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은 어떻게 비판이 되었는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 파레시아에 대한 푸코의 고찰

        박수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3 No.-

        Foucault suggests that political parrēsia as a practical principle of Athenian democrac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hilosophical ethics in the works of Plato. He reconstructs the changes that this shift effected in the practice and discourse of philosophy in his 1983 and 1984 Collége de France lectures. This paper conducts a survey of his interpretation of (1) Socrates’ Apology, Laches and Phaedo,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Socratic form of parrēsia, and (2) Seventh Letter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Platonic form of parrēsia. Foucault’s reconstruction of Socratic and Platonic philosophy as a practice of parrēsia effectively demonstrates Foucault’s own idea of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ruth and liberty in his own philosophical practice. This effect is brought forth by Foucault’s restoration of the ancient philosophy conceived and lived as a form of life that is devoted to epimeleia heautou (care of self in relation to truth), as well as his consistent reliance on the Nietzschean notion of truth and power. 푸코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 발견하는 소크라테스적 삶의 태도와 플라톤적 지적 수련의 방법을 ‘파레시아’ 개념을 통해서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신이 서양 철학 전통의 양대 줄기로 제시하는 진실의 분석학과 비판 중 후자, 즉 비판으로서의 철학의 계보학적 시점(始點)을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찾는다. 플라톤의 저작들을 ‘파레시아의 철학화’, 혹은 비판으로서의 철학이라는 삶의 방식에 관한 사유가 발생하는 사건의 장으로 읽는 푸코의 독해는 (1) 고전기 아테네의 정치적 파레시아를 ‘진실의 용기’로 재규정하는 독창적 시도, (2) 진실의 용기를 고대 철학의 ‘자기 배려’ 윤리의 맥락에 위치지우는 분석의 관점, (3) 진실, 권력, 주체에 대한 특유의 니체적 관점의 고수를 포괄하는 입체적 구조를 갖고 있다. 푸코의 플라톤 독해의 입체성에 세심히 주목할 때, 푸코가 제시하는 파레시아 윤리가 ‘철학적 비판’의 이름으로, 우리의 역사적 현재에 대한 성찰을 통해 지금과 다른 사유와 행동을 생산할 수 있는, 창조적 저항의 삶을 호출하고 있다는 점이 보다 분명해진다. 이는 의무나 본질이 아닌 자유의 활용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다.

      • KCI등재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최고선에 관하여』

        손은실(Son, Eun-S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이 글은 오랫동안 13세기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알려져 온 보에티우스의『최고선에 관하여』라는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중세철학 연구의 수많은 거장들이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소책자를 연구하였지만 이 작품의 성격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된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책의 관점이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는가 아닌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책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가 혹은 철학의 학문적 자율성을 방어하는 것인가 아니면 신앙 차원의 논의를 포함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 작품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 것이고 이 작품에서 전개된 보에티우스의 행복론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지 않음을 규명한다. 그의 행복론은 물론 당시 회자되던 아리스토텔레스-아랍 철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리스도교 행복론과 충돌하는 아베로에스의 행복론을 수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에티우스의 작품을 겨냥한 1277년 단죄 조항도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평가한 기존의 해석도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기초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최고선에 관하여』가 쓰여진 시대의 역사적 배경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아랍 철학자들의 주석과 함께 라틴 그리스도교 사회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최고선에 대한 이해 문제가 철학과 신학 사이에 긴장을 야기하는 쟁점이 되었음을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De summo bono of Boethius of Dacia, which has been known as the model text of the concept of happiness of the thirteenth-century Latin Averroism. Though numerous scholars of medieval philosophy have already worked on this treatise, its nature is the object of controversy as ever. There are two principal issues. One is whether the viewpoint of this treatise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or not. The other is whether this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defends the scientific autonomy of philosophy, or includes theological discuss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in nature and does not conflict with Christian beliefs. The eudaemonics of Boethius underwent the influence of Aristotelico-Arab philosophy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but Boethius did not accommodate the eudaemonics of Averroes, which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neither the Condemnation of 1277 nor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treatise as the model text of the eudaemonics of Latin Averroism hold after tho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also elucidate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est good became an issue that caused tens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during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through which the Latin Christian community absorbed the Aristotelic philosophy, which served as the backdrop of the treaties along with the commentaries of Arab philosophers.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 철학 비판의 윤리적 배경

        아사쿠라 토모미(朝創友海),이원석(번역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2 No.-

        근대 일본에서는 “윤리”와 “철학” 사이에 일종의 상호적대 또는 충돌이 있었다. 전자는 근대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곤 한 용어였다. 와츠지 데츠로(1889-1960)는 철학 대신 윤리학 이라는 이름 하에서 인간 존재에 대한 연구를 추구했다. 왜냐하면 “윤리”라는 말은 일본의 지적 전통, 특히 유학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어 “철학”이 지닌 부적절성은 마루야마 마사오(1914-1996)에 의해 비판받은 바 있는데, 그는 그 당대의 지적 환경이 지닌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바로 에도 시기 신유학의 발전에 대한 이해라고 보았다. 와츠지 데츠로와 마루아먀 마사오는 서양 철학에 일본이 동화되어 가는 것에 비판적 태도를 보이면서, 인간 조건을 분석하고 인간 존재를 이해하는 데에 유가적 사유와 윤리가 기본조건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와 반대로, 니시다 기타로(1870-1945)와 그 이후의 교토학파 철학자들은 “철학”을 도덕과 관련이 없는 것 또는 초도덕적인 것으로 보았다. 비록 전후 도덕 교육의 재건이 그들에 의해 가능했지만 말이다. 이 논문은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윤리학과 초도덕적 · 종교적 철학 사이의 대비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적대가 유가와 불교 사이의 역사적 대립에 뿌리 내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re is a kind of antagonism or confrontation between “ethics” (rinri or rinrigaku) and “philosophy” (tetsugaku) in modern Japan. The former is the word that has often been used by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to criticize the latter: it is under the name of rinrigaku instead of tetsugaku that Watsuji Tetsurō (1889-1960) pursues the study of human existence because it has a certain connection to the Japanese intellectual tradition, especially to the Confucian one; the inappropriateness of Japanese tetsugaku is further denounced by Maruyama Masao (1914-1996), who finds the peculia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Edo period as the key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milieu. These thinkers are critical of the Japanese assimilation of Western philosophy, finding the Confucian thought or rinri as the basis to analyze the human condition and to comprehend human existence. In contrast, tetsugaku is defined as amoral or trans-moral by Nishida Kitarō (1870-1945) as well as by the subsequent Kyoto School philosophers- although the reconstruction of moral education in postwar Japan owes much to them. This paper shows, by examining the contrast between the rinrigaku as a critique of philosophy on the one hand and the trans-moral or religious tetsugaku on the other, how this apparent antagonism has roots in the histor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플라톤과 서구 정치철학 전통의 성립

        박혁(Park, Hy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3 No.-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자신의 전체주의 분석을 통해 전체주의의 본질은 인간 다원성에 대한 급진적 부정이라는 사실을 밝힌바 있다. 그녀는 그러한 분석을 서구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근본적 비판으로 확대시킨다. 아렌트는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된 서구정치철학의 전통 안에 있는 반다원성의 요소는 정치적 현실에 있어서 전체주의적 재앙이라는 참혹한 결과에 일정한 책임이 있다는 테제를 주장한다. 물론 그러한 영향과 결과는 플라톤 철학이 의도했던 것은 아니었다. 아렌트가 말하려는 것은 플라톤의 국가이론이 20세기에 나타난 전체주의 국가의 시스템이나 목표를 선취했다는 것이 아니다. 아렌트가 주목하는 것은 플라톤의 정치철학으로부터 정치의 영역이 형이상학적 요소들로 잠식되었고, 그 결과 다원성이라는 인간조건에서만 가능한 정치적 범주들 즉 의견, 자유 그리고 권력과 같은 개념들이 탈정치화되었다는 점이다.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된 서구 정치철학의 전통과의 대결에서 아렌트의 주된 관심은 다원성의 현상으로서의 정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구 정치철학의 시조로 간주되는 플라톤의 정치철학에 대한 아렌트의 비판을 다룬다. 그 비판에서 우리는 특히 아렌트의 행위이론적 분석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정치와 철학의 갈등을 행위(Handeln)와 제작(Herstellen)간의 위상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플라톤의 시도는 결국 다원성의 파괴라는 반정치적 댓가를 치루고서야 가능한 일이었다. Hannah Arendt, through her analysis of totalitarianism, uncovered that the essence of totalitarianism is a radical denial of the plurality of human beings. She stretched the analysis to fundamental critics on the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Arendt proclaimed a thesis that a factor of anti-plurality in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which originated from Plato,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disastrous results of totalitarianism in the realities of politics. There is no doubt that Plato’s philosophy did not aim for the disastrous consequences and impacts. However, what Arendt mentioned was not that Plato’s theory of the state preoccupied the system and that the purpose of totalitarian states emergedin the twentieth century. Rather, what Arendt focused on was the encroachment on a politic realm by metaphysical factors that are caused by Plato’s political philosophy. Another point is the de-politicalization of concepts on the political realm such as opinions, freedoms, and authorities, which were only possible on the human condition of plurality. In dispute with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of Plato, the main concern of Arendt was to rediscover politics as a phenomenon of plurality. This article dealt with Arendt"s criticisms of Plato"s political philosophy,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mong these criticisms, we focus particularly on the action theoretical analysis of Arendt. Attempts made by Plato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politics and philosophy, by a variation of phases in between action and work, have been possible as reverse political payment for the wrecking of plurality.

      • KCI등재

        근대일본의 유학 전유와 중국철학사 서술의 방향 -다카세 다케지로를 중심으로-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4 No.-

        이 논문은 동양철학 학제를 세우고 동양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유학을 일본적으로 전유하는 역할을 했던 이노우에 데츠지로의 구도 하에서, 중국철학 전문가로 활동한 다카세 다케지로의 중국철학 연구를 검토했다. 다카세는 양묵비판의 형식을 빌어 당시 윤리적 적대자인 가토 히로유키와 기독교를 비판할 정도로 유학자로서의 자의식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의 중국철학사는 성선설을 핵심으로 공자에서 왕양명으로 이어지는 유학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그 ‘선한 본성’은 ‘충군애국’으로 규정되어, 그의 중국철학사 서술은 기본적으로 이노우에의 국가주의적 지도를 지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유학자를 자처했던 다카세는 공자에서부터 이어오는 유학의 도통에 스스로를 앉히고자 했으며, 그 점에서 그에게 중국은 문화의 보고로서 과거의 나라가 아니라, 도를 보존하고 전해준 선배의 나라였다. 유학을 민족적으로 전유하면서 동시에 그 정통의 계승자를 자처했다는 점에서 다카세의 유학이해는 중층의 왜곡을 보여준다. This study reviewed the works of Takase Takejiro. He was a scholar of Chinese philosophy who was active after Inoue Tetsujiro established the discipline of Oriental Philosophy and appropriated Confucianism into Japan’s culture. Takase was a self-conscious Confucianist who denounced his ethical rival Hiroyuki Kato and Christianity by adopting the form of heresy criticism proposed by Mencius. His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urveys the lineage of Confucianism from Confucius to Wang Yangming, while focusing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Yet, Takase defines “good nature” as “loyalty and patriotism,” and therefore, his narration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orks within the nationalist framework of Inoue. Nevertheless, as a self-proclaimed Confucianist, Takase aspired to be next in line in the genealogy of orthodox Confucianism and, therefore, considered China not as a cultural treasure trove of ancient knowledge but as a bestower of moral authority. By appropriating Confucianism through a nationalistic framework but still claiming to be heir to orthodoxy, Takase’s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has multiple layers of distortion.

      • KCI등재

        19세기 조선 학자의 자연철학에 관하여

        김선희(Kim, Seo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대학 분과나 학문 제도에서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 자연학과 철학은 중층적 구조를 유지하며 혼종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종성은 동양은 물론 19세기 중반 ‘과학자(scientist)’라는 개념의 뒤늦은 등장이 예시하듯, 전문가로서의 ‘과학자’가 전문적 ‘과학’ 연구를 전담한다는 인식 아래 제도적, 규범적 체계를 구축하기 전까지 서양에서도 나타나는 동일한 현상이었다. 그러나 서구의 스펙트럼과 세계관에 따라 학문과 지적 제도를 재편성해야 했던 동양에 있어 이 혼종성에 대한 평가가 더욱 두드러지며, ‘과학’과 ‘동아시아’ 사이의 거리를 벌려놓은 일종의 낙인처럼 작용한다. 이 논문은 하나의 시론적 시도로서, 현재의 시선에는 혼종적이지만 당대에는 매우 정합적이었던 기학적 자연철학의 관점에서 최한기라는 19세기 조선 유학자의 자연철학적 기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한기가 구상한 일종의 중력 이론 ‘기륜설(氣輪說)’이 그의 사유 실험을 살펴볼 창이 되어 줄 것이다. 기계론적 세계관 속에서 천체운동 등의 자연 현상을 수학적 체계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던 데카르트와 뉴턴의 중력 이론은 서구 과학사의 관점에서 하나의 진보로 평가될 수 있지만 최한기의 기학의 체계에서는 물질을 불활성에 가두며 자연계 운동의 원인을 신에 돌리는 불완전한 체계였다. 그럼에도 최한기는 서학서로부터 실험과 수학적 증명을 통해 기의 형질과 운동을 실증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이를 기학의 방법론으로 정립하고자 했다. 이처럼 최한기가 유학의 이념과 서양 과학의 지식들을 결합해 구축한 ‘기학(氣學)’은 과학과 비과학을 결정하는 현대 과학의 지적 권위가 작동하기 전, 마지막 비결정의 시대에 조선의 지식인이 꿈꿀 수 있었던 자연철학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보여 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oe Hangi’s(崔漢騎 , 1803- 1877) theory of the qi’s globe, a sort of gravitational theory, which appears to have hybrid characteristics from a modern perspective but which was understood as a coherent theory in Choe Hangi’s time due to the natural philosophical view based on the study of qi. The gravitational theories of Descartes and Newton, which attempted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using a mathematical system from a mechanistic worldview, could be evaluated as progress in the history of Western science, but in terms of the study of qi, these were thought to be incomplete systems, seeing all materials as inert ‘stuff’ and attributing the primary cause of all motions in the nature to God. Nevertheless, Choe Hangi attempted to adopt the Western scientific approach as his methodology, as he recognized after encountering Western learning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motions of qi could be proved by experiments and mathematical proofs. Choe Hangi’s study of qi, which involved combining Confucian ideologies and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could demonstrate the possibility and expandability of natural philosophy, of which Joseon intellectuals had dreamed, and which had form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ectual authority of modern science, which draws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non-science.

      • KCI등재

        철학실천의 위험성

        박병기(Park, Byeong-K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이 글의 목적은 1980년대 이래 구미 각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철학실천운동의 규범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 난점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밝힘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철학실천은 상아탑 속에 잠들어 있는 철학을 깨워 우리 일상의 생활 속으로 내려오도록 하고 삶의 방식으로서의 철학을 복원하여 철학이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철학의 도구화나 상업화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장에 나온 철학상담은 소비대상 영역이 불분명하다는 난점이 있고 그 자체 철학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는 해결과제를 남기며, 소크라테스대화를 활용한 조직컨설팅은 철학의 제도화를 다시 초래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철학실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상업부문의 철학실천을 극소화하고 비상업부문, 즉 공공부문의 철학실천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필자가 잠정적으로 제안하는 것은 철학상담사나 소크라테스촉진사를 개인상담소나 컨설팅업체를 개설하여 영업활동의 일환으로 철학상담이나 컨설팅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나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활동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c groundwork for averting a peril that Philosophical Practice might have by defining the normative nature of the Philosophical Practice Movement being actively developed in Europe and America since the 1980s, and for identifying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tasks. Philosophical Practice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restore philosophy to its role as a way of life by bringing it down from its ivory tower to operate as a living force in daily life. But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emerged as a crass instrumentalism or commercialization of philosophy is problematic due to the uncertainty of whom it targets as a consumer, and opens up the question of how to avoid the danger of distorting philosophy. Organized clinical consultations using Socratic dialogue contain the risk of bringing about yet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y. To solve this problem, the desirable direction for Philosophical Practice is to greatly minimize its market sector, and maximize to every extent its non-market, or public, sector. The writer provisionally advocates that one way to achieve this is to forego the establish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ompanies and companies for the promotion of Socratic facilitator as counseling centers or consulting firms in order to use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consulting as a part of business activities, but to receive support from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employ it as a state-subsidized project.

      • KCI등재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최성호(Choi, Sungh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근대 이후 과학의 눈부신 성공은 그 성공의 원천에 대한 철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과학의 성공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원칙을 확립하고, 그러한 방법론적 원칙으로부터 과학자들에게 성공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그야말로 과학철학자들의 숙원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 방법론에 대한 이러한 과학철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은 지난 세기 이래 그에 대한 기나긴 논쟁을 촉발했는데, 필자는 그 논쟁에서 과학의 한 가지 중요한 측면이 간과되었다고 믿고 있다. 그것은 과학철학자들의 탐구 대상은 인격적 존재인 인간이 삶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실천하는 과학이라는 사실이다. 철학자들이 탐구해야 할 과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에서 아무런 감정도 염원도 애착도 없는 존재들에 의해 실천되는 과학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동안 논리경험주의나 포퍼의 반증주의에 영향을 받은 다수의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자의 인간적인 면모를 과학적 활동에서 추방되어야 할, 그래서 과학에 대한 방법론적 탐구에서 무시할 수 있는 요소 정도로 간주해왔다. 그 결과 그들의 과학철학은 인간의 과학에서 멀어져 갔다. 그러나 필자는 이것이 과학철학자들의 실수였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아래 본 논문은 먼저 해리 프랑크푸르트의 철학적 인간학을 통해 과학자들의 인간적 면모를 규정하고, 다음으로 토마스 쿤의 과학철학을 과학 속에 내재해 있는 과학자들의 인간적 면모를 포착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것이다. 그 결과 쿤의 정상과학이 지닌 독단적 · 교조적 특성은 과학자의 인간적 체취가 담길 수 있는 방법론적 여지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The success of science have brought to philosophers` attention the question of what makes the success possible. Philosophers of science aspire to establish methodological principles that explain how scientific success has come about and that also provide a blueprint for scientists to ensure future success. This has sparked an ongoing philosophical controversy over the methodology of science that began in the last century. But I believe one important aspect of science has been overlooked in the course of this controversy, which is that the sciences whose methodological principles philosophers of science are supposed to inquire into should be sciences undertaken by scientists who are real human beings, bearing existence in everyday life. The sciences investigated by philosophers are not ones practiced by some surreal beings who have no emotions, no aspirations, no attachments. Many philosophers of science under the influence of logical empiricism or Popper’s falsificationism have long regarded this human aspect of scientists as something that should be expelled from scientific practices, and therefore ignored in an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y of science. As a result, their philosophy of science has moved away from sciences as practiced in real life. But I think this is a mistake. With this in view, I will first explicate the human aspect of scientists in terms of Harry Frankfurt`s theory, and then interpret Thomas Kuhn`s philosophy of science as an attempt to uncover this aspect from underneath science textbooks. The upshot is that the dogmatic nature of Kuhn`s normal science leaves methodological room for the human aspect of scientists such that i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advancement of science.

      • KCI등재

        하이데거 철학에서 보이는 도가의 무용지용(無用之用) 사상

        한충수(Han, Choong-S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59 No.-

        하이데거 철학과 도가의 사유에 대한 기존의 비교 연구는 사상적 근친성을 밝히는 것에 집중하였다. 그때 주로 고찰된 것은 1940년대 말과 1950년대에 발표된 하이데거의 강연문들이다. 본 논문은 1940년대 초중반 하이데거의 저술들이 도가의 무용지용(無用之用) 사상으로부터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명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살펴볼 저술은 하이데거 전집 75권의「시인의 유일함」과 전집 77권의「러시아의 전쟁포로수용소에서 젊은이와 노인의 저녁대화」이다. 두 글은 각각 1943년과 1945년에 작성되었고, 2000년과 1995년에 출판되었다. 영어로는 후자의 글만 최근에 번역되었고, 한국어로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두 글은 독일어권과 영어권의 하이데거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않았고, 따라서 동아시아의 사상과의 비교 관점에서도 연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두 글은 하이데거 사유와 도가 사상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데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 하이데거는「시인의 유일함」의 마지막에『도덕경』의 11장 전문을 인용한다. 아마도 하이데거가 직접 번역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이후 사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어들이 나타난다.「러시아의 전쟁포로 수용소에서 젊은이와 노인의 저녁대화」의 마지막에는 장자와 혜자의 문답 전문이 인용된다. 그 문답의 핵심은 무용지용 사상인데, 이 사상을 하이데거는 “무용한 것의 필요성(die Notwendigkeit des Unnötigen)”이라고 옮긴다. 이 표현은 처음부터 대화편의 밑바탕에 놓인다. 주목할 점은 하이데거가 도가의 무개념과 무용지용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철학에 맞게 변화시켰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보이는 도가 사상의 수용과 변용을 드러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Taoist idea of “the usefulness of uselessness (無用之用)” forms the basis of two writings of Heidegger, namely The Uniqueness of the Poet and Evening Conversation: In a Prisoner of War Camp in Russia between a Younger and an Older Man. They were respectively written in 1943 and 1945, but they were not published until 2000 and 1995. This late publication is presumably the reason why these two writings have hardly been investigated up to now, not to mention been compared with East Asian thinking. This paper clarifies the basic func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uselessness in the two texts mentioned above. This clarification will show that Heidegger dealt with Taoism earlier than previously 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