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교원양성교육의 변화 요구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편 시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송영민 ( Young Min Song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초등교원양성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 그리고 국내외 각 대학 교과정의 사례에 입각하여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시안을 서울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제시하는데에 있다. 최근의 초등교원양성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는 ‘연계’, ‘융.복합’, 통합이라는 용어로 집약된다. 한편, 국내 대학의 경우 교양교육과정에서는 ‘역량’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학문 영역이 분류되고 있고, 전공교육에서 교과목 선택의 개방성 확대, 졸업이수 학점의 축소, 졸업을 위한 비학점 프로그램의 증가 등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외 대학의 경우, 전공과목의 선택 자율성 존중, 교과목 사이의 연계성 강화 및 전문지식 습득 시스템의 구축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 사항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개편의 일반 원칙으로서 교양과정 구분 체계의 확립, 선택과목의 확대, 전공과정 및 전공심화과정의 개방성 확대, 졸업이수 학점의 적정화, 졸업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의 도입 등 다섯 가지를 제안하고, 그에 따라 교양교육과정의 구성 원칙과 개편 시안, 그리고 전공교육과정의 구성 원칙과 개편 시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raft plan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based on the request of change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oday, the cases of curricula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First, the concept of ``connection`` or ``integration`` of curriculum shows the main request of change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oday. Second, in the case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domains of knowledge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oundation``, ``core``, ``general``, according to the concept of human ``capacity``. The main characteristics in major education are expansion of option in curriculum subjects, reduction of credits for graduation, and increase of noncredit program. Thir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n foreign universities are expansion of option in major education, to strength connection of curriculum subjects, buildup of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system, and so on. Based on all of the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general principles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S.N.U.E., 1) formulation of division system in general education, 2) expansion of elective courses, 3) expansion of option in major education, 4) rationalization of credits for graduation, 5) introduction of noncredit or extra program; and furthermore we propose the organization principle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majo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raft plan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방안 연구

        이상원 ( Sang Won Lee ),김종우 ( Jong Woo Kim ),김이성 ( Yi S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연수,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학교 교육 여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국내외 관련 기관 및 국가의 온라인을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은 각 분야별(예비교사, 현직 초등교사, 현직 중등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에 대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 개발은 교수, 중등 환경 담당 교사, 초등학교 교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에 의해 설문 조사 문항의 시안을 개발한 다음, 연구진 간의 내부 교차 검토 및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비교·검토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향과 내용 분석을 위한 연구진 및 전문가 워크숍 개최하였으며,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과 협조하여 중간보고 세미나 및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목표(1개), 추진 전략(5개), 추진 영역(3개) 및 추진 과제 예시(10개)를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체계적인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향후 보다 구체적인 단기, 중기, 장기의 정책 로드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licy plan of low carbon green growth for students of schools in Seoul area. As methodology, th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f related research, surveys, several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experts` workshops. Through this research, we derived one aim, five strategie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which can promote green growth. The policy aim is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apacity for participating green life``. The strategies to promote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to enforce pre-teacher educ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school curriculum reform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construct school facilities of classroom and school ground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could promote green growth, we established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desig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we derived ten detail subjects which can support these them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y, which can encourage schools and student to participate in building sustainable society, it should be suggested that more detail and short term/middle term/long term education strategy plans for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essential.

      • KCI등재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 탐색

        지준호 ( Chun Ho Chi ),김성식 ( Sung Sik Kim ),이병규 ( Byung Kyu Lee ),김선혜 ( Sun Hye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다변화 사회에 고등교육의 개혁에 대한 요구를 교육대학교의 교사교육 개혁과 관련지어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델 개발을 위한 준거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교육대학교의 최근10여 년간의 장단기 발전계획 및 교육과학기술부와의 MOU 특성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모델은 교육대학교의 역량 강화 및 교사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초등교육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크게 4대 과제, 즉 비사범계 전공 설치,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학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이들 3대 영역을 지원하는 조직 체제 구축을 핵심 영역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교육``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발전 모델은 서울교육대학교가 처한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을 극복하고 대학 안정화 및 내실화를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준거 및 계획 실행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교사양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물론, 각 교육대학교의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 및 교원양성대학교 특성화 추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ducation-based development model for reform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social demands on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has constructed basic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model through analyzing the development pla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and the memorandum made recently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hould be focused on goals such as building of educational capability, assurance of teachers quality, and eventually innov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realize these goals, four key strategies were suggested: initiation of non-teacher training program, opening of a doctor`s course, operation of various student`s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onal support system. The suggested education-specialized development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to overcome challenges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ever faced with. And it will be also used as a reference document for a new plan of raising quality of teachers.

      • KCI등재

        교육대학 신입생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2013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광수 ( Kwang Soo Kim ),김현령 ( Hyun Ry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최근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및 교직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교육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특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 학생들의 변화하는 특성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초등교원 양성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생지도 방안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1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와 과거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입생 중 재수생의 비율이 급증하고 있고, 좋은 가정배경 및 학업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재들이 더 많이 입학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들은 적성 및 진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entering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of teaching profess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ir views on teaching profession. Researchers expect that the findings can encourage University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curriculu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ra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urvey of entering freshmen in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ers compare the result of 2013 with the pas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repeat examinees have been sharply increased. Also, more outstanding students who have good family backgrounds and academic abilities get in to the university. First year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aptitude and career issues than the past. And they are troubled in time management. With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of Education are being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전문예술교육가(TA) 양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문화재단의 미적체험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확산과 함께 제기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미적체험교육’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초중등생은 물론 전문매개자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독자적인 예술교육 사업 및 연수프로그램 등을 실행해온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TA(Teaching Artist)로 통용되는 전문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교육과 창의성의 접목 및 서울문화재단의 통합예술교육 개념으로 제시된 ‘미적체험교육’의 의미와 연극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전문예술교육가(TA)의 정의 및 덕목, 그리고 국내외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 사례 등을 분석하여 기존의 예술가와 구분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정의와 특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향후 서울문화재단과 같은 공적지원기관 주도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과정의 개요 및 기본적 운영방향에 대한 제언을 통해 우리 교육현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가능성으로 기대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need for a carefully design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arts educators amidst rapidly growing interes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Korea. Among the governmental agencies, in particular, the arts education system of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becomes a prominent case for this study for its wide-range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arts educators and general public as well a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Foundation’s vision of arts education is represented through its unique motto of ‘aesthetic education’, strongly influenced and benchmarked by the practice and philosophy of Lincoln Center Institute in New York City. This study examines the preliminary inquiry as a basis for the Foundation’s Teaching Artists (TA)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areas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and for drama-based arts education. The reviews of modu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arts educators in the U. S. and U. K. follows with a perspective of drawing a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cases. The study then seeks for the working definition of Teaching Artist and proposes some key virtues that the work of TA requires. They are: student/participant-centered approach; emphasis on artistic accessibility over artistic excellence; consciousness, or “wide-awakeness”; and openness and flexibi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of designing guidelines for well-balanced, systemic, and sustainable TA development program for public institution such as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교내 체육시설 활용도 조사

        장용규 ( Yong Kyu Chang ),엄우섭 ( Woo Seob Eom ),김방출 ( Bang Chool Kim ),권순용 ( Sun Yong Kwon ),주은정 ( Eun Jeong Joo ),장신호 ( Shin Ho J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한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교내 체육시설 활용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교육대학교의 구성원 중 34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한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활동의 가치에 대해서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60.6%)가 건강 및 체력 증진을 가장 큰 가치로 인식한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84.1%는 초등학교 교육에 있어서 체육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체육활동이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생활 및 초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이 교사교육 시설로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들이 가장 공감하는 것은 실기수업을 전부 수용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활용 및 복지시설로서 교내 체육 시설에 대한 이용도 및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38.1%가 ``건강 및 체력 증진의 장``을 큰 의미로 인식하였고 전체 33.1%가 ``운동 동아리 활동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대 구성원들의 활발하고 다양한 체육관 이용 실태에도 불구하고 여가 활용 및 복지 시설로서 교내 체육관 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대학교 체육활동의 활성화 및 체육관련 교사교육의 효율성,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복지증대의 측면을 고려할 때 교내 체육 시설의 현대화와 다양한 체육 기구 및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ultie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physical activities and intramural sports facilitie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is research, 340 participants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seoul city were selecte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or values of physical activities, the greater numbers(60.6%)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and the faculties, chose "health and fitness promotion" as the most values. 84.1%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physic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elementary education. Nevertheless, in spite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members` llfe and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elementary education, their satisfaction of the intramural sports facilities appeared very low. The respondents also thought that the gymnasium has difficulty not accommodating the whole practical skill classes. In the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survey category, 38.1 % of all respondents regarded the intramural facilities as a meaningful place of health and fitness promotion. 33.1 % of them perceived them as the club activity spaces. However, in spite of the members` positive and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university intramural activities, their satisfaction level of the facilities use appeared very low in the perspective of leisure and welfare aspects. Considering significant aspects of facilitating physical activities, supporting physical teacher education, and promoting the members` welfare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urgent tasks to modernize the intramural facilities and develop high quality physical programs.

      • KCI등재

        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민관학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김용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최근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은 민관학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과정에서 주체 간 불균형적 권한 및 견해 차이로 인해 민의 주체적 참여에 한계를 보여 왔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 운동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민관학 거버넌스의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을 조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교육운동가는 학교운영위원회 참여를 통해 혁신학교 지정 및 추진, 그리고 초중고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연대함으로써 지역사회 내부에서 조직화를 시작하였다. 이후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 마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중간지원조직과 조직의 조직을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 조직화를 체계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초기에는 민관학 주체 간 견해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마을 강사 연수를 통해 지역사회의 대외적 역량 강화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후 정착기에 이르며 마을교육박람회를 통해 체제 친화적 조직화를 실행하며 학교-지역사회 간의 혁신적인 연결을 통해 지속가능한지역사회 조직화를 모색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를 통해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dependent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olicy has been limited due to unbalanced authority. Accordingly, this study used the community organizing movement theory as an analysis framework to shed light on the community organizing process of public–private governance in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began organizing within the community by designating and promoting innovative schools by participating in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and solidarity through establish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novation clusters. During the full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community organizations were systematized by operating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based on the community village network. Afterward,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voluntarily sought ways to respond by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community by training village instructors. As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reached its settlement stage, sustainable community organization was achieved through innovative connections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by implementing a system-friendly organization through village education fairs. To revitalize public–private–academic governance, program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and the spread of innovation through solidarity with other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Moreover, cooper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linked to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by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by including community education experts along with teachers in the local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의 교육경비보조금 결정요인 분석: 서울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윤홍주 ( Hong Ju Yu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이 연구는 서울시 초등학교의 교육경비보조금 지원 현황을 분석하고, 초등학교에 대한 교육경비보조금 지원여부과 지원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서울시 공·사립 초등학교 593개교 자료와 25개 기초자치단체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과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기초자치단체별로 교육경비보조금 지원율과 지원액에 상당히 크게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학교기본운영비 배분시 교육경비보조금의 일정 규모를 기준재정수입액으로 산정하는 방안 등이를 적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사회적 요인에서는 학교 설립유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적·제도적 요인에서는 의회일치도, 선거 경쟁률, 집권당 여부, 직전 선거출마 등 정치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대체로 부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조례제정 경과연수 등 제도적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재정자주도와 같은 재정능력의 경우 교육경비보조금 지원율과 지원액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예산편성의 점증주의 경향도 확인되었다. 특히 정치적·제도적 요인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향후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trends and determinants of basic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ubsidies. Using 593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and 25 basic local governments`` dat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and hierarchical linea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success rate of getting education subsidies and the amounts of education subsidies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Second, school type in educational and social factors was the dominant factor that determined the education subsidies. And the political factors like affiliation with basic local assembly, election competition rate, governing party, running for office in previous election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subsidies. On the contrary institutional factor like passage years of ordinance was strongly positive. Third,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that represents financial capacity was very strongly positive and also education subsidies in the previous yea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ize of subsidies this year.Further studies like longitudinal model are needed to confirm these conclusions,especially in the domain of politic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 대학의 역할 고찰 -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주 ( Kim Byoung J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장과 확산 과정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논의에서 배제되거나 무관심해왔던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개인이나 단체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던 문화예술교육에서 정책과 실행 사이의 매개자이자 우수 컨텐츠의 개발자로서 대학의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반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확산 과정에서 대학이 상대적으로 주체가 되지 못했던 맥락과 원인에 대해 검토하고, 그 대안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을 분석하였다. 주말예술캠퍼스는 2017년부터 운영되는 사업으로 매년 11개의 예술관련 학과 및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이 지닌 전문성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3년간의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의 목표 및 내용의 검토를 통하여 해당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성장 과정에서 ‘방청객’이나 ‘해설자’의 역할처럼 거리를 두어왔던 대학을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 끌어내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향후 대학이 보다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과 기능을 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이러한 대학들의 역할을 고려할 때, 예술관련 학과 및 예술대학들의 교육과정은 기존의 전문가 양성과정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선될 필요가 높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그동안 주로 추진해온 ‘사업 중심’ 정책 접근의 전환과 방식의 다각화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컨텐츠의 지속성 제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나 사범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대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융합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논의에서 벗어나있던 대학의 역할과 가능성을 재인식하고, 예술대학들의 사회적 역할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nd reflect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during the course of growth and prolifer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To this end, the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contexts why universities failed to play more central role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s the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as a case study for the argument. Weekend Arts Campus Project, operated by Korea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ervices, began in 2017 to support 11 arts universities each year.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evelop and implement high-quality arts education programs by using university’s artistic expertise and human/material resources. The study examines and discusses the attainments and challenges of the projec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has contributed to put the universities back on the center stag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otherwise have been limited to roles as ‘audience’ or ‘commentator’ off the stage. This may become an opportunity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niversiti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considering the universities’ roles, the curriculum of arts universities need to be modified and revised in the light of current social needs and paradigm shift. Third, the conventional ‘project-based’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needs to find other ways to diversify and to ensure sustainability. And finall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ll be benefited from including diverse partners such as universities of education, as those universities would be more useful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rts integrated programs in and beyond the school.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may inspire further discussions and actions from the arts universities whose recognition of their social roles and obliga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changing paradigms, can be a crucial point in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권의식 및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에 관한 인식

        이주한 ( Ju Ha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권의식과 교육대학의 인권보장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교육대학 학생들의 일반적 인권에 대한 의식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에 대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일반적 인권에 대한 의식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종합대학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인권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일반적 인권 전체에 대해 학년 간, 학교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로는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의식수준을 보였다. 둘째,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 실태에 대한 교육대학 학생들의 인식은 보통 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기대에 비해 교육대학의 인권환경 혹은 인권보장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별 통계적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별,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대학 내 인권보장 실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교육대학에서의 인권침해는 주로 학생과 학생 사이에서, 교수와 학생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고,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대학에서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바 인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대학에서 인권교육을 한층 더 강화해야 하며, 대학의 환경을 인권 친화적으로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s and their perception of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65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rom 5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s is above average and higher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ades, universities but is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ex;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is below the average. This result means human rights guarantee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falls short of their expectations.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but is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ex, grades; male students and the lower grade students perceive human rights guarantee negatively than female students and higher grade students. Also, a human-rights violations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arise between students,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main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and expended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education and life environment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must be improved more human rights-frien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