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운영 음악에 나타난 ‘선 토착화 후 현대화’의 의미와 진로

        주대창 민족음악학회 2023 음악과 민족 Vol.- No.66

        La Un-Yung as a modern composer sought to realize universal Korean music, so that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in his music have to join each other. To fulfill Korean national music, the korean folk music should be the fist source in terms of idea to retain Korean characteristics in music, and then the modern techniques could be developed with this kind of materials for the future music. This method of work was manifested in his moto: Indigenizing at first and modernizing the next. According to Herder who advocated the folk characte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fork songs at that time, the terms of folk and nation were naturally equivalent in meaning. However, La considered folk music to be old things in the past, and national music to be new things in the future. La fully applied himself to the job of connecting both sides and especially expected to make reasonable Korean harmony which is accomplished from melodies of old folk music. His efforts provides useful examples on which the coming generations can reflect on the one hand, leaving them a task how to have popular appeal for national music on the other hand. 현대 작곡가로서 나운영은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한국음악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의 음악에는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이 함께 녹아있어야 했다. 그는 이러한 음악을 진정한 민족음악으로 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민속음악이 먼저 민족성을 드러내는 기본 소재를 제공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대적 기법들이 개발되기를 바랐다. 이것은 '선 토착화 후 현대화'라는 그의 모토가 되었다. 음악에서 민중 및 민족 개념은 민요의 가치를 드높였던 헤르더에게서 비로소 자리를 잡는데, 그는 당시의 관습대로 민중과 민족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나운영은 민중의 민속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보고, 민족음악을 미래의 한국음악으로 설정하였다. 그는 음악적으로 이 두 가지를 연결하는 데 전력을 다하였고, 이를 통해 특별히 합리적인 한국화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의 한국적 화성은 민속음악의 선율로부터 형성시킨 것이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한편으로 후세들이 참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예들을 제공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민족음악이 어떻게 대중에게 다가가야 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남긴다.

      • KCI등재후보

        1950년대 양악작곡가들이 상상한 국민음악: ‘국민’과 ‘민족’ 사이에서

        김은영 민족음악학회 2019 음악과 민족 Vol.0 No.58

        이 글은 1950년대의 음악계에 대한 고찰이다. 해방 후 일제잔재의 청산과 민족국가 수립을 염원하며 제기된 민족음악론은 분단과 전쟁을 겪으면서 냉전의 논리로 변화하고 있었다. 분단 후 남한에서는 1948년 정부수립을 기점으로 국민가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국민가요의 내용은 국민국가의 건설과정에서 국민에게 요구되는 애국심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1949년 공보처는 박태현, 윤용하, 이흥렬 등 우익 입장의 작곡가들이 쓴 국민가요를 당선시키고 학교 및 군대에 보급시킨다. 그러나 이 시기에 주창된 국민음악은 일제강점기 국민개창운동을 재활용한 것이다. 전쟁은 과거 제국에 봉사하던 음악가들이 남한의 악단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게 된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 전시체제하 만주에서 제국의 후생음악에 봉사하던 이흥렬, 박태현, 김동진 등은 한국전쟁 중에는 종군 문화반원으로 활약하며 호전적인 이승만 정권의 충실한 문화선전대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피난지 부산에서는 ‘전시작곡가협회’가 결성되어 전시(戰時)동요작곡과 가극 등을 창작하였는데 이들의 주요 목표는 군당국과 긴밀히 결합하여 전선에서 일어난 일을 음악으로 만드는 일이었다. 전시작곡가협회 작곡가들은 1950년대 중반부터는 국민개창운동추진회에서 활동하며 재즈와 왜색 유행가 대신 국민가요 창작과 보급에 앞장선다. 국민가요 작곡가들은 멸공과 북진을 강조했던 정권의 정책에 충실히 따름으로써 남한 악단의 중심적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1950년대 주요작곡가들에 의한 국민가요 창작은 이후 남한의 악단에서 전개될 이분법적 분단음악사의 시작이 된다. 특히, 우익진영 음악가들은 이승만 정권의 반공주의와 북진통일, 종교적으로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갖는 경우가 많아 정권의 구미에 맞았다. 이들에 의해 창작된 국민음악은 호전적 성격의 노래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편중된 정치성이 순수주의라는 이름으로 포장되고 있었다. 그러나 국민개창운동에 참여한 음악가들이 이와 같은 이분법에 모두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 나운영, 윤이상의 이후의 삶은 1950년대 그들의 활동이 시대적 상황 속에서 굴절되어 나타난 시대적 산물이었음을 확인하게 한다. 민족음악을 위한 열망은 1980년대의 민족음악론으로 다시 제기되었고 이와 같은 역사를 통해 ‘민족’과 ‘음악’을 연결하고 융합하려고 노력하면서 당대의 시대정신에 민감했던 선배 음악가들의 고뇌와 실천이 과거의 역사로만 남지 않게 하는 것은 변화된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음악인에게 주어진 과제이자 새로운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be an attempt to examine the music scene of the 1950s in Korea, the era of anti-Communism and the Cold War. A discourse on national music that was raised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led to the music history of the Cold War in the course of division and the Korean war. The attempt to attain national Integration by achieving the national state was taking pla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when ‘Kukmingayo(songs for the nation)’ were created and disseminated. These songs called ‘Kukmingayo’ or ‘Aegukgayo(songs for patriotism)’ were produced by recycling the ‘National singing campaign’ and national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a song of the national memorial day was made by the government and music was attempted to emphasize nation than ethnic over the people, such as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The Korean war, meanwhile, was a golden opportunity for musicians who served the Japanese empire to settle down reliably in the South Korean music scene. Lee Heung-ryul, Park Tae-hyun and Kim Dong-jin began to play a more active role in cultural propaganda for the North Korean regime. On the other hand, in Busan, the ‘Wartime Song Writers Association’ was formed to create wartime children’s song and lyric plays. Besides, they were combined closely with the military authorities to produce music. their goal has been embodied in the formation of the ‘Military Composers Association.’ Composers of the ‘Wartime Song Writers Association’ have been active in the national singing campaign since the mid-1950s. Also, they have been taken the lead in distributing national songs that could achieve national unity instead of jazz and Japanese-style songs. However, such activities were the beginning of a dichotomous divided Korean music history based on the premise of anti-communism and division. These activities were led by right-wing composers who faithfully followed the positions of the then regime.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anti-communism, northern unification and pro-Americanism under Rhee's government was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musicians. Christian musicians, especially those who defect from North Korea, were perfectly matched by the regime and were hiding their militant and divided music history under the slogan of purism. Nevertheless, not all musicians who participated in this dichotomy agreed. The later lives of Na Un-young and Yun I-sang, who have acted in the ‘Wartime Song Writers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singing campaign, could indicate the fact that their activities in the 1950s were reflected in refrac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Desires for national music was re-collected into the national music theory of the 1980s, and through this history, it would be a task given to all musicians living in this changed era. Moreover, it could be a new age spirit to ensure that the suffering and practice of senior musicians who were critical to the zeitgeist of the times did not remain the only history of the past.

      • KCI등재

        청년 나운영의 1942년 - 나운영의 초기 기악곡

        홍정수 민족음악학회 2023 음악과 민족 Vol.- No.65

        나운영의 일본 유학 시절 작곡한 년의 세 기악곡은 나운영 음악 1942 이 다른 단계에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그가 소년 시절에 사용하던 단순 삼화음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작곡을 전공하는 음악대학생 나운영의 모델이 된 작곡가들은 드뷔시와 바르톡이었다. 드뷔시는 기존의 작곡학이 금한 것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새로운 음악을 시작했다. 거기에는 다른 문화권들의 영향을 받은, 기존의 서양음악과는 다른 색다른 음악의 창출도 있었다 바로, 이 이국적 요소들은 나운영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드뷔시에게 "이국적" 인 것은 나운영에게 "민족적"인 것이 되었다. 특히 드뷔시 음악이 보여주는 오음음계 관련성은 나운영에게 좋은 모델이 되었다. 나운영과 바르톡의 상관관계는 완벽하게 해명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 이유는 바르톡의 <어린이를 위하여>가 드뷔시의기법을 받아들여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나운영의 <어린이를 위한 이국풍>은 바로 이 바르톡의 교육서를 작곡의 모델로 삼은것으로 보이기에 어느 것이 드뷔시의 영향이고, 어느 것이 바르톡의 영향이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다. 나운영의 음악에는 드뷔시적인 것, 바르톡적인 것, 한국전통음악적인 것, 이러한 요소들이 각각 독자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 그는 드뷔시와 바르톡 음악방식의 일부도 "민족적"으로 해석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오음음계, 빛음과 그림자, 미끄러지는 음, 병행음정의 연속, 이런 작곡방식이 그의 민족적 음악 추구에 활용되었던 것이다. 거기에다가 시김새와 같은 한국 전통음악의 특징은 나운영 음악에 민족적 성향을 더하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민족적 으로 해석될 수 있는 기법들도 "현대적"이라 일컬을 수 있었는데, 이는 그가 예스러운 기법을 현대적 방식으로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이 현대성은 흔히 단순한 음계를 벗어나면서 표현된다. 비음계음을 더욱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짧은 음들은 더 쉽게 음계를 벗어난다. 비음계음들이 많이 사용되면, 그 음악이 조성적 기본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나운영은 그것을 '무조적'이라 생각했다 그의 현대성 추구의 음악은 크게 보아 '조성적'이지만 세밀하게 보면 '무조적'이라 할 수 있다고 그는 생각했다 그의 음악은 조성을 양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사고인 것이다. 조성적 양면성은 나운영 음악 중 빛음과 그림자음, 그리고 긴 음과 짧은 음의 구성에서 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중요한 음들'이 있고 '그 음들을 반영하는 또 다른 음들'이 있는 것이다. '적은 것들'이 '많은 것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런 생각은 나운영의 "민족음악"과 "현대음악"이 동시에 자랄 수 있는 틈새를 보여준다. 나운영의 1942년 기악곡들은 그 틈새에서 나온 새로운 한국양악을 보여준다. 1942년 작곡된 나운영의 세 작품은 그동안 연주가 자주 되는 편이 아니라서 잘 알려진 작품이 아니었다. 특히 한국의 초기 양악들이 거의 성악 위주로 연주되고 관찰되는 관계로 기악 작품에 대한 주목은 현저하게 낮은 편이다. 하지만 이 작품들은 이후에 오는 나운영 작품들의 출발점이 되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것은 해방 이후 작곡 된 그의 성악곡들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고, 1955년 이후에 더 현대화된 서양음악과의 접촉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작곡적 기초로 남아있다. 또한 세 작품이 ...

      • KCI등재

        해방 후 음악장(場)의 형성과 나운영의 자리

        김은영 민족음악학회 2023 음악과 민족 Vol.- No.65

        이 논문은 냉전기 반공주의 이데올로기가 작곡가 나운영의 인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였다. 해방 후 초기 2년 동안 음악가들은 서로 협력하면서 민족음악문화 건설의 꿈을 꾸었다. 나운영도 해방가요와 건국가요를 작곡하였고 첼리스트로, 해외에서 조국으로 돌아오는 동포를 위한 음악회와 각종 기념식에서 음악을 연주했다. 또 민족음악 문화연구를 계획하며 음악가 정추와 민족음악문화연구회를 결성(1946. 3.) 했다. 미소공위 실패 후 냉전이 한반도에 고착화되면서 남한의 음악장에서 좌파 음악가의 입지는 점차 축소되었고 생명의 위협까지 느껴야 했다. 이런 정치적 위기 속에서 나운영은 1947년 6월, 성명서를 발표하고 우파 문화예술단체와의 제휴를 통해 남한 사회에서 자신의 정치적 무결함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전쟁 동안 나운영은 한국 최초로 '한국현대음악 학회'를 결성하고 현대음악 레코드감상회를 열면서 한국에 현대음악이 보급되기 위한 계몽 활동을 시작했다. 또 1952년 작곡집을 출판하고 작품발표회를 하는 등 작곡가로서의 삶을 추구했다. 그러나 전쟁은 비정상적인 시간이었고 이 시기 음악은 군대에 의해 유지되는 구조였다. 나운영은 해군과 육군의 문관으로서 전시가요와 전시동요를 작곡했고 이 중< 통일행진곡>(1952) 과 <북진의 노래>(1953)는 반공국가주의를 전파하는 대표적 국민가요로 남게 된다. 전쟁이 끝난 후 서울로 돌아 온 나운영은 현대음악의 거장 메시앙으로부터 파리 유학을 허락받고 준비하던 중 여권발급 불가판정을 받게 된다. 전후 한국사회에서 납북자 가족과 과거 좌익활동의 이력은 음악가로서 중대한 결함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후 나운영의 음악 활동 중 한 부분은 국가주도 음악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위해 남겨두어야 했다. 나운영의 1945~1953년의 삶을 통해 냉전이 한 작곡가의 정치적 신념을 굴절시켜가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다. 때로 그의 삶은 정해진 세계가 아닌 경계에 위치해 있었고 그 결과 한국의 음악권력에서 배제되거나 고립되는 결과를 감수해야만 했다. 그러나 평생 그의 음악인생은 민족음악의 가능성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해 온 수행적 삶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경성악대의 음악활동 연구

        이수정 민족음악학회 2019 음악과 민족 Vol.0 No.58

        Gyeongseong Band is a Western music performance group that was active during the 1920s. The civilian band was formed by the former members of the Yi Dynasty Western Music Band that was disbanded in 1919. Western music band began in Korea when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to the Military Band of the Korean Empire. As Western protocols were introduced to the royal court and royal family rituals, many changes were made to the royal protocol. On the other hand, Gyeongseong Band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Western music because it was operated as a civilian organization. Even though Gyeongseong Band was highly active from 1919 to 1930, the group has not been widely studied. The current study summarizes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bands in Korea that flow from the Military Band of the Korean Empire to Imperial Household Band, Yi Dynasty Western Music Band, and Gyeongseong Band. In addition, it analyzes the musical activities of Gyeongseong Band in detail. Military Band of the Korean Empire played “Korean Empire Aegukga,” as well as national anthems and banquet music during national events, diplomatic receptions, treaty signing ceremonies, and royal banquets, serving as the national band. Meanwhile, as the Japanese Empire began taking away the sovereignty of Korea, the military band was mobilized to play in events related to Japan as well. The same goes for the Imperial Household Band. Yi Dynasty Western Music Band was not very active because the ruined Joseon royal household rarely had internal events, but it performed in external events occasionally. One example is the Tapgol Park Concert hosted by Yi Dynasty Western Music Band that was held from 1913. The concert featured a combination of Western music and Japanese music. This demonstrates Japan's colonial cultural policy, which was to depoliticize the residents of colonial Korea through government-sponsored entertainment. Gyeongseong Band performed in a variety of locations, and was maintained with the support of various elements of the society. While their activities were for profit, they also performed in regular concerts, free concerts, and charity concerts. In addition, they also performed in residents’ music concerts hosted by the municipal government of Seoul. The repertoire of Gyeongseong Band was similar to that of Yi Dynasty Western Music Band, but some new music pieces were added sometimes. The current study also reveals that the residents’ music concerts hosted by the municipal government of Seoul were held in places that compare the modernity of Japan and the pre-modernity of Korea. 1919년 이왕직양악대가 해산되자 양악대원들이 모여 경성악대를 결성하였다. 대한제국에 도입된 양악이 군악대-제실음악대-이왕직양악대로 이어지면서 국가 또는 왕실에서 의례를 담당하며 조선식 연주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면, 민간악대로 변모한 경성악대는 과거 궁중음악대라는 명성을 등에 업고 다양한 공간에서 더 많은 대중과 만나 폭넓게 서양음악을 보급할 수 있었다. 경성악대는 사회 각계 인사의 지원과 이왕직・조선총독부・일본 국책회사 등에서 자본금을 기반으로 시작하였다. 민간악대로 재출발하였기 때문에 수익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여 경성의 학교, 공원, 기념식, 행사장, 운동장, 거리 등 다양한 장소에서 출장연주를 하였으며, 무료공연, 찬조공연, 자선공연 등에도 출연하였다. 양악대 해산 이후 첫 연주는 1919년 10월 28일 종로청년회음악회였는데 당시는 ‘해산된 이왕직양악대’가 찬조 출연하였다. 경성악대라는 명칭을 정하고 1919년 11월 28일 경성악대가 주최한 ‘제1회 경성악대음악연주회’를 열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10년 동안 수백 건의 연주 활동을 했는데, 그중 직접 주최한 연주회는 약 10회가량 된다. 제1회・제2회 경성악대 음악연주회를 비롯하여 2주년 기념 연주회, 경성악대를 위한 음악회, 경성악대 원찬음악대회 등이었다. 흑인성악단이나 해삼위조선학생연주단 등의 공연을 직접 주최하면서 음악으로 동서 음악과 교류 및 조선 동포의 어려움을 알리고 돕는데에도 앞장섰다. 경성악대가 주최하거나 출연한 음악회는 경성악대 단독연주가 아닌 다른 단체나 음악가들과 합동으로 공연하였고, 브라스 밴드 음악의 특성상 음악회 시작과 끝 곡을 연주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경성악대의 대표적인 연주 활동의 하나인 납량연주회는 1920년부터 시작되었다. 경성악대 단독으로 공연한 연주회로서 초창기에는 동아일보사의 후원으로 탑골공원에서 진행되었다. 1923년부터는 경성부에서 주최하면서 ‘부민위안음악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경성 시내 곳곳의 공원 및 명소와 거리, 신사 등에서 진행되었다. 공연장소 중 대부분은 당시 경성 시내에 새롭게 지어진 일본의 근대건축물이 보이는 장소 즉, 광화문과 조선총독부, 삼각지와 조선총독 관사, 경성역과 남대문, 경성부청과 덕수궁, 서대문경찰서와 서대문처럼, 일제의 대표적인 근대건축물과 조선의 옛 건축물이 대비되는 장소에서 공연이 이루어졌다. 경성악대의 연주 레파토리는 이왕직양악대 시절의 것과 유사하였으며, 간혹 새로운 곡이 추가되었다.

      • KCI등재

        창의성 사고기법을 활용한 한국음악사 교육방법 개발 연구

        강혜인 ( Hyein Kang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5

        본 연구는 창의성 사고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음악사 교육 방법을 개발한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한국음악사 교육의 목적은 첫째, 창의성 사고기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한국음악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다. 둘째, 한국음악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셋째, 사고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여, 음악을 즐기고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다. 한국음악사 교육 내용 범위는 음악사 전체를 개관하는 수업과 삼국시대, 조선시대, 근현대의 시대별 내용을 포함하였다. 교육 방법은 교사가 제안한 과제를 창의성 사고기법을 적용하여 학생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였으며, 사고기법은 <사고모자기법>, <브레인라이팅기법>, <마인드맵기법>, <속성열거법>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방법적 측면에서 사고기법의 활용은 유용하였다. 사고기법은 주어진 개념과 과제에 대하여 치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색다른 방법과 관점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한국음악사에 대한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데도 효과가 있었다. 사고기법 활동을 음악적 글쓰기 작업으로 정리하고 발표하는 것도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학생들에게 한국음악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글로 창작해 봄으로서 스스로의 음악적 사고를 보다 구체화하고 확장시키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Korean music history using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 The objective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by applying the technique of creativity thinking to class. Second, it recognizes the value of music based on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history. Third, it has an attitude of expressing its own ideas creatively and enjoying and utilizing music by using the technique of thinking. The scope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history includes the class which covers the whole history of music and the contents of the three kingdom era, Chosun era, and modern era. The method of teaching was to ask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by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 The thinking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is < Brain writing > < attribute listing > < Thinking Cap > < Mind map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useful to use the thinking technique in terms of method. Thinking techniques helped me to think carefully about given concepts and tasks. It was also effective in inducing students' fun and curiosity about Korean music history by presenting different methods and perspectives.

      • KCI등재

        이종태의 해방전후 음악활동 고찰

        이수정 ( Lee Su Joung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이종태는 음악교육자·작곡가·지휘자·아악 전문가이자, 군인이다. 1930년 일본음악학교를 졸업한 인텔리로서 해방 이전에는 음악가로 활발히 활동하다가, 해방 후에는 모든 음악 경력을 접고 군대에 들어가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해방을 기점으로 격변한 인생사를 반영하듯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상반되게 나타나 있다. 음악인 이종태는 친일 및 전쟁협력 단체에서 활동한 행적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물어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반면, 군인 이종태는 1958년 국방부장관 공로표창, 1966년 보국훈장 천수장을 받으며 승승장구하여 현재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묘지 장군묘역에 묻혀있다. 음악인 이종태는 서양음악, 궁중음악, 음악교육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동하였다. 수십개의 음악 단체에 소속되었으며, 식민지 관변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중동학교, 중앙불교전문학교, 경성고등음악학원, 이화여자전문학교, 이왕직아악부에서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경성관현악단, 영미합창단 등에서 지휘를 하였다. 1930년 <소년>이라는 작품을 작곡한 이래, <내일>·<그리운 소년>·<우리들은소년>·<김소좌를 생각함>·<총 후> 등의 친일 작품을 양산하였다. 『보통학교조선어독본』을 토대로 음악 레코드를 제작하거나, 경성방송 ‘군가공부’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전시 시국 가요를 교육 보급시켰고 강연활동도 활발하게 하였다. 또 이왕직아악부에 10여년을 재직하면서 서양음악 교육과 오선보 채보사업에 관여하며 아악 전문가로 행세하고, <기미가요>와 <우미유카바>를 아악기로 연주할 수 있도록 편곡하는 등 이왕직아악부의 친일활동을 지원하였다. 일제강점기 음악계에서 보여준 활동 내용과 양상은 놀라운 정도이다. 이러한 활동을 하던 이종태는 해방이 되자, 초창기 대한민국 군대와 군악대가 만들어질 당시 42세의 나이에 군에 입대하였다. 군예대 창설에 관여하였고, <상이군인의 노래>·교향시<조국찬가>·교성시<광복10년> 등을 군대 내의 음악 행사를 맡기도 하였다. 군인이라는 신분 제약이 있어 일반에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군대 내에서 승승장구하였다. 태세 전환에 성공하면서 친일 행적은 감추어져 국가유공자로 대접받았으며 사후에 부인인 스즈키 미사호(鈴木美佐保)와 나란히 국립묘지에 묻혀있다. 한국근현대사에서 친일청산을 하지 못했던 과오를 이종태라는 인물을 통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Lee Jong-tae was a music educator, composer, conductor, and soldier. Lee, an intellectual and a graduate of Japanese Music School(日本音樂學敎) in 1930, worked actively as a musician before liberation. After liberation, he gave up his career in music and joined the army and was appointed as a brigadier general. As if reflecting the dramatic convulsion of his life after the liberation, historical evaluations on Lee have conflicting arguments. Lee as a musician was listed in the pro-Japanese Biographical Dictionary as a result of activities as a pro-Japanese and working with war cooperation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Lee as a soldier had a successful career, being commended for his service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in 1958, and receiving an Order of National Security Merit, Cheonsu Medal in 1966. As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study Lee, we examine Lee's musical activities, and take a brief contemplation on projects he put parts in as a commissioned consultant of Iwangjikyangyakbu (Yi Royal Household Music Band). Lee as a musician worked in all areas including Western music, court music, and music education. He was a member of dozens of music organizations, and worked in a colonial government organization. Under a war footing, he distinguished himself in pro-Japanese groups and thereby entered major musical circles. Furthermore, after joining the Yi Royal Household Music Band, h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the Staff(stave) transcription as an expert of court music during ten years of his incumbency as an editor of omnifying court music (‘A-akumbopyeonchansamuimsichoktak’ 雅樂音譜編纂事務臨時囑託). He also actively supported the pro-Japanese activities of the Yi Royal Household Music Band by rearranging Kimigayo and Umiukaba to be playable for court instruments. His decision to change his stance after liberation was surprisingly quick. In the early 1947, when the Korean military and military band were formed, he joined the army at the age of 42. He became a military band master in the eighth regiment and after the recapture of Seoul in 1950,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KAS (Korean Army Arts Service 陸軍軍藝隊). Since then, he was unable to actively engage in music due to his status as a soldier. However, he did not stop interacting with musicians until 1970, revealing his presence at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Since 1961, when he was serving as the head of the National Cemetery, he cooperated with the National Gugak Center to hold Confucian ceremonies in the National Cemetery on Memorial Day.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criticize Lee's pro-Japanese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reflectively view the fact that Lee has never been discovered until now and is still presently being treated as a man of national merit.

      • KCI등재

        윤이상과 아시아

        이경분 ( Kyungboon Lee ) 민족음악학회 2017 음악과 민족 Vol.0 No.54

        윤이상은 1967년 서베를린에서 남한으로 강제 연행되어 고문을 받고 간첩혐의에 죽을 고비를 넘긴 후 독일에서 세계적 음악가로 자리를 잡았지만, 끝내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고 망명음악가로 일생을 마감했다. 유럽작곡계에 진입하여 성공한 아시아 최초의 작곡가로서 윤이상의 현대 음악사적 업적은 ‘동아시아적 전통을 서양 예술음악의 언어로 재용해’했다거나 ‘아시아음악문화와 서구 음악문화의 본질적 특수성을 연결’시킨 것으로 칭송된다. 그의 위대함과 중요성이 거론될 때 윤이상 음악의 원천인 한국음악은 항상 ‘아시아’라는 상위개념 속에 용해되는 경향을 가진다. 그의 음악세계에서 아시아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윤이상 스스로 자신의 음악에서 아시아적인 것을 ‘중국과 한국의 궁정음악 언어만이 아니라, 도교나 불교적 특성을 담은 신화적 소재나 조형예술 소재들 전체를 지칭’한다. 하지만 윤이상이 말하는 아시아에 일본은 들어있지 않다. 그의 음악세계에서 일본은 어떠한 역할도 하지 못했는가? 본 논문에서는 윤이상의 창작세계에서 아시아의 의미를 살펴보고, 윤이상과 일본의 관계를 조명하여, 이것이 그의 디아스포라적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서술하고자 한다.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Isang Yun in the Western contemporary music history is regarded as “translator of the Asian music aesthetics into Western music language”. Yun himself has often defined the origin of his music world comes from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esthetic. However, Japanese music seems not to have any place in his music world. Also in the interviews and lectures of Isang Yun Japan has been seldom appeared in the context of Asian music. On the contrast to this fact, the musicians among the Asian countries which Yun had the most familiar relationship with were the Japanese. And Yun has had twelve Japanese music students in his Berlin period, while Korean students were only few. Which role has Japan played in the music world of Isang Yun? This study explores meanings of ‘Asia’ in Yun’s Music world and the his relationship to Japan. To conclude, this article examines the question whether and how his diaspora life could be connected with a meaning of ‘Asian master’ which Yun might prefer to ‘Korean master’.

      • KCI등재후보

        이왕직양악대의 활동이 근대음악사회에 끼친 영향

        이수정 민족음악학회 2019 음악과 민족 Vol.0 No.57

        It is about 118 years since western music band started playing music in Korea. During the Korean Empire, which took up the early phase of the western music band introduced to the country, it was installed in the name of the Military Band in 1900 and in the name of Imperial Music Band in 1907. 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was maintained under the name of Yiwangjikyangyakda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Korean modernization, the Military Ba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operated as official music bands of the court. In this respect, they carried major significance for the courtly music, but they have yet to be properly studied. Their activities played a tremendous role in distributing and nurturing the western music in the Korean court music and popular music. The musicians, who were trained in the Military Band and the Western Music Band, engaged in the music activities with the bands of schools of different academic levels and private bands, thus playing a major part in distributing and nurturing the western music bands including brass band and propagating the western music. And the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the western music bands between 1890 and 1910 when the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to the country, and light has been shed on the creation of the western music band, the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repertory and its importance. However, they just touched on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a cursory manner and never mentioned its activitie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e operation, the performanc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Following the Korea-Japan Annexation, its role was reduced, and the band could not perform its functions related to the military band and the national band. However, the western music band was responsible for officially receiving the western music into the country and was in charge of the events of the country and the royalty as part of the courtly band. The activities of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ffered further distortion than the Military Band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band had to perform Kimigayo, the Japanese national anthem, the Japanese military music, and Japanese musical works at Pagoda Park, Changgyeonggung, and Gongjinhoe during the colonial period. 우리나라에서 양악대가 음악 연주를 시작한 지 올해로 약 118년이 되었다. 서양 악대 도입 초창기인 대한제국에서는 1900년 군악대, 1907년 제실음악대(帝室音樂隊)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가,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이왕직양악대라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제국 군악대, 제실음악대와 이왕직양악대가 궁중의 공식적인 악대로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근대 궁중음악 변천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들의 활동이 궁중음악계와 대중음악계에 서양음악의 보급과 육성에 기여한 역할은 지대하였으며, 군악대와 양악대를 통해 배출된 음악인들이 각급 학교 밴드부와 사립 악단에서 음악활동을 하여 브라스 밴드를 비롯한 서양식 악대의 보급과 육성, 서양음악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그간의 연구는 양악 도입기에 해당하는 1890년-1910년의 양악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집중되었고, 양악대의 창설, 악기편성, 연주곡목 및 중요성 등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왕직양악대에 대해서는 부수적으로 간단히 언급하는 데에 그치고 있으며, 활동 내용은 거의 언급된 적이 없다. 본 연구는 이왕직양악대의 역사적 전개과정 및 조직체계, 운영 방식, 공연 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이왕직양악대는 1911년 활동을 시작하여 1919년 해산되기까지 활동 기간이 매우 짧지만, 양악사장, 양악사, 양악수장, 양악수의 체제를 갖추고, 40-50명 내외의 악대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양식 악대는 대한제국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정식으로 서양음악을 수용하면서 궁중악대의 일부로서 국가와 왕실의 행사를 담당하였다. 이왕직양악대는 대한제국 군악대의 전통을 이어 이왕직 장시사에 소속되어 의식에서의 음악을 담당했다. 하지만 국가 음악으로의 기능을 제대로 펼치기도 전부터 국권이 침탈되면서 역할이 축소되어 군대 음악 또는 국가 음악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일본궁내성과 조선총독부의 감시하에 이루어졌던 이왕직양악대의 활동은 대한제국기 군악대보다 더 왜곡되었고, 친일적인 행적을 보여주었다. 식민지하 탑골공원, 창경궁 및 공진회 등에서 일본국가인 「기미가요」와 일본 군대음악 및 일본음악을 연주해야 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대중적인 공간에서 벌어진 음악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서양음악적 이미지를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양음악의 유입과 확산은 다방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양악대의 활동이 당시 한국음악계에 서양음악의 표상이 될 수는 없다. 군악대와 양악대를 통해 배출된 음악인들이 서양식 악대의 보급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음악적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는 점은 인정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왕직양악대와 같은 관속(官屬) 음악인의 활동은 서양음악의 성장 과정이기도 하였지만, 식민지적 근대의 비주체적인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적 한계가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 KCI등재

        문화냉전 시기 남북한 민족예술의 경합: 1950-7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김희선 ( Kim Hee-sun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이 글은 문화냉전의 차원에서 전개된 남북한 국제적 경합의 전개를, 냉전이 가장 극심하게 대립되던 1950년-1970년대 진행된 남북 민족예술 해외공연의 양상을, 남한에서는 정권과 민족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은 사회주의 민족예술의 전개 단계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민족예술이 냉전 정치학에 호명되어 냉전 민족주의(허은 2011)와 냉전 세계주의(클라인 2017)를 수행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후 복구과정에서 소련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았던 북한은 민족예술의 국제경쟁에서 남한보다 앞서 있었다. 모든 것을 국가가 관리하는 강력한 사회주의 국가주도 체제는 문화냉전의 국제경합에서 유리했다. 반면 초기 남한의 문화예술보다 아시아의 반공의 보루로서만 관심을 두었던 미군정과 민족적인 것의 발굴하고자 했지만 경제·정치적 입지가 약했던 초기 정권에서 민족예술을 통한 국제경합은 열세에 놓인 상황이었다. 남북 민족예술의 해외공연에서 가장 다이나믹한 시기는 1960년대이다. 세계적 냉전의 심화, 아시아 역내 정치학의 변화, 남북관계 등이 역동적으로 돌아가던 시기였다. 북한은 인민을 위한 균질화된 민족예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공연양식으로 해외공연을 확대하였다.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이 시기 남한의 해외공연은, 정권의 조국 근대화와 반공 민족주의의 역군으로 호명되며 미국 문화냉전 전략과 틀 안에서 전개되었다. 사회주의 혁명 완수를 위해 호명된 민족예술과 반공과 근대화의 역군으로 호명된 남한의 민족예술은 각각 체제유지와 국제경합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북한은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며 주체사상에 기반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양식을 확립하여 1970년대부터는 해외공연의 주요 종목으로 채택하게 된다. 유신헌법과 함께 더욱 강력한 조국 근대화와 민족주의의 부흥을 내세우고 강력한 통제체제를 작동시켰던 박정희 정권의 1970년대는 국립단체를 중심으로, 남북 민족예술 국제경합에 적극적 대응에 나서며 대규모 공연단을 해외에 파견하면서 민족예술의 국가봉사를 더욱 강조하였다. 당대 글로벌 문화냉전은 한반도의 민족예술의 수립에 근간으로 역할 했고 특히 해외공연의 레퍼토리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국가적 유용성과 민족주의적 경합은 국내적으로도 민족예술의 위상에 영향을 주었다. 미-소 군정기에 보여주었던 서구식 문명화를 향한 동경, 타자를 통해 민족예술의 우수성을 인정받고자 한 점, 민족예술에 대한 근원적 고민보다 국민통합과 국제경합의 도구로 민족예술을 위치시킨 점은, 그 과정에서 구축된 민족예술 결과물의 벌어진 간극을 초월하여, 남북이 거울처럼 서로 비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문화냉전의 차원에서 전개된 해외공연을 통한 남북 민족예술의 경합은 ‘이념성’, ‘민족성’, ‘문명화’의 과시이자 경쟁이었고 이후 한반도 민족예술의 향방을 결정짓고 있음도 유의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between two Koreas under the context of Cultural Cold War, through overseas performanc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both Korea from the 1950 to 70s.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U.S. and the U.S.S.R after World War II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wo Koreas in 1948 and the peninsula’s positioning as the battlefield in a Cold War. “National” discourses as well as ideology have been emphasized to demonstrate ideological superiority. In this situation, the two Koreas have competed in terms of their respective Koreanness, by preserving and reinventing “traditio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paganda on systemic, ideological, state, national authenticity has fed on “Cold War Nationalism” (Heo, 2011) and “Cold War Cosmopolitanism” (Klein 2017),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came very effective means of propaganda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post-war period, South Korea was not able to organize its cultural infrastructure at a state level. The first international performance tour was organized by the nation, but funded by the USIS. Other performing troupes were also sent to Free Asia Alliance nations. In the 1960s, several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roupes made performance tours of the US, supported and invited by Cold War-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the Asia Foundation. During the 1970s, more strong nationalistic yusin rhetoric forced national performing arts troupes to serve the nation through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performed frequently throughout the world than before and it was based on cold war competition. North Korea led the way in systemizing national art troupes for international tours. It re-organized the cultural infrastructure and artist groups beginning in the 1950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its system and competing “Korean-ness”. The North frequently dispatched folk performing arts troupes, including Choe Seung-hui, to socialist alliance states on tour. North Korea expanded its diplomatic relations beyond USSR, China and Socialist alliance nations during the 1960s. Along with its establishment of socialist revolutionary opera during the 1970s, North Korea expanded its overseas performances to other part of the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national discourses in the Cold War period, focusing on international performanc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tween 1950s and 1970s. At the same time, it reveals that the internal politics of the peninsula intertwined with the global Cold War have defined the direction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both Koreas, in completely opposit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