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기초신학 관점에서 바라본 정하상의 『상재상서』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9 이성과 신앙 Vol.67 No.-

        본고에서는 정하상 성인의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 담겨 있는 고유한 신학적 전망을 도출함으로써, 이 작품이 단순히 ‘보유론적 호교론서’를 넘어 그리스도 신앙의 원리인 ‘신앙의 이해’ 곧 믿는 바를 이해하려는 탐구의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이를 통해 정하상 성인의 순교 행위가 내세에 대한 염세주의적 추종이나 비이성적 교리와 윤리 강령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 아니라, 신앙의 인식과 행위가 당시 사회, 문화적 통념과 근본적으로 갖게 된 갈등에서 비롯된 귀결이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현대 기초신학의 역사와 과제를 고찰함으로써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 전망에 위치시키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으로 분석한다. 먼저 『상재상서』 전체를 ‘신앙의 이해’의 역동적 움직임 안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책에서 ‘자연적 신 인식’과 ‘신앙의 신 인식’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신앙 행위가 순교로 이어지게끔 했던 천주교의 초월적 인격신과 유교의 상제 사이의 근원적인 차이점에 대한 인식이 『상재상서』 안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핀다. 결론에서는 한국적 기초신학의 기틀을 놓은 『상재상서』가 오늘날 우리에게 남겨주는 과제에 대해 숙고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상재상서』는 당시 한역서학서와 서양의 호교론서의 영향을 반영하면서도, 그들의 한계를 넘어 당시 신앙인의 고유한 신앙 인식의 방법과 내용, 실천까지도 제시하고 있으며, 문화, 종교적 요소를 연결시켜 신앙 진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그리스도교 교의사 뿐 아니라 한국의 사상사 안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기초신학적 저술로 평가할 수 있다. Nous voudrions analyser, dans cet article, le Sangjaesangsuh de Paul Chong Ha-sang, du pont de vue de la théologie fondamentale d’aujourd’hui. En dégageant la perspective proprement théologique de cette œuvre, l’article entend montrer que celle-ci est l’aboutissement d’un effort pour comprendre ce que l’Eglise croit, relevant du mouvement de l’intellectus fidei, au lieu de la considérer comme un simple livre apologétique complétant le confucianisme par le christianisme. En effet, nous voulons montrer par là que le martyre de Saint Paul Chong, loin d’être une simple poursuite misanthropique de la vie de l’au-delà ni de la suite aveuglée des vérités et des préceptes moraux irrationnels, est le résultat du conflit fondamental entre la foi chrétienne et l’opinion commune socio- culturelle d’alors. Dans la première partie, l’article analyse le Sangjaesangsuh du point de vue de la théologie fondamentale. D’abord, il situe cette œuvre toute entière dans le mouvement dynamique de l’intellectus fidei. Ensuite, il manifeste comment s’y articulent la connaissance naturelle de Dieu et la connaissance de Dieu dans la foi. Enfin, il décrit comment s’y reflète la conscience de la différence fondamentale entre le Dieu personnelle du catholicisme et l’Être suprême du confucianisme. L’article se termine en réfléchissant sur la tâche que laisse le Sangjaesangsuh pour nous aujourd’hui. Le Sangjaesangsuh, tout en étant influencé par certains livres catholiques d’alors traduits en chinois et par des œuvres apologétiques de l’Occident, dépasse clairement leurs limites, présente le moyen, le contenu et la pratique de la connaissance de foi des chrétiens d’alors, ayant pour but d’expliquer la vérité de la foi en lien avec des éléments culturels et religieux de cette époque. Par cela, nous pouvons estimer cette œuvre comme un ouvrage de théologie fondamentale à proprement parler, ayant une importance particulière non seulement dans l’histoire du dogme chrétien mais aussi dans l’histoire de la pensé de notre pays.

      • ʻ성장하는 신앙ʼ의 축소판, 유아 세례 -H. 덴징거의 신앙편람(Enchiridion symbolorum definitionum et declarationum de rebus fidei et morum)을 중심으로

        박현창(Park, Hyunch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0 이성과 신앙 Vol.45 No.-

        교회의 성사인 세례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을 가시화시킨다. 세례는 하느님 사랑에 대한 수락이며 사람들과의 화해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리스도교의 중요한 몫 가운데 하나는 전통적으로 어린이 세례, 곧 유아 세례를 거행하는 일이다. 유아 세례는 한 인간이 인생의 첫 걸음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로부터 주어진 선물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유아들이 아직 스스로 신앙을 고백할 수 없다는 사실은 교회가 그들에게 이 성사를 베푸는 것을 방해한다는 뜻이 결코 아니다. 왜냐하면 교회는 실제로 교회의 신앙 안에서 그들에게 세례를 베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부모, 대부모, 신앙 공동체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신앙을 고백하고 어린 자녀를 위해 그리스도교다운 양육을 약속한다. 이 세례는 인간의 일생 동안 유효하다. 유아 세례를 받은 이들이 교회 안에서 성장하여 견진 때에 이르러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자발적인 신앙고백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세례를 재확인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이 성사는 하느님의 백성에 입적하는 것이요 자기 자신의 구원의 관문이다. 따라서 어린아이에게서 세례 받을 권리를 배제시켜서는 안 된다. 구체적으로 어린이 세례에 관한 성사사목의 실천은 두 가지 중대한 원칙에 의해서 결정된다(유아 세례 훈령, 제28항 참조). 첫째, 구원에 필요한 세례는 하느님이 우리에게 먼저 보여주신 사랑의 표지이며 도구이다. 그 사랑은 우리를 원죄에서 해방시키고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케 한다. 따라서 본래 어린이들에게 대한 이 축복의 선물을 지연시켜서는 안 된다. 둘째, 성사의 완전하고 참된 의미를 성취하기 위하여 세례 때 받은 선물이 신앙과 그리스도교 생활에 대한 참다운 교육으로 성장할 수 있는 보증이 있어야 한다. 비록 그리스도교 공동체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신할 수 있다 할지라도, 이런 보증은 일반적으로 부모나 가까운 친척이 해야 한다. 특별히 젊은 세대의 부모들은 자녀에게서 신앙이 메마르지 않도록 함께 삶을 투신하는 것이다. 부모로서의 과제란 바로 그들의 자녀를 하느님과 함께 하는 여정에 참여하도록 동반자적 여정을 걷는 일이다. 이처럼 가톨릭 교회에서 각 사람이 받는 세례는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교육을 전제로 한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그들의 양육이 보증된 것으로 인정될 때야 비로소 ‘교회의 신앙’으로 세례를 받는 것이다. Die Taufe als Sakrament der Kirche macht die überfließende Liebe des dreieinigen Gottes sichtbar. Sie ist Zusage der Liebe Gottes und Zeichen der Versöhnung mit den Menschen. Traditionell praktiziert der größte Teil des Christentums die Kindertaufe, d.h. Säuglingstaufe. Getauft werden kann man zu jeder Lebenszeit. Dass die Kinder ihren Glauben noch nicht von sich aus bekennen können, hindert keineswegs, dass die Kirche ihnen dieses Sakrament spendet, weil diese sie ja in Wirklichkeit ih ihrem eigenen Glauben tauft. Hierbei bekennen Eltern, Taufpaten bwz. Glaubensgmeinschaft den Glauben an Jesus Christus und versprechen eine christliche Erziehung des Kindes. In der Kindertaufe wird jedoch besonders eindrücklich, dass die Taufe ein Geschenk von Gott ist, das sich ein Mensch auf dem ersten Weg des Lebens machen kann. Die Taufe gilt ein Leben lang. In der Kirche sollen die als Kinder Getauften ihre Taufe in der Konfirmation selbst bestätigen, indem sie ein Bekenntnis zu Jesus Christus ablegen. Für die Kinder muss dieses Sakrament als Eintritt in das Volk Gottes und Tor zum eigenen Heil gelten. Deshlab darf Kindern die Taufe nicht vorenthalten werden. Die Sakramentpastoral in bezug auf die Taufe kleiner Kinder ist konkret an zwei Prinzipien auszurichten(vgl. Pastoral actio, Art. 28). Erstens, die zum Heil notwendige Taufe ist Zeichen und Werkzeug der zuvorkommenden Liebe Gottes, der von der Ursünde befreit und Anteil am göttlichen Leben verleiht. Aufgrund seiner selbst ist das Geschenk dieser Güter für die kleinen Kinder nicht hinauszuschieben. Zweitens, es ist zu gewährleisten, dass dieses Geschenk durch eine echte Erziehung im Glauben und zum christlichen Lebens so wachsen kann, dass das Sakrament seine ganze Wahrheit erlangt. Diese Gewähr wird in der Regel von den Eltern oder Verwandten gleistet, auch wenn sie in der christlichen Gemeinschaft auf vielerlei Weisen ergänzt werden kann. Besonders tragen die junden Eltern durch ihr eigenes Leben dazu bei, dass der Glaube im Kind nicht zerstört wird. Ihre Aufgabe ist es, das Kind auf seinem Weg mit Gott zu begleiten. Für die katholische Kirche setzt jede Taufe den christlichen Glauben und eine echte Erziehung voraus. Kleine Kinder werden im ‘Glauben der Kirche’ getauft, wenn ihre Erziehung im christlichen Glauben als gewährleistet anzunehmen ist.

      • ‘교회의 희생’으로서의 성찬례와 그리스도인의 삶: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신학, ‘자유의 드라마’를 통한 성사성 접근

        나형성(Na, Hyungsu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3 No.-

        본고는 성찬례와 그리스도인의 삶의 유기적이며 실존적 관계를 스위스의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인격적 ‘자유의 드라마’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폰 발타살은 교회의 성찬례를 그리스도의 ‘사랑(희생)의 선물’이라고 정의하며, 동시에 이 드라마적인 육화의 신비를 ‘교회의 희생으로서의 성찬례’라는 수평적이며 계속되는 육화의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폰 발타살 신학의 맥락에서 볼 때, 그리스도는 그저 신앙의 모범으로 그치지 않고 누구보다 모든 이와 모든 시대의 구원자이듯이, 성찬례도 그저 표면적 상징이 아니라, 구원자의 현존이자 성사적 만남의 사실성이자 연속이다. 때문에 그는 성사를 소유하거나 진부하게 만드는 소비자가 되거나, 주체중심주의적 개인영적화된 종교인으로 그치는 현상을 거부한다. 참다운 신앙인은 ‘선물인 성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공동체이자, 동시에 그리스도의 신부로서의 인격이 되어 ‘구원의 드라마’에 참여하고, 마침내 ‘성사가 되는 증인’이 되며, 성사성을 체화하고 선교하는 참된 가톨릭 신앙으로 산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삼위일체론적 구원론과 그리스도 중심적 교회론의 신학 지평을 전제로 하여, 현시대의 신앙인들의 삶과 관련 있는 유의미한 성사성 실현과 회복에 관한 성찰을 시도한다. 작금의 신앙인이 살아가는 현실은 늘 변화무쌍하고 다양한 도전을 받으며, 신적 신비와의 접촉이자 동화인 성사는 현대 과학기술 발전과 기능주의, 물질주의 및 해체주의적 문화 속에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특별히 코로나 19를 겪으면서 성사에 참여가 소홀해졌으며, ‘신령성체’에 대한 오해로 인해, 신앙의 갈증을 영성체로 채우고 성찬례 조배적인 시선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적 시선 아래 성사의 가상화, 개인영적화 또는 사사화의 문제로 드러나고 있다. 1장에서는 폰 발타살의 사유가 열어주는 성찬례와 영성체의 실제적인 의미와 필요성을 밝히고, 그에 응답하는 성사적 신앙과 태도를 살핀다. 곧, 신령성체와 현상적인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신앙인이 성사와 영성체를 통해, 공동체 안에서 교황과 주교와 함께하는 신앙을 고백하는 것이며, 파견의 자리임을 말할 것이다. 이어서 2장에서는 그의 삼부작, ‘하느님의 영광, 드라마, 논리’에 담긴 구원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곧, ‘교회의 희생’의 근간은 폰 발타살의 삼위일체론적 그리스도론을 통해서 드러나고, 동시에 ‘교회의 희생’이라는 자유의 놀이, 구원의 드라마가 그의 그리스도론적 교회론을 통해서 성찬례를 지향하는 성사론적 관점으로 수렴될 것이다. 달리 말해, 성찬례란 믿는 이들이 원성사이신 그리스도의 성사성(거룩함)을 나누어 받고 “그리스도의 대리”에 참여하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구원의 드라마’이자, 수직적 육화가 수평적 육화로 해석되는 마리아적인 길임이 드러날 것이다. 끝으로 “교회의 희생으로서의 성찬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선택을 선택하고 성사성에 참여하는, 신앙과 성사적 실존이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제시될 것이다: 1. 구원자의 성사적 실존에서 나의 개별 성사성으로의 전환이 없다면, 그리스도인의 실존은 없다. 2. 십자가의 못 박힌 구원자를 닮지 않는다면, 그리스도인의 실존은 없다. 3. 선교가 없다면, 그리스도인의 실존은 없다. 이렇게 구원의 성사에 참여하고 성사가 되는 것이란, 받아들임과 내어줌, 육화의 내려옴에 삶으로 응답하는 신앙, 못 박힌 사랑의 증거가 되는 것이기에, ‘성체성사는 불편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organic and existential relationship between Eucharist and Christian life, focusing on the personal "drama of freedom" according to the Swiss theologian Hans Urs von Balthasar. Von Balthasar defines the "Eucharist as a gift of love (sacrifice) of Christ" and at the same time extends the mystery of the dramatic (vertical) "incarnation" into the horizontal and continuous dimension, in the form of the "Eucharist as a sacrifice of the Church". In this context of von Balthasar's theology, Christ is not only a model of faith, but rather redeemer for all people and all times. Likewise, the Eucharist is not a mere symbol, but signifies the presence of the Redeemer and the ongoing sacramental encounter with him. For this reason, von Balthasar rejects the phenomenon of becoming a consumer who appropriates the sacraments or trivializes them, or of becoming a subject-centered, “privately spiritual” religious person. Rather, true believers, through the "gift of the sacrament," become a community as the Body of Christ and, at the same time, a personality as the Bride of Christ. They participate in the "drama of salvation" and finally become a "witness who himself becomes sacrament" and thereby lives in a true Catholic faith that embodies and missionarily transmits sacramentality. Starting from these theological horizons of Trinitarian soteriology and Christocentric ecclesiology, this contribution attempts to reflect on the realization and restoration of the meaning of sacramentality in relation to the life of the faithful today. The reality in which the faithful live today is subject to constantly changing and multiple challenges, and the sacrament, which signifies contact and equal formation with the divine mystery, finds itself in the crisis of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of functionalism, materialism and deconstructionism. The participation of the faithful in the celebration of the Eucharist was neglected in COVID-19, and through the mis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communion" of the people, who should actually quench their thirst for faith with communion and strive for the "gaze of Eucharistic adoration", rather a virtualization of the sacraments, an individual spiritualization or a privatiz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consumption arises. Section 1 explores the practical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Eucharist and the Lord's Supper through von Balthasar's thought, and examines sacramental faith and the attitudes that respond to it.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the spiritual communion and the phenomenal set of problems of today, it is explained that the communion of the faithful through real communion is a profession of faith with the Pope and the bishops in communion and a place of mission. Subsequently, in chapter 2, a soteriological approach based on Balthasar's trilogy "Glory, Drama and Logic" is elaborated. That is, the basis of the "Sacrifice of the Church" is revealed by means of Balthasar's Trinitarian Christology. Insofar as the Eucharist is "the sacrifice of the Church," it is at the same time "the play of freedom" (namely, the drama of redemption). This play flows into the sacramental doctrine in von Balthasar'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In other words, the Eucharist is the "drama of salvation" between God and man, in which the faithful share the sacramentality (holiness) of Christ, the primordial sacrament, and thereby participate in the "Exclusive Substitution" (Vertical Incarnation) between God and man. At the same time, a Marian way is reveale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Horizontal Incarnation. Finally, through the "Eucharist as Sacrifice of the Church," faith and sacramental existence, choosing Christ's election and sharing in the sacramental nature, are represented in three ways: 1. Without translation of the sacramental existence of the Savior into the believer's own sacramentality, there is no Christian existence. 2. Likewise, there is no Christian existence without likeness to the crucified Savior. 3. without mission there is no Christian existence. Participation in the sacrament of salvation, and the sacramentalization that comes with it, is a "mode of taking and giving," a faith that responds to the descent of the incarnation (kenosis) with life, and a proof of nailed love (testimony). It can be said, then, that the Eucharist is "inconvenient".

      • “같은 성령께서 당신의 선물로 신앙을 계속해서 완성시켜 주신다”(DV5) (Idem spiritus sanctus fidem iugiter per dona sua perficit) -신앙의 해에 ‘새롭게-숙고’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앙 이해

        최현순(Choi, Hyeon-so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4 No.-

        본 논문은 신앙의 해를 맞이하여 전 세계 교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새로운 복음화의 문제가 한국교회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지를, ‘수용’의 신학적 개념을 전제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앙에 대한 가르침, 특히 계시헌장 5항의 구절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신앙문제를 다룸에 있어 필연적으로 논의해야 하는 계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신앙에 대한 이해를 두 차례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근거해서 살펴본 후, 이 가르침 안에 나타나는 계시와 신앙에 대한 종말론적 전망 안에서 새로운 복음화, 신앙의 해의 의미를 교회가 지상에서 종말론적 충만함을 향해 걸어가는 동안 모든 시간과 공간 안에서 항상 ‘새롭게 숙고해야 하는 신앙’, 그리고 ‘새롭게 삶으로 살아야 하는 신앙’에서 찾아보았다.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DV5 seeks to expound the meaning of the ‘New evangeliz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on the occasion of the ‘Year of Faith’. It begin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two Vatican Councils on the Revelation and the Faith. In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on faith th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clares, it is obvious that, along the path of the Church towards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the faith must be the ‘faith re-thought’ and the ‘faith re-lived’ in all the time and in all the place, also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 신앙의 전달과 신앙의 원천들

        Joseph Ratzinger 지음,곽진성(Kwak, Jinsang)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0 이성과 신앙 Vol.45 No.-

        이 텍스트는 교황 베네딕토 16세께서 신앙교리성 장관으로 재임하던 1983년 1월 15일과 16일, 프랑스 리옹대교구 주교좌 성당과 파리대교구 주교좌 성당에서 행한 교리교육에 관한 특별강연원고이다. 본래 이 강연회는 “현대의 신앙전달”이라는 주제로 1983년 1월 한 달 동안 진행되었는데, 4명의 학자주교 및 추기경이 여기에 초대되었다. 첫 번째 주에는(8-9일) 더블린 대교구 Dermot J. Ryan 대주교가 “과거의 가르침 되새기기(시편 78,2)”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섰고, 두 번째 주에(15-16일) 라칭거 추기경이 “신앙의 전달과 신앙의 원천들”을 발표하였다. 세 번째 주에는(22-23일) 브룩셀의 대주교 Godfried Danneels가 “그리스도 신앙과 현대인의 상처”라는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마지막 주에는(29-30일) 폴란드 크라코비 대교구 Franciszek Macharski 추기경이 “신앙의 시련” 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이 네 강연은 “현대의 신앙전달”(Transmettre la foi aujourd'hui)이라는 제목으로 1983년 Tequi 출판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아티클은 본래 프랑스어로 집필된 것이며, 역자는 1983년 1월 Transmission de la Foi et sources de la Foi라는 제목으로 발행된 소책자를 번역본으로 삼았다. Joseph Ratzinger, Transmission de la foi et sources de la foi, Paris, Tequi, 1983, 44p. 현대의 신앙 위기상황에서 어떻게 신앙을 전달해야 하는가를 근본 주제로 삼은 이 강연은 현대의 교리교육 쇄신운동과 관련하여 중요하고도 유명한 신학적 문제를 지적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교리교육 방식인 교의 중심적이고 주입식 위주의 교리교육에 대한 쇄신운동이 일어났다. 이 교리교육쇄신운동은 일반적으로 피교육자의 실존적 상황을 고려한 인간중심주의적 교리교육을 주창했다. 여기에는 심리학적·교육학적 이론의 발전이 한 몫을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역사비평적 주석학의 발전은 성경의 진리가 교회가 전통적으로 선포한 교리나 교의에 상치된다고 믿게 했으며, 이러한 의식이 교리교육에 전이되어 지성적 측면의 교리교육보다는 인간의 구체적인 삶을 중시하게 했고, 결국에는 과거의 전통적 교리서를 버리고 성경에서 직접 삶과 관련된 요소들만을 선택하여 실존적 교리교육을 실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교리교육 부흥운동의 근본적인 신학적 문제를 직시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내놓는다. 첫 번째 문제는 성경에 대한 교의적 해석과 역사비평적 해석의 관계 문제이다. 교회의 신앙에 근거를 둔 성경읽기(교의적 독서)와 비판적 이성에 근거를 둔 성경읽기(역사적 독서)의 상호대립이 문제인 것이다. 두 번째는 신앙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문제로서, 교육학적 결과들을 신앙전달에 적용하면서 발생하는 신앙내용의 상대적인 소홀이다. 신학적으로는 교리서와 해설서의 근본적 구별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자는 먼저 신앙의 원천과 계시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감행한다. 저자에 따르면, 신앙의 원천은 단지 성경만이 아니라 성경을 하느님의 말씀과 업적으로 고백한 교회의 전통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성경말씀의 해석은 하느님의 말씀으로 실제로 살아가고 있는 살아있는 조직(교회) 안에서만 그 의미를 제대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교의적 독서와 역사적 독서의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자는 앙리 드 뤼박 추기경이 강조한 전통적 교회의 성경해석인 “성경의 네 가지 의미” ―문자적, 유비적, 도덕적, 신비적 의미― 를 다시 취할 것을 제안한다. 교리교육쇄신운동은 전달해야할 신앙내용, 곧 교의를 소홀히 취급하고 전통적 교리서를 거부함으로써 위기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위기를 다시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전통적 교리서가 가지고 있는 네 기둥에서 영감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교리서는 믿어야 할 것(신앙고백), 희망해야 할 것(주님의 기도), 실천해야할 것(십계명), 그리고 이 세 가지가 선취되고 이루어지는 것(성사와 교회)을 모두 포함해야한다고 가르친다. ‘교리서’와 ‘해설서’의 본질적인 구별을 잊은 현대의 교리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교리서를 부분적 교리들의 해설로 여겨서는 안 되며, 그리스도교 신앙 전체(tout)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리스도교 신앙이 갖고 있는 신앙의 전체성을 주장하기 위해서 특히 오늘날 위협받고 있는 창조신앙과 십계명에 대한 재해석을 감행한다. 이와 같이 이 아티클은 오늘날 교리교육이 발전시켜야 할 여러 가지 핵심적 요소들을 제공해 준다. 교리교육과 계시의 관계, 신앙체험과 교의의 관계, 신앙의 실존적 특성과 교회론적 특성 등은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리교육신학의 쇄신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프랑스의 기초신학자 클로드 제프레는 라칭거 추기경이 이 강연회에서 제기한 교의적 독서와 역사적 독서의 상호대립, 교리서와 해설서의 구별 문제에 관하여 해석학적 입장에서 발전시켰다. 교리교육과 계시의 관계에 관한 이 중요한 아티클을 참조하라. C. Geffré, “계시의 역사성과 교리교육 ["La révélation comme histoire : Les enjeux théologiques pour la catéchèse", Catéchèse, 100/101, 1985, pp. 59-76]”, 곽진상 역, 이성과 신앙, 33(2007/3), 211-232. 신앙행위의 특성과 그리스도교 신앙의 특성을 중시하는 교리교육에 관하여 졸문을 참조하라. “그리스도 신앙의 근본적 특성에 비추어 본 현대 교리교육의 과제”, 이성과 신앙 34(2007/9), 83-115.

      • “신앙의 합리성” 연구에 있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헌장」의 기여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3 No.-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톨릭 신앙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아들(Dei Filius)」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이 ‘신앙의 합리성’ 연구에 가져온 결정적 기여가 무엇이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이신론자들에 대항하여 싸우던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 영향 하에 있던 헌장 「하느님의 아들」은 계시와 신앙을 순전히 사변적이고 지성주의적이며 권위주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 가신성의 동기를 주로 신앙 행위의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에서 찾았기 때문에 헌장은 신앙 내용과 인간 경험 사이의 관계 물음에 대한 답을 온전히 제시해줄 수 없었다. 계시의 사실과 의미를 분리하는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적 성향은 신앙의 고유한 합리성을 숙고하는데 있어 많은 난점을 남겨두었으며, 헌장 「하느님의 아들」은 그러한 흔적을 지니고 있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은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적 전망을 뛰어 넘어 계시와 신앙 이해에 있어 새로운 전망을 도입하였다. 하느님의 계시는 다만 믿어야 할 진리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인간과 사랑의 친교를 이루고자 하시는 삼위일체 하느님 자신의 통교행위(auto-communication)로 이해된다. 구원의 역사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집중되어 제시된 계시 개념은 더 이상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체험 가능한 인격적 실재로 드러나며, 신앙은 당신 자신을 통교하시는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전인적이며 실존적인 처신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전망에서 가신성의 동기는 신앙 내용과 신앙 행위에 긴밀히 연결된다. 신앙의 합리성은 더 이상 순전히 사변적인 논증에서가 아니라 교회와 신앙인의 구체적이며 일관된 삶과 체험에서부터 찾아지게 된다. 끝으로, 이와 같이 그리스도교 체험 안에서 발견되고 체험된 그리스도 신앙 진리는 또한 보편적인 것이고자 하기 때문에, 늘 진화하는 주변의 사회와 문화와의 대화는 신앙의 고유한 합리성을 충만히 드러내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드러난다. En faisant la comparaison avec la Constitution Dei Filius du Vatican I, nous pouvons mesurer des apports décisifs de la Constitution Dei Verbum du Vatican II à la recherche de la rationalité de la foi. Sous l’influence de l’extrinsécisme qui dominait l’apologétique classique entendant combattre les thèses déistes, Dei Filius laissait favoriser une compréhension purement spéculative, rationaliste et autoritaire de la révélation et de la foi. En cherchant les motifs de crédibilité essentiellement dans ce qui est donné de l’extérieur de l’acte de foi, cette Constitution n’était pas pleinement en mesure de répondre à la question de la relation entre le contenu de la foi et l’expérience humaine. La tendance extrinséciste de l’apologétique qui sépare le fait et le sens de la révélation laissait pendantes de nombreuses difficultés pour concevoir la rationalité propre de la foi chrétienne. Dei Filius en garde la trace. Dei Verbum à Vatican II a introduit une nouvelle perspective dans la compréhension de la révélation et de la foi, en surmontant la perspective extrinséciste de l’apologétique classique. La révélation divine n’est plus seulement comprise comme un ensemble des vérités à croire, mais comme auto-communication du Dieu-Trinité qui veut entrer en communion d’amour avec l’homme. Centré sur l’histoire du salut et sur la personne de Jesus-Christ, le concept de révélation n’apparaît plus comme une idée abstraite, mais comme réalité personnelle, objet d’une expérience concrète et réelle de l’homme, tandis que la foi est comprise comme une attitude existentielle, un engagement personnel et total de l’homme envers Dieu qui se communique. Dans cette perspective, les motifs de credibilité sont intimement liés au contenu de la foi et à son acte propre. La rationalité de la foi, quant à elle, n’est plus cherchée dans une démonstration purement spéculative, mais dans une vie et dans une expérience concrètes et cohérentes de l’Eglise et du croyant. Enfin, puisque la vérité du christianisme ainsi trouvée et vécue au sein de l’expérience chrétienne se veut universelle, le dialogue avec la société et la culture ambiantes qui sont en perpétuelle évolution nous apparaît indispensable pour manifester pleinement la rationalité propre de la foi chrétienne.

      • 삶으로서의 신앙: 앙리 드 뤼박 사상의 타당성 연구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1 No.-

        앙리 드 뤼박 신부의 신학 작품은 근본적으로 ‘삶의 교리’로서의 그리스도 신앙 개념 위에 정초한다. 삶의 가르침으로서의 그리스도 신앙은 근본적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며, 그리스도에 의해 새롭게 변화된 삶을 의미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현재 한국교회가 당면한 교리교육과 사목문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우선 인간은 믿음에 대한 본성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이 신앙은 인격적 응답으로서 하느님과의 실제적 만남에서 현실화된다. 셋째, 신앙은 구체적으로 영원히 새로운 그리스도와의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살아 있는 실재이다. 이러한 신앙에 관한 세 가지 핵심 이해는 한국 교리교육의 방향 설정에 정당성을 준다. 특히 신앙의 권유인 교리교육은 살아있는 실재로서의 신앙의 내용, 통교된 생명으로서의 신앙을 살아 있는 방식으로 권유하도록 요청받는다. 교리교육 신학은 한국 교회의 맥락에서 살아있는 신앙으로서의 교리와 언제나 의미를 추구하는 인간의 삶 사이의 만남을 중시해야 한다. Father Henri de Lubac found himself faced with social,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tendencies in his day that are far from alien to those we encounter today, in particular in Korea. As a result, his thought is highly relevant. It focuses principally on the concept of the Christian faith as a doctrine of life, and allows that faith to be rediscovered as a transformative force in life, as a life renewed by Christ. This notion becomes relevant for today’s catechesis and pastoral ministry in three respects: human beings have a natural capacity to believe, faith is a personal response and a true encounter with God, and faith is a reality that is ever new, in the image of the novelty that is Christ himself. A catechesis that proposes faith can thus gain from keeping these three points in mind, and from considering the content of the faith itself as a living reality. As a result, faith can be understood as the communication of life and can be shared more actively than ever in the context of the Church today.

      • 신경의 문학적 비평과 기초신학적 의미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이 논문은 개인의 신앙고백과 교회 공동체의 신앙고백 사이의 간격, 신앙의 사사화, 신앙에 대한 지식의 부족에 대한 문제들에서 출발하여 진정한 신앙의 대상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교회의 신앙에 이를 수 있는지를 묻는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담고 있는 여러 신경들의 기본 구조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신앙 내용과 신앙 행위의 특성과 왜 교회가 신앙생활에 필요한지를 규명한다. 서방교회의 사도 신경은 그 초기부터 ‘credo in’을 중심으로 삼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Credo in Deum, credo in Jesus Christum, credo in Spiritum Sanctum. 성부와 성자와 성령에 대한 믿음으로 나누어져있는 것이다. 그리스도교 문법파괴(solécisme chrétien)의 하나인 ‘credere in Deum(in + accusative)’ 용법은 신앙 내용의 측면에서(fides quae) 신앙 대상이 인격적이라는 특성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신앙 행위의 측면에서(fides qua) 신앙 행위의 전인적 특성(congnitive, volontaire, et personnelle)과 사랑을 동반한 믿음, 그리고 하느님과의 인격적 일치를 향하는 방향성(ordo)을 드러낸다. 또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든 계시는 역동적 행위로서 인간에 대한 계시를 함축한다. 성삼위 하느님에 대한 신앙은 긍극적으로 내가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와 관련한다. 신경에서 고백의 주체인 ‘나’는 개인으로서의 ‘나’가 아니라 교회 공동체의 ‘나’이다. 우리는 교회를 하느님을 믿듯이(credo in Deum) 교회를 믿지 않는다(Credo Ecclesiam). 그러나 우선적으로 ‘교회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몸인 신비체에 결합하고, ‘교회 안에서’ 그 궁극적 일치를 이룬다. 그러므로 교회 없이 신앙은 없다. 그리스도에 의해 불리운 이들의 모임인 교회는 그 신앙을 삶으로 보존하면서 동시에 우리에게 신앙을 낳아주는 ‘출산자’이다. Addressing issues like the gap between the confession of faith by an individual and by the Christian community, privatization of faith and lack of religious knowledge, this paper questions what is the true object of faith and how we can reach out to the faith of Church.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fundamental structures of many Creeds, including the core doctrines of Christian faith. From there, the paper identifies the content and act of faith and traces why church is necessary for the religious life. The Apostles Creed of the Western church, from its early years, has a trifold structure marked by ‘credo in’: credo in Deum, credo in Jesus Christum, credo in Spritum Sanctum. It is Trinitarian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of faith(fides quae), ‘Credere in Deum’, one good example of the solecism generally accepted throughout the Catholic Church, reveals that the object of faith has a personal character. Moreo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 of faith (fides qua), it reveals the holistic dimension of the act of faith (cognitive, voluntary, personal), along with the faith accompanying love, and the direction towards the personal union with God(ordo). Every revelation of the Trinity is a dynamic deed, implying revelation toward human being. Faith in the Trinity relates to what we are ultimately meant to be. In the Creed, the ‘I’ who confesses faith is not an ‘I’ as an individual but a member of a church community. We do not believe in church(credo Ecclesiam) as though we believe in God(credo in Deum). But primarily we combine with in a Mystical Body as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Church’ and achieve the ultimate union ‘in the Church’. Therefore, there is no faith without the Church. Church, an assembly of people called by Christ, preserves faith as a part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generator of the faith for us.

      • 성사적 삶으로서의 신앙: 루이-마리 쇼베(Louis-Marie Chauvet)의 성사성(聖事性)의 신학

        전홍(Jeon, Ho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3 이성과 신앙 Vol.74 No.-

        본 연구는 한국 교회가 겪고 있는 신자들의 탈-성사 현상, 더 나아가 성사의 필요성에 대해 신자들이 제기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의 바탕에 있는 성사와 신앙 사이의 근본적인 연결 관계를 이해하고, 그리스도인 삶을 위한 성사의 역할을 드러내기 위해, 루이-마리 쇼베가 전개한 ‘성사성의 신학’을 길잡이로 삼는다. 언어와 문화의 매개 관점에서 신앙을 이해할 때, 주체는 언제나 교회 안의 성사적 매개를 통해 신앙인으로 되어감이 드러난다. 성사는 교회 안에 있는, 하느님의 은총과 베푸심이 드러나고 실현되는 여러 매개·장소 가운데 하나이며, 신앙인 일상의 삶 또한 넓은 의미에서 ‘성사적’ 체험의 장소가 된다. 이러한 성사성의 확장은 성사가 지니는 위상과 역할을 축소하지 않는다. 오히려 쇼베는 교회의 성사적 매개 구조(성경, 성사, 윤리)와 이 구조가 기능하는 방식으로부터 성사의 고유한 위상을 드러낸다. 곧 성사는 성경(말씀)에서 윤리적 실천(몸)으로 가는 통과점 역할을 하며, 예식을 통해 하느님 말씀(은총)이 신앙인의 몸에 다다를 수 있게 하는 가장 “육신적인” 매개로 기능한다. 성사 거행의 환원될 수 없는 역할을 강조하는 쇼베의 신학은 한국교회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 1) 성사는 세례를 받은 신자들의 ‘의무’ 또는 은총을 얻는 ‘수단’으로 제시되기보다,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체험하며 그리스도인이 ‘되어가는’ 장소로 제시되고 그렇게 거행되어야 한다. 2) 성사성 개념을 그리스도인 삶의 방식과 연결하여 보다 넓게 확장해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성사가 진정하게 신앙인의 응답을 불러일으키는 말씀의 힘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성사 거행 방식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Le point de départ de cette étude est le problème du décrochage de la pratique sacramentelle chez les croyants dans l'Église en Corée, ainsi que la question qu’ils pose sur la nécessité de cette pratique. Afin d’éclairer le lien fondamental entre le sacrement et la foi, qui se trouve à la base du problème, et de mettre en lumière le place des sacrements pour la vie chrétienne, nous prenons pour guide “la théologie de la sacramentalité” élaborée par Louis-Marie Chauvet. Lorsqu’on comprend la foi dans la perspective de la médiation du langage et de la culture, il se révèle que le devenir du sujet croyant se réalise toujours dans la médiation sacramentelle de l'Église. Les sacrements constituent alors une des médiations ou un des lieux parmis d’autres dans l'Église où la grâce et le don de Dieu s’expriment et se réalisent, et la vie quotidienne des croyants devient aussi le lieu d’expérience “sacramentelle” au sens large. Pourtant, cet élargissement de la sacramentalité ne réduit en rien le statut et le rôle des sacrements. Au contraire, L.-M. Chauvet met en lumière le statut propre des sacrements à partir de la structure des médiations sacramentelles de l'Église (Écriture, Sacrement, Éthique) et du mode de leur fonctionnement. En d'autres termes, le sacrement sert du point de passage de l’Écriture (Parole) à la pratique éthique (corps), et fonctionne comme la médiation la plus "corporelle" par et dans laquelle la Parole de Dieu (grâce) peut atteindre le corps du croyant au moyen de la ritualité. La théologie de L.-M. Chauvet, mettant ainsi l’accent sur la place irréductible de la célébration sacramentelle pour la foi, donne plusieurs implications importantes à l'Église de Corée : 1) La célération sacramentelle, au lieu d’être présentée comme un “devoir” des baptisés ou comme un “moyen” d'obtention de la grâce, doit être présentée et célébrée comme un lieu du “devenir” chrétien où s’expérime la relation avec le Christ. 2) Il est nécessaire d'élargir le concept de sacramentalité, de comprendre ce concept en le reliant au mode de la vie chrétienne. 3) Il faut prendre sérieusement en considération la façon dont on met en œuevre la célébration sacramentelle, afin qu'elle puisse fonctionner effectivement comme la puissance de la Parole suscitant la réponse du croyant.

      • 성사 거행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앙의 구조화

        Louis-Marie Chauvet 지음,전홍(Jeon, Hong)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3 이성과 신앙 Vol.74 No.-

        이 논문에서 저자는 성사 거행이 신앙이 형성되는 근본 장소, 곧 주체를 신앙인으로 구성하는 결정적인 매개임을 보여준다. 특별히 “표현” 개념과 언어 행위에 대한 언어학적이고 철학적 바탕 위에서, 성사 거행이 작용하는 방식을 언어의 수행적 특성을 통해 밝혀낸다: 성사는 예식적 언어 행위로서 신앙 고백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행동으로 실현한다. 저자는 신앙을 구성하는 성사의 “행위론적” 차원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성사 거행이 망각해서는 안 되는 두 가지 요소를 부각시킨다. 상징 행위인 성사는 그 자체로 신앙 행위를 형성하는 유일한 중심이 아니며 언제나 신앙의 지성적 차원과 윤리적 차원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예식이 가진 모호성, 즉 신앙 없는 형식에 그칠 위험을 고려하며, 성사 예식이 본질적으로 파스카 신비에 종속되어야 함을 잊지 않아야 한다. Dans cet article, l'auteur montre que la célébration du sacrement constitue un lieu fondamentale de la structuration de la foi, c'est-à-dire la médiation décisive qui fait du sujet un croyant. En particulier, sur la base linguistique et philosophique du concept d'« expression » et de l'acte de langage, il met en lumière la manière dont la célébration du sacrement fonctionne selon la performativité du langage : le sacrement est un acte de langage rituel qui exprime symboliquement le contenu de la confession de foi et réalisé celle-ci en acte. En soulignant la dimension “-urgique” du sacrement qui constitue la foi, l’auteur met également en évidence les deux éléments qu'il ne faut pas oublier dans la célébration. Le sacrement comme acte symbolique, n’est pas lui-même le seul centre de la structuration de l’acte de foi, mais doit toujours être lié aux dimensions intellectuelles et éthiques de la foi ; compte tenu également de l'ambiguïté du rite, surtout du risque de demeurer une formalité vide de foi, il ne faut pas oublier que la mise en œuvre de la ritualité sacramentelle doit être subordonnée essentiellement au mystère pas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