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상진 ( Yoo Sang-ji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국가와 지역의 관계는 중속, 지배관계가 아닌 상호작용의 관계다. 이상호작용의 관계는 국가문화정책과 지역문화정책이 다른 이유를 설명한다. 2014년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2020>가 수립되었으나 실질적인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방안은 충분히 담지 못했다.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 2025>가 수립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참여의 과정과 내용의 충실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실질적 지역문화진흥을 위해서는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은 현재의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과 단위 계획이 아닌 국가와 지역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실제 실행 구속력을 가지는 국가종합발전계획 등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은 지방창생 정책에서 지역문화정책을 지역종합발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재원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는 다른 부처 또는 영역의 사업들과 연계한 협력방안들이 논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진흥 관련 대체재원의 확보뿐만 아니라 각 사업성과를 모아 종합적 성과로 보다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재원의 분배방식 또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다. 현재의 개별 단위사업 지원에서 지역 상황과 필요에 따라 지역문화 정책과 사업이 시행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포괄예산제가 바람직할 수 있으나 포괄예산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항목별 포괄예산제도 검토, 시행이 가능하다. 문화재단을 비롯한 중간지원조직들의 지역 내 역학관계의 구조도 재정비가 시급하다. 현재의 상호 경쟁체계는 지역문화 자원의 활용과 각각의 역할면에서 개선이 필요한데 향후 각각의 역할에 맞는 지역 내 포지셔닝을 확보토록 하여 상호 협력이 가능한 구조로 개편되어야 한다. 아울러 생활SOC와 같은 물리적 환경 구축에 있어서는 조성과 함께 향후 운영 관리 방안이 사전에 미리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he government is zealously pushing forward regional cultural policy based on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established in 2014. And the regional cultural policy prepare or provide a countermeasure pertinent to a problem pending in regional culture. A number of tasks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are required in the field. Which are cross-cooperation between areas, securement of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a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cultural agencies,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local culture-based facilities. Nevertheless, discussion and suggestion on specific response plan are insufficient. major current issues on regional culture promotion include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way of budget distribution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as well as the delivery system reform of local cultural poli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as follow. Firstly, master plan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master plan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Second, alternative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secured by working culture projects together with other ministries. Thirdly, cooperative system between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lated to local culture promotion should be reconstructed. Also a judicious approach to Life SOC development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related to investment in operational funds should be taken.
황금자 ( Hwang Geum-ja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0 지역문화연구 Vol.19 No.1
지역문화의 가치관을 발견하는 일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더 나은 지역미래의 모습을 함께 꿈꾸는 일이다. 우리에게 참다운 지역문화는 지역의 관점에서 문화를 바라보는 주체가 지역민들로 자발적 참여에서 행동하고 활동하는 데서 시작된다. 그만큼 지역문화의 중요성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어떻게 현대적 감각으로 녹이고 담아내어 현대인들이 인정하고 공감할 때 비로소 문화는 활짝 꽃피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화원들은 과거를 주로 다뤄왔다. 과거를 표현하는 향토, 역사, 전통은 지역문화원들이 사용하는 친숙한 주제어들로 이제 ‘전통은 지역문화’라는 말로 ‘향토는 마을’이라는 말로 ‘역사는 일상’이라는 말로 전환되어져 왔으나, 이제 지방문화원은 단편적인 일상의 주름진 이야기들이 모인 마을의 공동체 리빙아카이브와 거버넌스를 통한 기록 주권의 회복이라는 주제에도 집중해야 한다. 오늘의 일상이 뉴노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시대의 일상문화가 무엇인지 지 역문화원이 답을 찾아가야하는데, 그 시작의 뿌리는 지역학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지역학은 미래지향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의 결합체이다. 지역학연구소 운영은 지역의 자료은행으로 알기(연구), 알리기(교육), 챙기기(조사), 활용하기, 상생하기, 소통하기(연계)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서 지역사회에 뿌리를 깊게 내릴수록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지방문화원의 미래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지방문화원은 그 지역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수많은 정보를 축적해 놓고 있기 때문에 지역학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인 만큼 지역대학과 연계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다할 것이다. Discovering the values of local culture is a process of finding our own uniqueness and dreaming of a better local future together. Local culture that is true to us begins when the subject who sees the culture from a local perspective acts and act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importance of such a local culture is that culture blooms in full bloom only when modern people recognize and empathize with how to dissolve and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a modem sense. Until now, cultural centers have mainly dealt with the past. Locality, history, and tradition that express the past are familiar keywords used by local cultural centers. Now, the word‘tradition is local culture’ and‘locality is village’ has been converted into ‘history is daily life’. We should also focus on the theme of the recovery of documentary sovereignty through a community living archive in a village where fragmentary stories of daily life are gathered and governance. Today’s daily life is the new normal (a standard that emerges from the change of the times) The local cultural center has to find the answer to what the daily culture is, and the root of the beginning can be found in regional studies. Regional studies are future-oriented studies and are a combination of various studies. The operation of the regional studies research center is a local data bank that develops the more deeply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uch efforts: know (research), inform (education), take care (investigation), use, win-win, and communicate (linkage). I think I can. I think the future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is also here. Since local cultural centers have accumulated a lot of information that guarantees the identity of the region, it is desirable to seek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local universities, as the best advantage is that the regional approach is very easy.
현경석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6 지역문화연구 Vol.15 No.1
특정한 지역사회의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그 지역의 오랜 역사와 관습, 시민의식은 물론 지리적 조건이나 환경에 대한 조사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제천 시는 지리적으로 전국토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나 태백과 소백, 월악으로 이어지는 고산지대로 문화예술이 발달하기에는 척박한 조건을 가졌다. 전체면적의 74%가 산으로 둘러싸여 자연풍광이 아름답고 풍부한 자원과 민족 문화유산이라 할 의림지와 박달재가 있을 뿐 아니라 제천의병 정신의 고장이다.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 일찍이 의병제와 박달제(가요제)는 물론 청풍호 벚꽃축제와 동계민속축제, 금요음악회(‘힐링콘서트’로 개명), 국제음악영화제, 한방바이오축제 등 다양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행사별로 다양한 의견들이 없지 않지만 역사성과 방향성을 정립하고 시민들과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은 일단 평가의 여지가 있다. 다만 문화예술적 가치로 완성되지 못하고 일회성 축제로 머물러 있는 현실의 문제는 무엇보다 전문가 부재의 현상이라 하겠다. 박물관, 미술관 하나 없고 공연장도 사람도 예산조차 부족한 현실에서 전문가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집중적인 투자 없이 문화예술의 발전은 요원하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1)시민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타 도시 축제와의 차별화, 특성화를 통한 정체성 확립, 2)문화예술에 대한 관민의식의 전환- 오랜 투자와 열정이 있어야 성취 가능, 3)과감한 변화와 개선을 통한 생산적, 발전적 축제를 향한 노력부족, 4)철저한 사후평가제 도입, 5) 대소공연장 확보, 편의시설 부족 등 개선, 6)전문가의 발굴 육성으로 창조적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시급하며, 특히 문화재단의 설립에 중지를 모우고, 눈앞의 경제논리를 뛰어넘는 문화예술회관 신축 등에 과감한 결정을 제안한다. 아울러 소극장 운동을 활성화하여 제반 문화예술 활동에 활력을 도모하고 지역소재 대학과의 긴밀한 윈윈전략으로 대학의 사명과 역할을 이끌어내는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학 안에 설립된 ‘지역문화연구소’ 같은 전문기구를 통한 고급인력의 참여와 역할을 강화 유도하는 정책을 수립 운영할 필요가 충분하다. 젊음의 열정과 패기가 캠퍼스를 달구고 지역사회 확산되는 선순환 구조야말로 지역사회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발전을 담보하는 첩경이다. When discussing the culture and the arts of a specific community, research and study of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long history, customs and civic consciousness of the area must be done first. Although Jeche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ation geographically, it has a harsh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as a high mountain area that leads to Taebaek, Sobaek and Wolak. Because 74% of the total areas are surrounded by mountains, its natural scenery is beautiful and it also has abundant resources, Uirimji and Bakdaljae that can be said as ethnic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spirit of faithful army of Jecheon memorial service. With much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there are many festivals including Cheongpungho Cherry Blossom Festival, Winter Folk Festival, Friday Concert (renamed as "Healing Concert"), International Music Film Festival and Oriental Biotechnology Festival as well as faithful army of Jecheon memorial service and Bakdalje (song festival). Although there are many opinions on each event, the constant efforts to establish history and direction and to reach consensus with the citizens leave room for evaluation. However, the problem of present situation, which is not completed as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just remains as a one-time festival, is mainly because of a phenomenon of absence of experts. Under the situation without a museum, an art museum, a theater and people and even lack of budget,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would be difficult without the intensive investment to discover and nurture professional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proposes to execute urgently: 1) To induc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to differentiate from other city festivals and to establish identity through characterization; 2) to transform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on culture and art achievable only with long-term investment and enthusiasm; 3) to improve the problem of lack of effort toward productive and developmental festivals through bold changes and improvement; 4) to introduce a thorough post evaluation system; 5) to secure large or small scale performance facilities and to improv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6) to develop creative programs by finding and cultivating experts. In particular, we have to ask advice from many peop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foundation and make bold decision to build the new culture and arts center beyond the immediate economic argu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special effort to revitalize the activities of small arts theater and to revitalize various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to lead the university's mission and role through a close win-win strategy with local universit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policy that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high-level human resources through specialized organizations such as 'Regional Culture Institute' to be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in which the passion and ambition of youth grow on the campus and spread to the community is the quick way to secure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arts.
엄태석 ( Um Tae-seo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1997년 치러진 창의100주년 제천의병제의 전후로 제천의 지역문화는 큰 변화를 겪는다. 제천의병제는 새로운 형식과 파격적인 퍼포먼스, 전 시민적 공감대를 무기로 기존의 문화예술지형을 흔들며 지역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제천의병제가 성공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지역의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의 축제였다는 점이다. 자발적인 시민참여는 지역문화의 가장 큰 동력이다. 로컬의 시대, 점점 매머드화되어 가는 축제에서 지역민은 점점 더 고립되고 소외된다. 진정한 지역문화는 지역에서 생산되고, 소비되고, 유통되는 문화여야 한다. 작고 초라해도 독특하고 경쟁력 있는 제천만의 문화가 필요하다.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을 더 많은 ‘실패’가 필요하다. 제천의병제를 돌아보며 우리도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하루 빨리 지역성을 가진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길러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Before and after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held in 1997, the 100th anniversary of creation, the local culture of Jecheon undergoes great changes.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opened a new horizon for local culture by shaking the existing cultural and artistic terrain with new forms, unconventional performances, and a common consensus among citizens. The biggest reason why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was able to receive a successful evaluation is that it was a local festival by local residents.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is the biggest driving force of local culture. Local people are increasingly isolated and alienated in the local era and increasingly mammoth festivals. A true local culture must be a culture that is produced, consumed, and distributed locally. Even if it is small and shabby, it needs a unique and competitive Jecheon culture. We need more “failures” to inspire creativity. Looking back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Festival’, we thought it was time for us to develop the compdihveness of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industrie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s soon as possible with a long-term perspective.
이창식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6 지역문화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한국 온돌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방면의 향후 인식과정과 이 연장선에서 온돌의 가치를 몇 가지 국면으로 제기해 보았다. 온돌자원의 등재화, 이를 위한 실제 세계화로 피칭 워크숍마케팅이 그것이다. 온돌자료의 진정성 검증과 민속학적 해석, 관련 단체와 연구소의 선택과 집중, 문화권역을 넘어 소통할 수 있는 공유 전략 등이 동시다발로 지속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문화재청에서 전주에 무형유산원을 설립하였다. 각 지역마다 있는 유형문화재연구소(원)에 비해 늦은 감과 빈약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제라도 정형화될 수 없는 무형과 전통지식들이 중요시되었던 사실이다. 무형자원의 영역별 희소성과 관련 장소성, 수월성에 대해 확장하여 주목하게 되었다. 온돌문화재 관리화, 온돌문화권 가치화, 온돌온기의 창조화 등 일련의 과정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결코 과거와 무관할 수 없다. 멀리 가버린 과거는 현대인에게 현재를 제공해 주었고, 또한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슬기로운 지식과 지혜의 보고인 셈이다. 온돌유산에는 오래된 미래지혜로 자연친화적인 삶이 내재되어 있다. 온돌을 한국인의 전통지식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살펴야 할 시기라고 보았다. 온돌문화유산의 무형유산 등재 가능성은 크다. 다만 등재는 기초적인 연구와 민속지적 고민의 과정이 없이 서둘러 가서는 안 된다. 한국 온돌은 전통지식으로서 지역이나 환경적 특수성이 반영되고 인간의 삶이 중심이 된다. 이 때 정신적이고 실용적인 요소가 역동적으로 작용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전통을 토대로 한 지식체계, 창조물, 기술, 감성적 지혜 그리고 문화적 표현물을 통틀어서 전통지식-이러한 인식범주에서 구들 조사와 복원 노력-이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전승성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 부단히 진화한다는 특성이 있다. 온돌은 전통지식 영역에 부합하고 있으나 민속학 시각에서의 전승성과 미래성에 대한 깊은 논의가 부족하다. 온돌민속지 만들기, 온돌전승마을 지정, 왕토잽이 보유자 인정 등이 시급하다. 이 점이 세계지식재산권기구가 현재 가장 중심하는 전통지식자원인지 성찰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ondol inheritance can be registered at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value of ondul is also suggested in some ways with the process of future recognition in this area and with the extension of that process. It is the pitching workshop marketing that enables ondol resources to be registered and also to be really globalized. It is thought that it should be lasted in multiple and spontaneous ways to verify the ondol resources to be true, to interpret them based on folklore, to select and focus on related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m and to share common strategy which can be communicated even beyond their cultural zone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was established at Jeonju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t is true that that was done a little late and poorly comparing to other research institutes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already existed individually in every area. But, what is meaningful is that the intangible and traditional knowledge about ondol which can’t be standardized were regarded to be very important. And scarcity per area and related places of such intangible resources were expanded and focused. By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manage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of ondol, valuation of cultural zones of ondon, creation of warmth by ondol, etc., appropriateness was achieved and could be carried in an active way. Many problems that we are facing today can’t be unrelated to the past at all. The past which has gone far away provides us, the modern people, with the present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 repository of wise knowledge which can watch the future. In ondon heritage, our natural friendly life is embedded with its old but future-oriented wisdom.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right time to examine ondol integrally at the area of our Koreans’ traditional knowledge. Ondonl cultural heritage has a great possibility to be registered. But registration shouldn’t be hurried without fundamental study and without the process of anguish over its folkloric area. At ondo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as traditional knowledge and it has been a center of our human life. It also has another characteristic, which is mental and practical elements aree worked very actively at that time. It is said that knowledge system, creations, technology and cultural expressions, which are based on tradition, are told traditional knowledge in total research about gudeul and effort - to restore them - in this kind of recognition category. What is characteristic is that they are constantly evolved with the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ir traditionalization. Ondol is corresponded at traditional knowledge area - in Chapter 2, discussion about the theory of value on knowledge - but, as it is mentioned above, discussions about its tradition and future - in Chapter 3 - discussion of complement to registration - are not so deep. It is urgent to construct the ondol folk zones, to appoint the traditional village with ondol, to admit the holder for royal domain, etc. Now, it is the time to examin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is the hottest potato.
다문화 가정을 위한 문화 예술 프로그램의 운영사례연구 - 2016 제천 창의적 연극캠프를 중심으로 -
이정하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6 지역문화연구 Vol.15 No.1
문화예술 활동은 자국민을 포함한 다문화적 관점을 지지하고 확산하는 방법적인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국가 공공기관에서는 다양한 노력으로 다문화 가정의 자료를 리서치하여 문제점을 타진하고 개선하고자하는 실천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지원과 다양한 교육, 상담을 통한 가족 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면서도 다문화 가정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적인 구축을 할 수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개발은 미비하다. 본 연구는 2016년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2016 제천 지역주민을 위한 창의적 연극캠프’를 진행하면서 다문화 가정의 부모와 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창의적인 프로그램의 실천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의 창의적인 연극 예술 체험 사례를 연구하였다. 유기적인 소통과 화합을 이룬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단기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예술 참여 교육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문화 예술 교육 체험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마련되길 희망한다.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have methodological significance and value for supporting and spreading the multi-cultural viewpoint as well as for their own people.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country has increased, national public institutions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efforts to research data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and improve their problems. However, although various methods to solve problems between families through economic support and various education and counseling have been tried, it is not enough to develop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that can build up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actical cases of creative theatrical and artistic experience program centering on the pare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Creative Theater Camp for the Residents of Jecheon District in 2016' that was held by the Regional Culture Institute of Semyung University in 2016. Through this case study that has achieved organic communication and harmony,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pplying it for continuous art participation education, not ending it with a short-term experience program and hopes that an opportunity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would be prepared.
외국인 대상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 - 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
어혜선 ( Eo Hyes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3 지역문화연구 Vol.22 No.1
현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 효 문화 교육은 예절 위주의 교육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한국 효 문화는 한국인의 삶에서 뗄 수 없는 요소로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교육이다. 또한, 많은 학습자가 케이팝, 한국 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만큼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효 문화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흥미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보다 쉽게 한국 효 문화의 폭넓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한 국의 문화 이해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더욱 접근하기 쉽고, 한국 효 문화 특징이 드러나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mos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cuses on etiquette. However, Korean filial piety culture is an inseparable element in the lives of Koreans and is a necessary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emotions and culture. In addition, as many learners are beginning to become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cultural content such as К-pop and Korean dramas,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 can stimulate interes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among foreign learners. It can be a good educational material. If you use cultural content, you can more easily acquir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which can help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skill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method for educating foreigners on Korean filial piety culture using cultural content that is more accessible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culture.
김은주 ( Kim Eun-joo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지방자치화시대가 시작된 1990년대 지방경제의 큰 보탬이 되고, 지역주민들과 화합을 위하여 지역축제가 전국적으로 개발되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큰 동력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소재발굴과 자원화를 위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 강원도 영월에서도 지역의 특성을 살린 인물을 자원화하여 지역을 홍보하고 주민들의 소득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축제를 시행해오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김삿갓문화제이다. 영월은 김삿갓시인의 문학적 가치와 한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김삿갓문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인물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관광상품이 전국적으로 개발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김삿갓 자원을 문화콘텐즈화하여 지역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김삿갓문화제가 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김삿갓문화제의 활성화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삿갓문학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둘째, 김삿갓문화제의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셋째, 김삿갓문화제의 홍보를 장기적으로 추진한다. In 1995,the local autonomy system began, and the regional festival was developed nationwide to prepare a place for harmony and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Regional festivals are a great driving force to lead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so local governments actively use it to find and resources new materials. In this situation, in Yeongwol, Gangwon -do, it has been implementing a festival that can promote the region and increase the income of residents by volunteer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ne of them is the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Yeongwol is holding the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to promote the literary value of the poet and the excellence of the poem. At this point when various tourism products using character resources are being developed nationwide, it should be a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that can create the added value of the region by cultural contents of Kim Sak-Kat resources. The specific way to revitalize the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is as follows. First, we will promote various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Kim Sak-Kat Literature Museum. Second, we must set a clear goal of the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Third, it will promote the promotion of the Kim Sak-Kat Cultural Festival in the long run.
김윤희 ( Kim Yun-hee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국내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정부와 유입문제가 국가의 의제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의제로 변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관점에서 이민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역 내 외국인주민의 정주화 현상을 지역 내 체류비자별 거주현황을 통해 분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산업구조를 파악하고 노동수요를 확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이민정책은 인구소멸과 관계없이 추진되고 외국인주민의 특수성을 수용하는 인식개선 정책과 함께 하여 공생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과 지역주민의 공존과 소통이 부재한 이민정책은 지역의 체류관리 비용부담만 가중시킨다. 앞으로 외국인주민이 지속적으로 살고 싶은 소통과 공존의 지역이 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선행되고 어떤 조건이 필요할 것인지 지역사회가 적극 논의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on how immigration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ies. The issue of settlement and the inflow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s changing from the national agenda to the agenda of local governments. The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in the region must be analyzed through the residence status to establish and promote immigration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confirm labor demand to encourage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existence with policies to improve awareness that accepts foreign residents' specificity and promote regional immigration policies regardless of population extinction. Immigration policies that lack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foreigners and residents only increase the burden of local stay management costs. The local community should actively discuss what kind of efforts to precede and what conditions will be needed to become an area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where foreign residents want to live continuousl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