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 Dae Seok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문학사 교육의 위상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문학사 교육 탈구축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사의 탈구축 작업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문학사 교육을 국민 교육의 장으로 삼았으나 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적 지식은 독립적인 지식과 개별 작품들을 통합하는 지식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되었다.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해석을 이끌어 내는 방향으로 전환한 문학 교육은‘복수의 문학사’를 제재를 통해 구성하였기에, 단일하고 평면적인 해석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민족 문학사와 괴리되었다. 그 때문에 문학사적 지식은 고전과 현대의 상호텍스트성을 지시하는 전통의 연속성과 민족 문학의 정전을 부각시키는 한국 문학의 범위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되었다. 이러한 문학사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교육학계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목표를 지식 습득보다는 지식과 능력이 결합된 안목의 획득으로 재설정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통합적이고 관계적인 문학사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문학사교육을 갱신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고정된 실체로서의 민족 문학사를 해체하고 복수의 문학사를 도입하거나 그 복수의 문학사를 토대로 자신만의 소문자의 문학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 연구 영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문화사적 문학사를 서술하자는 제안도 제출되었다. 이러한 민족 문학사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문학사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문학사 교육은 정치적 장이자 비평적 장으로서 문학사를 새롭게 탈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hang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describe the efforts to deconstruct it.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as used as a main tool to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and raise the feeling of national unification. But it ceases to be the knowledge which controls the interpretation of each texts, as in 1990’s Korean education changed it’s points to learner itself. Literary education which was changed to drag out the variou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learners can not coexist th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hich produces only the unified and plat interpretation. In this phase the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egan. The ai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as reset as gaining an appreciative eye for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 united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as deconstructed to plural histories of literature and small-letter histories of learners themselves. And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write the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which reflect the recent achievement in literary studies.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can be consisted of cultural histories and micro histories.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 『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several representative of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rom colonialperiod to date in the aspec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ademism. Specifically,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1939),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1948),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73), ‘Na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1993), ‘Lecture on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2009), and ‘History of Literature after History of Literature’(2013) were investigated. As noticed, the previous publications regard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ere comple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tory of literature as a modern academic system was constructed indifferent ways based on historians’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sm and realit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history of literature. The thoughts of relations between Western society as universal and Cho-Seon as particular, namely the perspectives on comparison literature which were inherent in history of literature was in a state of flux according to a time. The reputa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y has remarkably changed in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over the last decad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 longer in the same place as it was in the past. The direction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years to come hinges on how to transform its traditional framework of ‘nation-university-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김성수 ( Seong Su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 『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 『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 『조선문학사』 16(2012)는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수령론’으로 점철된 ‘선군(先軍) 문학사’를 정초하고, 남한은 문학사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거나 아예 해체하는 분위기이다. 그나마 민족문학사연구소의 『새민족문학사강좌』(2009)가남북문학(사)의 공존을 소수자담론으로나마 서술한 수준이다. 문학사적 분단의 재검토를통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해진 북한문학과의 상호 이해와 교류, 통합방안을 다시 고민할 때이다. 북한문학의 실체를 인정하고 부단히 소통하며 남북 문학의 공존을 서술해야 우리 민족문학사의 재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perspective we should take toward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other party of Korean literatur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ac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of the reunified Korea and therefore cannot be blindly rejected due to the difference of ideolog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also 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Korean race.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period right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forced occupation, the starting period of the nation’s division.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Joseon New Literature History Survey by Baek Cheol,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Jeo Yeon-hyeon, Modern Joseon Literature History by Han Hyo, Joseon Literature History After 1900s by Ahn Ham-gwang, Comprehensiv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the Literature Lab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lar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ttempted to secure historic legitimacy of their regim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subtraction’ aiming to appropriate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a self-oriented manner and exclude the counterparty. The self-oriented legitimacy discourse is merely the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divided nation which signified the division of mother tongue as afact. There has been little outcome providing insight into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integrated approach until recently after 1950s. As a result,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For example, the no. 16 volume of Jose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literature history rooted in the military-first principle oriented toward Joseon Race First Policy and Theory of Great Leader, while the South Korea dismantles the literature history itself. Fortunately, the New Race Literature History Lecture by Race Literature History Lab at least describes the coexistence of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s minority discourse. The reintegration of literature history w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exist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is recongized and the coexistence is promoted with communication.

      • KCI등재

        특집 : 문학사의 젠더

        소영현 ( Young Hyun S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가능한가. 학계와 문단에 폭넓게 근대의 자명성에 대한 회의가 시작된 1990년대 이후로, 근대, 민족, 문학, 역사에 대한신화 깨기가 돌이킬 수 없는 방향성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탈근대 담론의 영향 아래 문학사서술의 무용성이 의문의 여지없는 귀결로서 인식되었다. 그간의 문학사 서술의 실질을 돌이켜 보건대, 이러한 추론은 역설적으로 문학사 서술의 완전무결성과 실현가능성을 상정하고 있었다고 해야 한다. 문학사 서술의 불가능성이 문학사 서술의 무용성으로 오해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는 문학사 기획이 내포한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반복적 재기술의 필요성을 세분해서 사유할 필요를 요청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이자 그 일환으로서의 ‘여성’ 문학사의 재기술 가능성을 논의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그간 어떻게 ‘여성문학’ 연구가 게토화되었는가에 대한 재검토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작업이 갖는 탈근대적 비판으로서의 성격이 그것의 역설적 불가능성을 입증하게 하는 정체성론에 기반해 있음을 짚어봄으로써 ‘여성문학사’ 기술과 ‘여성문학’ 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딜레마를 단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학과 정치를 가로지르려는 시도가 직면하는 난점과도 다르지 않은 이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는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로 통합되어 들어가는 한편, 여성문학에 대한 관심 자체의 저하와 함께 왜소화되고 게토화된 경향이 있다. 여성문학 연구의 왜소화는 현실사회의 ‘여성’의 재배치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이는 여성문학 연구의 게토화가 곧바로 여성문학 연구에의 요청을 무효화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더구나 2000년 이후로 글로벌리즘의 전면화와 함께 가족주의에 함몰된 ‘엄마’의 출현을 야기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보자면 모순의 배리 속에서도 여전한 여성연구의 필요성이 역설된다. 여성문학 연구는 한편으로 새로운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모색을 전진시켜 나아가는 동시에 글로벌리즘과 결합한 가부장제의 역습으로 대표되는 현실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에 비판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여성문학 연구의 유의미성은 여성문학 연구 방법론이 불러오는 ‘차이/ 보편’의 배리의 정치학에서 분출되는 것이라 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여성 문학사를 포함한 복수의 문학사 서술 기획이 반복적으로 요청되어야 하는 것은 여성문학 연구가 문학에 대한 관점의 재조정, 문학에 대한 가치와 독해법을 둘러싼 새로운 발견, 나아가 소수자/ 타자라는 키워드로 불거진 현실사회의 시스템의 재고를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What is the gender of literary history and what does it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It has started to doubt self-evidence of modernity and myth of modernity, nation, literature, history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since 1990’s. Then, It was decided that no need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under the post-modernity discourse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I argue that there has been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s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nd then, it has been needed to the deep consideration what is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think th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 think that it means the necessity of re-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repeatedly. For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and re-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view what does it make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inimized at first. I examined that there was a methodological dilemma of 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and ‘women literature’ in terms to theory of identity. For resolving that dilemma, ‘women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hanged the field into that of gender / sexuality studies and in other hand, ‘women literature’ studies has been minimized within decreasing the interest of women literature. Paradoxically, it reveals that minimiz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did not mean the un-necessit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Moreover, we also meet represented ‘mama’ in relation to patriarchy in literature within the force of globalism since 2000’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omen / women literature’ studies to making the new methodology for criticize the literature and to criticize inequality and absurd of women’s real world / everyday life under the complexity of globalism and patriarchy.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uld occur in politics of ‘difference / universe’ which made methodolog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rk. Eventually, I argue that ‘re-writing the literary history’ including the women literary history can be needed the reason why developing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eans that readjusting the viewpoint of literature, rediscovering the value and evaluation of literature, and rethinking the minority’s real world and tha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권보드래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State and nation forms a quite unique relationship in Korea. Korea was annexated when Koreans are beginning to explore the common consciousness as members of one nation-state, then the condition as a colony forced Koreans to live the subjects-identities of the state of Japanese empire. The strategy to separate the category of `nation` and `state` was enacted in colonial period, but the assertion of `nation` was predominantly used by the right to stress the homogeneous identity of Koreans while the conceptual frame of class was persuaded by the left. The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delivers different significance from one of western world, erupted in the liberation period of 1945~48 as the common framework covering the right and left altogether. The left argued the leading role of working class while the right defended the trancendental quintessence of a nation, and `nation` succeeded in the survival even amidst the antagonized political climate of the south and north. 1950s through 1970s, The virtual range of `nation` to transcend the polarized confrontation and to focalize the reality of the people was experimented through the critical essays of Choi Il-su and Chong Tae-yong, and realized in the works of Paik Nak-chong and other Creation and Criticism members. Nowadays, having experienced the heated controversies of 1980s, the concept of `nation` is marginalized while the concept of `state` is gaining the new attentions. The will to overcome the division situation, the aesthetic revaluation of literary texts with the criteria of people`s life, and the tendency to build a bridge between premodern legacies and modern tradition of literature are under the test imposed by the demand to explore the future of nation an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