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관한 연구

        오일석,김성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Korea's legal educ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adapting U.S. style law school system, based on the “Act on Establish and Promote Law Schools”. The 25 law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and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t . However the Act has no provisions or clauses related to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As you know law, librarians are professional experts, who have usually taugh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in the U.S. law schools. They shall have competition in researching legal materials and provide reference services to students, lawyers and faculty members. To be professional experts, they shall study very hard in Library Science and Law. According to recent survey, more than 53% of U.S. law librarians have dual degree in Master of Library Science and Juris Doctor(JD). American Bar Association's guideline on law librarian has required chief law librarian shall have JD degree. Almost all law schools shall prefer the reference law librarian to have JD degree. However in Korea,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aw librarians have not identified. The librarians who work at law school were not educated or trained to be professional experts who can perform and suppor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and who can provide well-researched reference services. Usually Korean law librarians, who had worked at same university libraries of law school, were just dispatched by the order of university author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articles arguing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However these articles are with the viewpoint from librarian science, just comparing degrees that law librarians shall have to take. There was no legal article which focus on these issues. The purpose of Korea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is to educate qualified lawyers. As you know the education of qualified lawyers shall start with legal research, which shall be taught by well educated and trained law librarians. Therefore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shall be a nationwide issued leading the success of law school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Bar Association,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cooperate to establish and fulfil their roles related to this project. Especially National Assembly Library, which has educated on ‘legal research’ to diverse governmental officers and provided reference services to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shall establish an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to train and educate law librarian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we shall propose following amendment clauses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law librarians: Paragraph 2 of Article 6 of “Library Act” shall be amended to inserting that the entitlement of law librarian shall be regulated i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e classification and entitlement of law librarians shall be inserted in newly proposed Article 17-2 of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is proposed article shall also contain a provision, the state shall be responsible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the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law library, the number of law librarians working in the libraries, the certification of the law librarians and the certified education center of law librarians shall be described in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of the Act.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be amended to adapting the clause of the certified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우리나라가 법학 교육 방법을 완전히 혁신하여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고,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을 실행한지도 5년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법률정보조사와 법률문장론을 교육․지원하고, 회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학전문사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학위 기준은 없지만, 최근 들어 문헌정보학과 법학학위(Juris Doctor : JD) 모두를 취득한 법학전문사서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법학도서관장이나 회답업무를 수행하는 법학전문사서에 대해서는 법학학위의 취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법학 관련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법률정보조사의 교육을 지원하며 회답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법학전문사서를 단기간에 양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에서 관련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함으로써 실무에 적합한 맞춤형 법학전문사서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바, 다음과 같이 개정(안)을 제시한다. 법학전문사서는 「도서관법」에 따른 사서가 아니라,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서라고 할 수 있으므로, 「도서관법」 제6조 제2항에 ‘다만, 법학전문사서의 자격요건 등에 대해서는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는 단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 제17조의2(법학전문도서관 및 법학전문사서)를 신설하여, 법학전문도서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구분과 자격조건에 대한 근거 규정을 도입하며, 동법 시행령에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을 위한 공인교육기관을 지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국회도서관법」에 따른 국회도서관 직제를 개정하여 국회법률도서관(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의 업무 가운데 하나로 법학전문사서의 육성을 위한 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법학을 전공한 국내외 박사 및 변호사 등 법률정보조사와 관련된 전문인력을 운용하고 있으며, 법률정보 회답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법률정보조사에 대한 강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온, 국회법률도서관이 “(가칭)법학전문사서교육원”을 설립하여 법학전문사서를 육성함으로써 국가 법률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2021년 및 2022년 상반기, 조세법 학계의 동향 분석

        박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조세와 법 Vol.15 No.1

        By summarizing the recent trends in the tax law academia,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erest tax law not only current tax law researchers but also prospectiv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ax law. In particular, it is more meaningful to publish this article in the “TAX and LAW” as a specialized journal of tax law in the university, which was prepared by The University of Seoul when applying for approval as a graduate school specializing in tax law. First, it is about academic activities. Established in 1986, the Korean Tax Law Association held summer and winter academic conferences, joint academic conferences with courts and prosecutors, regular academic conferences, and tax-related joint academic conferences through online and on-site participation eve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rom 2021 to the first half of 2022. In addition, it provides support to the academic community through the regularly awarded Tax Law Culture and New Academic Awards. Seoul Tax Law Review is an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Tax Law Society. In this journal, tax legalism, tax evasion, gift tax comprehensiveism, and software are keywords in 2021, and value-added tax is keywords in 2022. Founded in 1983, the International Fiscal Association, Korea held spring, summer, and winter academic conferences, joint academic conferences with prosecutors, and tax-related joint academic conferences through online and field participation eve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rom 2021 to the first half of 2022. In this journal, the transfer price is a keyword in 2021, and there is no characteristic representative keyword in 2022. Next, it is about a thesis on a doctor's degree in tax law awarded in Korea. Doctorate degrees related to tax law are awarded at various schools in Korea, including Kookmin University, Korea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Some of the specific tax items have been studied, and income tax, corporate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re centered. There are also studies on common issues across various tax items, such as “A Study on Penalties on Fraudulent Acts in the Assessment and Collection of Tax” and “A Study on the Unconstitutional Facts in Real Property Taxation”. Finally, it is about other publications related to tax law. The tax law introduction books are revised almost every year at Park Young-sa. Samil Infomine publishes not only tax law books on individual taxes, but also books on tax laws on relatively various topics. It can be said that the demand for books by law-related people has de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but the fact that various tax law-related books can be released is not just due to the demand of legal experts but also tax practitioners. This article mainly introduced what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d academic journals, degree papers, and books were published. However, a method of grasping these matters was also specifically introduc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not only help the current status of the tax law society, but also help the reader grasp the trends of the tax law academia on their own in the future. <국문초록> 이 글은 최근 조세법 학계의 동향을 정리해 봄으로써 현재 조세법 연구자만이 아니라 조세법에 관심을 갖는 예비연구자들에게 조세법의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서울시립대학교가 조세법 특성화 법학전문대학원으로서 인가신청하면서 준비했던 대학내 조세법 특화된 학술지로서 「조세와법」에 해당 글을 게재함으로써 법학전문대학원의 미래법조인들에게 조세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먼저 학회활동에 대한 것이다. 1986년 설립된 한국세법학회는 하계와 동계의 학술대회, 법원 및 검찰과 공동학술대회, 정기학술대회, 조세관련연합학술대회 등을 2021년부터 2022년 상반기 동안 코로나19 상황하에서도 온라인과 현장참여 등을 통해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정례적인 조세법률문화상, 신진학술상 시상을 통해 학계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세법학회의 학술지인 조세법연구에는 2021년에는 조세법률주의, 조세포탈,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소프트웨어가 키워드이고, 2022년에는 부가가치세가 키워드이다. 1983년 설립된 한국국제조세협회는 춘계, 하계, 동계의 학술대회, 검찰과 공동학술대회, 조세관련연합학술대회 등을 2021년부터 2022년 상반기 동안 코로나19 상황하에서도 온라인과 현장참여 등을 통해 진행한 바 있다. 2021년에는 이전가격이 키워드이고, 2022년에는 특징적인 대표키워드는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국내 조세법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것이다. 조세법 관련 박사학위가 국내 다양한 학교에서 수여되고 있는데, 국민대, 고려대, 경북대, 계명대,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 등이 그 예이다. 특정한 세목중 쟁점을 연구한 것도 있는데,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여러 세목에 걸친 공통된 쟁점을 연구한 것도 있는데, 세법상 부정행위의 제재에 관한 연구, 부동산 세제의 위헌요소에 관한 연구 등이 그 예이다. 마지막으로 조세법 관련 기타 발간물에 대한 것이다. 세법개론서의 성격의 것은 박영사에서 거의 매년 개정판이 나오고 있다. 삼일인포마인의 경우 개별세법에 대한 단행본만 아니라 비교적 다양한 세법에 관한 단행본이 발간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이후 법학 관련자의 책 수요자가 줄어든 측면이 있는데도 다양한 세법 관련 단행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법전공자만이 아니고 세무실무자의 수요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어떠한 학술대회가 있었고 학술지, 학위논문, 단행본 등이 발간되었는지를 소개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항을 파악하는 방법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따라서 단순히 조세법 학회의 현황만이 아니라 독자가 앞으로 조세법 학계의 동향을 스스로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국・공립대학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옥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3

        Nach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wählt Empfehlungsausschuss einen Kandidaten für den Präsident/I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auf eine der Arten von ① Auswahl auf einer Sitzung des Empfehlungsausschusses; ② Auswahl nach den von den Fakultätsmitgliedern der jeweiligen Universität vereinbarten Methoden und Verfahren aus, wie vo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vorgeschrieben. Siese Bestimmung gewährt den nat. Universitäten das Selbstverwaltungsrecht. 04.03.2019. wählen 16 Uni.(42.1%) direkt, und 22 Uni.(57.9%) indirekt Kadidat für Präsident/In. Es ist wichtig, bei der Wahlen die Offenheit und Gerechtigkeit des Verfahrens innerhalb der Universitätaautonomie zu sichern. Wie in der früher Lee, Myungbak Regierung geschehen ist, darf die Regierung Universitäten nicht zu dem Aufgeben der direkten Wahl zwingen, indem sie die Wahlart mit der Regierungsfinanzierung im Zusammenhang bringt. Bei der Auslegung des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sind insbesondere die teleologische und systematishe Interpretationsmethode zu achten. Wählt eine Uni. direkte Wahl, die als Uni.-Demokratiesierung im Jahr 1987 ein Kernissue von Universitäten war, ist es zu beobachten, zwischen den Universitätsmitglied auf Grund des Wertes der Abstimmung. Die Lösung befindet sich im Art. 31 Abs, 4 verankerter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m Zusammenhang mit Art. 22 Abs. 1 Wissenschaftsfreiheit. Das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st eine Voraussetzung der Wissenschaftsfreiheit. Universitätsmitglied haben Recht, sich an der Gelegenheit der Uni. inklusive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Aber verfassungsrechtlich ist es undenkbar, die Stimmen von Universitätsmitglied in allen Ausschüssen bei allen Angelegenheiten gleich zu bewerten. Daher haben Professoren bei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über die Mehrheit der Stimmen.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에서 따라 추천위원회는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추천위원회에서 선정하거나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라 선정한다. 동 조항은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있어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019.3.4. 현재 38개 국공립대학교 중 직선제를 통하여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하는 대학은 16개교(42.1%), 간선제로 선정하는 학교는 22개교(57.9%)이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에 있어서 직선의 방식이나 간선의 방식은 모두 장・단점이 나타나는 제도여서 이중 어느 한 제도가 국・공립대학교의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을 위한 이상적인 제도라고 보기는 어렵다. 중요한 것은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교육공무원법상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규정, 대학교의 관련의 학칙 등 관계 법령 등을 합리적으로 정비하여 선정절차의 투명성, 공정성 등을 보장하는 것이다. 직선제를 통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을 하는 경우 과거와 같이 대학에 대학 재정지원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식을 연동하여 직선제 방식을 포기하도록 강제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의 규정들은 헌법상 대학의 자율성보장에 상응하고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과 관련된 규정들의 취지에 맞게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으로 해석・적용될 필요가 있다. 동 규정에 따라 추천위원회는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추천위원회에서의 선정 또는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른 선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총장이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 관련의 학칙을 개정하는 경우, 대학교원의 심의・의결 없이 총장 단독으로 개정하여서는 아니되며, 또한 대학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는 의미를 대학구성원 전체의 의사를 동일하게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른다고 해석하면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른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법의 규정과 모순된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직선제 선정방법을 택하는 경우 각 대학구성원이 행사한 표의 가치평가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헌법상 보장되는 대학자율성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은 대학의 자율의 영역으로서 헌법은 기본권으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이 기본권은 학문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전형적인 주체는 대학, 교수, 교수회 등이고 학생, 직원도 경우에 따라 주체가 될 수 있다. 총장선정은 대학교수의 강학, 연구 등과 밀접하고 이는 학문의 자유를 실질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하여 각 주체가 행사하는 표의 가치평가를 달리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법률가의 길

        하재홍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2

        This article aims to criticize some problem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of lawyers in Korea nowadays. First, some lawyers are mistaken about the nature of lawyers’ ethics on the basis of the dichotomy of law-morality, while others are wrong in judging lawyers’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value relativism or nihilism. In the case of the former, a lawyer’s violation of the ethical code of conduct is not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law but as the object of condemnation; what’s more, the lawyer is indulged in moral hazard to the extent that he enjoys a legal profession free from norms and accordingly he behaves as he wishes. In fact, however, there are certain duties that lawyers should understand fully and practice particularly in their professional capacity. In the case of the latter, a lawyer denies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consensus that is constantly sought after through discussions, however different perceptions of legal ethics are from each other. The reason and need for discussing ethical issues are not because we have already achieved a solid knowledge of ethics, but because we are willing to promote and listen to various opinions. The very process of debate helps us to cultivate ethical sensitivity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building a moral community. Next, we elaborate on the way in which the professional codes of conduct of lawyer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n both American and British cases, lawyers’ ethics regulations become concrete as a result of reflecting lawyers’ experiences including failures. In our case, there have been general statements on the professional ethics of lawyers in accordance with each and different responsibility and yet lacking are specifically detailed rules of professional ethics. Hence, this article proposes such specific ethical duties as professionalism, loyalty, impartiality, and integrity. Above of all, it is necessary to raise ethical sensitivity in legal education as well as in legal practice. 이 글에서는 법률가윤리와 관련한 인식상 오류들을 검토하고, 미국과 영국에서 법률가윤리규정들이 현재의 모습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살펴본 다음, 전문가윤리에서 제안되는 몇 가지 원리적 덕성들을 중심으로 법률가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묘사해 보았다. 먼저 법률가윤리의 성격에 관해 법-도덕의 이원론으로 접근하는 시각과 도덕과 윤리문제를 가치상대주의에서 접근하는 시각을 검토했다. 전자는 윤리위반 행위라도 법적 처벌이 없으면 도덕적 비난을 받는 정도에 불과하다는 관념을 말하는데, 법률가가 자신의 직무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점을 부인하고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이 있다고 이해하는 점에서 오류이다. 후자는 사람마다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이 서로 상이할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 논의를 통해 일정하게 합의가 수렴될 수 있다는 것과 그런 합의점을 토대로 사회가 도덕 공동체로 존립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다. 윤리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이유는 윤리문제에 대해 항상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다양한 의견들을 촉진하고 또 듣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논의과정에서 윤리문제에 대한 감수성이 길러지고 도덕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신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미국과 영국에서 법률가윤리규정들이 성립하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들 사회에서도 오랜 경험과 때로 뼈아픈 실패를 겪으며 법률가윤리 문제를 바라보는 입장이 구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의 경우 현재 각 직역별로 법률가윤리의 대강이 선언되어 있으나 세부적인 규정으로 구체화되지는 못한 단계에 있는데, 이 글에서는 전문성, 충직성, 공평무사성, 통일성 등 전문가윤리의 기본적인 덕성들을 중심으로 법률가윤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 보았다. 앞으로도 법학교육의 현장에서나 법조의 관행에서나 윤리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더 함양되고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서울시 지방세심의위원회제도의 구성과 운영 개선에 관한 소고

        박훈 ( Hun Park ),최천규 ( Choi Cheun-gyu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조세와 법 Vol.1 No.1

        현재 임의적 지방세 불복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지방세심의위원회는 그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독립성과 공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시만의 현상은 아니며 전국의 지방세심의위원회 전반에 걸친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서울시 지방세심의위원회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지방자지단체의 지방세심의위원회 개선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세 구제업무 담당부서와 징수 담당부서를 분리 · 독립시켜야 한다. 우선 서울시 재무국 세제과 내의 이의신청 1팀과 이의신청 2팀을 재무국 심사과로 분리하고, 장기적으로는 재무국으로부터도 완전히 분리 독립하여야 한다. 둘째, 위원구성을 풀제로 운영하여야 한다. 회의 개최 인원은 현행과 같이 15인 이내로 하지만, 위원의 구성 자체는 개최 인원의 3배 이내인 45인 이내로 한다. 이러한 위원 확보를 위해 대한변호사회,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세무사회, 서울소재 대학과 꾸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상임심의위원을 두고 심사담당 공무원을 6인에서 12인으로 늘려 지방세심의위원회를 상설기구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설기구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회의를 3주에 한번이 아닌 격주마다 할 수 있어 사건 처리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복잡한 사인의 경우 1회나마 30일 연장해 줄 여유가 생길 수 있다. 넷째, 심의위원의 제척과 회피, 블고블리와 블이익변경 금지, 사건의 병합과 분리, 질문 · 검사권, 집행부정지 제한 등 납세자보호에 도움을 주는 준 사법적 절차를 보완하는 명문규정을 두어야 한다. The Local Tax Advisory Committee in the Seoul City Government has been operated as an institution in charge of a voluntary objection to the imposition of local tax;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is committee fully ensures the independence and the impartiality in its composition and operation, which impose a concern on not only Seoul City, but other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out a plan to ensure the independent and impartial operation for the Local Tax Advisory Committee of Seoul city, therefore present a paradigm to improve each local tax advisory committee for other local governments. The outline of this improvement plan is as follows: First, a department in charge of local tax relief service and a collection department should be separated, and independent from each other. For instance, Advisory Team 1 and 2 in Tax Department under Finance Division of Seoul City has to be separated and run as an investigation department, and to be completely independent from the Finance Division in the long run. Secondly, a pool system for the committee members should be established; the members on actual duties are under 15 same as at present, however total pool members for the committee are within 45, which is three times more than the members on duty. For this, the ongo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Public Tax Accountants, and the colleges located in Seoul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the local tax advisory committee should be a permanent establishment by placing from 6 to 12 officials in the tax investigation service under the guidance of advisory committee members, which leads to shorten the business processing time by holding a meeting in every other week and grant 30-day extension on complex cases. Fourthly, in order to protect tax-payer’s right, the regulations to complement semi-legal procedures such as case-avoiding, Nemo index sine actore, ban on change of disadvantage, case annex and separation, questioning, investigation authority, and limit on stop of execution should be expressly stipulated in the text.

      • KCI등재

        교수와 대학(원)생의 공동발명 인정과 보상기준에 관한 연구

        권태복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1

        In case where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jointly complete invention substantially, since both of all are to be the joint inventors, the patent right should be obtained by describing names of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in inventor section of patent application, and instead thereof, in case where profit is created through technology transfer of the corresponding patent right etc, proper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rate. However since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have not simple occupational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but have relations of the teacher and student in an academic and a human, it is difficult to assert as the joint inventor in an equal footing. Further since standard of decision whether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substantially complete jointly is not clearly established and also standard of decision on which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contribute in a certain degree to completion of invention thereof is not clearly established, the graduate student does not enjoy right being able to provide proper compensation although the graduate student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completion of invention. Accordingly in case where the graduate student participating in study as an employee of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erforms study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professor and contributes in creation and derivation of invention, standard of decision for recognizing the graduate student as the joint inventor and calculation standard being able to proper compensation are needed to be established. 교수와 대학(원)생이 공동으로 발명을 실질적으로 완성한 경우에는 양자 모두가 공동발명자가 되므로 특허출원서의 발명자란에 교수와 대학(원)생의 이름을 기재하여 특허권을 받아야 하고, 그 대신에 당해 특허권의 기술이전 등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에는 발명의 기여율에 따라 교수와 대학(원)생에게 정당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수와 대학(원)생은 단순한 직업상의 상하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인간적으로 은사와 제자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대등한 위치에서 공동발명자로 주장하기가 어렵다. 즉, 교수와 대학(원)생이 실질적으로 발명을 공동으로 완성하였는지에 대한 판단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고, 또 그 발명의 완성에 교수와 대학(원)생이 각각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였는지에 대한 판단기준도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대학(원)생은 교수와 함께 발명을 실질적으로 완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법에서 규정한 정당한 보상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산학협력단의 피용자로서 연구에 참여한 대학(원)생이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연구를 수행하여 실질적으로 발명의 창안과 도출에 기여한 경우, 그 대학(원)생을 공동발명자로서 인정하기 위한 판단기준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산정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순수법학의 철학적 배경

        권경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29 No.4

        This essay explain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that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Kelsen's pure theory of law. First, in Section 2, we examine psychologism and its reactionary anti-psychologism in order to understand its intellectual backgrounds. In particular, here I show that Kelsen's theoretical starting point lies in this anti-psychologism. Section 3 examines Cohen's theory, whic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elsen. Kelsen emphasized its importance so much that he evaluated his theory as an application of Cohen's Kantian interpretation to positive law. Section 4 examines the social contract theory, which was one of the backgrounds for the conception of the basic norm. And in Section 5, we examine G. E. Moore's ethical theory, which influenced Kelsen's new description of his position by introducing a linguistic turn that dominated the Western philosophy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inally, Section 6 examines H. Vaihinger. Vaihinger continued to influence Kelsen, but Kelsen pondered how to apply his theory to the pure theory of law. 이 글에서는 켈젠의 순수법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 그것이 성립하는 데 영향을 미친 철학적 배경들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제2절에서는 켈젠이 활동했던 시대의 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리학주의와 그에 대한 반동인 반심리학주의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켈젠의 이론적 출발점이 이러한 반심리학주의에 있음을 보여주고 한다. 제3절에서는 켈젠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코헨의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켈젠은 자신의 이론을 코헨의 칸트 해석을 실정법이론에 적용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을 만큼 코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4절에서는 근본규범이라는 개념을 착상하는 데 하나의 배경이 된 사회계약설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5절에서는 켈젠이 1900년대 초중반 철학계를 지배한 언어적 전회를 도입하여 자신의 입장을 새롭게 기술하는 데 영향을 미친 무어(G. E. Moore)의 논의를 살펴본다. 끝으로 제6절에서는 켈젠이 오랜 기간에 걸쳐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태도를 계속해서 바꾸어왔던 바이힝거(H. Vaihinger)의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이탈리아 헌법재판제도에 관한 소고― 대법원의 재판권 행사와 헌법재판소의 사법심사의 조화로운 공존가능성 ―

        김종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Indeed in the Italian legal system the judicial body which has the power to give the fi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the Court of Cassation (the supreme ordinary court). So still faced with the interpretative senten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many cases, the Court of Cassation refuses to conform its jurisprudence to the interpretation given by the constitutional judge. The main du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owever, is to ensure the respect of the rigidity of the Italian Constitution through a differentiated series of attributions that are indicated in art. n° 134 of the Constitution and in art. n° 2 of the constitutional law n° 1 of 1953. Constitutional review, centralized or not, was alien to the Italian legal system.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ttributions is to control the constitutional legitimization of the laws and of those acts that have the validity of State or regional law in order to verify that the regulations contained in the documents do not present formal or substantial mistakes. This control is undertaken considering the dispositions of the constitutional ranking but also the dispositions of the other sources to which the Constitution guarantees a special protection (though this category is not comprehensive of the parliamentary regulations). The Italian Constitutional Court can decide in the sense of illegitimacy of the denounced regulation (accepted sentences) or reject the constitutionality doubts (rejected sentences). Only when the illegitimacy is declared, the sentence has an erga omnes effect and determines the retroactive cancellation of the unconstitutional law, maintaining the no more revocable juridical effects. The action of the Court is often carried out also with sentences that, even maintaining the legislative text intact, have proposed or even imposed to attribute or eliminate from the provision the possibility of a precise unconstitutional application.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given from the resolution of the attribution conflicts between the State and the Regions or between the powers of the State. It is essentially a mean to safeguard or maintain intact the spheres of competence that the Court itself attributes to the different Boards and to the different organs that contribute to the exercise of the public power. The Constitutional Court is also called to evaluate the admissibility of the requests to the abrogative referendums. This means that it verifies if the laws of which the abrogation is requested can be abridged through a referendum as it is foreseen in the art. n° 75 of the Constitution or if the requests are structurally adjudicated to allow a free and aware abrogation, and without damaging other formal or substantial constitutional valu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awyers and constitutional judges involved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first decision are of interest in understanding how the Court’s jurisprudence and Italian constitutional doctrine evolved in harmony to support the institution of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ity in Italy. I explored Italian constitutionality argument system in the literature. Readers may understand a lots of constitutional issues through this piece when confronted with seeking for solutions with conflicts between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is is first work argued in Italian judicial review and searched in constitutional court background of Italy. 이탈리아는 1948년 공화국 헌법을 제정하였고, 여기에는 헌법재판소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1953년 헌법재판소법과 기타 법률을 통하여 헌법재판소에 관한 규정을 완성하였다. 1955년에는 헌법재판소 전원재판관을 구성하였고, 1956년 4월 헌법재판소의 최초변론이 실시되었다. 이탈리아는 헌법재판소 제도에 관한 역사가 우리나라보다 30여년이 앞설 뿐만 아니라 우리와는 다른 제도를 채택하고 있어서 비교법적 연구를 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는 헌법재판소장(President), 부소장(Vice-President)을 포함하여 15인의 재판관(Judge)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판관은 대통령, 국회(양원합동 회의) 및 사법부(대법원 3인, 국가자문위원회 1인, 회계감사원 1인으로 구성되는 재판관선출위원회)에서 각각 5인씩 선출된다. 재판관의 임기는 9년이며 중임이 불가하다. 헌법재판소장은 재판관 중에서 호선하며, 임기는 3년이다. 헌법재판소장이 임명하는 1인 또는 2인의 부소장은 헌법재판소장 부재시 헌법재판소장을 대행한다. 재판관의 자격은 대법원, 국가자문위원회(행정재판소 해당) 또는 회계감사원의 전․현직 재판관, 법학교수, 20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가진 변호사 중에서 선임한다.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는 법령(법률과 국가 및 지방정부의 법규명령)의 위헌여부를 심판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지방정부 상호 간의 권한쟁의심판도 담당하며 대통령 탄핵심판을 담당한다. 국민의 법령폐기를 위한 국민투표 요구의 합헌성 심판을 담당하는데 이태리 헌법 제75조에 의하여 500,000명 이상의 선거권자나 5개 이상의 지방의회가 공동으로 법령(세법, 예산법, 국제조약 비준, 법률 및 사면법을 제외한다)의 폐기를 위한 국민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 위헌법률심판은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될 경우에 직권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만이 청구할 수 있다. 사건의 심리는 주요사건의 경우 변론(public hearing)을 행하고 경미한 사건은 비공개 평의(closed session)만을 거쳐 결정(변론을 행하는 사건은 전체 사건의 약 1/3 정도임)한다. 헌법재판소장은 사건별로 주심(rapporter)재판관을 지정하며, 주심재판관은 평의에서의 사건보고 및 결정문작성 등을 담당한다. 심판사건의 결정문은 재판관 전원이 합의(동수인 경우 재판소장이 결정)한 단일한 결정으로 이루어지며, 반대의견이나 개별의견을 표시할 수 없고 찬반재판관 인원수의 공개도 금지된다. 다수재판관과 의견을 달리하여도 원칙적으로 주심재판관이 결정문을 작성한다. 대통령 탄핵사건은 재판관과 더불어 상원의원 피선거권이 있는 자 중에서 의회가 선출한 16명의 일반국민이 함께 결정한다. 이탈리아 헌법재판과 관련된 제도는 다양한 쟁점을 포함하고 있어서 한정된 지면의 작은 논문에 모든 내용을 포섭할 수 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제도의 일반적인 사항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가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제도의 이해를 시작하는 단초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인권센터의 심사기준으로서 기본권의 기능

        장영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3

        Diese Arbeit befasst sich mit den Grundrechtsfunktionen als Prüfungsmaßstab der Menschenrechtsschutzzentrum an der Universität. Universität ist Träger der Wissenschaftsfreiheit bzw. Hochschulautonomie. Der Schutzbereich der Wissenschaftsfreiheit, insbesondere Forschung und Lehre können nicht nur von staatlichen oder gesellschaflichen Kräfte, sondern auch innerhalb der Universität zwischen ihren Mitgliedern bedroht werden. In diesem Zusammenhang ist zu beachten, dass der Wissenschaftsfreiheit mittelbare Drittwirkung zukommen kann. Ein Universitätsmitglied, das durch ein anderes in seiner Grundrechtswahrnehmung beeinträchtigt wird, hat ein Anspruch auf Schutz beim Menschenrechtsschutzzentrum, der als öffentlch-rechtliche Körperschaft gegenüber ihren Mitgliedern grundrechtsverpflichtet. Grundrechte als ein Menschenrecht in der positivrechtlichen Verfassung sind der Prüfungsmaßstab der Universitätswirren zwischen ihren Mitgliedern beim Menschenrechtsschutzzentrum. Die Grundrechte sind abstrakt gefasst, lapidar formuliert und nur unvollständig auf Verfassungsebene geregelt: rechtstechnische Torso, die der Vervollständigung durch einfaches Recht bedürfen. Dieses Recht ist der haupte Prüfungsmaßstab der Universitätswirren beim Menschenrechtsschutzzentrum an der Universität, ist das Grundrecht jedoch der ergänzte. In diesem Sinne gliedert sich diese Arbeit aus vier Teile. Im ersten sind die verfassungsrechtlichen Status von Universität und ihren Mitgliedern erörtert, im zweiten die Unterscheidung zwischen Grundrechte und Menschenrecht im allgemeinen betrachtet, im dritten die Funktionen der Grundrechte zur Positivität und Überpositivität, Abwehrrecht und anderen objektiven Dimensionen besprochen. Im letzten Teil sind die Lösungfälle gezeigt, dass Grundrechte als Prüfungsmaßstab der Menschenrechtsschutzzentrum beim Grundrechtskonflikt zwischen ihren Mitgliedern praktisch ist. 이 연구는 내년부터 개정고등교육법에 의하여 모든 대학에 설치될 인권센터의 심사기준으로 구체화된 인권으로서 기본권의 기능적 유용성을 이론과 구체적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는 목적을 갖는다. 대학은 구금시설이나 군대와 달리 상하종속관계보다는 교직원과 학생간의 수평적인 대등관계에서 학문의 자유를 향유하는 자치기관이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인권충돌의 해결방안도 일방적인 인권보호의무를 지는 국가기관과 달리 대학 구성원들간에 규범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통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학에서 인권충돌은 교직원과 학생간의 기본권의 간접적 대사인적 효력의 문제로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와 대학당국은 기본권을 법령과 학칙 등 규범으로 구체화하여야 한다. 인권센터는 이를 기준으로 인권충돌을 해결하고 보충적으로 기본권해석방법을 동원하여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는 먼저 대학과 그 구성원인 교수, 직원, 대학생과 인권센터의 헌법적 지위를 논하고 인권센터의 심사기준으로 인권과 기본권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대학에서 인권침해판단기준으로서 기본권의 자연권성과 실정권성 등 그 기능을 제시한 후 마지막으로 인권침해의 심사기준으로 기본권의 기능을 적용한 구체적 사례의 해결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근대 유럽법사에 있어서 이성의 발전― 자연법으로부터 계몽시대를 거쳐 법전편찬으로 ―

        성중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In der Rechtsgeschichte Europas trat die Naturrechtslehre der Neuzeit (Vernunftsrecht) als eine der Hauptströmungen mit einem völlig anderen Antlitz als in der Vergangenheit auf. Die Naturrechtslehre der Neuzeit nutzt die Vernunft, die konkrete Menschen besitzen sollen, als Postulat für unterschiedliche rechtliche Urteile. Der Aufklärung war sozusagen kontinuierliche Kämpfe gegen Tradition bzw. wissenschaftliche Autorität, Glaubensinhalte bzw. überlieferte Wissensbestände und fungierte als Prüfstein für Richtigkeit des Rechts bzw. Geschichtlichkeit der alten Instituten. Letztlich war die naturrechtliche Kodifikation die Frucht der langjährigen intellektuellen Auseinandersetzungen mit dem Naturrecht. Diese drei Begriffe sind gar nicht voneinander gelöst: das heisst, die Naturrechtslehre, die von der Antike durch das Mittelalter bis zur Neuzeit feindlichste Herausforderungen überlebt hat, konnte aus den Gedanken der Gelehrten herauskommen, als sie den für die Rechtspraxis bedeutenden Aufklärung erlebte und rezipierte. Endlich haben aufgeklärte absolute Monarchen die Ergebnisse der vernünftigen Widmung des Zeitalters in ihren Gesetzbüchern festgelegt. 유럽법의 역사에서 하나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 자연법론은 근대에 고대와 중세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근대 자연법론은 인간이성을 모든 법적 판단의 공준으로 이용하면서, 개개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성을 전면에 등장시켰다. 계몽주의란 전통이나 학문적 권위, 신앙의 내용이나 전래된 지식, 법의 합법성이나 제도의 역사성과의 지적 대결 자체이다.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모든 것을 이성에 의하여 검토하였다. 자연법에 기초한 법전편찬이란 유럽 각지에서 이루어졌던 자연법론의 결실 중 하나이다. 자연법론, 계몽주의, 법전편찬 이 세 가지 개념들이 서로 무관한 상태에서 따로 논 것은 아니었다. 즉 고대로부터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진 자연법론은 사상가들의 활력 없는 사고 속에서만 머물러 있을 수도 있었지만, 계몽주의와 조우하게 됨으로써 비로소 우리에게 중요한 실무법학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었고, 결국 계몽주의의 절대군주들을 만나게 되면서 법전에 고착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시기에 자연법론과 실무법학 사이에는 좁힐 수 없는 평행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둘의 진지한 결합이 바로 계몽시기에 시도되었고 우리의 법도 아직 그 시대의 유산으로부터 양분을 섭취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