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소종래(所從來)에 대한 고봉(高峯)·퇴계(退溪)·율곡(栗谷)의 인식 비교

        조첨첨 ( Zhao Tian Tia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8 No.-

        사단과 칠정을 구분하는 기준은 ‘所從來’와 ‘所主[所指]’ 두 가지이다. 高峯은 사단과 칠정은 ‘所指’는 다르지만 ‘所從來’는 동일한 ‘性’ 하나이기 때문에 ‘실질은 같고 이름만 다르다[同實異名]’라고 주장하였다. 退溪는 사단과 칠정은 ‘所指’ 뿐만이 아니라 ‘所從來’가 각각 리와 기이기 때문에 사단과 칠정은 리와 기의 차이에 상응하는 이질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栗谷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있는 사단과 칠정은 물론 대립적인 인심과 도심도 소종래는 동일한 ‘理’ 하나이기 때문에 사단과 칠정은 하나의 정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즉 高峯과 栗谷은 사단/칠정의 소종래에 대하여 ‘理一源論的 認識’을 갖고 있었던 반면에 退溪는 ‘理氣二源論的 認識’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사단과 칠정의 ‘所就而言[所指]’가 다르다는 점에 대해서는 고봉·율곡와 退溪의 의견이 일치하였으나 ‘소종래’에 대해서는 의견이 서로 첨예하게 달랐던 것이다. 고봉·율곡와 退溪의 주장이 충돌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이와 같이 퇴계·고봉·율곡이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적 과제는 ‘사단과 칠정의 소종래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더구나 율곡과 우계의 논변에 있어서 이 문제가 어떻게 논의 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퇴계, 고봉의 주장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ur-Seven Debate is based on 'sojinglae (origin,source)' and 'soju (the main referred to). Toegye thinks the two are two kinds of emotion, because their 'sojinglae' are li and ki. Gobong thinks the two are one kind of emotion, because their 'sojinglae' are li. They all agreed on ‘sochuiion(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same thing)’ of the Four and the Seven. However, they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sojingla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different theories. Although the questions of 'sojinglae' is the main issues of the four and seven, it has not gotten attention and systematic research so far. This issue in Yulgok and Ugye's Four-Seven Debate is rarely discussed, so this paper focuses on this.

      • KCI등재

        『순언』 군주론의 내적구조 분석 연구 -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를 중심으로 -

        김희 ( Kim¸ H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순언』의 군주 수양론이 전개되는 양상을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와 연계하는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몽요결』과 함께 율곡의 말년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순언』에는 현실정치에 참여했던 관료인 동시에 지식인으로서 현실사회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새로운 방식으로 모색한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가 표명되어 있다. 여느 저술들과 달리 『』순언『』은 당대에 이단으로 분류되었던 노자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순언』에 나타나는 군주론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넘어서는 보다 넓은 의미의 맥락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유불도(儒佛道)를 아우르는 사상융화의 회통성을 지향한 율곡의 실리적 학문하기 방식과도 연관된다. 즉, 율곡이 일생동안 추구한 실천적인 학문하기 방식에 비추어 볼 때 현실사회에 기능할 수 있는 학문의 실리성과 실증성은 가치와 이념의 경계성을 넘어서는 내용을 갖는다. 이 점에서 『순언』이 저술된 시기에 이루어진 구봉과 율곡의 서신 교류에는 구봉과 비견되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남다른 인식과 이해를 엿볼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즉, 時宜와 實功이라는 학문의 능동적인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율곡의 입장에서 볼 때 당대의 지식인 견지하고 있는 명분 중심의 학문관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부족한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성리학적 세계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현실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는 구봉과 다른 율곡의 견해에는 현실과 괴리된 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율곡의 의지가 담겨져 있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위한 변화의 동기를 理氣之妙의 회통정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율곡의 시대의식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례에 이루어진 율곡의 『노자』 주해, 즉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진다. 하지만 이것은 율곡의 『순언』 저술이 갖는 동기, 다시 말해 “율곡의 『노자』 주해가 이루어진 정치적 상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약화시키는 제한성을 낳는다. 또한, 이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에 경도되지 않는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연구는 『노자』에 대한 율곡의 개인의 이해를 넘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를 갖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문제의식을 규명하는 작업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새로운 문제의식이 발전하는 과정을 율곡이 강조하는 실리적인 학문하기 방식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규명은 『순언』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군주론의 내적의미와 구조를 보다 구체화 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된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kingship of 『Sun Eon』 through Yulgok’s motivation of the very writing, based on scrutiny of his will for social reform. In addition to 『Gyeongmongyogyeol』, 『Sun Eon』, that is assumed to be written in Yulgok’s latter years, contains his attempt to diagnose problems of the society and his will to seek for practical plans so as to solve them in the capacity of one of government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involved with realistic politics. However, unlike other Yulgok’s writings 『Sun Eon』 is based on Lao-tzu’s philosophy which was classified as a heresy in those days. Furthermore, Confucian Kingship reflected in 『Sun Eon』 retains a wider significance of contextuality beyond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And this book is relevant to his practical way of learning oriented towards mutual unification of different idea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ound the time when Yolgok wrote the book, 『Sun Eon』, he corresponded with Gubong. Through correspondence between them, we can get a sense of Yulgok’s own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toward the actual society, unlike Gobong’s. In light of Yulgok’s perspective of the function and role of learning, timeliness and activeness matter. Therefore, an justification-oriented aspect of learning, that the intellectuals―including Gubong who valued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above everything else― of the time had, is contradictory to his, because he thought such their aspect had a limit to solving actual problems in the society. For him who emphasizes motivation for change through mutual unification of Yigijimyo (理氣之妙) to create a new society, to overcome constraints of learning divorced from reality corresponds to a paramount task during his time. Until lately, academic research of Yulgok’s annotation on 『Lao-tzu』 has been done, focused on Neo-Confucianism―in other words, a way of interpretation on 『Sun Eon』 has only revolved around the 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at Yulgok holds as a Neo-Confucian scholar. Such approach, however, leads to abating a significant sense of motivation for writing 『Sun Eon』. Namely, his true purpose of writing 『Sun Eon』, influenced by political situations and necessities, becomes undermined. On this account,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for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toward 『Sun Eon』 is required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Viewed from this light, the study on Yulgok’s motivation of writing 『Sun Eon』 belongs to a task beyond his personal understanding of 『Lao-tzu』 in order to investigate his critical awareness towards the actual society that has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s. And it is also a process of analyzing in connection with a practical way of learning, that is emphasized by Yulgok, development of his awareness of the problems in regard to the real world. Therefore, examination of his motivation of writing 『Sun Eon』 leads to a series of processes to definitize an internal meaning and structure of Confucian kingship suggested by the very book.

      • KCI등재

        李栗谷思想中的 「理」 與 「心」

        후지미치아키 ( Michiaki Fuji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율곡(栗谷) 사상 중 ‘무형무위(無形無爲)’의 리(理)의 성질, 심성관계,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의 이론적 구조 등의 문제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풍부한 성과가 있다. 필자의 짧은 소견으로 볼 때, 과거의 연구에서는 율곡의 ‘리’의 ‘무형무위’라는 이 성질에 과도하게 주목하여 율곡 사상의 특색이 리의 활동성이라는 점을 부정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율곡의 문제의식은 리가 ‘활동하느냐’ ‘하지 않느냐’라는 문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기호발(理氣互發)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 가지 본체, 두 가지 근원이 성립될 수 있는가이다. 율곡은 인간의 심정의 근원은 오직 하나이며, 즉 ‘리기혼합(理氣混合)’,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 생각했다. 리기 양자는 혼융 일체되어 상호 협조하여 하나의 본체, 근원을 형성한다. 이 본체, 근원은 만약 한쪽이 부족하면 성립될 수 없다. 분석해 보자면, 기(氣)는 이 본체가 작용할 때 동력의 근원이며, 리(理)는 이 본체의 자원과 정보 내용이다. 여기서 설사 ‘리’ 스스로 활동성을 갖추지 못하여도 전혀 장애가 없다. 왜냐하면 ‘리기혼합’의 구조에서 리는 기의 동력으로 인해 여전히 자기의 내용을 발휘할 수 있고 본체로서의 역할을 유지한다. 율곡은 비록 리를 ‘무형무위’로 규정하였지만, ‘리의 발용’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인정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려면 ‘리기혼융불상리(理氣渾融不相離)’의 관점을 소홀히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인심도심설에 관하여 필자는 율곡이 이해하고 있던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은 인간의 심정에 대한 서로 다른 분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율곡의 이해에 따르면, 사단칠정은 단순하고 움직이지 않는 심정의 종류로 서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가운데서 특수한 부분을 골라낸다. 칠정이 가리키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전체이다. 사단이 가리키는 것은 그 가운데 선(善)의 부분이며, 칠정 중에 사단을 포함한다. 양자의 관계는 바로 전체와 부분이며, 그러므로 대립 모순되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인심도심은 심정이 발생시키고 형성한 구조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인심, 도심은 모두 동일한 성리(性理; 天性)에 근거한 심지용(心之用), 정지발(情之發)이다. 양자의 차별은 바로 ‘발(發)’을 일으키는 동기에 있다. 다시 말해 도심은 ‘도의(道義, 理義)를 위해 발하는 것’이며, 인심은 ‘구체(口體, 食色)을 위해 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심은 ‘성명지정(性命之正)’에 따라 생겨난 ‘도덕정감(道德情感)’이며, 인심은 ‘형기지사(形氣之私)’에 따라 생겨난 ‘자연정감(自然情感)’이다. 양자의 성질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인심도심은 서로 겸할 수 없고 서로 종시(終始)를 이룬다”, “도심은 인심이 아니며, 인심은 도심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이 율곡에게서 시종일관 변화가 없으며 주자에 부합하는 본인의 이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ties of Li(理) which is invisible and inactive,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Yi Yulgok’s thought. Based on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tructure of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Li and Qi(氣) are one substance in Yi Yulgok’s thought and never be apart. It will not form only have one of Li and Qi without the other. Qi is the force of this substance, and Li is the content of it. There is no any problem even if Li has no activity, since Li can exert its content through Qi in the structure of substance. Therefore, for Yi Yulgok, Li concretely exist and has the meaning of being substance. I think that we can not ignore Yi Yulgok’s thought about Li and Qi if we want to repute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 KCI등재

        17세기 이후 율곡학의 계승 양상과 절충파 등장의 意義(의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17세기 이후 학계ㆍ사상계의 주류를 이룬 율곡학의 계승을 고찰하고, 율곡학파의 분화 과정에서 등장한 절충파의 성격과 사상사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성리학사를 보면 학파간 대립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17세기 후반 무렵부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학인들 사이에서 상대측 학설을 의식하는 움직임이 일었다. 또 이것을 지속시켜 조선 성리학사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어갔다.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사이를 좁히고자 먼저 행동으로 옮겼던 쪽은 기호학파 학인들, 특히 김창협(金昌協) 계열이었다. 그들은 학문적으로 율곡학파의 계통을 이었고 정파상으로도 노론에 속하였지만, 율곡설을 기본으로 하면서 퇴계설을 수용하여 ‘제삼의 학설’을 이끌어냈다. 또 김창협을 전후 한 시기의 박세채(朴世采)ㆍ조성기(趙聖期)ㆍ임영(林泳) 등 소론계 학인들 역시 율곡학파의 우산 속에 포함되는 인물이면서도, 율곡 학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퇴계의 설을 수용하여 이른바 ‘절충파’를 형성하였다. 김창협 계열의 학자와 절충파 학자들은 율곡설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식하였다. 또 퇴계ㆍ율곡의 학설을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학파와 당파의 장벽이 엄연하던 시절에 율곡설의 한계를 극복할 만한 대안을 퇴계설에서 찾으려 했던 점, 또 존재론의 차원과 도덕론의 차원을 구분해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학술 발전사에서 중요한 진전이라 하겠다. 성리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학설에 대한 해석을 놓고 학파가 나누어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또 성리학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다고 본다. 특정한 학설을 놓고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고 비판과 수용이 이루어지며, 또 한 학파의 전통이 수백년 동안 이어졌던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This thesis is aimed at consideration of the succession of Yulgok’s school, which comprised the main stream of academia in Joseon since 17th century, and research on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eclectic faction, rising while the Yulgok’s school spli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a concatenation of factional strife among different schools. However, there was a new wave of embracing the other’s idea between the Toegye’s school and Yulgok’s school. It had led to making a new phas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ose who made the very first gesture to bridge each other schools were some scholars from the Yulgok’s school, especially the people of Kim Chang-hyeop. Although they academically succeeded the Yulgok’s school and politically belonged to No-ron (老論, the hard-liners of Western faction), they accepted the theory of Toegye and constructed the third theory without excluding their academic basis of the Yulgok’s. In addition to Kim Chang-hyeop, there were other scholars from So-ron(少論, the moderates of Western faction) including Park Se-chae, Jo Seong-gi and Im Yeong, as another academic stream of the Yulgok’s school, that raised objections to the Yulgok’s theory and embraced the perspective of the Toegye’s form the eclectic faction. The scholars from Kim Chang-hyeop and from the eclectic faction clearly appreciated the limits and drawbacks of Yulgok’s theory. Moreover, they regarded the theory of Toegye as complementary. Considering that era was in the strict barrier of schools and factions, it is noticeable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history that they made great efforts to find the answer to the limits of Yulgok’s theory in that of the opponent, Toegye’s school,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the matter of ontology from that of ethics. In Neo-Confucianism, it is natural for the schools to split while in argument of how to comprehend the theory. Furthermore, it seems to have played a positive role in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t is worth special attention that the tradition of a school had been succeeded for hundreds of years as well as there had been continuous studies upon a certain theory through numerous diatribe and acknowledgement.

      • KCI등재

        사단(四端)에 대한 주리(主理)적 해석 - 퇴계와 농암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지은 ( Kim Jieu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7 No.-

        맹자가 구상한 ‘사단(四端)’이란 개념의 전반은 『맹자』의 ‘유자입정(孺子入井)’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맹자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할 때, 이를 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저절로 지니게 된다는 심리적 사실에 의거하여 인간의 내면에 ‘인(仁)’의 덕성이 본유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로부터 사단이 절대순선한 ‘상(象, image)’과 모든 사람이 자연스레 드러내는 ‘발현 양상’의 측면으로 구성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맹자가 설명한 사단의 두 측면을 완전하게 밝히고자 했던 대표적인 조선 성리학자로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과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에 주목하고자 한다. 퇴계와 농암은 모두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는 리(理)·기(氣)의 존재론적 설명방식으로 맹자가 말한 사단의 본지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졌기에 순선한 가치론적 속성을 갖는 ‘리(理)’를 위주로 하여 사단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논의의 층위가 달랐던 탓에 사단에 대한 두 학자의 주리(主理)적 해석이 함의하는 바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철저히 가치론적 견지에 입각했던 퇴계는 사단의 의미[所指]뿐 아니라 근원[所從來]까지 칠정과 엄분하여 호발(互發) 명제를 정립했고, 이를 통해 사단의 본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퇴계의 호발설이 과도한 논리의 전개라고 비판한 농암은 학파의 종장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토대 위에서 사단을 주리적 감정으로 설명함으로써 사단의 진의를 드러내고자 했다. Mengzi established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as the most fundamental human virtues. Its underlying concept is illustrated by Mengzi’s parable of “a child about to fall into a well”. Based on the intrinsic feeling of compassion that anyone would have on seeing “a child about to fall into a well,” Mengzi demonstrates that human beings have an innate virtue of ren(仁; benevolence). This parable embraces two aspects of sadan : the image(象) of absolute goodness intrinsic to the human mind and its spontaneous manifesta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sadan, focusing on the arguments of two illustrious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who sought to thoroughly explore these two aspects of sadan as explained by Mengzi: Toegye(退溪) Yi Hwang(李滉, 1501-1570), and Nong-am(農巖) Kim Chang Hyeop(金昌協, 1651-1708). Both scholars saw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essence of sadan with an ontological approach and adopted axiological approaches, focusing on its interpretation based on li(理). The main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sadan between these two scholars lies in the layers of argument leading to their respective li-based implications. Toegye sought to elucidate the essence of sadan from a thoroughly axiological perspective and established the proposition of “the mutual issuance”(互發) by neatly distinguishing not only the meaning(所指), but also the origin(所從來) of sadan from chiljeong(七情; the Seven Emotions). Nong-am criticized Toegye’s proposition of mutual issuance, and holds fast to the proposition stipulating that “only gi issues and li rides on it”(氣發理乘一途說) established Yulgok(栗谷) Yi I(李珥, 1536-1584), the founder of Yulgok School, as the basic position, and sought to unlock the essence of sadan as intended by Mengzi by explaining sadan conceptually based on li.

      • KCI등재

        율곡 이이의 경세관 연구 - 원칙, 변화, 실질을 중심으로 -

        선병삼 ( Sun¸ Byeong Sa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 경세관을 ‘원칙(목적)’, ‘변화(경장)’, ‘실질(무실)’이라는 3가지 키워드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원칙(목적)에 대한 율곡의 태도는 입지(立志) 두 글자에 그대로 드러나는데, 이때 그 입지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율곡은 지상(至上)의 목적에 대한 절대적 헌신과 그 지상 목적의 실효성에 대한 확신을 보여준다. 바로 ‘지상의 목적은 희망사항인 이상론이 아니요 실제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진정한 현실론이다. 그러므로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뜻을 정해야 하고 그 목표는 원대하고 대담하게 보이는 지상의 비전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두 번째로 변화(경장)에 대한 율곡의 태도는 국운이 흥하느냐 망하느냐는 경장의 실시 여부에 달려 있다는 입장에서 잘 드러나는데, 여기서 율곡은 변화(경장)을 주장하면서 구체적 실행에서는 점진적 개혁을 주장한다. 세 번째로 실질(무실)에 대한 율곡의 입장은 실사(實事)의 측면과 실심(實心)의 측면에서 조망할 수 있는데, 율곡은 실심과 실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실질을 올바로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3가지 율곡 경세관을 오늘날의 자기 계발론, 기업 경영론, 국정 운영론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원리로서 정립하는 시도는 율곡 경세 사상의 외연을 확대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understand Lee Yulgok’s governing theory in a way such as three keywords of Principle(Goal), Change(Reformation), Action(Practice). The first, We can find out Lee Yulgok’s mind as to principle(goal) through analyzing his main idea of Li Zhi(立志). It is inevitable task to identify the object in pursuing Li Zhi, which means what is the goal in Li Zhi. Lee has a firm commitment to goal of pursuing Wang Dao(王道) believing it gives practical efficiency not being little more than idealism. Hence, Lee lays stress on the idea that we should decide it, pursue the Big-Hairy-Audacious goals. The second, for change(reformation), Lee makes a statement the country perishes or not is under the control of change(reformation) or not. It is important that Lee insists on gradual reform in change. The third, apropos of action(practice) we hav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wo aspects of Shi Shi(實事) and Shi Xin(實心). According to Lee’s speaking, doing fulfillment of Shi Shi(實事) and Shi Xin(實心) all is right way to action(practice). Those three keywords of principle(goal), change(reformation), action(practice) adopting other field such as self-development, management, administration can widen and deepen Lee’s governing theory.

      • KCI등재

        선심의 선과 중절의 선 - 사단칠정 해석 분기(分岐)의 제1원인 -

        김기현 ( Kim Kee Hye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7 No.-

        송명시대의 이학자(理學者)들은 모두 성선설 지지자들이다. 당연히 이들은 맹자의 사단설(四端說)을 중요하게 여기며, 사단의 선심(善心)을 실행하면 선이 산출된다는 선(善)의 규준을 취한다. 그런데 한편으로 이학자들은 북송(北宋)시대부터 이미 『중용』의 중화(中和) 논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중용』의 중화설에 따르면 희노애락 등의 정서가 발동하였을 때 중절(中節)하면 화(和)의 선이 산출된다. 이렇게 되면, 희노애락 등의 정서가 발동하여 중절하였을 때인 ‘중절의 선’과 사단의 선심을 실행한 ‘선심의 선’, 이렇게 두 종류의 선악 규준을 갖는 것이 된다. 하나의 철학체계 안에서 선(善)의 규준이 둘일 수는 없다. 이 두 선악 규준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작업은 북송이래 중국과 한국에서 이학이 전개되는 가운데 반드시 정립되어야 할 것의 하나가 되었다. 결과를 놓고 말하면, 육구연(陸九淵)과 왕수인(王守仁)의 이학(理學)에서는 ‘선심의 선’이 ‘중절의 선’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정립(定立)되어 갔다. 반면에 새로운 유학(Neo-Confucianism)인 성리학에서는 이 난제에 대해 닦아놓은 기왕의 길이 없어 새롭게 노선을 열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실질 내용 면에서 보면, 이 난관은 성리학이 ‘심(心)-성(性)-정(情) 삼분(三分)’의 원칙에 의거해 사단(四端)의 선심을 칠정(七情)과 함께 다같이 ‘정(情)’으로 규정한 데서 비롯된다. 16세기의 사단칠정 논변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퇴계와 율곡에 의해 각기 하나의 노선이 열렸고, 이 두 성리학 노선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글은 윤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사단의 정’과 ‘칠정의 정’ 간의 관계 설정 문제에 직면한 성리학이 16세기 사단칠정 논변의 결과 호발설(互發說)과 일도설(一途說)의 두 노선으로 길을 닦아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거시적으로 조명한 것이다. 주요 논제는, 송명이학이 직면했던 두 개의 선악 규준에 대해 성리학은 호상학-양명학의 노선과는 근본적으로 길을 달리 하였다는 점과 성리학 안에서는 퇴계와 율곡에 이르러 두 노선으로 분기(分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학의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핵심 논점들은 무엇무엇이었는지를 짚어보고, 향후 연구자들이 수행해 내어야 할 과제들에는 무엇무엇이 있는지를 정리해 간다. All the Rational Philosophers of the Song-Ming Dynasty supporte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Naturally, they made much importance of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Mencius proposed, and regarded what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s the criterion of the good.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 Philosophers began to discuss ‘equilibrium and harmony of feeling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in the Doctrine of the Mean, when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have been stirred and they act in their due degree, the good of harmony ensues. This resulted in two kinds of criterion for the good: ‘the good of the original mind’ that performs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good of acting in a due degree’ when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have been stirred and they act respectively in their due degree. There cannot be two criteria of the good in a philosophical system.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riteria of the good became one of the notions that had to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Rational Philosophy in China and Korea since the Northern So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ult, in the Rational Philosophy of Lu Hsiang-shan and Wang Yang-ming, ‘the good of the original mind’ was established to have precedence over ‘the good of acting in a due degree’.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m faced a situation in which a new line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the absence of existing ways to understand and solve this difficult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stantive content, this difficulty stems from the fact that Neo-Confucianism defined both goodness in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Seven Feelings” as ‘feelings’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a trisection into mind-nature-feeling. Through the “Four-Seven Debate” in the 16th century, Yi T’oe-gye and Yi Yul-gok finally established one line, respectively, and these two lines of Neo-Confucianism have been maintained to date. From the viewpoint of ethical thoughts, Neo-Confucianism, which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s in the “Four Beginnings of Moral Sentiments” and the feelings in the “Seven Feelings”, it developed two lines of thought through the “Four-Seven Debate” in the 16th century: the theory of “Mutual Issuance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nd the theory of the “Single Path of the Issuance of Material Force”, and these two doctrines have been maintained to date. This is macroscopically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s what major issue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Rational Philosophy, and summarizes tasks that researchers should undertake in the future.

      • KCI등재

        17세기 사상계의 율곡 경세론 수용과 전개

        이경동 ( Lee Kyung Do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 경세론이 수용된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당대 경세론을 주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후 정치적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거나 조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하였다. 율곡의 위상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인조반정 이후였다. ‘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율곡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하였다. 율곡의 위상 변화와 함께 경세론도 국정운영 과정에서 다루어 졌다. 율곡학파 계열은 정계에서 주도권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정책의 많은 부분에서 율곡의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대동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점차 대동법의 취지가 율곡의 공납제 개혁안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논리로 정립되어 갔고, 종모법은 율곡이 제시했다는 점에서 송시열 등에 의해 정책 추진 근거로 제시되었다. 율곡 경세론은 당대 지식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어 갔다. 이유태의 「기해봉사」나 유계의 「강거문답」은 율곡이 제시했던 경세책의 구조를 모방하여 구현되었다. 이들은 율곡학파 계열임과 동시에 율곡 경세책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경세책의 이론적의 이론적 토대로 율곡의 견해를 채택했다. 유형원은 북인계-남인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반계수록』을 통해서 율곡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유형원은 군역, 관료제, 과거제, 군현제 등에서 율곡 경세론을 기반으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하였다. 공전제를 기초로 한 사회개혁안을 전개하며 노비제 혁파 등 율곡이 구상하지 않았던 분야에까지 이상사회 구현을 위한 견해를 제시하면서 율곡 경세론의 수용과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의 경세론은 율곡학파 뿐만 아니라 비 율곡학파에 이르기까지 점차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사회경제정책과 경세론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purports to analyz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Yulgok's statecraft theory accepted in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Yulgok's status began to be established in 1623. Along with the change in Yulgok's status, the statecraft was actively dealt with throughout society. As the rationale for reform, the figures who belonged to the Yulgok School promoted socio-economic policies and presented Yulgok's theory of statecraft as a theoretical basis. Yulgok's statecraft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policy promotion in reforming the tax system or the class system. Yulgok's statecraft theory was referenced in the statecraft theories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various ways. Those in the Yulgok school, such as Yu Gye and Lee Yootae wrote books about the statecraft theory by imitating the structure of the statecraft theory presented by Yulgok. Despite the fact that Yu Hyeoungwon had no academic succession relationship with Yulgok, Yu Hyeoungwon developed his logic based on Yulgok's statecraft theory in the military, bureaucracy,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17th century ideology, Yulgok's statecraft theory gradually expanded to the Yulgok school and intellectuals who were not related to the Yulgok schoo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ocio-economic policy and the statecraft theory argued.

      • KCI등재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19세기에 한정하여 심성설에 나타난 ‘주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율곡학파의 심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재’의 문제는 19세기 율곡학파뿐만 아니라 퇴계학파에 속하는 한주학파와도 부각되었던 주요 논제들 중의 하나였는데, 이는 18세기 명덕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이 本心에 대한 리기론적 규정으로 전개되면서 19세기 심설 논쟁에서 부각되었던 논제였다. ‘주재’는 心性論에서 心의 機能을 가리키는 말로, ‘본성 실현의 현실적 주체’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19세기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실천의 정당화 과정으로 짐작된다. ‘주재’의 주체, 그리고 대상 등이 19세기 율곡학파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먼저 퇴계학파에 속한 李震相의 ‘心’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비판의 논점을 살펴보았다. 그의 비판에서 19세기 율곡학파의 心論이 가진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율곡학파 心論의 특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중심으로 19세기 율곡문인들 중 任憲晦, 淵齋學派의 종장인 宋秉璿, 蘆沙學派의 奇正鎭, 華西學派의 李恒老 등의 ‘주재’에 관한 논의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특히 율곡학파의 심설에 나타난 양상을 18세기와의 연관, 즉 율곡사상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에서 살피기보다 19세기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율곡학의 심론에 담긴 본지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ory on "ChuJae(主宰, presid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philosophical problem of "ChuJae" had been given a considerable attention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re was a marked contrast between Yulgok school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The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sisted that emotions and behaviour were amendable to the workngs of the human mind and the Mind contained principle and material[心合理氣]. Among them, Yi Jin-Sang(李震相)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In counterpoint to that of them, Neo-Confucianists of Yulgok school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Yulgok`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indifference to Mind theory was also met with in the Lichi(理氣) theoretical explanation problem of "ChuJae(主宰, preside)".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in recent research. By exploring some key singnifying aspects in their Mind theory, I hope to show them how to justify the Lichi theoretical explanation of "ChuJae(主宰, preside)". Basically, their arguments was coupled with their endeavor to overcome of national crisis. They laid much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and tried to mak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by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의 호발설(互發說)에 대한 이해 분석 - 율곡(栗谷)과 우담(愚潭)의 `발(發)` 자(字) 이해를 중심으로 -

        유한성 ( Ryu Hansu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우담(愚潭)은 퇴계(退溪)를 옹호하며, 율곡(栗谷)이 퇴계(退溪)를 잘못이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우담의 비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율곡이 퇴계의 학설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 율곡은 리가 정의, 조작이 없는 형이상자이기 때문에 퇴계의 리기호발설이 문제가 있다고 비판한다. 그는 `발(發)` 자를 발동, 발용, 감발로 구체화시켜 `움직인다`라는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리는 그러한 작용을 할 수 없음을 근거로 퇴계의 리기호발(理氣互發)을 비판한다. 이에 대해 우담은 리기호발의 `발` 자가 사단의 `단(端)` 자와 그 의미가 이어져 있음을 근거로, 발현으로 용어를 구체화시키고 `가치가 드러난다.`는 의미로 이해하여, 리기호발이라는 명제가 문제없음을 주장한다. 우담은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리기호발을 수양론측면에서 `기미를 살피는 공부`의 중요점을 강조한 명제로 의미를 확장시킨다. Wudam defended Toegye and criticized Yulgok misunderstanding Toegye. To understand these criticisms of Wudam, we have to look at how Yulgok perceived Toegye`s theory. Yulgok criticizes that Toegye`s theory, called liki-hobal(理氣互發), is a problem because li is a non-movable thing. By embodying bal(發) as play baldong(發動), start balyoung(發用), feel moving ganmbal 感發, he understand liki-hobal. Yulgok criticizes Toegye`s theory, called liki-hobal(理氣互發), on the basis that li can not perform such a function. On the other hand, Wudam insists that liki-hobal based on the fact that bal is followed on sada`s dan(端). And he embodies the term as expression value balhyun(發現). Based on this, Wu-dam extends liki-hobal to an important proposition in reading a sign of he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