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한국어교재의 비언어 표현과 문화교육

        김정은 ( Jeong Eun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화 참여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교육 목표이며 이때 요구되는 것은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다. 의사소통은 언어와 비언어 표현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비언어는 문화를 반영하므로 한국어학습자들은 자국의 비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비언어 표현의 차이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표현의 유형과 비언어 표현의 의사소통 유형을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두고 제작한 교재에 비언어표현이 교육내용으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문화 감지도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언어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In language education for non-native Korean speakers, the educational purpose is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ere the crucial point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Communication is made up of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Nonverbal expressions reflect culture. Therefore, non-native Korean speakers can fac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Korean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nonverbal expressions of Koreans and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up to this point, most language education centers have offered only educational systems that focus on verbal expression, with barely any education on culture and nonverbal expression.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ypes of nonverbal expression that reflect culture and examines Korean nonverbal expression to show how it differs from that of culture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Using this information, whether these differences between such nonverbal expressions are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part of the syllabus is analyzed. Furthermore, a syllabus inclu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nverbal expressions of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s are planned and suggested.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 정의적 변인을 중심으로 -

        이바른 ( Bareun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3 No.-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관한 연구는 언어권별 화행 전략 비교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여기에서 더 나아가 화행을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이 사과의 상황에서 느끼는 사과의 의무감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과 외국어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의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화행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 변인인 사회적 지위, 친소 관계, 부담의 정도, 공사 관계에 따라 다양한 사과의 상황을 구성한 담화 완성 테스트를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시하고, 각 문항에 사과의 의무감을 표시하게 하여 두 집단의 사과 의무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본고의 전략 분석 기준에 따라 사과 화행을 분석한 후 한국인들의 담화 완성 테스트의 응답을 기준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을 점수화하였다. 이렇게 점수화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과 AMTB 설문 결과를 피어슨(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화행과 정의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에서 통합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중 어떠한 동기가 화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AMTB 결과를 통해 통합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와 도구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의 화행 평균 점수를 T-검정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Until now, the researches on the speech acts in the Korean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speech act strategies in the different language blocs and the education metho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 speech a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felt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s in the apology contex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pology speech acts and affective variables which play important role in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peech acts ability. Therefore, DCT(Discourse-Completion Test), which consisted of various apology situations with sociolinguistic variables of social status,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degree of burden, was conducted to Korean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e difference of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felt by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was examined by marking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in each question. After analyzing the apology speech acts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y analysis standard of this study, Chinese Korean learners' apology speech acts were scored based on Koreans' responses in DCT. The correlation was examined between speech acts and affective variables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Chinese Korean learners' speech acts scores and AMTB(Attitude Motivation Test Battery) questionnaire results. T-test for speech acts mean scores of leaners with high integrated motivation or high instrumental motiv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either integrated motivation or instrumental motivation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apology speech ac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영어 말하기 교재 비교 연구 -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박은민 ( Eun Min Park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4 한국어와 문화 Vol.15 No.-

        외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강조로 인해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따른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재의 분포를 살펴보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 교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언어기능별 개별 교재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언어 기능별 교재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재의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언어 기능 중 말하기 기능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말하기 교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교육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말하기 학습이 가능한 말하기 활동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한국어와 영어 말하기 교재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각각의 비교·분석 항목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보완해야 할 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어 말하기 교재에서 제시되는 말하기 활동은 다양성과 창의성에서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말하기 활동의 집단 크기에 대한 제시가 없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단계를 고려하지 않아 체계적이지 못한 말하기 활동을 다루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대안이 말하기 교재의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한 방편이라고 보고,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어 말하기 교재 및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이론과 실제가 결합된 말하기 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어 말하기 교재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말하기 교재 개발과 교수법이 연구되어지길 바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한계점은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부족한 현황에 의해서 단계별로 다른 교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점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단계별 말하기 교재의 주제 및 기능과 서로 연관시켜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연구되어지길 바란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speaking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accordingly textbook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distribution of the up-to-d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textbooks have been focused on integrated textbook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extbooks by linguistic func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demand for the textbooks by linguistic function is currently increased an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such textbooks is persuasive. Accordingly, this paper focuses the speaking function out of the linguistic functions and studied the Korean speaking textbooks focused on speak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n and English, the problems and supplements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 are as follows. The speaking activities suggested by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n were insufficient very much in diversity and creativity. Moreover, there were limits in that it did not suggest a group size of the speaking activity and due to no consideration for stages, its speaking activity was not systematic. This paper prepared for a plan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analysis result. These are considered to be a method to enhance the conversation ability of the speaking textbook and hopefully, the problems of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n and its education will be recognized and speaking textbooks that combine the theory and the reality will be developed. Furthermore, based on the learner``s demand analysis about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n, it is hoped that textbooks desirable to learners will be developed and teaching methods will be studied. The limits of this study were that each different textbook could not help being selected by step due to the insufficient status of the textbooks for speaking Korean. It is hoped that the future studies will examine how to connect and compose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opics of textbooks for speaking by stage.

      •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교육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우상상 ( Xiangxiang Yu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6 한국어와 문화 Vol.19 No.-

        이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중 간접 칭찬 화행의 특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점 및 차이점을 검토하며 학습자가 한국어 간접 칭찬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및 연구 내용을 밝히고, 연구의미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교육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칭찬 화행에 대한 기본 개념, 주제 및 유형을 밝히고 간접 칭찬 화행과 관련된 의사소통, 화행 이론적 같은 이론적 배경 지식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 토크쇼에 따른 한국어와 중국어 간접 칭찬 화행 비교를 통해 간접 칭찬 화행의 언어적과 문화적 차이점, 유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비교보다는 한국 원어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유형이 무엇인지, 문화적 특성을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목적을 둔다. 그리고 예비조사과 본 조사를 거치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로써 한·중 원어민들이 실생활 속에 어떤 간접 칭찬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사회적 변인에 따른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중 간접 칭찬 화행의 차이점을 찾아난 후에 4장에서는 간접 칭찬 화행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 간접 칭찬 화행에 대한 학습 내용을 구축하기 위해 3장의 결과에 나타난 한·중 차이점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내용을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만 중점을 두고 학습자의 수준을 맞춰 칭찬 주제별로 간접 칭찬 목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모든 연구들을 정리함으로써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The indirect praise behavior is frequently used in Chinese and Korean daily life, although both China and South Korea belong to the eastern countries, the differences of some cultural factors make the language habits of the two countries have some differences. Obtained after a prior investigation of this thesis: Chinese people in daily life more when using direct praise. So on this piece of paper, through China and Korea TV program and comparison of daily use indirect praise words,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aking Chinese students can use according to each other`s identity and other factors and accurate indirect praise, so as to promote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 put forward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is paper, the meaning of writing, and "why the Chinese students to study? Why the study of indirect praise?" Reasons for writing.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sort out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line of credit, which is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indirect praise in this paper. And lists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indirect credit line, and to explore their results and find out the deficiency. I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talk shows and variety shows indirect praise to find out the manifestation of China and South Korea people often use indirect praise, and indirect praise words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ontrast imaging of indirect praise, through a series of questionnair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result to find out praise scenarios are frequently used in daily conversations in China and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types, and each social factors frequently used indirect praise.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and South Korea`s indirect praise, based on differences . In the fourth chapte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line with China`s students.In the fourth chapter, according to the third chapter of the comparison results produced in line with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the line of education content, content will be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level of students to develop. The fifth chapter will make a summary of the whole paper.In this paper, the study of Korean Chinese students as the object, through a series of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omparison, but due to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is not on the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education content,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analyze the textbook problems, and lack of regret of the content of education, which is the lack of points. Bu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ongoing research,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ill provide to the learners more appropriate information, help to learn Korean.

      • 광고를 활용한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 방안

        최현실 ( Choi Hyunsil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3 No.-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교재 『표준 한국어』의 주제를 분석하고 표준한국어와 연계하여 광고를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표준 한국어』교재 총 6권의 주제 목록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광고 선정 기준을 제시한다.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광고 목록을 제안하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표준 한국어』에 광고를 접목해 문화 교육을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표준 한국어』가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알아 볼 것이다. 앞서, 선정된 광고 목록에서 『표준 한국어』교재와 연계할 수 있는 광고를 예로 들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수업을 통해 광고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효과를 드러내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that analyzed 『Standard Korean』Textbook for Elemen tary·Secondary Student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suggests some study plan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Now a days,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crease so sharply in Korea. So, 『Standard Korean』Textbook was issu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2. First, 『Standard Korean』Textbook(6 volumes) classified[categorized] the books by topics and suggested the selection of well-suited ad for 『Standard Korean』Textbook. And then, There is a demonstrable need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with 『Standard Korean』Textbook based on Advertisements.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Standard Korean』Textbook is used in the actu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criteria of selecting ad for Elementary·Secondary Student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s with 『Standard Korean』 by using ad. Furthermore, This study has a class on the basi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s. And then, This study looks into teacher and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conduct their interview. As a result, they are all satisfied with this class.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ed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s with 『Standard Korean』 by using ad.

      •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오류 양상

        바상자브 바야스갈랑 ( BAASANJAV BAYASGALA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몽골인 학습자의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오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영향을 주는 변인인 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라 학습자의 발음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양상에 대해 알아볼 때 45명을 대상으로 발음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발음 산출 실험 자료는 비음화와 유음화 단어가 배치된 문장 단위로 구성되었다. 실험 자료를 분석할 때 한국어 화자의 청취테스트 또는 음성학적인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숙달도와 거주기간에 따른 발음 차이를 분산분석(ANOVA)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할 때 비음화와 유음화의 오류 환경과 오류 양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비음화 오류 환경의 경우, /ㄴ/ 첨가 후 비음화 > 단어 경계에서의 비음화 > 자음군단순화 후 비음화 > 장애음 뒤 비음화 > 평음의 비음화 > 유음의 비음화 순위로 나타났다. 유음화 오류 환경의 경우, 자음군단순화 후 유음화 > /ㄴ/ 첨사 후 유음화 > 순행적 유음화 > 단어 경계에서의 유음화 > 역행적 유음화 순위로 나타났다. 비음화와 유음화의 발음 오류 양상은 규칙 미적용, 탈락, 불완전적용, 대치, /ㄴ/ 미첨가 등 5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오류 양상 중 규칙을 미적용하여 표기 그대로 발음하는 오류가 가장 많았다. 규칙 미적용 오류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음절구조 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오류로 보았다. 다음으로 탈락과 불완전 적용 또는 /ㄴ/ 미첨가에 관한 오류가 많았으며, 이들 오류는 한국어 음운현상의 복잡성에서 나타난 오류 또는 학습자의 규칙 이해 부족에 관련된 오류로 보았다. 대치 오류는 다른 오류 양상보다 비교적 적었으나 음절 말 /ㄴ/과 /ㅇ/에 관한 오류로 한국어와 몽골어의 음소 차이에 관련된 것이다. 몽골인 학습자의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양상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거주기간에 따라 비음화 발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유음화 발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고는 몽골인 학습자의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양상을 한국어 화자의 청취 테스트 또는 음성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것과 학습자의 발음에 영향을 주는 숙달도와 거주기간 변인에 대해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본고는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교육에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es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pronunciation errors in Mongolian learners who living in Korea. Also, will look into pronunciation aspects according to proficiency and residence period. A pronunci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Mongolian 45 learners. When analyzing the experimental data, the Korean speaker's listening test and Praat phonetic analysis programme was used. Also, Mongolian learners proficiency and residence period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 aspects of errors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pronunciations were found to be in five types, rule not applied, dropped out, incompletely applied, replaced, and /ㄴ(n)/ was not added. An aspects of errors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pronunciations were found to be in five types, rule not applied, dropped out, incompletely applied, replaced, and /ㄴ(n)/ was not added. The most common error was not applying the rules. The error of not applying the rule was regarded as an error caused by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s. Next, there were many errors regarding dropout, incomplete application, or non-addition of /ㄴ(n)/. These errors were viewed as errors in the complexity of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and related to learners' lack of understanding of rules. The replaced errors were relatively few compared to other errors, it is related to the syllable endings /ㄴ(n)/ and /ㅇ(ŋ)/ were related to the phonem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pronunciation aspect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of Mongolian learn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both pronunciation. However,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asalization pronunciation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teralization pronunciation was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education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pronunciation for Mongolian learners.

      • 사잇소리 경음화에 대한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의 ( Li Y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므로 여러 방면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특히 한국어의 발음에 있어 표기와 실제 발음의 불일치 현상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큰 장애가 된다. 아무리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해도 음운 변동에 대하여 잘 모르면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하여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교육이 불가결하다고 본다. 하지만 한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다룰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잇소리로 인한 경음화 현상을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제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교육 현장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2장은 이론 배경 지식으로 사잇소리 경음화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은 오류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은 오류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학습용 어휘 등급을 재구성하고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교육 방법과 교육 원리를 제시하면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등급에 따라 각각 효율적인 발음 교육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음 교육 지도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하는 실험도 실시하였다. 사잇소리 현상은 한국인조차도 상당히 어려워하고 혼란을 느끼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 중의 하나이다(이정민, 2012). 왜냐하면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단어라도 그 단어 표면에 'ㅅ'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잇소리로 후행 명사 첫 음절의 평음은 경음으로 변동하는 경우에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의 차이로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Because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they show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the inconsistency between notation and actual pronunciation in Korean is a big obstacle for Chinese learners. Even if you pronounce consonants and vowels correctly, you often do not understand each other with the understanding of phonological chang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in order to pronounce correctly. However, the rul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Korean are complex and cannot be dealt with at onc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ai-sori gyeong-eumhua' and put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In the second part, we analyzed the three types of the 'sai-sori gyeong-eumhua'. In chapter 3, we analyze errors to understand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sai-sori gyeong-eumhua', what kind of errors are caused, and what causes the errors. Section 4 reconstructs the vocabulary f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rror analysis and suggests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When instructing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principle about the 'sai-sori gyeong-eumhua', we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Chinese learners. Final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eaching pronunciation instruction. Quietness is one of the notations and pronunciation methods that are very difficult and confusing even for Koreans (Lee, Jung-min, 2012). This is because even if a word with sai-sori gyeong-eumhua' occurs, it may not appear at the surface 'ㅅ' of the word. Especially, when the first syllable of the trailing noun varies with the pitch of the first syllable, there are many pronunciation erro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s and the pronunciation methods.

      • A Study of Korean Learners Language Learning Style

        김경령 ( Kyung Ryung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7 No.-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 양식의 양상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고 있는 47명의 외국인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를 하기 위해 높은 신뢰도와 인지도를 인정받은 다양한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였다(Reid, 1987; Willing, 1988; Torrance, 1980). 테스트를 통해 발견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언어문화권별로 매우 다양한 학습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흥미로운 점은 한국어에 능숙한 높은 단계의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를 구분하여 재분석을 한 결과 언어 능숙도에 따른 학습 양식 선호도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특히 외국인 학습자의 읽기 실력에서 장독립형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학습 양식을 선호하고 활용하는 학습자일수록 언어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특정한 부분의 뇌반구 사용에 훨씬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 중심의 특정 교수법만을 활용하여 언어 교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 전략이나 학습 양식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교육 현장에 반영해야 할 시기가 왔다. 한국어 교재에도 다양한 학습 양식과 전략 사용이 반영된 내용들을 포함시켜 언어 교수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learners` cognitive learning styles. Forty-seven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udying under various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foreign learners` various language learning styles, participants took part in various tests by (Reid, 1987; Willing, 1988; Torrance, 1980). The findings are described below. First, foreign learners preferred various learning styles and these tendencies appear throughout the overall testing. Second, there exists differences in preferred learning styles between proficient and non-proficient learners. Third, there exists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yles and reading test scores. Other variables did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s. The implication for this study is that Korean teachers should understand and clearly cognize learners` various learning styles. Learners` learning styles seem to change when language levels change.

      •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용 읽기텍스트 구성 방안

        임다정 ( Lim Da-j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7 No.-

        본 연구는 가치문화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인 읽기텍스트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재 내 읽기텍스트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전달하는 일차적인 수업자료이다. 문화라는 것은 그 내용과 범위가 무척 방대하여 유형이 다양하게 나누어지는데, 그에 따라 교재 안에서의 문화 제시도 차별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읽기텍스트 구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학습자의 문화적응에 도움이 되는 한국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읽기텍스트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읽기텍스트 개발에 앞서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가치문화 내용이 통합적인 접근에 따라 단계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위하여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읽기텍스트는 마달레나 드 카를로(Maddallena De Carlo)가 제시한 상호문화 읽기 텍스트의 특징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관념적 문화와 행동문화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문화 내용을 명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설명 담화를 포함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하여 외국인 화자를 주요 등장인물로 설정하였다. 읽기텍스트를 개발한 후에는 이것이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용 텍스트와 평가지를 제작하여 가치문화 이해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후에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구상한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읽기텍스트는 중급 학습자들의 가치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 동기 및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문화 읽기텍스트가 목표 문화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다면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 구성 방식은 가치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능력까지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construct texts in presenting Korean value. Texts in Korean textbooks, is the primary teaching material that presents Korean culture to learners. Culture is so vast in content and scope. Hence, it can divide into various types and cultural text in textbooks should differentiate. However, no specific discussions are taking place currently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intends to form a text for the education of Korean value culture, which will help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adaptation. Value culture mainly deals with in the advanced level because of superficial and philosophical content of it. However, this set-up learning step overlooks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refore requires downward adjustment of the learning step of value culture. Also, because value culture is individual and subjective, it is not desirable to organize contents with objectivity like existing texts.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use narratives. Narrative consists of relatively simple linguistic elements, which can easily convey value culture, and can state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voice of a particular person, there-by ensuring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of val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tilize narratives in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efore developing the text in earnest, bas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and student surveys. Through this, it was argued that the contents of value culture need to be organized in stages according to an integrated approach, and that texts using narratives centered on stories should be formed for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of this study was organized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ultural text presented by Maddallena De Carlo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n explanation statement was included to present the ideological culture and behavioral culture in an integrated manner and expressly convey the cultural content, and considering the affective domain. To verify how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 affected on learners, the text and evaluation paper for evaluation produced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after the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text using narrative for value culture education envision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value culture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in inducing cultural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Mainly, these results show, if cultural text develo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t can form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s is very positive and it not only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value culture, but can also enhance inter-cultural capabilities.

      • 논문 : 문화 ; 한국과 독일의 도시문화재생 사례연구

        오하은 ( Ha Eun Oh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4 한국어와 문화 Vol.16 No.-

        도시재생은 이제 더 이상 개발과 건축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경제적 기능을 아우르고 있다. 도시재생의 개념 안에 포함된 어메니티(amenity) 개념 역시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종합 쾌적성을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써 문화가 오늘날 가지는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럽공동체는 문화적 영역에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주요 문화교류정책 프로그램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은 오늘날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어메니티 개념에 근거해서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 문화적인 생활여건이 충족되는 도시를 만들고 유럽의 특수한 문화적 산물을 개방하며 상호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유럽문화수도의 다양한 사례들 중 독일의 구동독 지역에 속했던 바이마르의 사례를 통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도시재생사업을 보다 자세히 고찰할 수 있다. 독일 통일 후 바이마르는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허물고 다시금 새롭게 짓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을 보수공사 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 갔다. 그 결과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건물의 부분은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할 수 있었고 새롭게 보완된 부분은 현대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바이마르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이벤트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우리나라 부산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산을 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모인 민간단체의 크나큰 노력이 있어왔다. 그들은 ``거리간판 이제는 바꾸자!``라는 글귀가 적힌 어깨띠를 두른 채 거리에서 간판 실태조사 및 모니터링을 하였고 식수 현장을 찾아 녹화 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달맞이 고개에 계수나무와 달맞 이꽃을 심었으며 이 운동이 발전된 형태인 도시녹화운동을 직접 관리·운영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자원봉사자를 끊임없이 양성하였고 ``찾아가는 문화공연`` 을 펼쳤으며 ``대학생 문화자원봉사자 발족식``을 거행하였다. 이렇듯 부산은 시민참여형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결집하였고 지역방송을 통해 홍보 기능을 뒷받침하였다. 부산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다양한 도시들이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의 총체적 모습을 갖추게 된다면 그 도시는 자연스럽게 하나의 관광지가 될 것이고 끊임없이 회자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Urban regener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the rang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now encompasses a wider range of values, and strives to improve th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unctions of the society. Amenities-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that increas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ttractiveness and desirability of the city-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cultural aspects that are specific to the city. Although cultu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less important factor, next to the economics and politics, when reviving a city, it is currently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is an example that followed the concept of building a culture-focused society. Throughout the history, the European Union has considered the cultural area as a major aspect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volved, so too did the interests of people in choosing a location for their home. The interests have shifted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cheap labor to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e newly reborn cities that satisfy these changes have proven that the cultural cities thrive because of synergistic effect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political world. The benefit of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can be explained in more details through the history of Weimar, a city of East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eimar started a new project which proceeded to maintain the whole or parts of the pre-existing buildings to protect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imar. Some parts of the buildings were renovated with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 As a result,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al aspects co-existed and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e buildings and the city of Weimar. In addition, a variety of cultural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held, and thus attracted many tourists and instilled positive recognition in the mind of the citizens of Weimar. Another example of a city that sought to practice the novel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s Busan, a second largest metropolis in South Korea. Many NGOs initiated various campaigns to improve the aesthetic, environmental, education elements underlying the cultural aspects of Busan. Many cities in Korea should striv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residents and attractive for tourists by combining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shifting our interests and changing our priorities, not only can we make the cities in Korea outstanding cultural cities, we may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