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정신학 삼위일체론에 의한 ‘신학적 생태론’ : 조셉 브락켄을 중심으로

        홍태희(Hong, Tae Hee)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9

        이천년 전 예수가 제시하였던 구원의 메시지는 이 시대의 생태 위기 상황에서 지구에존재하는 모든 피조물을 향한 것으로 재해석 되어야한다. 조셉 브락켄은 세계를 유기적연결 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체적 존재로 바라보는 과정형이상학을 기초로 하여 모든 존재를 상호 주체적 정신을 포함하는 사회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이 각자의 역할에 의해 공동으로 구성하는 장인 창조의 매트릭스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계의 모든 새로움이 창발하며 하느님의 의지가 전달되는 매트릭스를 통하여 무한한 범위를 갖는 세 위격은 하나의 실체로 인식된다. 이러한 존재방식은 세계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창조성을 제시하고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의지향하는 바를 점진적으로 완성해 간다는 범재신론의 전망을 제시한다. 세계의 사회 원리가 하느님의 존재방식을 지향해야 한다는 관점은 신앙의 근원인 삼위일체의 계시로부터‘신학적 생태론’을 제시할 수 있다. 개별적 주체성을 존중하면서 상호 연결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일치를 지향하는 신학적 생태론은 우주의 피조계 안에서 정신이 되는 인간의특별한 역할 또한 소중한 것으로 발견한다. The message of salvation presented by Jesus two thousand years ago must be reinterpreted to be directed to all creatures on the earth in the ecological crisis of this age. Based on process metaphysics, which views the world as a communal existence composed of an organically connected structure, Joseph Bracken identified all beings as social beings that include an intersubjective spirit. And the Trinity is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matrix of creation,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jointly constituted by their respective roles. The three Persons with the infinite scope are recognized as one substance through the Matrix which all novelty of the world emerges and the will of God is transmitted. This way of Trinity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world, proposes creativity, and includes results, and shows the prospect of panentheism, that all creations gradually complete the purpose of God. The view that the social principles of the world should be oriented toward God s way of being can suggest a Theological Ecology from the revelation of the Trinity, the source of faith. Theological Ecology, which aims for unity as interconnected social beings while respecting individual subjectivity, also finds the special role of human beings as spirit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s valuable.

      • KCI등재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박종구(Park, Jong-Gou)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이 글은 마태오 리치의『천주실의』를 예증으로 현대세계에서 신학하기의 가능성을 시도한 탐색의 글이다.『천주실의』는 17세기 초 저술된 작품으로 두 가지를 목표로 삼는다. 첫째, 당대의 중국 지성인들(신유가)에게 그리스도교를 소개하 는 것이며, 둘째로 유럽의 선교사들에게 중국 문화를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기능을 담보했다. 그렇다면 천주실의가 의도한 공과는 어떠한가? 신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천주실의』를 해석되어야 할 텍스트로 보고, 그리스도교 문명과 중국문명 사이에 위치한『천주실의』를 해석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석학적 지평에서 탐색해 본다. 지난 세기에 해석학자들이 제공했던 해석학적 순환과 지평융합의 개념이 본 논문이 시도하는 작업에 직접적 관련이 있음이 확인된다. 문화와 문화가, 종교와 종교가 만나지 않을 수 없는 현대에 신학하기의 방법론이『천주실의』에서 발견한다. By reading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chu Shihi) written by Matteo Ricci, It raised a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Doing Theology in this modern world.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in China for two purposes: firstly, to introduce the christianity to the chinese neo-confusionists, and secondly, to be used by the european missionaries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in general. The context presents two main steps in its argumentation: the first one is to read the book as a text for interpretation and the second is to introduce what the interpretation means and why the hermeneutic circle and the Horizontverschmelzung (지평융합) were needed. The hermeneutics aids mainly modern readers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oday, from the past through the text. This hermeneutical principle applies to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so that we can get a way of Doing Theology possible in the diversified world where cultures meet cultures, and religions meet religions.

      • KCI등재

        최근 프랑스 현상학에서 철학과 신학의 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 레비나스와 마리옹 사이

        김동규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1

        이 논고는 최근 프랑스 현상학에서 철학과 신학의 관계가 어떻게 새롭게 구축되는지를 탐구한다. 특별히 이 논의는 우리 시대 깨져버린 철학과 신학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앞장선 대표적인 현상학자인 레비나스와 마리옹에 초점을 맞춘다. 레비나스에게 신학은 다른 인간으로서 타인과 나의 마주함으로, 그리고 그러한 만남에서 비롯하는 윤리적인 책임과 더불어 시작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는 그가 신의 흔적을 타인에게서 찾아냄으로써 신-담론이 갱신될 수 있 드러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마리옹은 인간의 신앙이 근원적 계시 체험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신학이 가장 탁월한 포화된 현상인 계시를 기술함으로써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두 사람 모두 현상학이 신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따라서 나는, 비록 레비나스와 마리옹에게 현상학은 신학을 대체할 수 없고, 양자가 서로 거리를 확실하게 유지해야 하지만, 현상학이 계시와 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암시함으로써 신학적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이 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인격적 인간-우주 이해와 그리스도 중심적 생태신학의 원리

        곽진상(Kwak, Jinsa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4

        본 논문은 과학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비전을 통해서 신학의 쇄신을 가져왔던 피에르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인간이해의 독특성을 탐구하고, 그로부터 오늘날 한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생태신학적 원리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떼이야르의 주요저서들을 세밀히 분석한 제1부에서는 그의 인간과 우주에 대한 이해가 근본적으로 인격주의적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제2부에서는 그의 인격주의적 인간과 우주이해로부터 오늘날 생태신학이 근거해야할 중요한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조명한다. 첫째, 생태신학은 자연주의적 생태영성을 극복해야 한다. 물질이 생명의 모태일 뿐만 아니라 물질의 심장이 우주적 ‘영’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둘째, 생태신학은 자연을 신격화하는 범신론적 접근이나 자연주의적 내재주의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오히려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하느님의 흔적을 분별해야 한다. 셋째, 생태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적이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육화의 원리에 정초한 그리스도 중심의 생태신학은 그리스도의 우주적 본성을 자기 것으로 삼아야 하며,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인 우주의 종말론적 원리를 취한다. 넷째, 생태신학은 교회론적 원리로서 성사적 특성을 드러내야한다. 물질, 자연, 인류 전체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시키는 성체성사의 신비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신비를 드러내는 장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s understanding of human and universe, and, from his view point, to draw the principles of eco-theology that newly emerges today in Korea. The analysis of his major texts shows that his understanding of human and universe is essentially personal. His understanding of personal human and universe gives us several principles of eco-theology: The first principle is to repulse the eco-spirituality based on naturalism. The fact that material is a fountain of life points out the need of respect for material, but we should not fail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 ‘spirit’ which is essential for material. The second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discern God's transcendental and personal footprint from pantheism and the intrinsicism of naturalism. The third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be Christ-centered. The Christ-centered eco-theology uses the principle of God's incarnation and the eschatological principle of the universe which is ‘body of Christ’. The fourth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reveal the ecclesiological principle and the sacramental natures. The mystery of Eucharist which transforms material, nature and humans into the body of Christ reveals the mystery of the Church that is also the body of Christ.

      • KCI등재

        개신교 신학의 가톨릭적 수용 가능성:

        이규성 S.J.(Lee Kyou Sung SJ)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9

        본 논문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이 개신교 신학을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지를 살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혁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과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an Urs von Balthasar, 1905-1988)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적 대화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폰 발타살이 바르트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보다는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을 한스 우르스 콘 발타살이 어떻게 수용하고 자기자신의 신학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Karl Barth.Darstellung und Deutung Seiner Theologie와 Theodranatik 및 기타 저술에서 나타나는 칼 바르트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폰 발타살은 칼 바르트의 근본적 그리스도 중심주의 로부터 영행을 받았으며 나아가서 신앙의 유비 를 수용하여 자신만의 존재 신앙 자유의 유비 로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폰 발타살은 신앙은 드라마와같다는 바르트의 신학을 받아들여 형이 상학젹 신학을 추구하는 가톨릭교회의 신소콜라 신학을 수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여기서 폰 발타살은 인간의 자유를 바르트보다 더욱 강조하여 신앙의 드라마적 차원을 강하게 드러내려고 하였다. 왜냐하면 신앙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구원사는 마치도 구원을 선사하는 하느님과 죄적인 인간들 사이에 벌어지는 씨름과 같기 때문이다.

      • KCI등재

        Q 신학의 고유성과 보편성: 초대교회 신학사의 관점에서

        백운철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5

        Q에는 수난 이야기도 부활 이야기도 발현 이야기도 없다. 그리스도라는 칭호도 없다. Q에는 사도라는 말도 없고 그 어떤 제자의 이름도 등장하지 않으면서 교회론적인 조직도 드러나지 않는다. Q의 신학은 과연 초대교회의 신학과 다르고 매우 이질적인 다른 그리스도교를 표방하는가? 아니면 Q 신학이 근본적으로 초대교회의 신학과 공통점이 있는가? Q의 신자들도 세례를 통하여 성령을 받았고 성령의 인도하에 하느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기다렸다는 점에서 Q의 신학은 초대교회의 신학적 전망과 공통한다. 예수를 주님, 아들, 하느님의 아들로 고백한 것도 초대교회의 신앙과 공통한다. 예수에 대한 인격적인 신앙과 죄인의 회개를 기다리는 하느님의 자비를 강조한 것도 초대교회의 일반적인 경향과 동일하다. 그러나 Q의 신학은 예수의 죽음을 속죄의 죽음으로 해석하면서 다윗 가문의 메시아니즘과 교회론적인 구조를 발전시킨 바오로 및 복음서의 상황과는 매우 다르다. Q는 신명기계 역사관에 근거하여 예수의 죽음을 대속적인 죽음이 아닌 고난받는 예언자의 죽음으로 이해하고 부활을 고양과 귀환의 언어로 이야기한다. Q는 예수가 하느님 오른편에 고양되어 종말론적 심판관으로 다시오는 것이 예수 부활의 진정한 의미로 보았다. 다시 오시는 이는 다윗의 메시아로서가 아니라 사람의 아들로 오신다. Q는 사람의 아들의 도래를 준비하기 위하여 토라 중심주의의 정통 실천을 강조하였다. Q는 이스라엘의 선교가 실패로 돌아가자 예루살렘 중심의 다윗 메시아니즘의 좁은 틀을 넘어서서 열두지파뿐 아니라 이방인을 상대로 선교하면서 보편적인 심판과 구원을 선포하였다. Q는 순회 선교사의 설교나 자료를 지역공동체의 현자들이 최종 편찬한 예수 말씀 복음서다. Q는 마태오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에 흡수되어 예수 말씀 복음서로서 영원히 남게 되었다. In Q, there is no passion narrative, resurrection narrative, or apparition narrative. There is no title like Christ. In Q, there is no mention of apostle, no names of any disciples, and no ecclesiological organization is revealed. Does Q's theology really represent a different form of Christianity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y church and is very heterogeneous? Or does Q’s theology fundamentall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theology of the early church? Q's theology is in common with the theological outlook of the early church in that Q's believers also received the Holy Spirit through baptism, and under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they called God Father and waited for the coming of God's kingdom. Confessing Jesus as Lord, Son, and Son of God is also common with the faith of the early church. The emphasis on personal faith in Jesus and God's mercy waiting for sinners to repent is also the same a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arly church. However, Q's theology is very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of Paul and the Gospels, who developed the Davidic Messianism and ecclesiological structure while interpreting Jesus' death as an atonement. Based on the Deuteronomistic view of history, Q understands the death of Jesus as the death of a suffering prophet rather than a substitutionary death, and speaks of resurrection in the language of exaltation and return. Q saw the true meaning of Jesus' resurrection as Jesus being exalted to the right hand of God and returning as an eschatological judge. The one who comes again will not be David's Messiah, but as the Son of Man. Q emphasized the orthodox practice of Torah-centeredness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of the Son of Man. When Israel's missionary work failed, Q went beyond the narrow framework of Jerusalem-centered Davidic Messianism and proclaimed universal judgment and salvation by doing missionary work not only for the twelve tribes but also for Gentiles. Q is the Gospel of Jesus' Sayings, which was the final compilation of itinerant missionaries' sermons and materials by wise men in the local community. It was absorbed into the Gospel of Matthew and Luke and remained forever as the Sayings Gospel.

      • KCI등재
      • KCI등재

        통전·융합적 생명신학 구상 - 인류세의 위기를 극복하고 생명세를 여는 종합적인 학문의 모색

        강원돈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0

        본 연구에서 필자는 1) 기술과 자본주의의 결합에 바탕을 둔 인류세의 위기를 분석하고, 2)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포괄적인 체계를 밝히고, 3) 이를 뒷받침하는 통전·융합적인 생명신학의 구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류세는 기술과 자본주의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인류가 자연을 송두리째 변화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지구 역사의 한 시기이다. 인류세는 복합적인 위기의 시대이다. 기술과 자본주의의 결합은 생태계의 안정성과 건강성을 파괴하여 문명의 자연적 기반을 송두리째 파괴하였고, 생산력과 생산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고, 정치, 경제, 사회, 법률 등 사람들의 교류관계를 규율하는 제도들을 바꾸었고, 문학, 예술, 종교, 철학, 신학 등 사람들의 의식과 가치관을 표현하는 일체의 문화 형식과 내용을 바꾸었다. 인류세의 위기를 넘어서서 생명세를 열려면 세 가지 과제가 제대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나는 생태계를 보전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해방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과학주의의 도그마를 깨뜨리고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성찰하고 과학의 기술화를 정치적으로 규율하는 것이다. 마지막 하나는 인간중심주의를 해체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하려면 각각의 과제에 최적화된 이론들을 개발하여야 한다. 생태학과 정치경제학 비판의 융합에 바탕을 둔 현실분석적-제도비판적 이론들,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성찰하고 과학적 지식의 기술화를 정치적으로 규율하는 메타이론적-규범적 이론들,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생태중심적 세계관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텍스트분석적-해석학적 이론들이 그것이다. 인류세를 극복하고 생명세를 열고자 하는 학문은 이 세 가지 유형의 이론들이 필수 불가결한 부분들을 이루는 통전·융합학이다. 생명신학은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한 지평으로서 인류세를 넘어서서 생명세를 향해 가고자 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확실한 언어를 주고자 하는 신학적 기획이다. 생명신학에 근거한 사회윤리는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이론들을 활용하여 제도를 규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할 것이며, 바로 그런 의미에서 통전·융합적인 신학의 프레임을 갖출 것이다.

      • KCI등재

        후안 알파로의 전망에 따른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윤주현(Youn, Joo-hyu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6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는 인간을향한 하느님의 구원 역사를 이해하는데있어서 전제되는 중요한 교의신학적 개념이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볼 때 중세때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됐으며 여러 이단의 단초가 된 개념이기도하다. 이 둘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따라 구원 역사의 중심추를 하느님 편에 두는가 아니면 인간의 주도권에 두는가하는 강조점이 달라진다. 그것은 구원 역사의 두기둥인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풀어내는 열쇠이기도하다. 따리서 본 논문은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에대한 이해가 그 기원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가운데 다양한 신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고자했다. 특히 이 주제의 역사에서 후안 알파로의 사상은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전망에서 본 본성과 초본성 간의 관계에대한 문제해결의 역사를 고찰하고자한다. 필자는 크게 시대별로 중세와 근대 그리고 현대를 나눌것이며,중세에서는 성토마스를 그리고 근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역사에서 처음으로 ‘순수 본성 가설’을 제시한 가예타노의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와 소위 ‘누벨 떼올로지’를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신학적 시도를 대표하는 앙리 드 뤼박, 칼 라너, 그리고 이들의 이론적 결함을 보완함으로써 건전한 신학적 종합을 모색했던 후안 알파로의 이론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을 통해 교회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종합하는 가운데 올바른 구원 역사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본성‘과 ‘초본성’개념은 교의 신학, 신학적 인간학,영성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신학의 영역에서 근간이 되는 중심 개념이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한 깊은 고찰을 통해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에 이르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구원 역사에 대한 이해에 이르고자 한다.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 story of salvation,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doctrinal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supernature', From the medieval ages this was one of the recurrent themes many theologians discussed but which however could lead to heresy when mis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of the hi story of salvation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lationship: if one puts more weight on the supernatural, the role of human freedom may be jeopardized, On the contrary, if one puts too much weight on the human nature, the role of di vine grace may be jeopardized as well. That is why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of the 'supernature' is the central key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ace and freedom, the two pillars of salvation history. Therefore, this thesis wishes to attempt a re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supernature', analyzing various theologians of the medieval time and of the modem time and of the contemporary era to com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alvation. Specially, the thought of Juan Alfaro have offered an important key in the hi story of this theme. So, I will try to present the hi story of attempt to resolve the problem between the 'nature' and 'supernature' according lo his perspective. For this, I wish to cite various theories from tree epochs: the medieval, the modem and the contemporary. For the medieval time, I will present the theories of saint Thomas; and for the modem time, I will present the theory of Gayetano who for the first time in hi story tried to resolve this problem with his 'hypothesis of natura pura'. Consequently, for the contemporary era I will present various theories of the theologians from the 'nouvelle theologie' movement: H. de Lubac, K. Rahner; and J Alfaro who overcame the defects of the first two, by formulating a good synthesis of the theme. And in the conclusion, I will show how the Church treats and synthesizes the problem to understand the authentic perspective of Ole hi story of salvation. Concepts of the 'nature' and. of the 'supernature' are the central theme that covers a wide section of theology: dogmatic theology, theological anthropology, spiritual theology etc. With the treatment of this Uleme, I wish to understand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human nature so that I could reach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alvation.

      • KCI등재후보

        Hans Urs von Balthasar and Ignatius of Loyola

        베르너 뢰저 SJ(Werner Lö,ser SJ)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5

        현대를 사는 신학자들이 아직도 지난세기의 신학자들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재 가톨릭 신학의 특징이다. 유럽에서는 사실 지난 세기 중반에 몇몇 탁월한 신학자들이 있었고 그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가장 유명한 신학자들로서는 칼 라너, 앙리 드 뤼박, 오토 젬멜로트, 등등이 있다. 한편 공의회에 참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공의회의 성찰과 결정들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람이 있는데 바로 라너와 동시대를 살았던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이다. 그들은 서로 알고 지냈고 비록 둘 사이에 신학적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서로의 신학적 입장을 매우 존중하였다. 칼 라너와 한스 우르스 폰 발사타르 둘 다 로욜라의 이냐시오의 카리스마에 깊은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다. 사랑을 얻기 위한 관상은 이냐시오 영신수련의 요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폰 발타사르의 신학적 입장과 성찰이 이냐시오의 영적 카리스마와 깊이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t seems to be caracteristic fo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atholic theology that the now living and working theologians still depend on those who belonged to their previous generation. In Europe we had, indeed, some excellent theologians in the midst of the last century. They had a signicant influence on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most famous theologians were Karl Rahner, Henry de Lubac, Otto Semmelroth and some others. And there was still another theologian who has not participated to the council, but nevertheless has had an very important influence to its reflexions and decisions: Hans Urs von Balthasar. He lived in the same period as Karl Rahner. They knew each other and had an high respect for their theological positions, though their were also som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Both, Karl Rahner and Hans Urs von Balthasar,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charism of Ignatius of Loyola. The Contemplation to attain Love is a summary of the Ignatian Exercises. von Balthasar's theological positions and reflexions are deeply connected with the spiritual charism of Ignatius as we find it expressed in this contemp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