연구 1과 2의 대학생 표본과는 달리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성인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 심리욕구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욕구만족은 동기와 심리적 웰빙 구인에 정(+)의 직접영향뿐만 아니라 자율성 지지를 경유하여 동기와 심리적 웰빙에 의미 있는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1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a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n Sport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designed to assess the constructs of autonomy need, competence need, and relatedness need in various sports contexts including exercise. I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n=194) and confirmatory (n=218) analyses supported a 15-item solution consisting of 3 factors.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composed of three internally consistent factor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is also supported by correlations with other constructs as postulat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Evidence for extern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temporal stability and exercise style invaria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was found. Additionally, the study 2 examined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which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 sample of 347 participants (male: n=219, female: n=128) from recreational sport club in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l in that perceived autonomy support fosters mor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es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urn, enhanced more self-determined forms of behavioral regulations(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 and decreased more amotivation. The study 3 tested a model of the assumed sequenti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was based on the hypothesized model by Vallerand(1997). The hypothesized mediational role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were also studied. Consequently, basi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direct effect on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exercise and sport contexts contributes to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심리훈련에 관한 운동선수의 인식과 지원방안

        김병준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를 포함한 372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훈련과 시합에서 심리요인의 중요도, 심리적 문제의 경험 실태와 해결 방법, 심리요인의 경기력 공헌도와 조절 능력, 심리훈련에 관한 요구와 희망 등 스포츠심리학의 선수 지원과 관련된 여러 주제를 분석하였다. 이들 주제를 묻는 질문지에 대한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 선수들은 심리훈련으로 대표되는 스포츠심리학의 역할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은 훈련과 시합에서 심리요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고 있었지만 심리훈련에 관한 교육 기회나 투자하는 시간은 극히 낮았다. 자신감과 집중력은 시합에서 공험도에 비해 조절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심리요인으로 밝혀졌다. 선수들은 심리훈련 참여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체계적인 훈련을 원하는 선수도 많았다. 이들은 심리상담과 훈련의 경로, 심리훈련의 효과에 대해서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심리훈련 내용의 개발, 심리훈련의 설계 등 스포츠심리학의 현장 지원 노력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perceived importance of major psychological skills, nature of psychological problems in practice and competition, need for mental skills training among 372 Korean elite athletes. The athlete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skills, psychological problems, and mental skills training. I general, they were extremely supportive of psychological skills in enhancing sporting success. The athletes had limited experiences in learning mental skills training and spent minimal portion of their training time in applying psychological skills during practice. Confidence and concentration were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judg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in success and failure. The athletes reported positive attitude toward sport psychology indicating that they would be interested in receiving mental skills training from sport psychologists. Concerns regarding mental skills training included lack of access to qualified sport psychologists. These findings would help design and implement culture-sensitiv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Korean athletes.

      • KCI등재

        스포츠심리학 연구의 이론적 패러다임 탐색

        유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지난 50여 년간의 스포츠심리학 연구에서 주류를 이룬 이론적 패러다임을 문헌을 통하여 분석 고찰하고 미래 방향을 보색해 보았다. 1950-1960년대에는 일반 심리학의 조류에 따라 개인특성을 강조하는 기질론적 접근이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크게 지배하였으나, 곧바로 상황과 학습을 강조하는 메카니스틱 행동론이 뒤를 따랐다. 특히, S-R 메카니스틱 접근에 의하여 발달된 욕구이론과 사회적 촉진론은 다양한 각성-수행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1970년대 인간의 사고가 행동을 지배한다는 인지-행동적 접근은 스포츠심리학 연구에 응용되었으며, 사회적 요인과 결부하여 개인의 사고와 믿음의 상호 작용적 과정을 이해하려는 사회인지적 접근이 1980-1990대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 내에서 사람간의 생물, 인지,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려는 생태학적 접근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스포츠 행동의 역동성과 복잡성은 전통적 과학의 패러다임에 의해서 이해되기 어렵다. 미래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다양한 문화와 공동체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학문적 지식체들을 통합하여 스포츠 상황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패러다임이 기대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oretical paradigms that consisted of mainstream in sport psychology research during the past 50 years, and explored some theoretical aspects for the future of sport psychology. In 1950-1960s, parallelling to general psychology, the dispositional approach emphasizing person as behavioral mechanism dominated over most sport psychology studies. However, mechanistic behaviorism emphasizing situation and learning immediately followed. Particularly, the drive and social facilitation theory based on Hullian S-R mechanistic approach put forth many theoretical aspects to explain the arousal-performance relationship. In 1970s,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hat individual' though processes would drive behavior gained increasing prominence within sport psychology. Furthermore, the social-cognitive approach became the most dominant theoretical framework in mainstream sport psychology in 1980-1990s. This approach focuses on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as a source of behavioral regulation, emphasizing individual's cognition. Recent literature in sport psychology proposed the ecological meta theory that stressed behavior and person in context, with greater emphasis on the specific sport environment. In conclusion, an integrative vision in sport psychology in the 21C was suggested.

      • KCI등재

        스포츠 품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엄혁주 ( Hyok Ju Eum ),최영준 ( Young Jun Choi ),문익수 ( Ik Soo Mo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품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스포츠품성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스포츠 품성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품성 프로그램을 개발, 제작하는 것이다. 둘째, 앞서 개발된 스포츠품성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스포츠품성 개념 모형은 Lickona(1991)의 이론을 바탕으로 엄혁주(2012)의 연구에서 나타난 9개의 구성요소의 발달에 초점을 두었다. 본 모형에 입각하여 스포츠품성프로그램을 설계·개발하고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에 사용한 스포츠품성 프로그램이 스포츠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품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rt Character program (SCP) appropriate for the higher elementary students; and to test its effects on sport character factors. The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the conceptual reflections Eum`s results about Lickona`s character theory. This SCP was verified by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DDIE, that i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irstly, in the phase of analysis, lear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followed by task analysis. Secondly, in the design stage, objects that were defined on the basis of taskanalysis were explored developed as a teaching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por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media. Thirdly, in the development stage,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The newly designed program was made up of 14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so that it could be carried out after school.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school. Th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N=61) from after schoo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reat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All the measurement tools are as following: Sport character scale, Self-esteem questionnaire, and Emotion control scale were all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sport characters scores. This result proves that the SCP developed in this study has effect on developing children`s character through sports.

      • KCI등재

        스포츠심리검사에 대한 유소년 학생선수의 응답왜곡 탐색

        윤대현 ( Dae-hyun Yun ),박세윤 ( Seyun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9 No.1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심리검사에서 응답왜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응답왜곡은 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과 비의도적, 무의식적 응답왜곡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국내 프로축구팀이 운영하는 유소년 축구클럽 학생선수 92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심리기술관련 교육집단(비의도적, 무의식적 응답왜곡), 심리기술관련 교육+심리기술 결과노출 집단(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으로 구분하였고, 스포츠 심리기술,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정신력, 스포츠수행전략, 스포츠스트레스요인을 측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 Cohen의 d값을 계산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모든 질문지의 응답결과에서 사전측정에 비해 사후측정에서 측정시기에 대한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통제집단은 사전·사후측정에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며, 교육집단과 교육 및 사전검사 결과노출 집단의 사후측정결과는 사전측정에 비해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소년 학생선수의 심리검사에서 교육 혹은 교육 및 사전 심리검사결과 확인 여부에 대한 비의도적, 무의식 응답왜곡 및 의도적, 의식적 응답왜곡이 나타났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identify possibility of faking in self-report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used in physical activity stud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was faking in the sport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youth athlet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3 of youth student athletes at the youth soccer club operated by the Korean professional soccer tea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hich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a group of being educated about sport psychological skill (unintentional), and a group of being educated about sport psychological skill as well as being exposed to result of the pretest (intentional). This study measured that sport psychological skills, athlete’s self-management, mental power,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TOPS), and sports stress.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Cohen’s d. Results: First, all response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order (pre, post) in sport psychological skills, athlete’s self-management, mental power, TOPS. Second, there was barely a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pre-posttest i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barely significant group and order*group effect on several sub-components.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possibilities of faking good tendency in youth athlete when lectured or lectured & recognizes their pretest results.

      • KCI등재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본 무용수의 심리체험 개념구조

        권오정 ( Oh Jung Kwon ),윤영길 ( Young Kil Yun ),이예순 ( Ye Soo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무용수의 심리적 체험을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에서의 긍정적 심리체험을 구조화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무용전공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해 무용 수행시의 심리체험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한 귀납적범주화와, 귀납적범주화 결과의 구조타당도 검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설문에서는 387사례의 원자료가 수집, 36항의 세부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36항의 세부요인은 자기표현, 성취감, 일체감, 유능감, 자기발견, 활력감, 몰입 등 7개의 일반요인으로 범주화 하였다. 세부영역을 기준으로 63항의 예비조사 문항을 개발하여 문항의 삭제와 요인 구조의 확인, 신뢰도 분석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활력(vitality), 유능(competence), 성취(accomplishment), 표현(expression)의 4요인, 16항으로 무용수의 긍정 심리체험은 구조화되었다. 탐색적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확인적요인분석결과, 대부분의 판단지표가 채택 가능한 범위에 있어 이 개념구조 모형은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스포츠심리학과 무용학 연구에서 긍정심리학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search for psychological factor experienced by dancers through dancing, from the aspect of positive psychology, and based upon it, to prove feasibility of the concept structure of positive psychology factor of dance. Thus, this study first collected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d by dancing,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intended for 110 undergraduates majoring in dance,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n performed a professional conference and inductive analysis. As the result of it, 37 items of detailed area and 8 items of general area were deduced, based upon them, this study made 63 items of pre-survey questionnaire and executed a series of pre-survey for correcting and deleting questions, intended for 90 dancers. Questionnaire with 43 questions finally confirm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posed for 257 dancers, in order to analyze exploratory factor.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tally 4 factor s of ability, competence, achievement, and expression, 16 questions were deduced. In order to verify suitability of the structure of these factors, the final questionnaire containing 16 questions was posed for 479 dancers,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s the result of it, the most part of suitability index for four-factor structure (Q=4.044, RMSEA=.080, CFI=.937, TLI=.923)finely corresponded to the acceptable range of model. Consequently, a concept structure of dancer`s positive psychology, proved by this study, demonstrated four-factor structure of ability, competence, achievement, and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