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민속학회 30년의 반성적 회고와 성찰적 전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회고와 전망의 기본적 준거는 학회를 타자화 할 것이 아니라 자기 문제로 끌어들여 스스로 성찰하는 일이며, 구체적 준거는 학회 학술활동에 관한 바람직한 전망을 제시하는 일이다. 학회에 대한 두 차례 비판이 있었는데 한결같이 비교연구 부재를 지적하는 당위론이다. 공교롭게도 이 사실을 비판한 회원은 학회에서 비교연구 논문을 발표하거나 게재한 실적이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스스로 실천하지 않는 당위론을 교사적 태도로 주장하는 것은 자기모순을 드러낼 뿐 학회 발전에 이바지하지 못한다. 학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길은, 첫째 비교민속 기획발표를 개최하고, 둘째 외국 민속답사를 실천하여 비교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비교민속 기획은 학회 초기부터 한일비교민속을 특집으로 정체성을 살렸으나, 논문 평가가 시작되면서 비교논문보다 일반논문의 비중이 더 커져서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고 ‘아시아 민속 비교연구’를 표방하는 학술대회를 4년 동안 계속하면서 비교연구의 정체성을 살린 한편, 회원들이 비교연구에 염증을 느끼게 되자 다시 주제 중심의 학술대회로 방향을 바꾸었다. 학회의 중심이 비교민속과 일반민속 기획연구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오가고 있는 셈이다. 외국 민속답사 기획도 초기에는 연구주제 중심으로 답사하고 그 결과를 학회발표와 논문게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점차 다수 회원들이 참여하면서 지역중심의 외국답사를 하게 되어 비교연구로 이어지지 않았다. 다만 현지 학자들과 국제학술대회를 하고 그 결과를 학회지에 수록하는 일은 지속되었다. 외국답사에 따라 국제학술대회와 외국학자들의 논문 수록으로 학회지 평가에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점유하며 학회 발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기획발표와 외국답사를 시기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정리하면서, 왜 그러한 변화가 일어났는가 하는 사실을 국내 학계의 요인과 외국 수교관계에 따라 밝혔다. 학회의 정체성 확립을 넘어서 학문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도 비교연구는 필요하다. 그 결과, 전파론적 비교연구에서 동이론적 비교연구로 나아가다가, 마침내 신비교주의에 따라 ‘유목?농경 문화 비교모형’을 수립하고 생업양식에 따른 총체적 비교연구의 분석틀을 개척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학회는 해마다 정기적인 외국 민속답사를 기획하여 동아시아에서 동남아, 중앙아, 동북아, 시베리아 지역을 넘어 미주 지역까지 답사지역을 확대하며 다양한 외국민속 경험을 쌓아왔다. 그러나 다수 회원의 민속 참관 수준에 머물러서 학술연구로 이어지는 현지조사가 되지 못했다. 따라서 진전된 성과를 위해서는 소수 학자들 중심의 밀도 높은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비교연구로 이어지도록 하는 기획이 필요하다. 더 절실한 과제는 대안과 전망을 열거하는 데 머물 것이 아니라 하나라도 자기 것으로 안고 실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찰 없는 회고와 실천 없는 전망은 학회 형식주의에 머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회의 진정한 전망은 회원 각자의 학문활동 전망에서 마련된다.

      • KCI등재

        비교민속학회 학술활동 성과와 민속학의 새 지평 확대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24 비교민속학 Vol.- No.79

        비교민속학회 학술활동을 학술발표회와 학회지 간행, 외국 민속답사, 비교민속 연구 성과에 따라 차례로 밝히면서, 외국답사 중단과 학회지 발간 축소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비교민속연구의 이론적 성과는 발전 단계별로 정리했다. 전파론적 비교연구에서 동이론적 비교연구로 나아갔을 뿐 아니라, 사실판단 단계의 동이론에 만족하지 않고 원인판단 단계의 동이론으로 진전된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엑스타시형 샤머니즘은 유목문화, 포제션형 굿은 농경문화의 생업양식에서 비롯된 유형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마지막 단계는 신비교주의에 입각해서 총체적 비교연구로 나아가 농경/유목 문화 비교모형을 수립함으로써 거시적 주제중심의 맥락적 비교연구에 이르렀다. 비교민속학의 새 지평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가) 학회의 정기적 학술발표회를 새로운 학설 중심으로 기획하여 컨퍼런스 형태로 할 것, 나) 외국답사와 비교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전공별 소그룹 활동이 가능하도록 회원들을 조직할 것, 다) 비교연구 기반 조성을 위해 외국 민속지 번역작업을 할 것, 라) 비교민속 연구를 개척하기 위해 국제혼 가족들을 대상으로 민속조사를 할 것 등을 제안했다. 현단계 민속학 개척을 위해 인터넷문화와 디지털문명의 일상화에 따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페이스북 민속과 함께 유튜브 민속, 스마트폰 민속으로 민속학의 영역을 현실 문화생활과 관련하여 확대해 나가야 한다. 현단계에서 더 나아가면 포스트휴먼 시대와 만나게 된다. 이 시기에는 필연적으로 사이보그와 안드로이드와 공생해야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래 민속은 전자인간과 공생의 길을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민속학은 현실문화와 미래문명과 함께 가는 학문으로 지평을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with the suspension of foreign site visits and the reduction of journal publications while describing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in the aspects of academic conferences and journal publications, foreign site visits, and achievements of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Specifically,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f comparative folklore studies were organized by research development phase. The initial perspectives of comparative folklore research showed an advance from the theory of diffusionism to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 and for the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the basis for judgment proceeded from factual judgment to causal judg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cstatic shamanism originated from nomadic cultures, whereas possession-type gut (Korean shamanistic ritual) was associated with the lifestyles of agricultural cultures. As the final research phase, holistic comparative research based on new comparativism was advanced to macro-thematic, contextual comparative research, by establishing a comparative model of agricultural and nomadic cultures. To expand a new horizon for comparative folkl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 regular academic presentations from the Society should be based on new theories and organized in the form of conferences; b) the Society should organize small groups of members by specialt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foreign visits and comparative research; c) foreign folklore materials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to lay a foundation for comparative research; and d) folklore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interracial families to pioneer comparative folklore research. To advance the current phase of folklore research, the routinization of Internet culture and digital civilization should be studied. The realms for folklore research need to be extended in relation to real cultural life involving Facebook, YouTube, and smartphone. The next phase of folklore research will meet a posthuman era. This era will require a symbiosis with cyborgs and androids; therefore, the future folklore in the posthuman era will be inevitably centered on living together with electronic persons. In that sense, folklore should expand its horizon as the discussions and research on real culture and future civilization.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비교사회학의 향방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글에서는 1970년대 미국의 사회학계에서 분과 학문으로 제도화된 비교사회학을 주목하고 그 방법론적 성과들을 정리했다. 이어 그것들에 대한 비판들을 참고삼아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문제들을 분석했다. 나아가 비교사회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과정에서 산출된 대표적인 성과들을 살펴봄으로써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향방을 가늠해보았다. 비교사회학과 비교민속학은 비교를 추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방법론에서 큰 차이가 난다. 비교사회학이 방법론적 실증주의의 토대 위에서 거시적인 역사 변동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했던 것과 달리, 민속학은 애초 지역문화 혹은 민속의 특수성과 차이를 미시적?맥락적으로 포착하려고 애썼으며, 바로 그 점에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민속학은 민속학 본연의 이 특장을 몰각한 채 학문적 대의만을 되풀이 주장함으로써 비교연구 자체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을 등한시했다. 그 결과 비교민속학이 봉착한 최대의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탈민속학화’다. 오늘 우리가 천착해야 할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과학화가 아니라 그 불가능성인 까닭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discussion for the full-fledged reflection of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folklore through sharing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of the comparative method that related studies have been pursued. Especially focused on the comparative sociology institutionalized as the academic discipline at 1970s in America, it summarized the methodical results. And referring to the critics about them, it analyse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and the basic contradictions of comparative folklore. Focusing on the course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and its major results of comparative sociology, it tried to find a direction to the methodological innov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In terms of methodology the comparative sociology and the comparative folklore are very different except that they adopt the comparative method together. The comparative sociology tried to theorize the macroscopic social change on the basis of methodological positivism, but the folklore have originally the strong point at the microscopic and contextual grasp the difference and distinctiveness of folklore or local culture. Nevertheless disregarded the strong point, the comparative folklore have been neglected the concern for the methodology and repeated its doxic contention. As a result, the problem faced comparative folklore is just ‘the desertion of comparative folklore from the folklore.’ Accordingly the digging and concerning point now should be not the scientific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but the incommensurability of folklore.

      • KCI등재

        비교민속학의 방법론 재론

        남근우(Nam, Kun-Wu)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글에서는 일본의 민속학계에서 펼쳐진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우선 야나기타 구니오가 필생의 과업으로 추구한 일국민속학의 방법을 개관하고 일제 말기 그가 구상한 비교민속학의 정치성을 고찰해보았다. 1970, 80년대에 활성화하는 일본의 비교민속학론은 대부분 그의 일국민속학과 비교민속학 구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 학조의 관련 논의와 발언들을 짚어본 다음, 전후 일본민속학에서 추구해온 비교민속학의 방법론과 그 연구 실천의 주요한 성과들을 한국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점검해보았다. 그리고 결론을 갈음하여 90년대 이후 일본에서 비교민속학의 논의가 어떻게 퇴행하고 있는지를 살펴 한국 비교민속학론의 반면교사로 삼아보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critically into the methodological results of comparative folklore that came out in the field of japan folklore. Firstly, it summarized the method of ‘folklore in one country’ that Yanakita Kunio pursued as his lifetime’s work, and examined the politicity of the comparative folklore that he designed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the japanese comparative folklore vitalized in the 1970-80s, make them a springboard of the argument. Next, this paper analysed the methodology and the major results of the comparative folklore in the japan folklore after war pursued, focusing on the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korean. And as the substitutes of result, it examined into the recessiveness of the argument in japan since 1990s and insisted that the case of japan should let be a lesson to the comparative folklore of korea.

      • KCI등재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역사 및 특징

        이상현(Lee, Sang Hyu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본 연구는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특징, 특히 독일민속학 연구가 시작되었던 19세기부터 학문 명칭이 변경되었던 1970년까지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역사를 특정 민속에 한정하여 비교하는 연구 그리고 특정 대상에 함축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를 비교한 연구로 나누어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전자를 박물관 전시 기법과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박물관 전시와 비교 연구를 연관하여 설명하였다. 실제로 당시 이러한 비교연구를 진행한 민속학자들은 박물관 전시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한 민속학자들이었다. 후자의 비교연구는 특정 민속아카이브처럼 특정 민속과 관련된 다양한 민속 혹은 특정 민속에 내포되어 있는 하위 요소들을 일련의 체계 속에서 정리된 상태에서 비교한 연구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민속아카이브의 구축 그리고 운영을 비교 연구와 연관 지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비교연구는 하나의 연구 방법 특히 특정 지역 혹은 주민들의 삶과 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 이어서, 비교 연구 대상에 대한 맥락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또한 비교연구도 연구방법론의 체계를 갖춘 연구 방법으로써 자료의 수집하고 정리한 이후 특정 연구 목적에 맞게 정리된 자료를 해석하는 단계에서 활용되어야 연구방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비교 연구 결과가 학문적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에서는 비교 대상인 민속이 포함되어 있는 맥락에 대한 관심 부족하였고 더구나 연구 방법론의 절차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비교연구의 많은 문제점을 파생시켰다. This study has been composed for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he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of the 19th century, when German Volkskunde studies began, until the 1970’s, when the title of the subject changed.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been divided, enumerated, and analyzed in categories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history of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limited to specific folklore,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elements implied in specific subjects. The former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museum exhibition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study is similar to the method of museum exhibitions. In actuality, folklorists who conducted such comparative studies took great interest in museum exhibition during their progres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atter was conducted within the series of systems of sub-categories contained in specific or various folklores related to specific folklore, as a specific folklore archive. Thus, this study has explaine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folklore archives in connection with comparative studies. Lastl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comparative studies of existing German Volkskunde. Comparative studies is a method of analyzing and studying the life and culture of specific regions or residents, hence the context of the subject of study must be written in detail. Further, comparative studies is also a method that carries a system of methodology, that must be used in the stage of interpreting data summarized to suit the purpose of specific studies after collecting and summarizing data.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ies deduced through such process could obtain academic objectivity. However, existing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had insufficient interest on the context comprising of the comparative subject of folklore, and additionally, caused many problems of comparative studies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he procedure of study methodology.

      • KCI등재

        비교불교민속론의 비교기준에 관한 소고-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를 중심으로-

        편무영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This paper starts from the necessity that Buddhist folklore should extend its denotation into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y the scriptures should be the standard for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Buddhist folklore, unlike other folklore, does not necessarily focus exclusively on the culture created by the people. Rather, the core of Buddhist folklore lies in the face that the scriptures has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Buddhist folklore. However, there is no sign of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scriptures and Buddhist folklore in either of the two perspectives, the folkloric perspective and the Buddhist perspective, that discuss Buddhist folklore. The folklore focuses on explaining the meaning of Buddhism as it permeated folk culture, while the Buddhist perspective looked at the folk cultures as it interfered with Buddhist rituals. In other words, although it was called Buddhist folklore, it only considered Buddhism and folklore from their separate perspectives. Consequently, the key issues to be addressed are, firstly, the rebirth of Buddhist folklore as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and, secondly, the use of the scriptures as a criterion for comparison. In this study, using the ‘Dream of Maya’ as a specific example, a comparison of the Pali and Chines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was attempted, as well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types of scriptures and the temple murals. It became clear that the ‘Dream of Maya’ is in fact transmitted differently in the Pali and Chinese scriptures in each region.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east Asian and Northeast Asian Buddhism and related Buddhist discourses are notable. It was also possible to speculate on the areas in which the Chinese struggled to understand Buddhism as it was transmitted from India. In other words, the lotus flowers and elephants in the scriptures were difficult for the Chines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Chinese attitudes to solving difficult problems were also diverse, with reinterpretations and attempts at over-paraphrasing from a Taoist perspective. However,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that were the result of these efforts were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spread to Japan. Buddhist paintings were then painted based on these scriptures and related Buddhist discourses were passed on orally. Behind the distinction of the murals of Southeast Asian temples from those of Korean Peninsula is the scriptures that have already been interpreted in a different direction before discussing temple traditions and folk culture. In comparative Buddhist ethnography, therefore, the comparison of Pali and Chinese versions of the scriptures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Although Buddhist folklore tended to be explained solely in terms of regional and ethnic logic as an inherited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in many cases the scriptur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Monk Da-Yeo of Anjeongsa Temple repeatedly stated that there is no content in Ttangseolbeop sermon that is unrelated to the scriptures, which is an important issue for Buddhist folklore and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본고는 불교민속론이 비교불교민속론으로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비교불교민속론은 삼장[三藏, 經論律]이 기준이어야 하는 논리적 근거를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불교민속이 여타 민속과 다른 것은 지역의 민중이 주체가 되어 발생하고 전승되는 문화가 전부는 아니라는 점이다. 전승에서 그렇게 인정되는 부분이 물론 존재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즉, 경전을 축으로 하는 삼장이 불교민속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는 사실이야말로 비교불교민속론에서 유념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불교민속론에는 특히 삼장과 불교민속의 관계에 주목했다는 연구 사례가 많지 않았다. 민속학적 관점은 민속에 스며든 불교의 의미 설명에 치중하였으며 불교학적 관점은 가령 불교의례에 간섭한 민속을 살피는 식이었다. 그러니까 불교민속 연구는 불교와 민속이라는 양방향에서 바라보되 불교의 근본에 입각하는 경우는 드물었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불교민속론이 비교불교민속론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삼장이 비교기준이어야 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마야부인의 태몽이야기를 범어 경전과 빨리어 경전, 그리고 한역 경전을 비교 분석하였고, 또 경전과 사찰 벽화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범어 빨리어 경전과 한역 경전의 전파지역에서 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가 실제로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그러다 보니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커다란 차이점과 더불어 관련 불교설화의 차이점도 알게 되었다. 그뿐만이 아니라 한국 도솔내의상의 무엇이 중국적 모방이고 한국적인지도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인도에서 전해진 불교를 이해하고자 중국인들이 어떠한 문제로 고민했는지도 짐작할 수 있었는데 백련화를 코로 문 흰 코끼리나 연화화생은 특히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난제를 대하는 중국인들의 태도 역시 다양해서 도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거나 과도한 의역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물인 한역 경전은 거의 그대로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었다. 그리고 경전을 바탕으로 불교회화가 제작되거나 관련 불교설화가 구전되었다. 동남아의 사찰 벽화가 한국의 그것과 구별되는 배경에는 사찰의 전통이나 민중 문화의 영향도 물론 있으나 이를 논하기 전에 이미 서로 다른 방향을 걷기 시작한 경전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러니 비교불교민속론에서 세 갈래의 경전 비교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전승문화로서의 불교민속을 지역이나 민중의 논리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경전을 비롯한 삼장의 논리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를 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를 통해 밝혀보았다. 한마디로 불교민속의 연구 관점과 방법의 하나로 삼장이라는 비교 기준을 통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고 결과적으로는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는 판단이다.

      • KCI등재

        민속학과 사회학 개론서의 비교 고찰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출간된 사회학 분야의 개론서들을 민속학개론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민속학개론의 새로운 구상에 도움을 받으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두현, 장주근, 이광규가 함께 펴낸 『한국민속학개설』과 비교사회학회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문화사회학회의 『문화사회학』이 그 비교의 대상이다. 이 글은 이 세 권의 책을 대상으로 삼아, 독자에 대한 인식, 연구 목적과 대상, 방법론, 학문 고유의 현실 인식과 문제의식, 목차 및 장별 내용 구성 등과 관련해서 각 개론서들이 보이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고찰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민속학개론의 집필 방향을 모색했다. 이상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민속학개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된 독자가 누구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 그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술 장치를 다각도로 마련하는 것, 그들의 삶이나 일상적 경험과 밀착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민속학의 개념과 방법론을 가지고 오늘의 현실과 일상을 이해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것, 무엇보다 오늘의 사회적 현실과 그 변화에 공명하는 학문이 되도록 지속적인 고민과 보완을 반복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weigh the existing introduction of folklore against the introductions of sociology, therefore to get help for the new design of an introduction of folklore. The concrete comparison targets are An introduction of folklore, Sociology: critical reading of society, and Cultural sociology. This paper compared and weighed this three books, especially focu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udience, description of purpose and objects of learning, methods and critical issues, awareness of social reality of their own, table of contents, contents organization. As a result, this paper tried to grope the direction of content organizing of the new introduction. First of al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introduction of folklore exposed by this discussion, it emphasized to definitize the core readership, to make the various writing devices to enhance i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to organize and arrange the contents close to its real life and ordinary experiences, to show how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reality today with folkloristic concepts and methods, to evaluate and revise continually to be the responsive learning to social reality and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한양명(Han Yang-myung)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그 동안 이루어진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전망하기 위해 작성된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장에서는 나름대로 민속놀이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했고, 두 번째 장에서는 민속놀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시각 가운데 재고가 필요한 부분을 몇 가지 지적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에 관한 단상을 소략하게 제시했다. 연구 결과, 민속놀이는 전근대사회에서 비롯된 전통놀이로서 전국적 또는 광역적으로 분포한 민중들의 놀이 및 모든 계층이 공유한 놀이를 기본 범주로 하고, 일부 지역에서만 전승된 놀이 및 중인/양반/특수직업집단의 놀이까지를 확장범주로 포괄하는 놀이현상이라고 규정했다. 한편 과거 지향적으로 진행된 기존 연구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파악된 것은 민중주의적 시각, 탈맥락적이거나 일반론적인 역사적 접근,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수용의 결여, 탈맥락적인 비교, 대동놀이에 대한 분절적 이해, 어린이 놀이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미흡 등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각을 소략하게 첨기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를 위해 몇 가지 단상을 제시했다. 먼저 역사적 연구의 심화를 위해 기존의 디지털아카이브를 활용한 문헌적 접근의 기능성과 근대 이후 민속놀이가 재맥락화 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천착의 문제를 거론했다. 다음으로 민속놀이에 관한 체계적인 정보 제공은 물론 놀이문화권의 설정과 문화권 내외의 비교연구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민속놀이지도를 작성 및 놀이 관련 자료의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의 시간적 확대를 위해 동시대 민중들의 놀이문화와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공간적으로는 북한 및 해외 거주 동포들의 놀이문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text is written fur studying reflectively and prospecting the vision of research about folk play which is gotten accomplished all these days. It consist m three parts. The fust part: is about setting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olk plays. the second part is about indicating parts which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among some prospects about folk plays which have been made until now. the last part is about presenting discussions about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shortly. In the result of research, folk plays are traditional play from premodern society and it were spreaded in the all over the country or in a wide area. It also shared by all of the social classes. these results establish a basic category about folk play. also, some plays transmitted in some parts of the country and others transmitted by Joong-in/Yang-ban/crew of special jobs are fall into a extending category. Meanwhile, there is some problems recognized by traditional researches which have been processed with aiming at the past ; the prospect of populism, historical access which is incoherent or too general, lack of critical accommodation about a text, incoherent comparison, divided understanding about DaeDong-noli, lack of historical access about children's plays and etc. Therefore, some opinions for overcoming these problems are added shortly in here. Finally, there are several opinions fur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Fir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possibility of philological access utilizing existing digital archive for intensifying of historical research and problem of digging about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period from the time after the modem age when folk plays began to be recontextualized to now. Next, it presented to frame the instruction of folk plays and construct of digital archive of resources related with plays for not only providing systematic resource about folk plays but also setting a cultural area of folk plays and being achieved a comparative study inside and outside of this area easily. La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necessity of swinging over to culture of a contemporary's play and leisure for extending the object of study at the point of the time and about considering to a culture of plays of people who live in North Korea or other foreign countries at the point of the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