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0년의 회고와 전망 : 학회지 게재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홍성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CAS) in Korea. Established in 1997, the CAS is now ten years old. Members of the CAS celebrated its ten year-old birthday in the Fall of 2007, in which numerous artic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CAS and other related academic communities have been presented. By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this paper reviews 153 articles which wa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CAS during the past ten years. Due to the CAS's membership, the Journal has published a variety of articles from various social science fields such as law,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journalism. Despite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however, the Journal lacks truly interdisciplinary articles. Simple description of facts are certainly important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what happens in reality, but a more serious academic effort in analyzing those facts in order to build up the sophisticated theories which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real setting is also needed. About half of the articles came from the journalism majors, which suggests that scholars in other majors should be more active in publishing their researches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Overall, the CAS has contributed a lot in understanding the roles and nature of the newly created cyberspace and human interactions within it, but need to expand its efforts more toward interdisciplinary and theory-oriented directions.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의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그 동안 공식학회지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성과와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리 학회지는 1997년 가을, 창간호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연 2회 발행되다가 2005년 12월, 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보지로 선정되면서 2006년부터 연 4회로 발간횟수를 늘리게 되었고, 2년여가 흐른 오늘날에는 사이버공간과 소통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학술지로 성장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는 지난 10년간 많은 연구논문을 우리 학계에 내 놓았다. 분석결과, 학회의 구성을 반영하여 언론분야의 연구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다양한 전공분야와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분석기법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회보를 중심으로 살펴 본 우리 학회의 학술활동은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선 정보혁명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총체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와 접근을 목표로 출발했지만 진정한 학제적 연구가 그리 많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학술적 연구(이론정립이나 검증)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의 제시에 치중되었다는 것은 보다 근본적인 사이버 공간에서의 소통문제를 학술적 차원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과관계나 상관관계 등을 규명하는 분석적 연구보다는 기술적 연구의 비중이 많았다는 점, 정치학과 경제경영분야 전공자의 논문 게재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는 점, 그리고 국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등도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고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균형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받아들여진다. 결론적으로 지나간 10년을 뒤로 하고 또 하나의 10년을 향해 새롭게 출발하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는 학회 본래의 취지였던 학제적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켜야 하고, 사이버공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론적 접근과 분석에 노력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과 공익

        강형철(Hyung-cheol K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7 No.1

        이 논문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기존의 모든 미디어에 대해 부괴되었던 ‘공익’이라는 전통적 개념이 여전히 적용가능한 지, 그리고 그것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하위 개념 및 실행 방식이 뒤 따라야 하는지 논의한다. 저자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은 공익 의무 부여에서 예외가 될 이유가 없으며, 규제의 지속성을 위해 규범적 차원의 일원적 공익 개념이 도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라는 전자커뮤니케이션의 공익 목표 이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은 어떠한 부분을 기여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로 공익의 논의를 좁힐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를 위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공익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복지에 기여하는 바들로 구분된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치원과 콘텐츠 차원에서의 실행 개념이 필요하며, 끝으로 제도적 차원에 서의 실행 방식은 답책성 책무성 개념에 바탕을 둔 지율 규제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cyber communication's obligations to serve the public interest. Proposing a unitary coherent scheme of values for a conceptual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the author categorizes the ultimate goal of the concept into four dimensions: political welfare, social welfare, cultural welfare, and economic welfare. Under these dimensions, there needs to be an applicational level's conceptualization for the public interest obligations met by cyber communication. This level has another sub-dimensions such as system, contents, and institution. Regarding the institutional dimension, this article finally suggests a self-regulation approach to cyber communication, based on the answerability model of accountability, instead of the liability model.

      • KCI등재

        사이버범죄에 관한 입법동향과 전망

        이정훈(Jeong-Hoon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0 No.1

        인터넷의 발전은 인류에게 무한한 풍요와 진보를 가져다 주고는 있지만 그 반면에 대량의 위험을 야기하는 새로운 범죄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소위 사이버범죄의 등장이 그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사이버범죄는 90년대 중반 이후로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으며 그 피해 또한 가히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범죄에 대처하기 위하여 형법 개정이나 정보통신망법과 같은 특별법의 제정 내지 개정을 추진해오고는 있으나 기술적ㆍ시간적 한계 때문에 입법적 대처만으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 나리에서의 사이버 범죄 현황과 입법적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사이버범죄 대처를 위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범죄의 다양한 유형과 그에 대한 법원의 판결 등을 소개하고 앞으로 사이버범죄에 대한 입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지적하였다. The expansion of Internet leads the human into wealth and progress but also bring about the opportunity of new crimes. We call it as Cybercrime. The numbers of cybercrime increase since the midle of the year 1995 and cause the explosive damages. Against cybercrime, Korea provides for the punishment on cybercrimes in the Criminal Act concerning traditional crimes committed by means of a computer, and in various other laws. The most relevant of these ar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hereaft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Protection Act, which are special additions to the Criminal Act. Besides, the following laws are also relevant: the Framework Act on Electronic Commerce and Digital Signature Act concerning E-commerce,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the Victims Thereof, concerning cyber-sexual harassment,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Juveniles' Sex, etc., concerning child pornography, the Copyright Act or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concerning 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the Sound Records. Video Products. and Game Software Act.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Regulation and Punishment of Speculative Acts, etc., concerning on-line games. Among these laws, I have briefly considered the Criminal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which function as the basic laws against cybercrime. But these provisions are not sufficent measure as preparing for cybercrime because of technical or timing gap of enforcement between the present and future. This essay aims to introduce some legal issues on cybercrim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against cybercrime for the future.

      • KCI등재

        사이버 윤리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

        노병철(Noh Byung-Chul)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2

        본 글에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사이버공간연계론적 정의를 토대로 사이버 공간의 윤리적 쟁점을 기존의 윤리적 쟁점의 ‘새로운 종’으로 보고 사이버윤리의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사이버공간의 행위들은 다양한 윤리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그 성격도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한 협동적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버윤리에 대한 학제적, 다원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cyberspace is defined in terms of offline-online connection, and the ethical issues in cyberspace are regarded as a new species of existing ethical ones. It is argued that cyber-ethical problems demand a multi-disciplinary, collaboratory solution.

      • KCI등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서 행위단서로서 범죄피해 경험이 피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홍(Jun Hong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의 16세 이상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범죄 및 일탈행동의 피해를 예방하는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수정된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였다. 즉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주어지는 내적 행위단서가 피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건강신념의 부분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으로써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예방적 건강행위의 설명과 예측 외에도 사이버 범죄 및 일탈행위의 예방적 행동의 설명 및 예측을 위해 본 연구모형이 유용한 분석 틀을 제공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경험하는 사이버 범죄 등 피해 경험, 즉 건강신념모형에서 내적 행위단서로 개념화 된 요소가 피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그것의 직접 효과 외에도 건강신념모형에서 다루는 신념들, 즉 개인의 지각 변인의 매개적 역할을 통한 간접 효과가 있음을 알아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 점에서 본 연구결과들은 관련 공공정책과 홍보 캠페인 전략을 위한 주요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crime and deviance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in cyber communication using data of Survey on Crime Victimization in Cyberspace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00. Focusing on the role of internal cues to action in the context of cyber communi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such experiences had a direct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in cyberspace and that health beliefs - perceived severity and susceptibility - played mediating roles in affecting prevention of cyber crime or deviation. And significant direct/indirect effects of victimization experiences were found. In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f modified HBM on preventive behaviors in cyberspace was validated. The author tried to propos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and PR strategi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preventing victimizations.

      • KCI등재

        사이버 민주주의의 실현조건으로서의 사이버 기본권의 모색

        최우정(Woo-Jeong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3 No.1

        대의민주주의원리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국가의 제도적 및 법적인 과정과 결과를 통해 실현하는 제도로서 인정되고 있고 그 전제적인 문제로 사상의 자유로운 시장형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사상의 자유시장에 대한 국가와 재벌에 의한 규제와 왜곡은 대의민주주의의 실현에 회의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에 대한 직접민주주의제도의 도입 등과 같은 보완책을 고려하게 하지만 기술의 발달 특히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우리의 현실공간과는 또 다른 공간 즉 사이버공간을 기능하게 했고 이 사이버공간은 현실공간에서의 물리적인 제약을 극복하게 하고 새로운 사상의 자유시장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에 대한 국가와 경제적인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 의한 지배현상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사이버공간이 현실공간에서 대의민주주의제도에 대한 보완책 내지 대안책이라는 점에 대해 회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은 여전히 현실공간에서 찾을 수 없는 공유, 참여 그리고 개방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론상으로 가능한 사상의 자유시장에 대한 실현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가능성은 국가와 사이버공간에 대한 서비스제공자 및 통신인프라 제공지에 의한 왜곡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왜곡현상은 단순히 사실적인 해결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구체적으로 형성된 현실적인 법제도를 통해 가능한 것이다. 사이버공간에서의 민주주의실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헌법상 기본권은 과거 물리적인 인간행위의 자유가 중심이 된 신체의 자유라는 영역에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정보통제권으로 기본권의 보호영역의 축이 이전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여전히 헌법체계하에서의 기본권보호의 중심축의 이동에 불과한 것이지 사이버공간에서의 기본권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 또는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디다. The principle of indirect democracy is well known as a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dignity. But the failure of free market of idea can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the principle of democracy. So it is in controversy with the principle of indirect democracy which is a suitabl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With this respect it is often suggested that the institution of direct democracy is an alternation to the indirect democracy. Bu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throw an alternation to this point. As we call, the cyberspace has bring to us an enormous change to our life and changed the paradigm of our social communications. The cyberspace is more flexible and open to the user than the Realspace. The failure of social communication in Realspace which is by governmental and pressure group caused, did not its function in cyberspace. The character of cyberspace, which is with the internet connected, had lead the people more and more free and open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spite of the character of cyberspace it has confronted with another disturbance. The infrastructure of cyberspace is usually supported by the economic enterprise. This enterprise has its own aim to earn the economic profits in cyberspace. The cyberspace is not a portal of free communications but a new source of earning the profits. In this respect the unique character of cyberspace is distorted by the enterprise. The nation executed the similar function in cyberspace. If the nation, the enterprise and pressure group distorted the unique character of cyberspace, the cyberspace is not an answer to the failure of the principle of indirect democracy. So it is necessary the suitable regal system und institution to control the unfair disturbance which is cause by the nation, enterprise and pressure group and to promote the free change of social communications between the internet user. This is an another gate to the new democracy.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이 사이버 일탈에 미치는 영향

        이현우(Hyun Woo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이 사이버 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성향, 사회적 유대 등 다른 변인들과의 과정적 상호관련성을 포함한 전체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함이며,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이 많을수록 사이버 일탈 행위는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청소년들의 심리적 성향(자아존중감, 도덕성)은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으로 인한 사이버 일탈행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사회적 유대(가족응집성, 부모관계, 친구관계)는 사이버 유해요인 경험으로 인한 사이버 일탈행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때, 사이버 유해요인 접촉은 사회적 유대의 영향력을 감소시켜 사이버 일탈행위에 대한 억제력도 함께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유해요인 접촉은 사이버 일탈행동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대의 영향력을 함께 감소시킨다는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사이버공간에서 일탈행위가 확대재생산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yberharmfulness factors upon juvenile cyber delinquency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ncludes multiple interactions among various variables(social solidarity, psychological disposi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exposure to cyber-harmfulness factors augments teenager’s cyber delinquency. Second, psychological disposition(self-esteem, morality) doesn’t have mediating effect towards teenager’s cyber delinquency which is aroused by exposure to cyber-harmfulness factors. Third, social solidarity (family cohesion, parent-child and peer relationships)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owards teenager’s cyber delinquency which is aroused by exposure to cyber-harmfulness factors. In this case, the exposure to cyber-harmfulness factors could reduce cyber delinquency restraint by diminishing the effect of social solida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linquent behaviors in cyberspace could be increasingly reproduced and expanded.

      • KCI등재

        사이버헬스커뮤니케이션의 법적 과제

        조형원(Hyong-Won Ch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면대면 진료상황과 달리 사이버헬스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발생되는 법적 과제에 대해 살폈다. 사이버 헬스가 이루어져 진료의 편리성 및 유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진료의 형태를 다양화시켜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 질, 계속성 및 효율성 증대의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이러한 적정 보건의료 요건이 저절로 충족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정보보호, 의료행위여부에 대한 논란 등 많은 법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IT기술의 개발, 윤리교육의 강화, 이해관계자간의 합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법안 마련을 포함한 법적 과제가 해결되어야만 실효성 있고 강제력을 지닌 제도가 도출될 수 있다. 법적 논점은 사이버 헬스서비스 시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 법제도의 조기 정비,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의 현실적인 개정, 안정적 전자의무기록 도입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개인 프라이버시의 침해방지 조치 등 다양한 내용이 있다. This paper aims to observer the legal problems of cyber health communication and propose the legal issues. Cyber healthcare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efulness of healthcare, lead to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quality, continuity and efficiency of healthcare. For accomplishing this result, there must be the development of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inforcement of medical ethics and the mutual agreement of a conflict of interests. For providing the effective and binding system, telemedicine or cyber healthcare bill must, first of all, be passed and the legal problems must be settled.

      • KCI등재

        한국에서 사이버 민주주의의 전제조건과 실현 가능성

        김선미(Sun-Mi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3 No.1

        이 연구는 한국에서 사이버 민주주의 전제조건과 실현가능성을 이론적 논의와 실질적 사례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있다. 사이버 민주주의의 이상은 엘리트 중심의 대의민주주의에서 벗어나 모든 시민이 자유롭고 동등하게 참여하는 참여민주주의의 구현에 있다. 특히 사이버공간에서의 상호토론과 구체적인 정치적 행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사이버 민주주의의 전제조건으로는 정보화기반고도화 및 법ㆍ제도 정비 등의 기술ㆍ법제적 측면과 시민들의 정치적 자유와 평등한 참여의 기반확보 및 정보의 효율적 접근, 쌍방향 의사소통, 정보 불균형 해소 등 시민권리 측면의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한국에서의 사이버 민주주의 실현가능성은 탐색해 본 결과, 사이버인프라 구축에서나 정책적 노력은 외형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정부주도의 공급자 중심의 사이버행정부, 사이버정책참여 공간에서는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이나 정치참여는 여전히 저조한 수준으로 사이버 민주주의의 궁극적 목표인 시민참여, 민주주의의 질적 고양과 같은 정치적 이념과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e-거버넌스의 개념은 다소 결여되어 있다. 반대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수요자 중심의 사이버선거, 사이버 의제설정, 사이버 정책참여 공간에서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어 사회현안에 대한 의제설정 기능을 통해 시민의 의사를 정치과정에 반영하고 시민 권력을 강화함으로써 사이버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한국에서 사이버 민주주의 현실은 시민참여나 민주주의 이상실현을 위한 쌍방향성, 시민참여, 토론과 토의문화 등의 측면에서는 여전히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theoretically discuss the prerequisite and the feasibility for cyber democracy in Korea, as well as to review the issue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The ideal of cyber democracy lies in the embodiment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which all citizens participate freely and equally shedding the elite-centered representative democracy. Notably, cyber democracy focuses on discussion and specific political action in the cyber space. The prerequisite to such democracy is to address many issues, including technical and legislative aspects such as the advancement of informatization infrastructure and reshaping of laws and systems, as well as civil rights aspects such as the securing of the foundation for citizens' political freedom and equal participation, their efficient access to information, interactive communications, and the resolving of information divide.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explored the feasibility for cyber democracy in Korea. As a result, efforts to structure cyber infrastructures and implement policies through the cyber space have produced a considerable amount of achievements. However, the government-led, supplier - centered cyber administration, and the cyber space for discussing policies have still shown low interactive communications or low participation in politics. Thus, the concept of e-governance is still somewhat lacking to embody political ideologies and ideals such as the ultimate goal of cyber democracy, e.g., citizens' participation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democracy. Meanwhile, in the client-centered cyber elections, cyber agenda - setting, and cyber political participation space, where citizens' spontaneous participation is possible, diverse attempts are being sought. As a result, the function is provided to establish agenda on current social issues to reflect citizens' opinions in the political process, thereby reinforcing the government power and showing the feasibility of cyber democracy. Nonetheless, the overall reality of cyber democracy in Korea has still limitations in terms of interaction, civil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and debate culture in order to ensure civil participation and to embody the ideals of democracy.

      • KCI등재

        사이버성폭력과 규제

        이미정(Lee Mi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0

        인터넷의 확산으로 사이버공간에서 자유로운 정보 제공과 접근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의사교류의 긍정적인 측면 뒤에는 불법적이거나 유해한 정보의 확산이라는 부정적 측면도 공존한다. 사이버공간에서 특정인이나 불특정 다수를 성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사이버성폭력으로 규정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것의 정도, 피해, 사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사이버성폭력은 상대가 원치 않는 성적인 언어나 이미지로 상대에게 불쾌감이나 위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말한다. 성과 관련된 표현으로 인한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규제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로는 법을 통하거나 준행정기관을 통한 규제가 있고 인터넷 업체나 민간영역을 통한 자율규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규제를 검토하면서 사이버 성폭력 감소를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의 규제가 더 효율적인가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사이버성폭력은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문자나 영상 등의 표현을 통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규제는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 권리인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미국의 사려를 들면서,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가 어떻게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표현의 자유 보장과 매체로서의 인터넷의 특성을 고려할 때,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로는 자율규제가 타율규제보다 바람직하다고 결론짓고 있다.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nternet networks, communication in the cyberspace has become freer and easier than ever before. Despite the bright side, it also contains the dark side such as the spread of unlawful and indecent information.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definition of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the extent, examples. On-line sexual harassment is defined as an act making someone feel unpleasant or threatened through sex-related words and images. With the rising number of victims from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the need for regulation has increased. Two kinds of regulations are discussed; the regulation through law and the regulation through the effor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In this paper, I examined which approach is more efficient for reducing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Unlike in the off-line, the offense on the on-line is done through words and image rather than action.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offense, regulation of on-line sexual harassment is faced with the issue of limiting the freedom of speech, the fundamental right of the citizen. In reviewing the cases in the States, we observed how Americans perceive the regulation in conflict with the freedom of speech. Considering the nature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freedom of speech, I think the regulations through the effor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users are more effective than through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