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 연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장서월 ( Zhang Shu Yu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빈도부사란 행동을 어느 정도 자주 하였는지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부사이다. 현재 사용되는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는 빈도부사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빈도부사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쉽게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도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무엇인지 초, 중, 고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세 가지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 of frequency adverb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equency adverbs are adverbs used to indicate how often an action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content on frequency adverbs, an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choosing and writing frequency adverbs, and errors often appear.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ing frequency adverbs, and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e of frequency adverbs was analyzed.In ad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frequency adverbs list presented in the 2017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se.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grades, the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compared to the frequency adverbs presented in the 2017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Study. Finally, three suggestions were presented when teaching Korean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 일반논문 : 한국어교재의 비언어 표현과 문화교육

        김정은 ( Jeong Eun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화 참여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교육 목표이며 이때 요구되는 것은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다. 의사소통은 언어와 비언어 표현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비언어는 문화를 반영하므로 한국어학습자들은 자국의 비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비언어 표현의 차이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표현의 유형과 비언어 표현의 의사소통 유형을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두고 제작한 교재에 비언어표현이 교육내용으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문화 감지도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언어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In language education for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educational purpose is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ere the crucial point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Communication is made up of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Nonverbal expressions reflect culture. Therefore, non-native Korean speakers can fac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Korean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nonverbal expressions of Koreans and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up to this point, most language education centers have offered only educational systems that focus on verbal expression, with barely any education on culture and nonverbal expression.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ypes of nonverbal expression that reflect culture and examines Korean nonverbal expression to show how it differs from that of culture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Using this information, whether these differences between such nonverbal expressions are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part of the syllabus is analyzed. Furthermore, a syllabus inclu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nverbal expression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s are planned and suggested.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능력시험 대화문에 나타난 거절 화행 분석

        최혜민 ( Hye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대화문 중에서 거절의 의사를 표시하는 대화문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토픽에 제시된 거절 대화문을 추출한 후, 거절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시된 상황, 거절 화행 전략, 대화자 간의 사회적 변인의 세 가지의 분석 기준을 통하여 대화문을 분석하였다.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거절을 이끌어내는 유도 화행은 요청, 제공, 제안, 초대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었는데, 요청, 제안 상황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난 반면 제공, 초대 상황은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 있어 거절 발화 장면이 요청과 제안 상황으로 치우쳐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고에서 거절 화행의 분석의 틀로 삼은 이해영(2003)에서 거절 화행 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화행 전략 중 다수의 전략이 전혀사용되고 있지 않은 점을 보아 한국어 능력시험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거절 전략이 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문제를 풀기 위해 제시되는 대화문의 특성상 대화를 통해 대화자 간의 관계가 정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 정확한 사회적 변인을 분석할 수는 없었으나, 관계가 제시된 경우를 살펴볼 때 판매원과 손님 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한국어 능력시험 거절 대화문에는 다양한 대화 상황과 대화자의 관계, 거절 전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자료 중의 하나로,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거절 대화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거절 전략을 간접적으로 학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거절의 상황과 전략, 대화자의 관계가 제시되어야 하겠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dialogues that express the intention to refuse among dialogue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fter extracting dialogues that contain refusals in the TOPIK, the study analyzed dialogues based on three standards of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for the speech act of refusals, and social factors between speak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cts that induce refus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equest, provision, suggestion, and invitation. While the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exhibited high frequencies, the situations of provision and invitation were at visibly low frequencies. In other words, the scenes that prompted refusals in the TOPIK were inclined toward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Moreover, given that many of the strategies for the act of speech proposed by Hae-Yeong Lee(2003) were not used at 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suggest various refusal strate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salesmen and custom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the dialogue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refusal-based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offer a variety of conversational situations,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refusal strategies. The TOPIK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Therefore, a number of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learn refusal strategies in Korean through dialogues exhibited in the TOPIK. Therefore, the TOPIK should be modified to suggest various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 사잇소리 경음화에 대한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의 ( Li Y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므로 여러 방면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특히 한국어의 발음에 있어 표기와 실제 발음의 불일치 현상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큰 장애가 된다. 아무리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해도 음운 변동에 대하여 잘 모르면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하여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교육이 불가결하다고 본다. 하지만 한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다룰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잇소리로 인한 경음화 현상을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제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교육 현장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2장은 이론 배경 지식으로 사잇소리 경음화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은 오류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은 오류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학습용 어휘 등급을 재구성하고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교육 방법과 교육 원리를 제시하면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등급에 따라 각각 효율적인 발음 교육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음 교육 지도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하는 실험도 실시하였다. 사잇소리 현상은 한국인조차도 상당히 어려워하고 혼란을 느끼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 중의 하나이다(이정민, 2012). 왜냐하면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단어라도 그 단어 표면에 'ㅅ'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잇소리로 후행 명사 첫 음절의 평음은 경음으로 변동하는 경우에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의 차이로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Because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they show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the inconsistency between notation and actual pronunciation in Korean is a big obstacle for Chinese learners. Even if you pronounce consonants and vowels correctly, you often do not understand each other with the understanding of phonological chang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in order to pronounce correctly. However, the rul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Korean are complex and cannot be dealt with at onc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ai-sori gyeong-eumhua' and put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In the second part, we analyzed the three types of the 'sai-sori gyeong-eumhua'. In chapter 3, we analyze errors to understand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sai-sori gyeong-eumhua', what kind of errors are caused, and what causes the errors. Section 4 reconstructs the vocabulary f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rror analysis and suggests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When instructing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principle about the 'sai-sori gyeong-eumhua', we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Chinese learners. Final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eaching pronunciation instruction. Quietness is one of the notations and pronunciation methods that are very difficult and confusing even for Koreans (Lee, Jung-min, 2012). This is because even if a word with sai-sori gyeong-eumhua' occurs, it may not appear at the surface 'ㅅ' of the word. Especially, when the first syllable of the trailing noun varies with the pitch of the first syllable, there are many pronunciation erro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s and the pronunciation methods.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동화, 동기, 환경을 중심으로 -

        김수연 ( Kim Soo Ye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4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뷰 대상은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으로 분류하였고 3개의 질문을 통한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학습 기간이 짧을수록 동화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학습 시간이 길수록 동화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 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도구적 동기로 생각하는 학습자의 양상이 보였으며 학습 기간이 짧을수록 통합적 동기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을 자신의 한국어 학습 능력에 대한 자가진단에 있어, 학습 기간이 짧을수록 이애 대한 수단의 부족을 언급하였고 학습 기간이 길수록 자가진단에 대한 인식을 거의 느끼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미루어보아 학습 기간이 짧은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가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을 빈번히 제공하고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learners' speaking through interviews. The interview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period of learning Korean and the specific responses of learner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ques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learning period of learners, the stronger the willingness to assimilate, and the longer the learning time, the lower the degree of awareness of fairy tales. In addition, the longer the Korean learning period, the more learners thought of Korean as instrumental motivation, and the shorter the learning period, the more integrated motivation was examined. Finally, in self-diagnosis of one's Korean language learning ability, the shorter the learning period, the lack of means for this child was mentioned, and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the less aware of self-diagnosis. Judging from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raise the need to frequentl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Korean can be exposed for learners with a short learning period and create various environments for self-diagnosis.

      • 논문 : 문화 ; 한국과 독일의 도시문화재생 사례연구

        오하은 ( Ha Eun Oh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4 한국어와 문화 Vol.16 No.-

        도시재생은 이제 더 이상 개발과 건축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경제적 기능을 아우르고 있다. 도시재생의 개념 안에 포함된 어메니티(amenity) 개념 역시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종합 쾌적성을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써 문화가 오늘날 가지는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럽공동체는 문화적 영역에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주요 문화교류정책 프로그램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은 오늘날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어메니티 개념에 근거해서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 문화적인 생활여건이 충족되는 도시를 만들고 유럽의 특수한 문화적 산물을 개방하며 상호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유럽문화수도의 다양한 사례들 중 독일의 구동독 지역에 속했던 바이마르의 사례를 통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도시재생사업을 보다 자세히 고찰할 수 있다. 독일 통일 후 바이마르는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허물고 다시금 새롭게 짓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을 보수공사 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 갔다. 그 결과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건물의 부분은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할 수 있었고 새롭게 보완된 부분은 현대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바이마르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이벤트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우리나라 부산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산을 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모인 민간단체의 크나큰 노력이 있어왔다. 그들은 ``거리간판 이제는 바꾸자!``라는 글귀가 적힌 어깨띠를 두른 채 거리에서 간판 실태조사 및 모니터링을 하였고 식수 현장을 찾아 녹화 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달맞이 고개에 계수나무와 달맞 이꽃을 심었으며 이 운동이 발전된 형태인 도시녹화운동을 직접 관리·운영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자원봉사자를 끊임없이 양성하였고 ``찾아가는 문화공연`` 을 펼쳤으며 ``대학생 문화자원봉사자 발족식``을 거행하였다. 이렇듯 부산은 시민참여형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결집하였고 지역방송을 통해 홍보 기능을 뒷받침하였다. 부산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다양한 도시들이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의 총체적 모습을 갖추게 된다면 그 도시는 자연스럽게 하나의 관광지가 될 것이고 끊임없이 회자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Urban regener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the rang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now encompasses a wider range of values, and strives to improve th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unctions of the society. Amenities-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that increas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ttractiveness and desirability of the city-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cultural aspects that are specific to the city. Although cultu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less important factor, next to the economics and politics, when reviving a city, it is currently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is an example that followed the concept of building a culture-focused society. Throughout the history, the European Union has considered the cultural area as a major aspect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volved, so too did the interests of people in choosing a location for their home. The interests have shifted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cheap labor to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e newly reborn cities that satisfy these changes have proven that the cultural cities thrive because of synergistic effect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political world. The benefit of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can be explained in more details through the history of Weimar, a city of East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eimar started a new project which proceeded to maintain the whole or parts of the pre-existing buildings to protect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imar. Some parts of the buildings were renovated with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 As a result,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al aspects co-existed and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e buildings and the city of Weimar. In addition, a variety of cultural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held, and thus attracted many tourists and instilled positive recognition in the mind of the citizens of Weimar. Another example of a city that sought to practice the novel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s Busan, a second largest metropolis in South Korea. Many NGOs initiated various campaigns to improve the aesthetic, environmental, education elements underlying the cultural aspects of Busan. Many cities in Korea should striv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residents and attractive for tourists by combining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shifting our interests and changing our priorities, not only can we make the cities in Korea outstanding cultural cities, we may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연구

        타나폰빠리깜신 ( Tanatporn Parikumsi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한 연구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양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변인에 따른 불만스러운 상황을 설정하여 세 집단 간의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화행 유형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 총 90명으로 대상으로 서면 담화 완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사회적 변인인 사적 상황과 공적 상황, 사회적 거리, 권력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이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행 유형 사용 양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 지 아니면 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세 집단 모두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형의 사용 양상 이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사회적 변인에 따른 반응 방식이 모국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불평 화행 실현 양상 대부분은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유형 빈도는 항상 한국인과 태국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만을 표현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 한국인에게 예의를 지키는 선에서 적절하게 불평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으며, 불필요한 갈등 방지하기 위해 한국인이 불평을 할 때 어떤 의도를 함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re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type patterns and analyze them by setting up unsatisfactory situations according to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to see how the complaint speech acts are different when comparing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i native speakers. This study has conducted DCT test of a total of 90 people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th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Thai native speakers, and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social factors such as private and public situations, social distance and power, and see if Thai Korean-language learners are closer to Korean native speakers or Thai native speaker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all three groups were a bit different in their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d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that their response methods according to social factors were affected by their native language, but showed that they use most of their complain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similar to Kore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can see that in many cases it i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complaint speech act patterns for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in between Koreans and Tha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appropriately express their complaints while still being polite to Koreans when they face a situation where one needs to express dissatisfaction, and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have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that what intensions speakers have when Koreans complain.

      •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자들의 한국어 습득·발달에 관한 연구 : 음운, 통사, 어휘, 화법을 중심으로

        이미연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한국어와 문화 Vol.8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자들의 언어 습득·발달 과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의 국가적 위상이 높아지고,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가 이미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해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습득 문제이다.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자들의 언어 습득·발달에서 겪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언어 구사 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찾아 그에 맞는 적절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을 뿐, 언어 습득·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고, 간혹 방안을 제시했다 하더라도 그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나 국어학적 고찰을 통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자들과 환경적 요인이 서로 다른 일반가정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그들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음운·통사·어휘·화법 습득 과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휘와 단순 화법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다문화가정 학습자들이 일반가정 학습자들에 비해서 언어 발달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linguistic lear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learners. These days,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s gradually increasing owing to higher national phase of the nation and more international marriage. Professionals say that the Government should take measures against rapid changes into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Korean society.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S m띠ti-cultural family children's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To overcome problem tha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learners meet at linguistic learning and development, researchers are demanded to examine the learners' linguistic command and to find out problems and to prepare for suitable education programs. However, most of studies pointed out problems and could not suggest concrete methods for examination of linguistic learning and development Even if some of studies suggested methods, they rarely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the subject was not onl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learners and common family learners having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and this study examined vocal sounds, syntax, vocabulary and narration learning of various kinds of phenomenon at the learners' linguistic development process by using many kinds of inspection tools. Multi-cultural family learners were late at linguistic development more than common family learners were at all of other areas than vocabulary and simple narration.

      •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가 한국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FL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두정 ( Du Ji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 연구에서는 주로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KFL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3학년 대학생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한 ‘TV동화-행복한 세상’의 내용을 실험 자료로 사용하여 실험집단 학생에게 제공된 듣기 파일들을 듣고 문제를 풀어본 후 정답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연습을 시켰다. 통제집단 학생들에게 매주마다 실험집단과 같은 실험 내용을 제공하며, 듣기 파일을 듣고 정답 선택 여부만 확인하는 문제를 풀어보는 듣기 연습을 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실시하여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이 중국 내 한국어학과 대학생의 듣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KFL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듣기 능력 상위자보다 하위자에게 듣기 능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을 밝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는 주로 원어민 교사의 교수를 받을 기회가 적은 KFL 학습자에게 수업시간 외의 효과적인 듣기 학습 방법으로 제언한다. 그리고 자기주도식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은 한국어 학습자 중에 특히 듣기 하위자가 한국어 듣기 학습할 때 인지적 능력의 훈련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ffects on listening comprehension by ‘Self-oral read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KFL Chinese learners were the research subjects. three hypotheses are set up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result of listening comprehension through ‘Self-oral reading’ practice.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Self-oral reading’ metho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the learner's Korean listen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learners with low Korean listening level in this method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those with higher listening levels. And the ‘Self-oral reading’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to “grasping the logic” and “understanding the attitude of the speaker”. In particular, the learners with lower levels of listening are more effective in ‘mastering the overall content’, ‘understanding reasons, basis, purpose’, and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mood of the speaker’.

      • 논문 : 국어학 ;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주제별 연구사를 중심으로

        김수미 ( Su Mi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3 No.-

        본고에서는 최근 점점 늘어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교육의 성과를 연구 주제별로 검토해봄으로써 현재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짚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비즈니스 한국어는 직업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서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분류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주로 검토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제별로 연구의 편차가 큰 편이다. 둘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역시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의 본질을 극대화해야 한다. 다섯 째, 교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앞으로는 기존의 한국어교육학에서 다루었던 연구 주제도 물론 비교 검토의 차원에서 다뤄야하겠지만 연구 주제의 다양성과, 연구 방법의 다각화를 적극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고는 비록 한국어교육학 연구 검토를 참고하고 이를 기준으로 연구사를 검토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각이 다양해질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pics by reviewing the performance of the Business Korean education. Business Korean is a kind of Korean for specific purpose. The focus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opics on history and to se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earch topic up to now. Second, studies are needed in a variety of fields in the future. Third,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in Business Korean education. Fourth, the essence of the special-purpose Korean education should be maximized. Fifth,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is required. We should study a variety of subjects. An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will be embracing. This study may be helpful so that you can have a variety of perspectives about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