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사상이 조선 중ㆍ후기 불교에 미친 영향

        이병욱(Lee, Byung-Wook)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이 논문은 보조사상이 조선 중후기 불교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 글이다. 2장에서는 논의의 전개를 위해서 보조지눌의 저술과 사상을 간단히 살펴본다. 3장에서는 강원이력과정과 삼문형성에 미친 보조사상의 영향을 살펴본다. 이 대목에서 필자가 강조하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절요사기)』는 규봉종밀의 저술에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사집(四集)에 규봉종밀의 저술인 『도서』가 추가된 것에는 보조사상의 영향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삼문수행은 『삼문직지』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 『삼문직지』의 원돈문 수행에서 의상대사의 『법계도기』가 추가된 것에는 보조사상의 영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 『삼문직지』의 염불문 수행에서 『염불요문』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것이 보조지눌의 저술이라고 가탁된 것은 보조지눌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예(例)라는 것이다. 4장에서는 청허휴정, 운봉대지, 백파긍선의 저술에 미친 보조사상의 영향을 검토하는데, 주로 저술의 표현에 나타난 동일점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본다. 4장 1절에서는 청허휴정의 『선가귀감』에 미친 보조사상의 영향을 검토하는데, 선행연구에서 말한 5가지 내용을 수용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래서 『선가귀감』의 내용과 보조지눌의 저술의 공통점을 살펴보고, 동시에 그 공통점 속에서도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4장 2절에서는 『운봉선사 심성론』에 미친 보조사상의 영향을 살펴보고, 4장 3절에서는 백파긍선의 『수선결사문과석』에 미친 보조사상의 영향을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고찰한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the middle and later Choseon buddhism. In 2 chapter, to unfold the theory I study Bojo Chinul's writings and thought briefly. In 3 chapter, I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gangwon education system and Three Gates. In 3 chapter, I emphasize as followings. What Doseo (都序), the writing of Gui-feng Zong-Mi(圭峰宗密) is included in Sajib(四集), is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Because Jeolyosagi(節要私記) in Sajib is influenced by the writing of Gui-feng Zong-Mi. The Discipline of Three Gates(三門修行) is explained in Sammunjigji (三門直指). What Uisang(義湘)'s Beobgyedogi(法界圖記) is included in Wondonmun(圓頓門) of Sammunjigji, is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Yeombulyomun(念佛要門) is included in Yeombulmun(念佛門) of Sammunjigji. What Yeombulyomun is pretended by Bojo Chinul, is the example to show Bojo Chinul's influence. In 4 chapter, I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Cheongheo Hujeong(淸虛休靜), Unbong Daeji(雲峯大智) and Baegpa Geungseon (白坡亘璇)'s writings. In 4 chapter, I study the common point in their writings. In 4 chapter 1 section, I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Cheongheo Hujeong's Seongagwigam(禪家龜鑑). And I accept five points of the preceding study. I study the common point of Cheongheo Hujeong's Seongagwigam and Bojo Chinul's writing, and I present the different point in the common point. In 4 chapter 2 section, I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Unbongseonsa Simseonglon(雲峯禪師 心性論). In 4 chapter 3 section, I study the influence of Bojo's thought in Baegpa Geungseon's Suseongyeolsamungwaseog(修禪結社文科釋) by five points.

      • KCI등재

        보조사상과 교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향 -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박보람(Park, Bo Ram)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이 글은 보조사상연구원 설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연구원이 수행한 다양한 연구 활동 가운데 교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조사상 연구를 회고 하고 전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 기준이 되는 개념들, ‘보조사상 연구’와 ‘보조사상연구원’ 그리고 ‘회고’와 ‘전망’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조사상과 교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둘 사이의 관계도 여러 분야에서 다룰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교학 가운데 보조 지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는 화엄교학에 초점을 맞추어 이통 현과 지눌의 화엄과 의상/법장-징관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주류 화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향을 회고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전망하였다. 지눌의 선교 관계에 대한 이통현의 영향을 논구하는 『보조사상」의 논문 들을 정리하면 세 가지 방향을 볼 수 있다. 첫째, 지눌이 법장, 징관을 중심 으로 하는 주류 화엄교학-여기에는 묵시적으로 의상도 포함된다.-의 이론 적, 현학적 경향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성기설을 위주로 받아들 였다는 설이다.([의상/법장→징관] ≠ [이통현→지눌]) 둘째, 지눌이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을 비판하고 이통현의 실천적 화엄을 받아들였 다는 점은 첫째 주장과 동일하지만 의상의 화엄성기설을 법장, 징관의 이론적 화엄교학과 분리시켜 이통현의 화엄설과 연계시킨 후 의상-이통현-지눌의 사상적 계보를 주장한다.([법장→징관] ≠ [의상→이통현→지눌]) 셋째, 지눌이 비판한 연기설 중심의 화엄설은 법장, 징관의 화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 경우 지눌은 주류 화엄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 아니라 아류의 당시 화엄을 비판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의상과 법장, 징관의 화엄이 하나로 묶여 이통현-지눌의 화엄설과 다시 연계될 가능성이 생겨난다.([당시 아류 화엄] ≠ [이통현→지눌] ≈? [의상/법장→징관])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는 앞으로의 과제로서 위에서 언급한[이통현→지눌]의 화엄과 [의상], [법장→징관]의 화엄의 관계에 대한 보다 철저한 규명과 함께 [이통현]과 [지눌]의 부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paper recollects and prospects of the study on Bojo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doctrinal teachings among various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Bojo Thought Research Institution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field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uayan thought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the great influence on Bojo Jinul(普照知訥). Specifically, I evaluated th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ayan thoughts of Litongxuan(李通玄) and Jinul and the so-called mainstream Huayan thoughts represented by Uisang,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raised the remaining tasks. There are three directions to summarize the articles of Bojo Thought which discuss the influence of Litongxuan on Jinul. The First is that Jinul criticized th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tendency of the mainstream Huayan thoughts of Fazang and Chengguan - implicitly including Uisang here - and adopted thepractical Huayan of Litongxuan.([Uisang/Fazang→Chengguan] ≠ [Litongxuan→Jinual]) The Second is the same as the first claim that Jinul criticized Fazang and Chengguan and accepted Litongxuan. However, the second argument separated Uisang’s Huayan thoughts from those of Fazang and Chengguan and then linking Uisang’s Huayan with Litongxuan’s one, insists on the ideological lineage from Uisang to Litongxuan to Jinul.([Fazang→Chengguan] ≠ [Uisang→Litongxuan→Jinul]) The third argument is that Jinul s criticism is not about Fazang and Chengguan. In this case, Jinul was not criticizing the mainstream, but criticizing the epigone of Fazang and Chengguan at that tim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isnag/Fazang→Chengguan] Huayan will be tied together and reunited with [Litongxuan→Jinul] Huayan.([Epigone] ≠ [Litongxuan→Jinul] ≈? [Uisang/Fazang→Chengguan]) Based on these researches, I raised the necessity of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ayan thoughts of ① [Litongxuan→Jinul] and ② [UIsang] and ③ [Fazang→ Chengguan] as future tasks.

      • KCI등재

        인간학으로서 보조사상

        강건기(Kang, Kun-Ki)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이 글은 인간학으로서 보조사상을 규명하기 위해 그의 인간이해와 인간회복의 길을 깨침과 닦음, 완성의 실천체계를 통해 살펴보고 그런 사상이 어떤 특성을 가지며, 오늘날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보조사상 연구, 나아가서는 보조사상연구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도 함께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보조사상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오늘의 세계는 물질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큰 문제를 안고 있다. 밖으로 환경과 생태계가 파괴되는 심각한 병을 앓고 있으며 안으로는 물질과 기계의 틈바구니에서 인간 스스로를 잃어버린 인간상실, 자기상실의 깊은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런 문제는 사상적으로 볼 때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을 둘로 보는 인간이해에서 비롯되었다 할 수 있다. 잃어버린 참 나의 회복을 강조하는 보조사상은 오늘 우리가 앓고 있는 환경파괴, 자기상실이라는 심각한 병을 치유할 수 있는 훌륭한 처방이라 할 수 있다. 본래의 마음, 참 나에 눈떠서 그것을 생활 속에 살리자는 지눌의 사상은 인간회복, 자기회복의 원음이다. 보조사상의 현대적 의의도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보조사상은 단순히 과거의 사상이거나 학문적 대상만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삶의 빛으로 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조사상의 실천은 우리들 생활 현장에서 생생하게 살려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 그 구체적인 방안도 모색되고 제시되어야 한다. 가르침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능력과 소질을 소중히 알았던 넓은 방편문이 일부에게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This thesis aims at understanding Bojo Thought as anthropology. To this end, the thesis will shed light on how the thought understands human beings and restores man through awakening, practice and gradual cultivation, and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 idea has in today's world. By doing so, I hope the thesis will show the future direction of Bojo Research Institute as well as the research on Bojo Thought. How does Bojo Thought affect the people in today's world? Although today's society has advanced and the degree of social civilization has improved, it is faced with serious problems. The society is not only suffering from the serious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but also losing the humanity and sincerity. Such problems seem to originate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which believes that the human being is separate from the nature. The example of such understanding can be found in the Western Humanism, which regards a human being as an individual self different from the nature and the other creatures. It is based on anthropocentrism not the universal humanity. Therefore, the civilization on the basis of such thought is destined to neglect the nature and the other creatur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human beings. As a result, today's world is afflicted by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a new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s is badly required. In other words, the human beings and the other creatur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not two separate beings. Such understanding can be found in the thought of not only Buddhism but also Bojo Jinul. The man who embraces 'the sky and the land' is inseparable from the nature and the other creatures. The awareness that the human beings, the nature and the other creatures form an indivisible whole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regarding the environment. If the mankind, the nature and the other living things are 'one', doing harm to the nature and the other creatures damages the human beings. Then humans will not do harm to themselves. Bojo Thought that emphasizes reclaiming the lost true self can cure the serious disease we suffer such a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loss of self. Bojo Thought insisting that we should be conscious of the true self and lead a life based on the consciousness lays a foundation for restoration of man and the self. This makes the thought significant for the people living in today's world. Therefore, Bojo Thought should be recognized as not only the idea of the past but also the light of our life. Therefore, we need to put Bojo Thought into practice in our daily lives. To this end, we should come up with substantial measures. Bodhi Meditation that cherishes the human capabilities demanding the learning should not be limited to some people.

      • KCI등재

        九山秀蓮의 禪사상

        김방룡(Kim Bang-Ryong)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7 No.-

        본고는 근 현대 대표적인 선승(禪僧) 중의 한 분인 구산 수연(九山秀蓮)의 선사상을 조망한 논문이다. 구산은 효봉 학눌(曉峰學訥)의 제자로 순천 송광사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정혜결사를 주창하였던 인물이다. 구산의 선사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목한 것은 보조 지눌(普照知訥)의 선사상의 계승문제이다. 즉 ‘송광사를 중심으로 하여 목우가풍의 계승을 통하여 한국선의 정체성을 세우려 하였던 효봉-구산의 선사상은 어떻게 보조선을 계승하고 있는가?’하는 점이 주된 문제의식이다. 이를 위하여 보조선의 핵심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정혜결사, 선교일치, 돈오점수, 간화선, 정혜등지(定慧等持) 등의 다섯 가지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보조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내용이다. 결국 ‘구산의 선사상 속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가?’ 하는 점을 규명함으로써 구산의 선사상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구산의 선사상의 특징은 정혜결사와 돈오점수의 계승의식이 분명이 있으며, 간화선을 중심으로 하여 보조의 정혜등지를 새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구산의 선사상은 보조선을 계승하면서도 나름의 독자적인 해석을 꾀하고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보조선과 효봉-구산으로 이어지는 선사상 사이의 계승과 독자성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an objective to review the thought of Gusan-Suyeon, a modern representative Seon master and a pupil of Hyobong-Haknul. He is the figure who promoted the second movement of Jeonghyea-Gyeolsa, centering Songkwang temple in Suncheon province. I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succession of Bojo’s Seon thought. Gusan-Suyeon tri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Seon thought through the succession of Bojo-Seon’s tradition. How did the Seon thought of Hyobong and Gusan succeed Bojo’s Seon? That is my main question. To solve this question, I examined five contents of Gusan- Suyeon’s thought, Jeonghyea-Gyeolsa, Seonkyo-Ilchi, Dono- Jeomsu, Ganhwa-Seon and Jeonghyea-Deungji. They are the core of Bojo-Seon thought. Jeonghyea-Gyeolsa is the convention of a resolution for meditation and wisdom. Seonkyo-Ilchi is theconvergence of meditation and doctrine. Dono-Jeomsu 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Ganhwa-Seon is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Jeonghyea-Deungji is the balanced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 How were these contents succeeded from Bojo-Seon to Gusan’s thought? I tried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through those contents. There is a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Jeonghyea-Gyeolsa and Dono-Jeomsu in the characteristics of Gusan’s thought. Centering Ganhwa-Seon, healso interpreted Bojo’s thought of Jeonghyea -Deungji. He succeeded Bojo’s Seon and interpreted Bojo’s thought in his personal view. This paper would mak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originality of his thought and the succession of Seon thought from Bojo to Hyobong and Gusan.

      • KCI등재

        한국 근ㆍ현대불교의 普照 영향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보조국사 지눌은 한국불교 근 현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 계승된 보조의 사상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결사의 정신이다. 그런 정신은 경허와 한암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현대에는 재가 불자들에 의해서도 계승되었다.<BR>  보조의 사상은 한국불교 선종의 근간을 정립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근대불교 연구자들은 한국불교 선종이 그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보조를 중심으로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의 선가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전적에서 보조의 저술은 강조되었다.<BR>  이런 보조사상은 현대 한국불교학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전문적인 보조 연구자가 배출되어 보조에 관한 깊은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에 의해 한국 현대불교에 있어 보조의 영향이 매우 컸음이 증명되었다.<BR>  또한 보조의 실천이 이어져 온 송광사에서 근 현대의 선지식인 효봉과 구산이 보조의 선사상을 계승함으로써 승보종찰의 이미지는 물론 가풍의 계승이라는 의의를 회복할 수 있었음도 역사적 영향의 중요한 부분이다.<BR>  따라서 이런 점을 종합해서 고찰할 때 근 현대 보조사상의 역사적 영향은 한국불교 전체에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족적을 남겼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불교에 선명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평가될 수 있다.   Ven. Bo-jo has many influenced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In this time, the remarkable thing handed down in the mist of Ven. Bo-jo"s thoughts was the Sam?dhi-Praj?? Community. This spirits handed down by ven. Kyung-Heo, Man-gong and a believer in Buddhism in modern times. Researchers who attention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concluded that the Korea seon order succeed to ven. Bo-jo"s thoughts.<BR>  Ven. Bo-jo"s works emphasized in Korean Buddhism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He"s thoughts has a enormous effects on Korean Buddhist study. A specialist researchers appeared and accumulated a many research papers on ven. Bo-jo.<BR>  Such researchers works demonstrated that ven. Bo-jo"s thoughts has effected Korean Buddhism in the present age. And ven. Bo-jo"s thoughts succeed to Songkwongs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by ven. Hyo-bong and Gu-san who seon master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 KCI등재

        근ㆍ현대 불교에 끼친 보조사상의 영향 - 근ㆍ현대의 선사들을 중심으로

        이덕진(Yi Deok-jin)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경허, 한암, 동산, 효봉, 구산 등의 근ㆍ현대 선사들은 거의 모두가 마음을 아주 중시한다. 이것은 선불교 본래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거기에 더하여, 모두 보조 ‘마음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으며, 그들 모두 그 점을 당당하게 대내외적으로 천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空寂靈知’사상에 대해서도 근ㆍ현대의 많은 선사들은 보조의 영향아래 있다.<BR>  동산은 몰록 깨달았다[頓悟] 하더라도, 오랫동안 익혀 내려온 습성을 별안간 제거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동산의 이러한 주장은 보조의 ‘돈오점수’의 입장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동산에 비하여 구산은 조금 더 직접적으로 보조의 돈오점수를 지향하고 그대로 수용한다.<BR>  근ㆍ현대의 선사들의 경우 그들의 간화선법이 보조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여러 곳에서 감지된다. 동산은 지눌의 선법을 본받아 올바르게 工夫를 지어 나가는 指南으로 본다. 한암은 조사의 언구 중에서도 활구법문으로 제일 요긴한 책은 대혜의 『서장』과 보조의 『간화결의론』이라고 한다. 효봉은 보조를 추종하여 看話徑截門은 活句요, 일반 선법은 死句라고 설파한다. 효봉의 제자인 구산 역시 보조의 간화선법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다.<BR>  효봉은 보조 정혜결사 이론을 충실하게 전승한다. 효봉의 입장은 자성 정혜를 가장 바람직한 수행법으로 보고, 닦음을 먼저 하는, 자성에 대한 깨달음이 없는 점종의 방법은 옳지 않다고 보는 보조의 입장과 전적으로 견해를 같이한다. 효봉의 제자인 구산 역시 스승인 효봉과 같이 보조의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근?현대의 선사들 중 보조 정혜결사운동의 영향력 안에 있는 가장 대표적인 선사는 경허선사이다. 경허가 정혜결사운동을 전개해나가는 모습은 보조가 정혜결사운동을 만들어가던 것과 거의 유사하다.   Almost all the Korean Zen Buddhism masters, such as Gyungheo, Hanam, Dongsan, Hyobong and Gusan in the modern and recent age place great emphasis on the mind.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mind as the operative sine qua non was (and remains) the original essence of Zen Buddhism, they are all strongly influenced by the Venerable Bojo (1158-1210) and his philosophy of mi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y proudly and publicly proclaim this influence. As well, many Zen masters of the modern and recent age have been influenced by the Venerable Bojo with regards to his philosophy of Gongjeok Yongji ?(the Self-Nature of True Mind or Buddha Mind).<BR>  The Venerable Dongsan thinks that even if people suddenly reached enlightenment (Donno), it remains difficult for them to eradicate old habit patterns. Thus people should continue their practice (Jeomsu), like the rippling wave in the ocean which continues to ebb and flow even after the wind suddenly stops. This argument of Dongsan"s is not different from the view of Bojo"s Donno Jeomsu (an idea that even after a sudden enlightenment you need to continue the practice to be free from old habit patterns). Compared to Dongsan, Gusan supports Bojo"s Donno Jeomsu more directly and accepts it as it stands. In other words, Gusan"s theory of Donno Jeomsu accepts Bojo"s theory of Donno Jeomsu intact.<BR>  Most of the Korean Zen masters of the modern and recent age are Koan Zen masters. In most cases it can be found that in many places their Koan Zen method is much influenced by Bojo. Dongsan sees Bojo Jinul"s Zen method as a guide that people should follow in the right way for their study. Therefore, no difference can be found between Dongsan"s stand and Bojo"s views. Hanam"s respect towards Bojo"s Koan Zen is no less than Dongsan"s.<BR>  Hanam said Daehye"s Seojang and Bojo"s Ganhwa Gyeoluiron are the most important books containing the Zen masters words on Hwalgu Bupmun (the acute remarks that awaken another from his ignorance while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on the teaching of the Buddha). Like Hanam, Hyobong completely supports the view of Bojo"s Koan Zen. Following Bojo, Hyobong preaches that Ganhwa Gyeong Jeolmun (the short cut to enlightenment through Koan practice) is a live word and other more general Zen methods are dead words. Hyobong too is declaring that he is a royal successor of Bojo"s Koan Zen method. As it has been looked into, almost all the Korean Zen Buddhism masters such as Hanam, Dongsan, Hyobong and Gusan in the modern and recent age are all strongly influenced by Bojo"s Koan Zen method and they all proudly declared in public this influence.<BR>  Hyobong faithfully inherits Bojo"s theory of Jeonghye Gyeolsa (an association of people practicing wisdom and meditation to realize that the mind itself is Buddha). Hyobong argued that Jaseong Jeonghye (practicing wisdom and meditation simultaneously since they are the main body and function of the mind and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is the correct way to practice. He completely shares the same view as Bojo who understands that any method of enlightenment without the realization of self-examination is not correct. Gusan, a disciple of Hyobong, is in agreement with his teacher and sees Jaseong Jeonghye as the most desirable method of practice. He emphasizes that simultaneously practicing wisdom and meditation is the right way to enter the dharma of previous, present and future lives and of the Buddha and previous teachers, and fully accepts Bojo"s view.<BR>  Among Korean Zen masters of the modern and recent age, the Venerable Gyungheo, the great master who revived modern Korean Zen, is the most well-known master influenced by Bojo"s Jeonghye Gyeolsa Movement. Gyungheo developed the Jeonghye Gyeolsa Movement in a very similar fashion to the way Bojo led the same

      • KCI등재

        조선 후기 普照禪의 영향

        김방룡(Kim Bang-Ryong)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본고는 조선 후기 불교계에 나타난 보조 지눌의 선사상의 영향을 밝힌 논문이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불교계의 사상적 특징과 이에 관한 우리 학계의 인식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둘째, 조선 후기 禪師들에게 있어 보조 가풍의 계승 의식이 존재하고 있는가 하는 점을 밝혔다. 특히 그들의 저술상에 나타난 보조의 영향과 강원교육에 있어서 보조의 영향이 어떠했는지를 밝혀보았다. 셋째, 조선 후기 선사들의 삶과 사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보조선의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즉 조선 후기 선사들 역시 보조가 제시한 선교 회통(화엄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수행에 있어서 三門체계의 계승하고 있으며, 결사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이 시기 선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 백파와 초의간의 삼종선·사종선 논쟁이 발생한 사회사상적 배경은 무엇인가를 언급하였다. 아울러 이들 논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보조선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망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보조의 선사상이 조선 후기 선사상에 미친 영향이 지대함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Chinul"s Zen showed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followings. Firstly, I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in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And I mentioned the cognition about them in our academic world. Secondly, I disclosed the problem that there is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Bojo"s family tradition in the Zen masters in these days. Especially I discovered the influence of Bojo-Zen showed up in the works of those mastersand the influenceof educationon Buddhist priests. Thirdly, I studied the influence of Bojo-Zen indwelled in the life and thought of Zen masters in those days. In other words, I made clear that they had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unity of Zen and non-Zen Sects of Buddhism(선교회통), Hwaum-Zen(화엄선), which Bojo had suggested. And I disclosed that they had succeeded the system of three gates(삼문체계) and the spirit of association in their practices. Fourthly, I alluded the background of social thought on which was occurred the dispute of three sects Zen(삼종선)·four sects Zen(사종선) between Paekpa(백파) and Choeui(초의), the representative Zen masters of those days. In addition to that background, I had a distant view of relation with Bojo-Zen indwelled in that dispute. Through these analysis, I made clear that Bojo-Ze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Zen thought of the later Choseon dynasty. Bojo-Chinul, Bojo-Zen, the Zen thought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 unity of Zen and non-Zen Sects of Buddhism, the system of three gates, Paekpa, Choeui

      • KCI등재

        경봉선사의 사상적 교류 고찰

        정도스님(Seo Jeong-Do)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대한민국 근현대 선지식으로 알려진 경봉선사(1892~1982)의 사상적 배경을 보조국사의 선사상 계승과 한암선사, 용성선사와의 사상적 교류 측면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경봉스님(이하 ‘스님’생략)의 선사상(禪思想) 중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라는 부분을 『보조사상』 30호에서 논자가 밝힌바 있다. 본 논문은 그것을 바탕으로 보조국사의 선교일치라는 측면과 한암과 용성과는 오후보임(悟後保任)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보조는 선과 교가 서로 계합되는 전거를 찾기 위해 노력하던 중, 이통현(625~730)의 『신화엄론』을 근거로 ‘佛이 입으로 말한 것은 敎요, 조사가 마음에 전한 것은 禪’으로 선과 교가 별개가 아니라 하나라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암과 용성, 그리고 경봉의 삶에서 알 수 있듯이 선과 교를 하나로 보고 있음을 찾을 수 있다. 한암은 참선수행 중에도 항상 경전과 어록을 가까이 하였고 용성 역시 『육조단경』과 『전등록』을 열람하였다. 경봉은 선사이면서도 『화엄경』을 강설하는 법회인 화엄산림법회를 개설하여 용맹정진하던 중 크게 깨닫게 된다. 한암과 용성, 그리고 경봉은 오후보임에 대하여 서로 서신왕래로 절차탁마하였다. 특히 보임에 대하여 보조의 정신을 잇고 있다. 한암은 견성한 후 27년간 오대산 상원사에 주석하며 산문 밖을 나서지 않았고, 경봉은 통도사에서 1927년 극락암에서 견성한 후 1928년 극락선원을 개설한 이래 많은 납자들과 신도들을 입적하는 1982년까지 제접하며 오후보임하였다. 경봉의 근 현대 고승들간의 서신왕래의 기록인 『삼소굴 소식』에 가장 많은 내용은 한암과 용성과 주고받은 서신임을 확인해 볼 때 사상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봉은 그의 선사상의 근저인 평상심이 바로 도를 형성함에 있어서 보조의 선교일치, 한암과 용성의 오후보임 등 지속적인 교류가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선사상을 밑받침하는 구성요소가 되었다고 보여진다. Master Gyeong-bong (鏡峰, 1892-1982), the eminent Korean contemporary Seon Master, had been influenced by the ideological exchange of Seon Master Han-am (漢岩), Yong-seong (龍城) and he succeeded the thought of the National Master Bojo (普照). I already bored it out by fact in Bojosasang vol.30 that one of the Gyeong-bong's thought is everyday life is enlightenment (平常心是道). On the ground of this, his thought has its root in that of Bojo, practicing the Seon and Doctrine together, and that of Han-am and Yong-seong, the continued cultivation after enlightenment (悟後保任). National Master Bojo found the basis in Lee tong-hyeon's (李通玄) 「新華嚴經論」 that said that the Doctrine is the talk of Sakyamuni Buddha and the Seon is the mind of Patriarch. It means that the Doctrine and the Seon are not separate but one. The life of Seon Masters, Han-am, Yong-seong and Gyeong-bong, revealed the same truth that Doctrine and Seon are not two. During practicing Seon, Master Han-am always read sutras and analects of Patriarchs. Master Yong-seong eagerly perused the Platform Sermons of the Sixth Patriarch 『六祖壇經』 and the Record of Transmission of the Lamp 『傳燈錄』. Though seon master, Master Gyeong-bong had enlightened while he had preached a sermon of the sutra of the Garland of Buddhas 『華嚴經』. Master Gyeong-bong engaged in continued correspondence with Master Han-am and Master Yong-seong. Especially the Masters stood an inheritor of National Master Bojo, who emphasized the practice of continued cultivation after enlightenment (悟後保任). Master Han-am spent 27 years never leaving the temple, Sangwonsa (上院寺) at Mt. Odaesan (五臺山) after enlightenment. Until his passing into nirvana in 1982 after opening Geuknak Seon Center (極樂禪院) in 1928, Master Gyeong-bong instructed many disciples and lay buddhist at the same time he practiced continually Seon after his enlightenment 1927. The news of Samsogul, corresponding records between Master Gyeong-bong and the acclaimed Seon Masters of his time, gave a good deal of space to Master Han-am and Master Yong-seong. It means that they ideologically influenced each other. In building up the thought of Gyeong-bong, everyday life is enlightenment(平常心是道), Bojo, Han-am and Yong-seong had influenced enormously and they composed the basis of thought of Master Gyeong-bong.

      • KCI등재

        초의 의순의 이종선과 다선일미의 상관성 고찰 - 『선문사변만어』와 『동다송』을 통해 -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5 No.-

        When Baekpa argued for Samjong-Seon through Seonmunsu -gyeong, Choui refuted it through Seonmunsabyeonmaneo and insisted on Ijong-Seon. In addition, Choui wrote Daeshinjeon and wrote Dongdasong to pioneer a new world of Korean tea ceremony. And also, Choui was a great Seon master who connected the Dharma lineage of Cheongheo, was well versed in Buddhist doctrines and Buddhist discipline as well as Confucianism, and was excellent in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Buddhist chant. Although Choui has made great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Choui’s identity lies in that he is a Seon master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Choui’s IJong-Seon idea is revealed through the Seonmun sa-byeonmaneo, and his tea ceremony idea can be derived from Dongdasong. The question is what kind of correlation exists beween IJong-Seon idea and tea ceremony idea.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evidence that IJong-Seon is projected in Dongdasong. This means that the tea ceremony idea of Choui does not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IJong-Seon. Until now, in the debate over Seon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Choui’s IJong-Seon has been supported by many people compared to the idea of Baekpa’s Samjong-Se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act that ‘as the 13th master of Daedunsa Temple representing the Cheongheo’s line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Ijong-Seon and the tea ceremony ideas represent Seon though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d Choui inherit the Seon thought of Cheongheo’s lineage in the right way?’ In this paper, these questions were raised through the analysis of Seonmun -sabyeonmaneo and Dongdaso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aised a meaningful problem in the discourse of ‘what is the identity of Seon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백파가 선문수경(禪文手鏡) 을 통해 삼종선을 주장하자. 초의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를 통해 이를 반박하고 이종선을 주장하였다. 또한 초의는 다신전 을 편저하고 동다송 을 저술하여 한국 다도의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였다. 이외에도 초의는 청허의 법맥을 잇는 대선장(大禪匠)이자 교학과 율학은 물론 유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시 ⸱ 서 ⸱ 화 및 범패에도 뛰어난 인물이었다. 다양한 방면에 있어서 큰 업적을 남긴 초의이지만, 초의의 정체성은 그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선사(禪師)라는 점에 있다. 초의의 이종선 사상은 선문사변만어 를 통해 드러나 있으며, 그의 다도사상은 동다송 속에서 도출할 수 있다. 문제는 이종선 사상과 다도사상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이 존재하는가 하는 점이다. 그런데 동다송 속에 이종선이 투영되어 있다는 구체적인 전거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초의의 다도사상이 이종선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지니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동안 조선 후기 선리논쟁에 있어서 초의의 이종선 사상은 백파의 삼종선 사상에 비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아왔다. 그러나 ‘조선 후기 청허계를 대표하는 대둔사 13대 종사로서 초의의 이종선 사상과 다도사상이 조선 후기 선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가’ 하는 점과 ‘초의가 청허계의 선사상을 바로 계승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선문사변만어 와 동다송 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추후 ‘조선 후기 선사상의 정체성이 무엇인가’하는 담론에 있어서 유의미한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석전 박한영에 미친 보조선의 영향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Seokjeon Park Han-young, a representative Buddhist monk of modern Korea, on Bojo Jinul and to reveal the common ground of the two thinkers. While ostensibly there is much difference within the life of Bojo and Seokjeon, who lived in different times, they have common ground that they reached an extreme level in Seon school and Dontrine school and that they devoted themselves to association and training junior scholars based on their thorough practice. Although it is a small amount, Bojo’s effect can be seen in Seokjeon’s work, including the fact that he cites the content of Jinsimjikseol, as Bojo’s work. The common ground between Bojo and Seokjeon are to give a positive evaluation to Hataek Sinhoe and to emphasize gradual practice after sudden enlightenment. Seokjeon also emphasized continuous practice because he criticized the negative effect of sudden enlightenment like Bojo’s opinion. Also, the two thinkers shared common ground that they are wary of the self-subservience disease of Doctrine school and self-arrogance disease of Seon school.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status of the Seokjeon in modern Korean Buddhism, the writer wanted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influence of the Bojo Jinul on modern Korean Buddhism by making clear the common ground between the ideas of the two thinkers, as well a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Bojo and Seokjeon. 본 논문에서는 근대 한국불교의 대표적 고승이라 할 수 있는 석전 박한영이 보조 지눌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지녔으며, 두 사상가 사이에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았던 보조와 석전의 삶은 표면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 양 방면에 있어서 지극한 경지에 이르렀다는 점과 철저한 수행을 바탕으로 한 결사와 후학양성의 삶으로 매진하였던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석전의 글 속에서 그가 보조의 저서로 인식한 진심직설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것을 비롯하여 보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와 석전의 사상 간의 공통점으로는 하택 신회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보조가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는데 석전 또한 증오의 폐단을 비판하고 있어서 돈오 후의 지속적인 수행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가의 자굴병(自屈病)과 선가의 자고병(自高病)을 경계하고 선교일치와 계율을 중시하고 있는 점도 두 사상가 간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 한국불교에서 차지하는 석전의 위상을 제고하고, 아울러 보조와 석전 간의 영향 관계와 더불어 두 사상가의 사상 간에 공통점을 밝힘으로서 보조 지눌이 근대 한국불교에 끼친 영향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