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구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중 생물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김영,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0 科學敎育硏究報 Vol.17 No.-

        새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중학교 과학 2의 5종 교과서 중 생물영역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과학 2 교과서의 내용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포괄적인 총괄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다시 영역별로 도달목표를 세분하였으며, 구 교육과정에서는 4개 항목이었으나, 신 교육과정에서는 5개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2. 신·구 교육과정은 모두 학년당 5개 항목으로 목표가 세분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구 교육과정에서 생물체내의 물질대사과정의 이해로 된 생물영역의 목표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로 바뀐 것을 제외한 나머지 4개 항목에서는 거의 유사했다. 3. 신·구 교육과정 모두 지구과학, 생물, 물리, 화학의 4영역으로 구분이 명확하며, 물리영역을 제외한 3영역의 대단명이 바뀌었다. 4. 실험목표를 분석해 본 결과 신·구 교과서 모두 원리와 법칙응용을 목적으로 한 실험이 가장 많았고, 과학적 창조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험은 전혀 없었다. 5. 신·구 과학과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비교를 보면 구 교육과정에 있던 환경의 중요성 인식과 인구문제와 성에 대한 도덕적 가치항목은 신 교육과정에서 빠졌으며, 신 교육과정에서는 구 교육과정에 없던 과학에 관련된 학습내용 개발항목이 새로이 제시되어 있었다. 평가상의 유의점은 신·구 교육과정 모두 2항목으로 내용이 같았으며, 평가방법은 구 교육과정에서는 3항목, 시 교육과정에서는 4항목으로 앞의 3항목은 구 교육과정과 내용이 유사하였다. 6. 영역별 강조도를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물리영역이 가장 강조되었으나, 신 교과서 5종에서는 A교과서(물리영역강조)를 제외한 B,C,D와 E 교과서에서 생물영역을 가장 강조하였다. 실험, 관찰을 영역별로 보아도 신·구 교과서 모두 생물영역의 실험, 관찰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구 교과서에서는 생물영역이 13회로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 5종 중 B, C와 D교과서에서도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생물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읽을 거리, 익힘문제 등은 신·구 교과서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며, 종합문제는 신·구 모두 각 영역별로 1편씩 평균 4편이었다. 그림과 사진은 구 교과서 321편에 비해 신 교과서 5종 모두 증가하였으며, 표는 신·구 교과서에서 평균 19편, 21편으로 거의 유사했다. 물음은 구 교과서에서는 없었으나, 신 교과서에서 보완되었다. 생물역역에 대한 신·구 교과서의 총면수는 신 교과서 B에서 가장 많았고, C에서 가장 적었으며, 5종 모두 구 교과서 보다 늘었으며, 실험도 10회인 구 교과서에 비해 신 교과서에서는 11.8회로 더 많았고, 구 교과서에 없던 부록은 신 교과서 A와 C를 제외한 B,D,E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생물영역의 단원구성을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대단원 1개와 소단원 3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신 교과서에서는 소단원이 1단원 줄어 2개로 되어 있었다. 7. 교과서 내용면을 볼 때 수준으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조직과 기관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신 교과서 A, B, C에서는 세포수준을 다루었으나, 신 교과서 D와 E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신·구 교과서 모두 분자, 개체군, 군집, 생물권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주제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구조와 기능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신 교과서 A, C, D와 E에서 다루었던 생물 개념의 역사 주제는 B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신교과서에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구조와 기능이 덜 강조되고, 조절과 항상성이 더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에 있던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과 환경주제는 빠져 있었다. 8. 실험과 관찰은 신 교과서 D는 14항목, A와 B는 13항목, E는 12항목으로 10항목인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으나, 신 교과서 C는 7항목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험주제는 신·구 교과서가 거의 같은 내용이었다. 9. 재료 생물은 6종 10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A,D와 E교과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B와 C교과서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는 없었다. 10. 약품 사용은 7종 7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B와 D에서 증가하였으나, A, C, E교과서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신·구 교과서 5종 평균은 7.8종으로 구 교과서와 거의 유사했다. BTB 및 녹말용액은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기구 사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다. 11. 그림 및 사진은 신 교과서 A, C와 D에서는 88편, 91편, 83편으로 구 교과서보다 늘었으나 B와 E교과서에서는 74편, 61편으로 80편이 실린 구 교과서보다 오히려 줄었다. 그림과 사진의 내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에서 생물의 내부구조에 관한 그림 및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 기타 순으로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이 가장 많았던 구 교과서와 차이가 있었다.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the former edi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arget of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presents all-inclusive omnibus goals, and subdivides the reaching goals in each domains. It presents 4 items in former curriculum, but 5 in the new one. 2. The targets in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s are subdivided into 5 items in each school year. In view of the contents, 4 items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1 item in which the target of biology area has changed from understanding the metabolism process of living organism in the new curriculum. 3.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were clearly divided into 4 areas of earth science, biology, physics and chemistry. And the large unit name of 3 areas except physics were changed. 4. An outcome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purpose shows that the most experiment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was aimed to apply principles and rules, but there was not an experiment aimed to achieve the extension of the scientific creative abilites. 5. The comparison of guide and tips on appreciation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science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environment, the population problem and the moral value for sex were exempted in the new curriculum and development item for studying material concerned with science was newly presented in the new curriculum.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have 2 items of the tips on appreciation and the contents were same. The former curriculum has 3 items and the new one has 4 in the appreciation method and the first 3 items of the new curriculu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ormer one. 6. Upon noticing the emphasizing degree of each area, the physics area was most emphasized in the former textbook. But B, C, D and E except A in the new textbooks emphasized the area of biology. Both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have the most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area of the biology. And B and E textbook competed in the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among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The investigation was presented 13 times in the biology area of the former textbook. B, C and D among new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the biology. The reading material and the practice don't hav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re were 4 pieces of general question in average with one piece of each area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former one which contains 321 pieces. There were 19 pieces of tablet in average in the new textbooks and 21 pieces in the former one, thus being similar to each other. There were no inquiries in the former textbook but supplemented in the new ones. The most in number of the total page of the biology area was the new textbook B and the least was the textbook C. All of the new textbooks preceded the former one. The experiment was also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s, being 11.8 times compared to 10 times in the former one. The appendix which was not contained in the former texbook was also not treated in the new texbook B, D and E except A and C. Upon noticing the structure of unit, the former textbook consisted of one large unit and 3 small units. But the new one had 1 less of small units. 7. Over the level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tissue and organ was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And the new textbook A, B, C treated the level of cell as the former textbook did so ut the new textbook D and E didn't. The molecule, population, colony and biosphere were not treated both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In view of the subject, the stucture and function were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history of biological concept which was treat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 A, C, D, E was not treated in the new textbook B. The structure and funcion was less emphasized and the regulation and homeostasis was more done so in the new textbooks than the former textbook. The biological basis of action and the living organism and environment in the former textbook were exempted in the new one. 8. In view of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e new textbook D had 14 items, A and B has 13 items and E had 12 items,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to 10 items of them in the former one. But those of the new textbook C was decreased to 7 items. The subject for experiment had the same contents in both of them. 9. The living organisms for material which was used 10 items with 6 kinds in the former one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A, D, E, but decreased in B, C. There were no commonly used material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s. 10. The use of chemicals which was used 7 times with 7 kinds in the former textbook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B, D. But decreased in the A, C and E books. The average of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were 7.8kinds, thus being similar to that of the former one. BTB and starch liquid were commonly us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The use of appliances in the new textbooks was increased than the former one. 11.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 A(88 pieces), C(91 pieces) and D(83 piec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extbook(80 pieces). But the new textbook B(74 pieces), E(61 pieces) were decreased. In view of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the most in number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about the living organism's internal structure was follwed by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and etc. in the 5 kinds of kinds textbooks,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in which the most in number was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 KCI등재후보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 및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윤석진 ( Suk Jin Yun ),박현주 ( Hyun Ju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1

        이 연구는 과학교육학부 4학년 학생 39명을 대상으로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와 예비과학교사가 인지한 교육관련 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교육실습 과정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중 과학교수의 결과기대감에 대한 변화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과학교사가 인지한 교육관련 문제는 학생, 교사, 교육환경, 예비교사, 교사양성기관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비과학교사의 교수 기술, 교사로서의 준비, 시간조절 능력 등의 부족은 예비과학교사로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SSCS과학과 교육실습 적용과 그 과정에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은 교육실습을 재조명하고 교육실습을 포함한 대학의 교사양성교육과정의 반성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기여할 것이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recognition of science education issues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of SSCS. A model of SSCS stands for search, solve, create, and share. A total of 39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eported science education issues which could be called ``problem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improved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of SSCS, but there was little change on their science outcome expect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recognition of science education issues as students, teachers, school environment and culture, pre-service teacher`s underpreparation for teaching science, and teacher`s certification program. In teacher education, field experiences are critical steps in raising professional teachers. Student teaching especially, which culminates field experiences, should be the integral capstone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이치하 심규철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Key words: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과정 입문 교육의 효과

        손정우 ( Jeongwoo S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사사과정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는 장기 과학연구프로그램이다. 사사과정에 진입한 학생들은 준비상태가 다르므로, 기본적인 능력이 동일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의 평균적인 과학 탐구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입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문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과학의 본성, 과학의 탐구과정, 의사소통을 기본 성취기준으로 하는 ‘과제연구’ 교과의 내용과 유사하게 구성하였다. 연구는 G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중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입문교육은 2일간 총 16시간이 진행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사전과 사후에는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에서 학생들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은 수업 형태는 실험활동과 팀활동이었다. 둘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을 통한 과학의 본성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수준 5%에서 향상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 집중교육으로 이뤄지는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 능력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이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보다는 학생들에게 팀별 활동에 대한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여 협업 능력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향후 사사과정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세부 수업 내용은 실험활동 등과 같은 팀활동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rough its well established mentorship program,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has come to recognize that the state of student readiness for mentorship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ir differences in their basic abilities.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roductory program to cultivate students’ average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and to evaluate the program’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program was a subject research with basic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inquiry process, and communication. In the study, it is intended for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40 people in G universit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troduc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6 hours over 2 day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using a pre-post test model to measure the nature of science, the communication abilities performed, and we analyzed the chan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as highest during classes which included experiment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Second,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did no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s short-term intensive courses do not greatly help students’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In addition, it is more important in a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to provide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team activities to increase collaboration rather than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refore, in the future, sub-class content for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team activities such experimental activities.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실시한 뒤, 예비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도구 활용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기 전에는 본인이 속한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도구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주로 사용된 온라인 수업 도구 위주로만 알고 있을 뿐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예비 과학 교사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자료를 관리하기 용이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호하였다. 예비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중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 중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 관련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본인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과 수업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예비 과학 교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으로서 온라인 수업 도구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o a group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 semester. An inventory of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consisted of five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uch programs,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lesson designs based on onlin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demonstration skills. The finding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show that they did not know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before receiving education on their utilization. They were only familiar with real-time video lecturing tools that they usually used in the college and the online teaching tools used in the face-to-face lessons. After receiving training, however, they became familiar with various online teaching tools and developed a preference for such online learning tools which could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to more easily manage learning materials. The study also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found that they had the greatest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which provided experiences of selecting and making use of online teaching tool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ere helpful to enhanc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e and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design a lesson, and give a teaching demonstration. That 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reactions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eded to consistently run and expand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s par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 Shin Cheol Song ),이치하 ( Chi Ha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 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 부산지역 과학관의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지역과학관 활성화 방안 연구

        조민아,한국인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지역 과학관이 지역사회의 과학교육과 과학 대중화에 유의미하게 부응하고 있는지를 부산 지역 과학관 실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과학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과학교육의 진흥이라는 일관되고 광범위한 목적으로 과학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접근성이 낮아 지역적 특성을 살린 소규모 특성화 과학관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과학관의 전시 공간이 부족하고 전시물에 대한 평면적 전시가 많아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기법의 활용과 체험 위주의 전시형태로의 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과 일반 시민을 위한 과학 강연 및 강좌 부족하며,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아 과학교육 목표 달성이 비효율적이므로 관람대상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연계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넷째, 과학관의 인력 구조면에서 교육연구직의 비중이 적고 자원봉사자의 활용도가 낮으므로 다양한 법적 · 제도적 정비를 통해 진문 인력 양성과 과학적 소양인 및 외부 인력자원의 활용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사이버 과학관 운영에 있어 진시자료에 대한 평면적인 자료 제시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 및 연구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양방향적이고 과학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이버 과학관을 확충 ·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ction plans for activating the local science museum through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cience museums in Busan area. The research was done to know the local museums ar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First, most of local science museums are managed with the old-fashioned and vague goal of the promotion of science education. Besides, the accessibility is very low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transportation. So the small-scale specific science museum which has regional character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space for exhibition is not enough and mostly there are plane displays not solid one. It should be designed to have high utilization of the place and children can have experiences with the displays in that place. Third, generally the local science museums are shortag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science class for the public. They don't connect with school education very well for that reason they have few achievements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y should lead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to the science and develop the various and interest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th, the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at the science museums is less educated professional staff and worse use of volunteers through various legal and systemical consolidation it should carry out educating professional staffs and best use of volunteers. Firth, to manage the cyber-science museum, not only exhibiting plane data but also computerizing data it should operate the cyber-science museums for improving the science learning ability opportunity.

      • KCI등재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박정숙 ( Jung Suk Park ),임길선 ( Gil Sun L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경력 4년 이하의 초임 과학교사 6명을 연구대상으로 심층면담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임 과학교사들은 과학내용학이 현장성과 연계된 부분이 적어, 이 부분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과학 내용학 수업 방법이 다양하지 않고 주로 지식전달 위주로 되어 있어 현장에서의 과학수업을 위한 모델로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교육학에 대해서는 초임과학교사들은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으나, 교과교육학 비전공 교수들이 교과교육학을 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교육학에 대해서 초임과학교사들은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일반교육학의 다양한 교수법이나 수업자료 교수전략을 실천적으로 적용하고, 초임교사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w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that they experienced.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method using in-depth interview. For the study,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IMPRACT project``, that is being conducted in USA. The interview tool includes the questions about experience of science subject matters, science pedagogical subject matters, and general pedagogical subject matters that they were taught in the courses, and their influence on their current teaching, etc. For the interview, 7 new science teachers, below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sampled from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new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es of science subject matters were not appropriate as good model for teaching science in secondary school, because they were not various, and mostly knowledge transfer just by lecture. Second, most of the new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affected positively by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es of the science pedagogical subject matters and they could apply those methods in their current science teaching. Lastly, most of the new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e general pedagogical subject matters as not very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their science teaching in their schools.

      • KCI등재후보

        과학과에서의 사회,정서 교육의 적용 가능성 탐색

        박현주 ( Hyunju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3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가정교육의 약화는 사회성과 정서 측면의 학교교육의 필요성과 비중을 증가시켰다. 개인의 사회성과 정서는 인지적 능력을 발현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과학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과학교과에서의 사회ㆍ정서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과학교사들은 사회·정서 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동의하지만, 입시와 성적 중심의 경쟁 교육 풍토로 인하여 제대로 진행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의 본성 및 탐구와 의사소통은 과학교과의 사회ㆍ정서교육의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을 내포한다. 학교 과학교육에서 사회ㆍ정서 교육을 적용시킴으로써, 인지적 영역과 균형을 이루고, 이를 통해 학교 과학교육의 역할을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간의 지적 경쟁보다 사회공동체적 협동성을 지닌 전인교육적인 발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dramatic societal changes and the weakening of hom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has increased in schools. Specifically, when it comes to students regulating their emotions and managing societal pressures is a major component on the educational agenda these days. Students’ emotions and societal pressures serve as the foundation for success of cognitive and other functional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nd practicality of SEL in science classes by reviewing the related articles and survey of science teachers. The nature of science, and inquiry and communication stands at the core of SEL of science. Science teachers admitted that the science of SEL is essential and important but is not implemented because of competitive education, especially from those parts which are focuses on knowledge and achievement scores. Through the science of SEL, science education keeps the balance between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We would expect the science of SEL is an important part of a well-rounded education rather than putting students into competition with one another.

      • 科學的 態度育成을 위한 情意的 評價道具의 開發

        文正大,具福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87 科學敎育硏究報 Vol.14 No.-

        과학 교육의 목표가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기능적 목표로 되어 있으나 인지적 목표외에는 그 개념이나 내용이 추상적이기 때문에 학습 지도면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로 인해 평가면에서도 인지적 목표 영역에만 국한하여 정의적 목표 영역면의 평가가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과학과 학습의 일반 목표에도 명시된 바와 같이 과학적 태도면의 육성이 필수적으로 되어 왔다. 탐구 과정의 일부분으로서의 과학적 태도는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기초적인 교양 교육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전문가들은 중학교에서 길러져야 할 과학적 태도 요소들을 추출하여 체계와 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용을 요약하면 주로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주안점 9개 범주 즉 호기심, 정직성, 인내성, 객관성, 비판성, 정확성, 안전성, 적용성, 개방성에 대해 이들 각 범주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모두 51개의 세목을 개발하였으며, 또 적용 연구를 위하여 중학 과학2, 단원 Ⅲ . 물질의 입자(중단원 1,2,3)에 적용할 평가 기준을 이 척도에 따라 작성하였다. 적용 연구는 학습 지도 계호기에 따라 수업 중 그 시간에 가장 두드러진 학생의 행동을 중심으로 태도를 관찰하거나 질문, 보고서, 가상문 등을 통하여 과학적 태도 평가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하였다. 이 연구가 비록 많은 개선점과 문제점을 안고 있으나 일서 교사들의 학습 지도의 방향과 평가 방법의 연구에 다소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re cognitive object, affective one, an functional one. But these objectives except cognitive one have been neglected in teaching by reason of their abstraction of concept and contents. It causes the neglect of affective domain and learning too much on cognitive domain in evaluation. But it is essential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as seen in the general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attitude ; a part of inquire process, is acquiring importance in fundamental education of persons as well as in the motive mover of scienticic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authors selected the factors of scientific attitude which must be developed at the secondary school and systematized them.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the affective evaluation instrument for bringing up of the scientific attitude. In brief, nine categories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 curiosity frankness, patience, objectivity, criticism, correctness safety, application and openness. Each boundary is divided into subscales which have fiftyone items are made to be applied Middle school science, Book 2, Book 3. "A particle of matter (section 1,2,3)". The applica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aking statistics after observing the students attitude, especially the obvious one through class and checking their questions, reports and description of impressions while teaching them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n. I hold a firm belief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teachers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guidance though it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