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KJ법을 통한 사례 연구

        박애스더,서은숙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analyzing 322 middle school students’ free writing answ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year according to the KJ method, thre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Educational Deman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367 labels. The sub-content of the groups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Content” was largely composed of “Multicultural Acceptance Development, “Acquisi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iv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building Ability.” Seco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Negative” and “Posi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negativ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xceeded the positive. Third, the “Demand fo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man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 a minor opinions who are “Opposing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sumers.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받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유기술 답변을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내용’, ‘평가’, ‘요구’라는 총 3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각 그룹의 구성 내용을 보면 첫째, 교육 내용은 ‘다문화수용 태도 계발’, ‘지식 정보 습득’, ‘긍정적인 관계형성능력 함양’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에 대한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상회하였다. 셋째, 교육에 대한 요구는‘교육의 변화’, ‘교육 기회 증진’이 도출되었고 교육의 확대를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교 다문화교육 개선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다문화교육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조만준 ( Man-joon Ch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한국 사회는 새로이 유입된 결혼이민자, 유학생, 이주 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구성원들로 인해 다방면에서 사회통합과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이 다문화라는 새로운 현실은 기존의 통일 담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통일의식이 갈수록 약화되는 즈음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통일 준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통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시했다. 3장은 다문화 사회의 통일교육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4장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 현주소를 진단했다. 5장은 기독교 통일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다.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기독교 통일교육은 지금까지의 남북 간의 적대의식과 대결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새로운 시대를 향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기독교 통일교육은 그동안 강조되었던 민족과 당위적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기독교의 본래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성경의 보편적 가치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 사회적인 공감대와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패러다임의 변화가 다가올 통일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 Due to the flow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society is facing an urgent call for multi-cultural policies aiming for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in many aspects. This new reality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a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In the time when Christians' awareness on social unification is weakening, this study sought ways to vitaliz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process that prepares social unifi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writer suggested some practical ways to conduct Christian unification eduction. As fo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chapter 2 deals with the change in the previous discourse on unification as the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cultural. Chapter 3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ith an analysis. Chapter 4 suggests an alternative for vitalizing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should be directed toward a path overcoming the pre-existing confront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or this new era.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step further than the previous cause underlining ethnic ties; it should practice the universal value of the Bible, the Christians' role as a world citizen, forming a social consensus and integration. By doing so, the original callings for Christians will be achieved. It is hoped that this new approach and a paradigm shift in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serve as a stimuli advancing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용 ( Ki Yo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된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한 향후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함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 검토의 과정,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확정된 430명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 척도의 하위요인 및 설문문항은 다문화 기술(요인1, 9문항), 다문화 태도(요인2, 9문항), 다문화 지식(요인3, 6문항) 등의총 3개 하위요인과 24개 문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둘째,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 Cronbach’s  값이 .96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척도는 신뢰롭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잠재변인과 측정변인 간 모든 경로계수가 p=.00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C.R. 값도 1.965이상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078, IFI=.904, TLI=.901, CFI=.904로서, 모든 값이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신뢰롭고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its significance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cult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afterwards by verifying the developed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literature analysis, expert examination, and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employed. Especiall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43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gain detail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main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s subfactors and survey questions were finally fixed as total 3 subfactors and 24 questions: multicultural skills (factor 1, 9 questions), multicultural attitudes (factor 2, 9 questions), and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 3, 6 ques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value was found to be very high as .960, so the scale of this study can be regarded reliab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l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0, and all the C.R. valu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s higher than 1.965. Also, about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RMSEA=.078, IFI=.904, TLI=.901, and CFI=.904, so all the values satisfy the goodness-of-fit level favorably. In other words,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 developed here can be considered as a tool that can meas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y reliably and validl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사회정체성과 우울

        송영호,최영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 adaptation and social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entry status. To do this, we used data from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leased in 2015,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Tobi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from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16.8% for general multicultural youths and 22.1% for middle-entry adolescents. In bilingual adaptation, both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immigrant adolescents take the largest share of Korean language (76.2% of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46.9% of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who are better than parents of migrant backgrounds. The level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was 10% higher than that of middle - aged adolescents i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number of admitted middle - aged adolescents (18%)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12%). The effect of social identity was positive in both general self - esteem and self - 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ther words, due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igratory background, general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middle adolescent adolescents differed. Based on this, I suggested policy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이중언어적응 및 사회정체성과 우울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고, 중도입국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2015년 발표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지난 1년 동안 우울을 지속적으로 2주 이상 경험한 비율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이 16.8%, 중도입국청소년 22.1%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더욱 열악하다. 이중언어적응은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과 중도입국청소년 모두 한국어를 이주배경 부모의 언어보다 잘하는 유형(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76.2%, 중도입국청소년46.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사회문화적응 수준은 통합형 유형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이 중도입국 청소년보다 10% 가량 많았고, 주변화는 중도입국청소년(18.%)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12%)보다 다소 많았다. 사회정체성에 따른 영향은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자부심이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인 반면 중도입국 청소년은 자아존중감만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즉 이주 배경에 따른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이 차이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 구성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승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cultural identity affect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1,197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5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re,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The higher multicultural identity is,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is. On the other hand, having higher Korean culture oriented identity causes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policy improvements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of mul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화정체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5차 연도(2015) 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1,197명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외국부모문화정체성과 한국문화정체성의 통합적 형태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역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 제고 방안: 환경과의 관계관리를 통한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이혜경 ( Hye Kyoung Lee ),남기범 ( Kibum Na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이 논문은 환경과 다문화사회전문가의 관계관리를 통한 성장전략을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이 이미 경험해 온 바와 같이 한국도 체류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우리사회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이러한 선택은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였고 결과적으로 이민자 유입국으로 분류되기에 이르렀다. 단기간의 급속한 환경변화로 인해 사회 각 분야에서는 다양한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자 민간 전문인력을 국가 차원에서 양성하여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 여러 부처에서 양성하고 있는 다문화사회 관련 전문인력 중 대표적인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정책인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발전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연구방법은 Ⅱ장에서 관련문헌의 탐색을 통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Ⅲ장에서는 전반적인 조사결과 및 면접조사를 환경관리전략 분석틀에 적용하여 대안 개발을 시도하였다. 사회적 요구에 의해 도입된 정책수단이 사회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제공하는 환경의 양상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본고는 환경을 관리하는 전략의 차원에서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를 ⅰ)전략적 운용, ⅱ)독자적 전략, ⅲ)협력적 전략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바람직한 역할제고 방안들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진정한 다문화사회에 도달하기 위해 수립된 대표적인 전문인력 정책인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가 정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잘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중간평가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고는 현장과 환경을 접목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제도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overlook the strategic approach for develop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management of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Korea is now changing into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resident aliens is rapidly increasing, just like most western countries have already experienced. Our choice to resolve our society``s structural imbalance has caused the unexpected other various changes and Korea has been classed as the country influx of the immigrants. These environmental changes happened for very short period of time are expected to cause other different conflicts in many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In order to respond to the different social requests, the government has trained many non-governmental professionals at the state level and utilized them at the related policies. We considered the features of the representative professional multicultural manpower training and its practical use of policy;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And we wanted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from the interactive point with the environment. As the research methods, theoretical review through a research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were done in chapter Ⅱ. Then, we applied the results of the overall research and the interview survey for analytic fram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and tried to develop the alternatives in chapter Ⅲ. In order for the policy which was introduced by the social consensus to satisfy the social demand, we have to manage the complexion of the circumstances. Therefore, from the point of strategy managing the environment, we``d like to divide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into 3 areas; first, strategic management, second, independent strategy, third, cooperative strategy, and to analyze them and concrete shape to the way to improve the role. When we need the interim evaluation to see whether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works well as the representative professional manpower policy whose aim is to reach the genuine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way it draws the approach for the system growth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grafted onto the field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 교양강좌 개설의 근거와 요건 탐색

        박희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requirements for designing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mission and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s missio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sign of undergraduat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discussions on global citizenship 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in the multicultural era were examined. Next, by examining at what level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is understood and implemented, in terms of the system, the cognitive level(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affective level(change of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and the practical level( solidarity and growth), a step-by-step approach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and a multicultural-friendly attitude of instructors and requirements for lecture culture in terms of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i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undergraduate liberal arts courses as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토대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과 실제적 요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명이라는 맥락에서 시민교육의 사명과 지향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의 조건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강좌 설계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다문화교육의 목표로서의 세계시민성 논의와 다문화시대 시민성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교육의 영역이 어떠한 차원에서 이해되고 실행되는지 검토하여, 체계의 측면에서는 인지적 차원(지식과 정보), 정의적 차원(소통, 성찰을 통한 가치와 태도변화), 실천적 차원(연대와 성장)으로 구성된 모델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단계적 접근 모델을, 운영 측면에서는 다문화친화적 교수자의 태도와 강좌문화의 요건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다문화시대 시민교육으로서 학부 교양강좌를 설계와 개설, 실행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육 자본화를 위한 다문화 범주화와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1

        This study is performed for the multi-cultural household teenagers to know how they accept multi-culture, the level of their acceptance, and the ways of educationally developing them for educational capitalization.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with free writing technique,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in cultural are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teenagers don't feel negative toward being categorized as multi-cultural, and the level of their accepting multi-culture is very high. To make the multi-cultural teenage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capital, it had better to focus on their personal global links and potential assets supporting age-customized policies, instead of the present additional "multi-cultural" support, and to educate their parents with proper parenta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have programs for Koreans to make them global citizens to shy away from the stereotypical and one-side view against those from third countries.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출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다문화로 범주화 되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또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들을 인적 자원으로서 교육 자본화 할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문화영역분석의 자유기술 기법과 심층면담, 관찰을 통한 분석적 귀납이 차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다문화’로 호칭하고 범주화 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이지 않았으며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통한 교육 자본화를 위해서는 다문화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글로벌 연결고리들을 활용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나이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다문화 가정을 이룬 부모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모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글로벌 시민교육이 진행되어 아직도 남아있는 출신 국에 따라 달리 바라보고 행동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이 사라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채지은 ( Ji Eun Chae ),조몽적 ( Mengdi Zha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최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학교적응을 돕고자 다문화가정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 규모, 본인과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정도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호기심, 대인관계, 낙관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통제, 활력성, 대인관계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자아탄력성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school adaptation to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emphasized rec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aptation to help stabl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5th year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y group in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ea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live,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of themselves and their foreign parent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oreign parents. Seco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ontrol, vitality,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m,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ilience. Third, the lower the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vit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s a lower factor of ego-resilience, the better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as the highest in ego-resilience, followed by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thesis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help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현,조성희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from a family syste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data from 1,017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8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affects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were found to affect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parents and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 way to increase the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 가족 체계의 관점에서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청소년패널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청소년 1,01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는 부분매개효과가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태도를 향상시키고,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