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양민아(Yang, Mina)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카자흐스탄에 소재한 국립 공화국아카데미 고려희가극 극장(이하 고려극장)은 1932년 9월 9일 연해주에서 창립되어 2022년은 창립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고려극장은 1세기 가까운 시간동안 중앙아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구심점으로 남·북한춤을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민속춤 등 다양한 춤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극장은 러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조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그들의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은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원동변강조 선극장의 탄생: 조선춤 유입기(1932~1937); 제2기 주립 고려 음악-드라마 극장: 중앙아시아와 북한춤 유입기(1937~1968); 제3기 공화국 고려 희가극 극장: 자체레퍼토리확립기(1968~1990); 제4기 국립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한국춤 유입기(1991~현재) 고려극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전 세계 한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교류하여 새로운 작품들로 재탄생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 허브, 즉 한민족 문화창조의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허브로서 유라시아한인 단체인 고려극장의 역할과 비전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북한 춤문화 교류의 교두보; 둘째, 디아스포라 예술인들의 화합의장; 셋째, 세계 한인문화예술의 멜팅팟(melting pot); 넷째, 차세대러시아 한인 예술인 양성의 인큐베이터이다.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Abbr. the Korean Theater), was founded on September 9, 1932 in Primorsky Krai, USSR. The Korean Theater had been deported to Kazakhstan in 1937, it will celebrate its 90<SUP>th</SUP> anniversary in 2022. For nearly a century, The Korean Theater as a cultural center for the Korean diaspora in the CIS countries, has various dance cultural assets, from North and South Korean dances to Russian, Kazakh and Uzbek folk dances. The Korean Theater arises the nostalgia for Korean-Russians’ historical homeland and visualizes their identity, and serves as the hometown of their hearts. The dance art activities of the Korean Theater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eriods. First, The Birth of Far East Maritime Provincial Joseon Theater: Influx of Joseon Dance (1932~1937); Second, The Regional Korean Music and Drama Theater: Central Asian and North Korean Dance Inflow (1937~1968); Third, the Republican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Establishment of its own repertoire (1968~1990); Fourth,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troduction of South Korean Dance (1991~Present) In the future, the Korean Theater should play a role as a cultural hub with an expanded concept that can freely connect and exchange the culture and art of the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created as new works, that is, a platform for creating Korean Culture. As such, the role and vision of the Korean Theater, an Eurasian Korean art organization as a cultural hub,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ur categories. First, a bridgehead for inter-Korean dance culture exchange; Second, a Field of harmony among Korean diaspora artists; Third, the melting pot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world; Fourth, an incubator for nurturing next-generation Korean-Russian artists.

      • KCI등재

        고려인들의 영원한 방자와 춘향 -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양민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구소련 시기 고려극장은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사할린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에게 떠나온 역사적 조국의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마음의 고향이자 고려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다. 고려극장의 활동은 예술을 통해 고려인들의 사회주의화와 더불어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현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김해운과 그의 부인 송 타티야나는 고려인 1세대 공연예술인들로 초기 고려극장의 예술적 성향을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이들은 유일하게 연해주, 우즈베키스탄, 사할린에 소재했던 3개의 고려극장 그리고 현재 카자흐스탄에 소재하고 있는 고려극장까지 약 160년간의 고려인들의 이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총 4개의 고려극장의 활동에 모두 관여한 접경예술인들이다. 이렇듯 그들은 소련시기 여러 지역에 소재했던 모든 고려극장들을 거치며 그 역사를 몸소 겪어낸 고려극장의 전설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려인 예술사 토대연구로 구소련 시기 여러 고려극장들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는 접경예술인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의 활동을 그들의 이주 경로에 따라 시기별로 정리하고, 시대적·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춘향전>에서 “방자”와 “춘향”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고려인들에게 영원한 “방자”와 “춘향”으로 회자되는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의 공연예술 활동은 다음과 같이 4시기로 나눌 수 있다. 1) 연해주 시기: 원동변강고려극장(1920년대 후반~1937): 극장 성립기; 2) 우즈베키스탄 시기: 타슈켄트 고려극장(1939~1950): 극장 전문화기; 3) 사할린 시기: 사할린 주립 조선순회극장(1951~1959): 북한예술 수용기; 4) 카자흐스탄 시기: 카자흐스탄 고려극장(1976~1981, 1994): 전통 전승기. 이들의 공연예술 활동의 역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해주 고려극장의 설립초기 고려인들의 민족적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에스트라다 공연 장르 확립; 둘째, 역사적 조국의 다양한 가무 전통의 재창조와 계승; 셋째, 배우로서 대체 불가한 독보적 캐릭터를 구축. 이처럼 김해운과 송 타티야나는 역사적 조국의 예술과 거주국의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접경예술 공간이며 디아스포라 극장인 고려극장들의 예술성 확립과 설립, 중흥, 존속, 그리고 전통 전승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 KCI등재

        정선군 <토방집짓기놀이>가 가지는 마당놀이로서의 성격과 개선점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This studies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held annually in Nampyeong, Jeongseon as a Madang folk performanc. A log-frame house is Korean traditional house type in mountain villages. Nampyeong showed this play at the Gangwon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Jeongseon Arirang Festival. It is studied in 3 categories. First,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Traditional Art Festival. The play didn't comply with the valuation points, the preservation of prototype and artistic quality. It looked noncommittal "Legitimate Complex Traditional Art Play." Second,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Madang folk performance. A pure Madang folk performance should be just like a scene of festival anyone can enjoy but a traditional cultural art festival should preserve a prototype and be somewhat competitive. Nampyeong play has a unified composition and its circumstance such as NongAk is focused rather than its native features should be. Third, this study compares Nampyeong play with plays of other regions. Its composition is, as a whole, same as those of the "Play of House Construction" of Hwasun, Jeolla, the "Play of Wooden Shingle House Construction" of Samcheok, and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of Hongcheon. But it's regrettable that the scenario and the Rhyme of Base-hardening became artificially modified rather than preserved. Nampyeong's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will be posted as a traditional Madang performance if it complies with the valuation points and purpose of National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keeps its indigenous aspects. 본고는 정선군 남평에서 연행하고 있는 <토방집짓기놀이>를 마당놀이 개념에서 그 성격과 구성을 통해 개선점을 살폈다. 이 논의는 한국민속예술의 보전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토방집은 귀틀집의 다른 명칭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산간가옥이다. 남평에서는 토방집이 지어지는 과정을 민속놀이로 만들어서 정선의 향토축제 정선아리랑제와 강원도민속예술축제에 출품을 하였다. 이를 본고에서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 민속예술축제 입장에서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결국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심사에 필요한 경연종목에서 벗어났고, 그리고 심사기준인 원형보존과 예술성을 잘 보여주지 못했다.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정통복합민속예술놀이’라는 어정쩡한 모습이 되었다. 둘째, 마당놀이로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순수한 마당놀이는 신명나게 즐기는 축제의 판놀음과 같은데, 민속예술축제는 원형을 살리고 경쟁을 해야 하는 구조가 더 들어가 있다. 이에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획일적 구성에 농악 등의 주변상황이 더 부각되었다. 그리고 남평 고유의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비교입장에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전라도 화순의 <집짓기놀이>, 삼척의 <너와집짓기>, 홍천의 <토방집짓기> 등과 비교결과 큰 틀에서는 다름이 없었다. 아쉬운 점은 시나리오와 터다지기소리가 고유성을 깨고 인위적인 모습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었다.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전국민속예술축제의 목적과 심사항목, 그리고 정선 남평의 고유한 모습을 잘 맞춰 간다면 남평만의 멋진 민속마당놀이로 자리를 굳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최현 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김성훈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In the study of Injae Choi Hyeon's literature, there have been about 25 papers published since 1959. As it is known, papers on literary figures in history have been considerable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Given this trend, Choi Hyeon has not been in the spotlight as much as other literary figures. There are, however, problems with research inclined toward certain figures due to the legitimacy of research value and the complete translation of their collections of works. This study focused on Choi Hyeon, who is a fortunate case with growing interest in recent years. Following this trend,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categorize researches on his literature by the genre including Chinese poetry, Gasa, novel, and envoy travel literature and arrange their current state. Overall results show a trend of consistent researches in equal volume among the genres. In the genre of Chinese poetry, there are not many Chinese poems by Choi probably due to his "pragmatist tendency" under the influence of his master. He left 141 Chinese poems, which are enough to hold research value. Researches on his Chinese poems will be significant enough both in the study of the texts themselves an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his influential relations with other literary figures in his time. In the genre of Hangul Gasa, he wrote Yongsaeum and Myeongwoleum. The former has been often quoted as his work to reflect his consciousness of reporting on the reality as it depicts the experiences of Imjinwaeran with a sense of realism. There are many works about war in the history of Gasa literature in the nation. His Yongsaeum and Myeongwoleum hold significance as early works in the history. In addition, they hold a proud position with other great works that led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Gasa flow toward the latter part of Joseon, thus requiring additional researches. In the genre of novels, his Geumsaengimunrok is one of the greatest Mongyurok-type novels in the 16th century along with Anbingmongyurok and Wonsaengmongyurok, thus holding its research value. In other words, these novels laid a foundation for Mongyurok-type novels whose creation became in full scale later. Most of all, Geumsaengimunrok is based on a true story instead of fiction, which makes it a Mongyurok-type novel with a unique pattern. It is also needed to look at the Chinese poems in the novel. There can be various research attempts at it as a Mongyurok-type novel and for the functions and patterns of the poems in it. Finally, the study examined researches on his Jocheonilrok in the genre of envoy travel literature. There have been consistent researches on it since 2008 when its existential value was known in earnest to the academic circles by Jo Gyu-ik. It is further meaningful that it is investigated most actively of the many envoy travel works in the 17th century and expanding in the fields of research including history, literature, and culture. Choi's Jocheonilrok is, however, only a part of "Jocheonrok," which is a small category of the big category "envoy travel literature." Other works in the category of "Jocheonrok" should be investigated actively so that the study of his Jocheonilrok will highlight further. 인재 최현 문학에 대한 연구는 1959년을 기점으로 지금까지 약 25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주지하듯 역대 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들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상당한 양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보면 최현은 비교적 조명 받지 못한 인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가치의 정당성ㆍ문집의 완역 여부 등의 이유로 몇몇 특정 인물에 편향된 연구에는 문제가 있다. 본고에서 다룰 최현의 경우는 다행스럽게도 근래 들어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추세에 맞추어 그동안의 최현 문학 연구를 장르 별로 구분하여 한시, 가사, 소설, 사행문학 등으로 분류하여 현황을 꼼꼼히 정리해보았다. 전반적으로 살펴본 결과, 현재까지는 장르별로 균등한 양으로 연구가 이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먼저 한시의 경우, 스승에게서 영향을 받은 ‘실용주의적 경향’ 때문이었는지 한시 작품이 많이 남아있지는 않다. 그러나 141수 정도라면 얼마든지 연구가치가 있으며, 텍스트 자체의 연구도 물론이거니와 같은 시기 다른 문인들과의 영향 수수관계를 밝혀보는 과정을 통해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연구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최현의 한글가사 「용사음(龍蛇吟)」과 「명월음(明月吟)」에 대한 연구이다. 그간 「용사음」은 임진왜란 경험을 현장감 있게 다루었기 때문에 현실 고발 의식을 담은 작품과 함께 자주 인용되어 왔다. 우리 가사문학사에서 전란을 제재로 한 작품은 다수가 존재하며 그 역사에서 「용사음」과 「명월음」은 앞선 시기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로 넘어가는 가사의 흐름에서, 과도기를 이끈 대표작품들 속에 당당히 놓여있는 만큼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어서 「금생이문록(琴生異聞錄)」 연구의 가치는 16세기의 대표적인 몽유록계 소설 작품들인 「안빙몽유록」과 「원생몽유록」 그리고 본고에서 다룬 최현의 「금생이문록」이 그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다시 말해 이후에 이 작품들은 본격적으로 창작되는 몽유록계 소설의 초석을 다져놓은 셈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금생이문록」은 허구가 아닌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몽유록계 소설 중에서는 독특한 양상을 보이는 작품이다. 또 삽입되어 있는 한시도 중요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몽유록계 소설로서도, 그리고 삽입시의 기능과 양상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연구 시도가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현의 『조천일록』 연구의 현황을 보면, 2008년에 조규익으로부터 『조천일록』의 존재 가치가 본격적으로 학계에 알려지게 된 이후 꾸준히 연구가 진척되고 있다. 더욱 의미가 있는 것은 17세기의 여러 사행록들 중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이며, 연구 분야도 역사ㆍ문학ㆍ문화 등으로 폭을 넓혀가고 있는 추세라는 점이다. 그러나 ‘사행문학’이라는 큰 울타리 속에서 다시 작은 범주의 ‘조천록’이 존재하며, 그 ‘조천록’ 속에 최현의 『조천일록』이 편린으로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최현의 『조천일록』 연구가 더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천록』들도 활발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과 의미

        이강엽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 and meaning of death in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First, the articles in which death is revealed in Samgukyusa were organized by category, and the method of categorization was reviewed. It was classified based on one axis of whether the description of death ends at death itself or continues until after that, and one axis of whether the focus is placed on the dead or on the survivors in the description of death. As a result, when the narrative ends with death and the focus of the narrative is on the dead, when the narrative ends with death but focuses on the reaction of the living, such as the mourning of the living, the narrative continues even after death, but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is placed on the dead. In the case of losing, the narrative continues even after death, and it was divided into cases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was in the exercise of influence such as helping the living or harming the living. Second, I looked at how death was revealed by each aspect. In fact, in the aspect of presentation, the death unfolded from incomplete to complete. In the aspect mainly expressing reactions, mourning for death and awakening and enlightenment gained from seeing death occurred. Aspects of posthumous transformations, such as ghosts, rebirth, Nirvana, etc., were often related to folk beliefs o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Works in the aspect of exerting influence are cases in which the dead person manifests as another being with physical reality and exerts specific influence. Third, the meaning of death was discussed based on the contents examined by aspect. Through death, individual problems expanded into community problems, or the solution of one generation's problems continued to the next. 이 논문은 『삼국유사』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삼국유사』에 죽음이 드러나는 조목을 편목별로 정리하면서 그 유형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죽음의 서술이 죽음 자체에서 종결되는가 그 이후까지 지속되는가의 한 축과, 서술의 초점이 죽은 이에 두어지는가 살아남은 이에 두어지는가의 한 축을 근거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죽음으로 서사가 종결되고 서술의 초점도 죽은 사람인 경우, 죽음으로 서사가 종결되지만 산 사람의 반응에 중심이 두어지는 경우, 죽음 이후에도 서사가 계속되지만 그 서사의 중심축이 죽은 이에 두어지는 경우, 죽음 이후에도 서사가 계속되는데 그 서사의 중심축이 산 자에게 도움을 준다거나 해코지를 하는 등의 영향력 행사에 두어지는 경우로 나뉘었다. 둘째, 개별 양상별로 죽음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폈다. 사실 제시를 주로 하는 양상에서는 그 죽음이 미완에서 완성까지로 펼쳐졌다. 반응 표출을 주로 하는 양상에서는 죽음에 대한 애도와, 죽음을 보며 얻은 각성과 깨침이 일어났다. 사후 변용이 일어나는 양상에서는 귀신, 전생(轉生), 해탈 등등의 변용이 일어나는 양상에서는 민간신앙이나 불교유입과 연관한 경우가 많았다. 영향력 행사 양상의 작품들은 죽은 이가 물리적인 실체를 지닌 또 다른 존재로 현현하여 구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이다. 셋째, 양상별로 살핀 내용을 토대로 죽음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죽음을 거치면서 개인의 문제가 공동체의 문제로 확장되거나, 한 세대의 문제 해결이 다음 세대로까지 이어졌다.

      • KCI등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동국진경의 생명정신 및 생명미학의 원리

        김연재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analyzing Jeong Sun’s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n his artistic way. The world of Donggukjinkyong is characteristic of the methodology of Jinkyong in landscape painting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orizon of life Aesthetics. The methodological idea of Jinkyong provides a kind of foundation for the artistic theory of landscape paintings. It is a clue to what is a rule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so as to apply it into a technique of landscape paintings, and ultimately to attain to the Donggukjinkyong way. From the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art, his Jinkyong of landscape painting is a symbolic crystallization of real scenery landscapes in such a process of space turn as the epistemological vision of Natural landscape, the ontological world of actual scenery landscape and the axiological horizon of real scenery landscape. It has an integral reality of artistic way toward life spirit in the Aesthetical methodology of Donggukjinkyong. Thus, it is consequent that his artistic character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s at a central point not only for an origin stream of the Korean artistic spirit of landscape painting but also for the archetype and ethos of Korean culture in the East Asia. 본고에서는 산수화의 작품에서 예술성의 요체가 어디에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구체적 사례로서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그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고찰한다. 특히 정선의 말년에 작품이자 그의 독특한 화풍을 잘 드러낸 두 작품, 즉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들 산수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실경(實景)과 진경(眞景)의 본질적 관계에 주목하고 그 논법으로서 의상(意象)과 의경(意境)의 예술철학적 원리를 활용한다. 산수화의 생명정신은 산수의 의상과 의경을 실경의 재현과 진경의 표현과 어떻게 연관시키는가 하는 점에 달려있다. 이는 산수의 공간이 전환하는 과정, 즉 실졍(實景)의 진경화(眞景化)에서 접근된다. 여기에서는 자연산수의 물리적 공간에서 실경산수의 사생정(寫生的) 공간으로 확장되고 진경산수의 사의적(寫意的) 공간으로 확충된다. 이들 공간은 인간의식의 차원에서 각각 인식론적 시계, 존재론적 세계, 가치론적 경계로 전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전환에서 진경산수화의 요체, 즉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생명미학의 예술철학적 방법론에서 도출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철학적 방법론 속에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한국의 회화사에서 미래지향적 청사진의 단면을 드러낸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브라질한인 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의

        강회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ransnationalism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nation-state, but emphasizes that it is not an immutable system. In this day and age when the stubborn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have collapsed and transnational movement and migration have become commonplace, the research of identity-based "nationalism"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new epistemological paradigm. It is regrettable that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broad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national" or "ethnic," "diaspora," and "identity as a Korean."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transnational perspective from a perspective of Brazilian Korean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ubject revealed in the work. The main subject of the analysis was part of the work included in the Brazilian Korean Literature Selection . Brazilian Koreans, who were voluntary migrants, suffer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frustrations within the new migration space. In the work, the subject depicts a specific local space living in order to overcome a series of problems experienced in reality as a space of fantasy and full of space where the subject will no longer be hurt. On the other hand, it shows a transnational pattern of trying to establish one's identity across boundaries in the mix of spaces mixed here and there. 트랜스내셔널리즘은 국민국가의 존재를 인정하되 고정불변한 체제가 아님을 강조한다. 민족국가의 완강한 경계선이 무너지고,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가 일상화된 현 시대에, 동일성에 기반 한 “민족주의”와 한국 근대문학의 연구는 새로운 인식론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해외 한인문학의 연구는 많은 부분이 ‘국가’ 혹은 ‘민족’ ‘디아스포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틀에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브라질한인 문학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으로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을 제안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주체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징 및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의 주 대상은 브라질 코리안 문학 선집 에 수록된 작품의 일부로 하였다. 자발적 이주 주체였던 브라질한인은 새로운 이주 공간 안에서 내·외적인 갈등과 좌절을 겪는다. 작품 속에서 주체는 현실에서 겪는 일련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거주하고 있는 특정한 로컬 공간을 환상의 공간이자 주체가 더 이상 상처받지 않을 충만한 공간으로 그리고 있다. 한편, 이곳과 저곳이 뒤섞인 공간의 혼재 속에서 경계를 넘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도깨비불 경험담의 비서사성과 문학치료적 의미 - 서사의 결함과 치료적 가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권도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Goblinfire experiences' are stories that convey the fact that the narrator or a third party saw the goblinfire. The problems to be solved, the process of solving them, and the results are not organized narratively. This non-narrativeness the goblinfire experiences becomes a requirement to be identified as an incomplete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accordingly,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the literary therapy research and clinical field. However, if someone have definitely experienced it and felt the emotion strongly because of it, it is a clear substantial truth. In everyday human relationship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the truth is uttered, but when it is not accepted as it is, the relationship cannot be formed. And even the subject of experience has no room to deal with the fact. The literary therapeutic possibility that can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narra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goblinfire experiences is in line with the understanding of such human relationships. 도깨비불 경험담은 화자 혹은 제삼자가 도깨비불을 보았다는 사실을 전달하는 이야기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해결 과정 및 결과가 서사적으로 구성되지 못한다. 도깨비불 경험담의 이러한 비서사성은 문학치료학 관점에서는 불완전서사로서 판별하는 요건이 되며, 이에 따라 그동안 문학치료 연구 및 임상 현장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직접 목격하였고, 그것 때문에 특정한 감정을 강하게 느꼈던 경험이 있다면 그것은 경험자 자신에게는 분명한 실체적 진실을 갖는 것이다. 일상적인 인간관계와 문학치료 현장의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속에서 그 진실이 발화되었으나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지 못했을 때 관계가 형성되지 못하고, 경험 주체 스스로도 그 사실을 처리할 수 있는 여지를 갖지 못하게 된다. 도깨비불 경험담의 서사적, 심리적 측면을 살핌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 치료적 가능성은 그러한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와 맞닿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