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언론을 통해 본 미래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연구

        최준호(Joonho Choi)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2013년 KAIST에서 미래전략대학원이 출범하는등 한국에서 미래학 연구의 기틀이 갖춰지는 시점에서 과거를 돌아본 것이 다. 1968년 한국미래학회가 출범하고, 한국에서 미래연구가 시작된 지 50년 가까이 세월이 지났음에도 한국 일간신문의 시각으로 볼 때 국내에서는 그간 미래연구에 대한 눈에 띄는 발전이 보이지 않았던 이유를 알고자 했다. 이를 통해 지난 세월 동안 한국에서 미래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무엇을 했으며, 어떤 생각을 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의 기본 틀로는 일간신문 분석을 사용했다. 더불어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기법, 심층 인터 뷰를 통해 신문 기사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했다. 연구분석 결과에 나타난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미래학의 출범은 1967년 도였다. 이듬해 한국미래학회가 출범하고, 이 학회가 일본, 미국 등 외국의 미래학회와 교류하면서 한국 미래학의 지평을 넓혀갔다. 1970년대 초 중반 이들의 활동은 21세기 오늘날에 내놔도 손색이 없을 만큼 진지하고 학술적 이며, 미래학의 정신에 충실했다. 하지만 이후로 오랫동안 한국의 미래학 연구는 침체기에 빠진다. 박정희 정권이 1972년 10월 유신체제를 출범시키 면서 국가의 미래구상은 수출을 통한 경제발전의 한 방향으로만 치달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 시절에는 서구 선진국이 고민하던 제대로 된 미래학을 추구할 여유가 없었을지 모른다. 1960년대 초 1인당 국민소득이 100달러도 안되던 시절에 미국과 같은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허먼 칸의 말대로 강력한 리더십을 통한 압축성장이 필요했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유신 이후부터 전두환 정권에 이르기까지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들여 다본 한국의 미래연구는 적어도 이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당시에 비춰진 미래학은 우리가 주도하는 미래학이 아니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이 제시 하고 있는 미래 모습이 뭔지를 파악하고, 이를 한국의 2000년대에 투영시켜 비전을 만들고 분주히 따라가는 모습이었다. 이 같은 서구 종속적인 한국 미래학의 모습은 21세기가 들어서면서 조금씩 변화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꾸준히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곳곳에서 미래학연구소가 생겨나고, 대학에서도 미래관련 학위 과정을 설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들은 미래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이들은 자기 논리나 글을 위한 장식품 정도로 미래학을 이용하기도 했다. 이 속에서도 발전은 진전되고 있었다. 수량적 으로도 신문에서 미래학과 관련한 기사들이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단순히 미래학에 대한 호기심과 미래학 소비자의 수준을 넘어 미래전략을 통해 미래를 만들어가는 미래연구의 주체자로 등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This research looks back to the time in history when the foundation on the futures studies was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uture Studies was first established in 1968 and the research on the field has been going on for nearly half a century. However, I wanted to know why future studies haven’t seen a visible development here in Korea despite of its long history.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what people interested in futures studies have done throughout the years. The elementary tool used on the analysis was newspaper articles. To cover the limit of analyzing newspapers articles, I have also utilized the big data text-mining method as well as focus interviews.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the start of Korea’s futures studies was in 1967. In the following year, the Korean Society of Future Studies was launched. This society expanded the realm of futures studies here in Korea through exchanges with other futures studies societies overseas such as the U.S. and Japan. By the early 1970s, those participating in the societies were dedicated to their studies and they were academic and thorough, which even stands out until today. But since then, the research on the field enters recess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that time, it seemed that South Korea didn’t have the leisure to study on futures unlike the advanced western countries. The Korean national in-come per capita in early 1960s was less than $100. As preeminent futurist Herman Kahn has once said that Korea should keep up with the advanced economies like that of the U.S., it was believed that it needed a compressed growth under strong leadership. When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during the Yushin regime and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at least Korea’s futures studies shows such trends. The futures studies at that time was not led by Korea itself but it just followed the visions set by advanced economies like the U.S., Japan and Europe and then reflected it in its vision for the 2000s and was busy trying to follow it. However, Korea’s futures studies, which were heavily dependent to the western economies, started to show signs of changes as the country has entered the 21st century. Although it didn’t continue those changes with persistence, futures studies research centers started to pop up and related classes with degrees started to be established in colleg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idea of futures studies among opinion leaders. There have been those who only used future studies as a garnish to their writings or rationality. Yet, there are progresses underway. Each year, articles on futures studies are growing in number. Additionally, those who are studying futures studies in hopes of building the future through strategy rather than out of pure simple curiosity are growing as well.

      • RISS 인기논문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1 미래교육연구 Vol.1 No.1

        미래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이 요구되는 시대다.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다. 미래는 소통과 상생이 배어있는 시대다. 이를 통틀어서 미래는 배움의 시대다. 다가오는 미래는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교는 스스로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 다시금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실행해 온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과연 미래 사회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 필요한 시간이다. 미래 학교교육의 성패는 인간 본성으로서의 배움을 여하히 드러내고 복원해내고 증진시켜 나가느냐에 달려있다. 학생들 각자가 지닌 잠재력과 배움력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 미래의 학교교육에서 성취해 나가야 할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성을 배양하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내용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 낼 수 있는 배움 정신을 회복하는 일이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이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교육, 대안교육, 배움의 교육이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essence of erudition paradigm and discussing the visions and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debates the necessities of the future and the future education, and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e pedagogy, that is to say, school-oriented paradigm.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ree visions, that is, creativities and challenge-minds, difference and tolerance, and inter-experience and win-win solution. And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ree directions of the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They are the direction of open education, alternative education, and erudition paradigm. After all, the erudition paradigm must be an alternative plan to resolve the educational conflicts. The school-oriented paradigm can not realize the human being’s value and his/her erudition instinct. Erudition paradigm needs to deconstruct the pedagogy which is on behalf of edufascism and school-oriented paradigm. And erudition paradigm persists in redefining and retranslating the ideology and concepts utilized in the age of pedagogy. It is originally because erudition paradigm is an environment-focused and lifelong education-oriented paradigm.

      • 미래연구 선진국의 미래연구 유형과 정책과정 적용방안 연구

        박성원(Seongwon Park),송영조(Young-Jo Song) 미래학회 2019 미래연구 Vol.4 No.2

        미래연구에서 앞선 나라들에서 시행한 미래연구를 시민광장, 비전형, 우선순위, 혁신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국의 미래연구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 시민광장형은 스웨덴, 싱가포르이며 비전형은 프랑스, 독일, 일본이다. 우선순위형은 영국, 캐나다이며 혁신형은 미국, 핀란드로 분석되었다. 시민광장형 미래예측의 특징은 목표는 있으나 실행 각론이 부족한 사회에 효과적이며 정책에서 놓친 부분을 찾는데도 유효하다. 비전형 미래예측의 특징은 협상이 중시되는 다중심 사회에서 효과적이며 정책기획의 출발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선순위형 미래예측의 특징은 다양한 갈등이 혼재된 사회에 효과적이며 구체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혁신형 미래예측의 특징은 혁신적 성장의 아이디어를 찾거나 전례 없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네 가지 미래연구의 유형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시민광장에서 혁신까지 네 가지 미래연구 유형은 정책의 구상부터 보완까지 대응된다. 이를 활용할 경우, 미래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미래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ur types of futures research of governments in advance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agora, vision, priority and innovation types. Agora-type is Sweden, Singapore, vision type is France, Germany and Japan. The priority- type is Britain, Canada, and the innovation-type was analyzed as the United States and Finl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ora-type are effective in a society that has a social goal but lacks an actionable agenda and effective in finding missing policy agenda.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type is effective in a multi-core society where negotiations are valued and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policy plan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riority-type is effective in a society with mixed conflicts and is able to lead to more specific policie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novative type is effective in finding ideas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in exploring policy alternatives. Consequently, the four types of future research can be us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s. The four types of future research, from agora to innovation, are matched from conception to supplementation for policy setting. In this way, if future research is carried out in each policy step, it will be applied by integrating future research carried out by advanced governments. It also offers good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s future research plans.

      • 정책의제설정 단계에서의 예측적 거버넌스

        윤기영(Keeyoung Yoon)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2

        미래는 불확실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미래의 불확실 성을 지수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정책학은 미래예측 및 미래연 구의 성과를 원용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책이 그 대상을 미래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예측적 거버넌스가 2010년대 등장했다. 예측적 거버넌스는 실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그 정의는 최근 확대되었다. 정책의제설정에서 예측적 거버넌스와 그 하부 개념인 예측적 민주주의 등의 체계적 반영이 필요하다. 이를 사전·진행· 사후적 미래예측이라는 시점을 통해 확인하고, 정책의제설정에서의 미래예 측의 유형을 조성적·장기적·규범적 미래예측과, 적응적·단기적·탐색적 미래예측으로 나누었다. 미래의 복잡성과 미래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조성 적·장기적·규범적 미래예측이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리나라의 최근 정부및 국회의 예측적 거버넌스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략적 정책제언을 더했다. The core feature of future is the uncertaint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t present has make the uncertainty increase exponentially. The main object of futures studies is the future uncertainty. Thus, the need for the policy to employ the methodogies and results of futures studies, because the time frmae object of the policy is future. Because of this, anticipatory goverance emerged in 2010’s. The contents of ancitipatory governance were formed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and the meaining has extended lately. Especially, anticiaptory governance is more important in the phase of policy agenda setting. Ancipatory governance in all processes of policy was analyzed from the view point of pre-, on-, post- foresight. And then, anticipatory governance was classified into construtive, long-term and normative foresight and adaptive, short-term and explolrative foresight. Constructive, long-term and normative foresight was ascertained being signified. And the trends of anticipatory governance in south korean government and congress was looked over and the policies on ancitpatory governance was suggested.

      • 미래연구의 디지털라이제이션

        윤기영(Keeyoung Yoon),이상지(Sangzee Lee)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1

        디지털 혁명, 즉 IT 기술의 지수적 발달은 미래연구의 효율성과 정확도및 미래연구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미래연구에서 IT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 단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IT 시스템에 대한 접근이 주를 이뤘으나, 해외 경우에는 보다 종합적인 미래연구 지원 시스템에 대한 실무적이고 학문적 접근이 존재해왔다. 소위 제4차 산업혁명을 IT 시스템을 활용한 공정의 디지털화라고 보았을 때, 미래연구의 디지털라이제 이션 즉, 미래연구 과정의 디지털화에 대한 체계적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나 미래연구의 전체 공정의 관점에서 IT 시스템을 접근한 경우는 찾기 어려웠 다. 이에 미래연구와 디지털 시스템 간의 관계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고각 유형에 대한 내용을 상세 제시했다. 미래연구 지원 시스템의 유형을 분류 하고, 마지막에 미래연구의 디지털라이제이션을 위해, 미래예측 전 공정에 대응하는 IT 시스템을 제시했다. 더불어 인공지능을 이용한 미래예측을 검토했다. 미래예측을 ‘복잡한 미래에 대한 대화’와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인적 네트워크’로 정의한다면, 인공지능으로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일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 The exponential development of ICT technologies, digital revolution or digital transformation in other word, has fabricated for the foresight and futures studies to employ ICT systems in themselves. But the employment of ICT system in futures studies is usually limited to the single function or method. Though some researchers have endeavor to approach the overall ICT based foresigh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ttempt to apply ICT systems to the processes of foresight based on foresight methodolog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ostulates the digitalization on all kinds of business domains and scholar disciplines including futures studies and foresight. So we tried to illuminate the five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futures studies and ICT system by matrix and elucidate their meanings and circumstances. We overviewed the worldly representative ICT systems for futures studies and proposed the ICT integrated process oriented systems based on foresight methodology processes, KAIST Futures Management Methodology Framework.

      • 스테퍼(STEPPER) 트렌드 분석 기법을 통한 미래 예측

        장한울(Hanwool Jang),이광형(KwangHyung Lee) 미래학회 2016 미래연구 Vol.1 No.1

        In Korea, to follow global trend and keep continuous growth, Korea government has kept doing an foresight research. However, due to have a group bias thinking, hard to see the non-bias future. Furthermore, to foresight future, many people should attend a workshop, and it spends many costs and tim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thesis introduce a new future foresight method that uses 7 factors, which are Social, Technology, Environment, Politic, Population, Economy and Resource areas, to see futures in present factors. And it analyses the key factor of each issues. After that, it analyses each key factors effects of each other, and finds events that has any possibility in the future. Generally, key factor affects many areas of events. Through this characteristic, STEPPER Trend analysis make regular pattern on key divers and finds future events. From this, it can find non-bias futures, even can foresight non preferable futures. This method can also work alone and easy to foresight futures. 한국은 각 분야에서 변화 하는 패러다임에 대한 신속 대응 및 국가 경쟁력 유지 및 확보를 위해 미래예측 연구를 지속해 왔다. 기존의 미래이슈 발굴을 위한 미래연구 방법들은 미래 예측에 참석한 집단의 편향성 때문에 희망하지 않는 미래를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사람이 참여하여 예측 작업을 진행 하다 보니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미래를 구조화하고, 현재 이슈들의 미래를 이루는 7가지 요소인 사회, 기술, 환경, 정치, 인구, 경제, 자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다. 그리고 각각의 이슈들이 일어나게 된 핵심 동인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핵심 동인은 단순히 한 가지 이슈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슈들 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핵심 동인의 특징을 이용하여 핵심 동인들 간에 정해진 패턴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상호 영향력을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통해, 희망하지 않는 미래까지도 포함한 다양한 이슈들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혼자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미래 예측을 할 수 있다.

      • 디자인사고와 미래 시나리오 구현 방법론(FM4D-BM)과 응용 사례

        김원택(Wontaik Kim) 미래학회 2021 미래연구 Vol.6 No.1

        새로운 미래 제품 시스템의 사업타당성 여부는 미래사업 추진에 있어 중요한 전략적 결정 요소이다. 즉, 신개념의 미래 제품 시스템의 사업 타당 성과 다른 이해관계자들에게 최적의 가치를 제공할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면 최선일 것이다. 이러한 미래 전략적 제품. 서비스. 시스템(Product Service System, PSS) 개발 사업 추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PSS Design과 비즈니스 모델링이 포함된 FM4D-BM(Futures Monitoring and Discover Define Develop Deliver-Business Model)’ 모델을 제안하고 모델 검증을 위해 여러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FM4D-BM는 디자인사고 기반의 STEEPV 환경 스캐닝, 시나리오 플래닝 등의 미래예측 기법과, PSS Design 모듈,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모듈을 통합하여 구성 하였다. 이 방법론 Frame은 미래연구 무경험자도 단기에 의미 있는 미래 시나리오 개발을 가능케 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 모델로 한국의 글로벌 기업에서 컨설팅 후 미래 신제품, 서비스, 시스템이 성공적으 로 론칭 되기도 하였다. 사례연구로 2012년도에 홍익대 국제디자인전문대 학원 연구원들이 진행한 “2030 자동차”, “2030 미술시장” 등의 시나리오 개 발, PSS design과 Business Modelling 과제 결과 등을 소개한다. 장기간이 소요되고 고난도가 요구되는 FM4D의 환경스캐닝 데이터 수집, 변화 동인 추출과 매핑 등 여러 작업들은 차후 인공지능 Data Algorithm의 활용으로 획기적 생산성 제고가 예상된다. 머지않아 AI 미래학자의 출현을 기대해 본다. Whether the new future product systems can be profitable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 is of great strategic decision factors for their execution. In other words, the business feasibility of the new concept of future product systems needs to be simulated and proved to be of value. To overcome this foresighted strategic business implementation huddle, ‘FM4D(Futures Monitoring and Discover Define Develop Deliver) with Business Modeling’ has been created and tested for validation of the model. The FM4D-BM set includes integrated foresight method tools such as STEEPV environmental scanning, scenario planning, PSS design, and business modeling simulation modules, organized in a straightforward adaptable approach. Even student researchers without previous experience of foresight work produced meaningful scenarios in one semester utilizing the FM4D-BM process. And a consulting work via the FM4D-BM for a Korean global company has resulted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product Service system as well. Here, case studies of scenario planning and PSS design of “2030 automobile”, “2030 arts market”, and other graduate student researchers’ futuring works in 2012 are presented for the usefulness of the model. And productivity of the most time consuming and difficult tasks of environmental scanning, derivation and mapping of the change drivers in the FM4D-BM process could be enhanced substantially via AI data algorithms in the near future.

      • 미래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손현주 미래학회 2016 미래연구 Vol.1 No.1

        한국에서 미래에 대한 담론이 풍성함에도 불구하고 미래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이 지속적으로 존재해왔다. 또한 미래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미래학 관련 고등교육 전공프로그램은 극소수이고 활성화가 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의 출발점으로 미래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시론적 탐구를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미래학의 학문적 성격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래와 미래학, 학문으로서의 미래학의 개념, 미래학의 연구목적, 미래학의 대상과 연구영역, 미래학의 학문적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특정 영역이 학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분명한 연구주제와 대상의 존재, 독자적인 연구방법의 존재, 연구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기준의 존재, 학회·연구소·학술지 중심의 학문공동체 존재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 미래학은 연구대상과 연구영역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는 미래학 관련 지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미래학 관련 종사자가 미래전문가 혹은 미래학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미래학 공동체가 미래학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축적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여 독자적인 학문적 정체성을 담보할 수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산업기술 연구사업관리전문가 집단의 미래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이 호 미래학회 2018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2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미래를 체계적으로 내다볼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가? 그러한 미래역량은 측정이 가능한가? 만약 한 조직이나 개인이 처한 환경이 변화하면 요구되는 미래역량도 달라지는데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한 조직 고유의 상황에 따라 가지고 있어야 할 미래역량이 다르고, 바라는 미래에 대한 목표 수준을 설정하면 미래역량은 성숙도 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르네 로벡(R. Rohrbeck)의 조직의 미래예측 성숙도 모델(Maturity Model of Corporate Foresight)를 차용하였고, 이를 국가 산업기술개발사업 기획 분야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사업관리전문가(Program Director, 이하 PD) 집단의 미래역량 측정 모델에 적합하도록 재정의 하고 유용성을 검증함으로써 PD 집단의 미래역량 측정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래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정책 및 전략과 연계될 때 현재 발생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정책적 옵션이 창출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신축성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국가 연구개발사업 정책과 전략의 핵심에 있는 PD 집단의 경우 미래 환경변화에 대해 더욱 높은 수준의 대응 능력이 요구되고 그에 상응하는 미래역량이 정부 연구개발 성공의 핵심 동인이 될 수 있음을 깊이 인식하고자 하였다.

      • 미래 안보환경의 변화와 육군의 혁신전략 : 육군비전 2050

        송윤선(Yun-Seon Song) 미래학회 2019 미래연구 Vol.4 No.2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총아인 인공지능(AI), 로봇, 뇌 과학 등은 머지않은 미래에 지능화 사회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인류의 생활양식, 가치관, 문화 등을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은 미래의 전쟁 또한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 것이다. 전장은 무인화될 것이며, 지능형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여 전투를 치를 것이다. 미래의 첨단기술혁신에 성공한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 간의 군사력의 격차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심화되어 결국 나라의 명운을 좌우할 중대한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육군은 국민과 영토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중심군으로서 미래의 어떠한 대내·외적 위협으로부터도 국가와 국민의 보호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50년을 목표로 하는 미래 육군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포괄적으로 7가지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다재다능성, 적응성, 기민성, 통합성, 전문성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래 육군의 모습을 “시간과 공간을 주도하는 초일류 육군”으로 상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래 육군의 노력 방향을 싸우는 방법의 혁신, 육군무기체계의 혁신, 육군 구조의 혁신, 육군 경영의 혁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싸우는 방법의 혁신으로 미래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적응적 육군이 되어야 한다. 둘째, 초연결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무기체계 구축이다. 기존의 둔하고 무거운 대형 무기체계에서 탈피하여 첨단 기술 기반의 빠르고 가볍고 작은 지능형 무기체제로 전환하여 효과적이고 기민하며 무인화되어야 한다. 셋째, 고도로 전문화되고 유연한 슬림형 육군구조로의 혁신이다. 이는 앞으로 인구절벽으로 인해 병력자원 부족과 첨단 무기체계 운영에 필요한 요건이다. 넷째,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육군경영 혁신이다. 육군의 활동 영역을 세계로 확장하여 세계평화에 기여함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며, 민군 융합을 통해 육군이 국가 성장의 동력을 제공하고, 육군이 구성원들의 자아실현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bio technology may bring about an intelligent society in the near future, which transform future human lifestyles, values and culture into completely different aspects. These technologies will also lead to a new level of warfare in the future. The battlefield in the future will be unmanned, and intelligent machines will replace human soldiers. The gap in military power between countries that have succeeded in high-tech innovations and those that have not will deepen more than ever before, eventually leading to a critical outcome that will determine the nation’s fortunes. In this sense, Korea army of the future should be preemptively transformed to cope with the upcoming flood of new technologies in the future, to guard the nation and its people from any future internal and external threats as a central force that directly protects the people and territory.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termines seven roles required for the future Army aiming for 2050 and presents five of them: versatility, adaptability, agility, integration and expertise. This study assumes the future Army image as “the Super-Class Army Leading Time and Space” and presents 4 ways to accomplish it; innovation in how to fight, innovation in the Army weapon system, innovation in the Army structure, and innovation in Army management. First, it should be a versatile and adaptive Army capable of carrying out various missions in the future with the innovation of how to fight. Second, the future Army should establish super-intelligent weapons system based on super-connected network. For that, the Army should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heavy and dull machinery and switch to a fast, light, and small intelligent ones based on high technology. Third, the Army should be changed into a highly specialized and flexible slim structure. It is a requirement for the future lack of manpower and for the operation of advanced weapons. Fourth, the Army should innovate its management to creates new values. By expanding the area of the Army’s activities to oversea, it should not only contribute to world peace, but also enhance the status of the nation. Through the civil-military fusion, the Army should be able to provide momentum for national growth. Also, the Army should be an arena for self-realization of its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