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ji ),이연선 ( Lee Youn-s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온라인 데이터 수집 사이트 Textom을 활용하여 유아 영어교육과 유아 영어교육의 매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아+영어’, ‘유아+영어교육’, ‘유아+영어교육+매체’를 검색하여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과정을 거쳐 상위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유아 영어’와 관련된 키워드는 교육과 관련한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으며, 유아 영어의 교육적 담론에 대한 우려의 키워드도 나타났다. ‘유아 영어교육’에서는 시작에 대한 우려의 키워드와 매체와 관련된 키워드가 분석되었으며, 사회연결망 정도에서는 ‘엄마’가 ‘유아 영어교육’의 중심적인 역할임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엄마’는 유아 영어교육 담론 목소리의 주인공이자, 자녀의 영어능력을 향상 시킬 교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제시하며 강하게 목소리를 내는 사람으로 ‘유아 영어교육’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영어교육 매체’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엄마들은 영어교육에 조바심과 우려를 보이는 엄마와, 영어교육 전문가로서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엄마로 분류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의 유아 영어는 교육의 한 영역으로 고려되고 있었으며 교육과 관련하여 관심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유아 영어교육은 모성 이데올로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부분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두려움, 시작시기와 같은 키워드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유아영어교육의 한계점으로 바라보는 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조기교육과 사교육이라는 논쟁에서 벗어나 정책에서 영어교육과 관련한 깊고 실질적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based on Big Data. To do this, researchers collected online text data using ‘children + English’, ‘children + English education’, ‘children + English education + media’.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inement process and 50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into matrix data to conduct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Childhood English’ was related to education and there were concerns and disputes about educational discourse about Early-Childhood English. In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keywords such as home schooling, educational media, and beginning were analyzed. In the social network, ‘mother’ was seen as a central role of ‘Early-Childhood English’. The ‘mother’ keyword meant shar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Early-Childhood English ability and giving a strong voice to them. Finally, in the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Media’, books, programs, visual media, and radio were shown. Comprehensive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nstant discussions about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n Early-Childhood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한미란 ( Han Mi Ran ),김유정 ( Kim Yoo 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3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학력, 전공,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미술관 이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 이용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다. 셋째, 유아교사가 개인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과 관련이 있었다. 넷째, 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우 대체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용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상당 부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유아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부족한 국내의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 museum and art museum education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rt muse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ffer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status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visit art museum as field trips less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Thir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eachers link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art museum education as a teacher. Forth, thos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of the art museum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generally satisfied the program. Even the teachers who had not used the art museum education, they also felt the need of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art museum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some points to encourage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the young children.

      • KCI등재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정화 미래유아교육학회 199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5 No.2

        문제 해결력이란 유아교육에 새롭게 제시되는 개념은 아니다. 사실 지난 20년 동안 문제 해결은 모든 수준의 수학 교과과정에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되어 왔고 대부분의 유아교육자들은 문제 해결력이 수 프로그램뿐 아니라 다른 모든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의 공감과는 무관하게 현장에서는 아직도 교사들이 전통적 교육 방법에 의해 유아들의 수 학습을 지도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이는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별개로 생각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제 해결(력)이란 어떻게 정의되는 개념인지, 수 교과과정과는 어떤 관계로 놓이는지, 그리고 유아들의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문제 해결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관점마다 다르나, 수학 교육과 연관되어서는 일반적으로 수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사고 과정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문제 해결을 수학 학습의 목적으로 볼 것이냐 수단으로 볼 것이냐를 둘러싸고 양분된 관점이 존재하며 이는 문제 해결력과 수학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혼란스럽게 한다. 문제 해결을 수단으로 보는 이들은 수학 교육에 있어서 개념이나 지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문제 해결이란 수학에 대한 접근 방법의 하나라고 여긴다. 반면에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보는 이들은 형성된 수학적 지식의 응용력을 강조하며 문제 해결이란 수학 교육 과정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양분된 관점은 교육 실제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특히 유아를 위한 수 교육 실제에 생산적이지 못한 논쟁이 될 뿐이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자들이 그러한 양분된 관점으로부터 탈피한 것과, 문제 해결력을 수 교육과정 안에 통합시켜 생각하기를 권한다. 문제 해결력은 유아를 위한 수 프로그램의 목표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기초적 수학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수단으로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유아들은 여러 가지 문제 해결 경험을 통해 수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형성해야 하며 형성된 수학적 지식을 다른 많은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적용,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한다. 유아들의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전제가 요구된다. 첫째, 유아들을 위한 수 프로그램은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놀이를 통한 문제 해결과 수학적 개념에의 접근은 유아들을 자연스럽고 흥미롭게 수 학습으로 이끌 수 있으며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둘째, 발달적으로 적합한 수 교육 실제를 고안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며 신중한 관찰을 통해 개개인의 흥미, 경험, 능력 등을 파악하고 있어야만 한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관한 지식뿐 아니라 수학 자체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 프로그램 안에서 문제 해결력을,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한 수 학습의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실제적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풍부하고 다양하며 구체적인 교구·교재가 구비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교실의 물리적 공간은 너무 엄격히 통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긍정적인 수 학습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문제 해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 그 자체보다는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을 강조하고, 유아들의 서로 다른 의견과 관점, 해결책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들간에 문제 해결 과정을 상호 교류하도록 이끈다. 상호 교류적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자기와 다른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며, 자신의 사고를 더욱 넓혀갈 수 있으며, 수학적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 넷째, 좋은 문제 해결 과제와 활동을 선택하거나 고안해야 한다. 좋은 과제나 활동이란 유아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다양한 접근 방법과 해결책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문제 내에 주어져야만 한다. 유아들이 일상 생활 안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제나 활동을 제공하는 것 역시 문제 해결력과 수 학습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모형 분석

        고현 ( Hyun Go ),정명자 ( Myung Ja 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 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으로 교육과정, 운영관리, 지원체계, 기관의 인적 및 물리적 환경 요인을 선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평가한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성립된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하게 나타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모형은 수용할만한 수준의 모형이라고 판단내릴 수 있다. 즉, 교육과정, 운영관리, 지원체계,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요인이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은 유아교육기관 평가정책 수립 및 유아교육기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main factors empirically that affect parents` choice of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upport System, Pers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of Institution were selected to be determina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Subjects were 238 parents whose child attended in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mothers considered high value 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factor like provision of meals and sanitary conditions. In addition they made a great point of teacher`s qualities and principal`s competence and experiences.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a principal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ntinuous appraisal system of his or her own by wa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me and refresh course for her or his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of those determinants to choose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which were selected by preceding researches, its adequacy index approved positively.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Pers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were verified a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ccording to this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to plan its appraisal policy and a marketing public relations.

      • KCI등재

        유비쿼터스시대 한국의 유아교육, 통섭의 과제와 Reframing 방향

        김경중 ( Kyung J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시대 한국 유아교육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조망하였다. 첫째, 다양한 학문의 통섭을 통한, 유아교육 이론적 배경의 변화; 둘째, GNR혁명과 유아교육 현장의 변화; 셋째, GNR혁명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확대; 넷째, 풍부속의 빈곤: 창의성과 인성의 필요성 증대; 다섯째, 자연환경 기후에 대한 관심과 자연에서의 생활과 체험활동 그리고 이러한 예상되는 변화들을 바탕으로 한국유아교육의 통섭을 통한 Reframing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통섭의 철학 방법 방향; 통합적 학문연구와 통섭의 기본방향은, 미분화된아메바적 통합이 아니라, 제 부분들이 분화된 기능을 맡으면서도, 유기적으로 결합해 협동 작업을 수행하는 유기체처럼, 분화에 기초한 고차원적인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통섭의 중요한 출발점은``목적`` ``동기`` ``가치``를 탐구 하는 인문학적 성찰과 비판적 사유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보육과 교육의 통합과 통섭; 진정 바람직한 통섭은 어느 일방의 승리나 패패를 통한 통합이아닌, 관련 분야 간에 학문적 통섭의 방향을 먼저 도출하고 유치원 단체와 보육인 단체 간의 통섭도이끌어 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이것을 바탕으로 관계법과 기관의 통섭을 통해 의회와의 통섭을 통해서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그리고 통섭의 본질과 원리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통섭을 통한 홀리스틱교육; 홀리스틱교육은 어느 특정한 기술(technique)이거나 교육과정(curriculum)이 아닌 全人의 계발에 역점을 둔다. 따라서 홀리스틱 교육은 어느 한 가지 이론 혹은개념에만 국한하지 않고 균형, 통합, 연계라는 비유와 틀로 설명될 수 있다.넷째, 현대 유아교육 이론을 통합한 멀티-뎁(Multi-DAP); 이영석(2012)은 현대 유아교육이론을 NAEYC의 DAP개념, 비곳스키의 ZPD발달이론, 신피아제 이론, Miller의 홀리스틱 유아교육 접근,Gardner 의 다면적 지능이론, Goldman/Bar-on의 감성지능이론, Sternberg와 Wagner의 실천적 지능이론을 근거로 한 발달적 유아교육 모형을 구체화 하여 멀티-뎁(Multi-DAP)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한국의 유아교육은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연구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분과 학문의 견고한 칸막이를 치고 안주하면서 편협한 교육을 수행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사회에서는 더 이상 이러한 편협한 인위적인 장벽은,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던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통섭을 통해 서로 하루빨리 이질적 학문 분야와 만나야 한다. 그렇지만 이 같은 통섭에는 명확한 통섭의 원칙과 철학이 있어야 한다. 특히 자연과학과 손을 잡고 통섭하려 할 때, 인간의 삶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해석과 비판을 과제로 삼는 "해석학적 비판과학"의 철학적 인식론적 관점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육에서 보육과 교육의 통합 문제도 앞에서제기한 통섭의 원칙과 철학에서 사유하게 되면 누리과정처럼 자연스럽게 풀리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섭을 통한 한국 유아교육의 리프레이밍 방향은,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을 통해서, 그리고 다양한 현대의 유아교육 이론적 체계를 통합한 멀티-뎁(Multi-DAP)프로그램과 같은 모형도 좀더 다양한 학문분야와 통섭함으로서 유비쿼터스 사회에 걸맞는 질 높은 유아교육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mainly argu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biquitous era in South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key points were indicated in the followings. First,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consilience should be ``objective,`` ``motive,`` and ``value`` of the humanities to explore the reasons for critical reflection and should be started from. Second, to achieve truly desirable consilience, consilience between the academic and kindergarten, between group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unified. Moreover, the government on the basis of it with the Congress through laws and institutions consilience, and consilience on the nature and principles should be more research efforts. Third, holistic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development rather than specific skills (technique), or education (curriculum). Thus, any one kind of holistic education theory or concept were not limited to the balance, integration and linkage with a non-frame can be explained. Fourth, multi-Depp(Multi-DAP) that integrated the modern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다문화 교육: 인식의 전환을 통한 포괄적 접근 가능성 탐색

        오경희 ( Kyo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유아 자체에 대한 관심과 문화 생산자로서 유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그 동안 ``아주 작은 차이``로만 여겨져 왔던 유아와 성인의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진정한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적 접근이 가지는 인식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 및 유아기에 대한 성인들의 인식의 전환으로부터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유아기 또래문화가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는 유아다문화교육이 보다 포괄적인 범위와 의미를 담아내는 것으로, 유아기 아동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교육자들로 하여금 모든 유아들이 질높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며, 이들을 위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도록 이끌고자 했다. 이러한 고민들이 결과적으로 교실의 문화를 변화시켜나갈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This paper argued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put its emphasis on the acknowledgement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 which once regarded as ``small difference``. To do so this paper tries to see infant as subjective being and as producer of the culture. First of all, the paper reviewed recognizing limitation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which was used in the childhood education. Next, the pap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early childhood peer culture, thereby insisting that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from the transition of adult`s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 and childhood This kind of discussion, encompassing a broader boundary and meaning of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ants in the early childhood in real sense. In addition, the paper tried to induce educators of infants into new concerns that all infants should be given the rights to an high-quality education and thus they should have new thoughts and minds o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m. This new thoughts and minds are expected to be facilitators in changing their classroom culture.

      • KCI등재

        유보통합을 위한 유아교육진흥법 재조명: 역사사회학적 접근으로

        나은경 ( Eun Kyung Na ),오경희 ( Ky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1980년대 ‘유아교육진흥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체제 형성의 역사적배경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유보통합을 위한 올바른 방향 정립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역사상 처음으로 정부가 유아교육을 국정지표로 선택하고 정책추진의 근거법으로서 제정한 유아교육진흥법에 대한 정치적·역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이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미친 영향을 재조명하고 유아교육진흥법이 개념적으로는 유보일원화, 제도적으로는 유보이원화의 양면성이 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은 유아교육의 이원화를 고착화시키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역설적으로 유보통합의 결정적 기회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진흥법에 관한 재조명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유보통합의 올바른 방향을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right wa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doing so,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evolution of the dual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role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acted in 1980s. We analyzed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provides the first legal basis for the policie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le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act o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found the dual aspects of the act. The act, in fact, systematically deterr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lthough it conceptually combine the education and care for early childhood. Moreover, we found that although the act eventually became a crucial cause of d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ronically could have promot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f it had designed appropriately. Lastly, we suggested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ppropriateway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명조 ( Myung Joe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우리의 유아교육은 최근 양적으로 질적으로 현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과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이후 유치원 및 보육시설이 확충되기 시작했고, 2004년 유아교육법 제정 및 영유아보육법의 전면 개정은 공교육화 및 공보육화 시대를 열게 하여 유아교육의 기회균등의 실현 가능성과 유아교육의 질적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우리의 유아교육은 세계 최저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2005년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구축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에 의해 그 지속적인 발전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공교육에 입각한 유아교육은 확고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고, 출산율은 그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는 2000년을 전후한 시점에서 지금까지 기간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의 유아교육현황을 살펴본 후 글로벌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 유아교육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 과제를 유아교육의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kindergarten for 3-5 year olds and the day care center for 0-8 year old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r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30 years, the kindergarten and the day care center have developed rapidly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Since the legislation of `ECE(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ing Act` in 1982 and `ECEC(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t` in 1991, the number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have seen significant increase. The legislation of `ECE Act` & overall revision of `ECEC Act` in 2004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the `public` ECE & ECE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equality & equity of chance for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of qualitative development in ECE & ECEC.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have continued to develop, supported by Korean government since 2005, which faced the lowest birth rate in the world. However, the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f Korea have not taken root, and the national curricula have only been partly applied in the field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t`s an appropriate time to reflect upon some of the necessary current status and task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conclusion, high-quality glob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depends on the high-quality teacher with energetic zest, the high-quality parents revitalizing the weakened family education, and child-centered national policy.

      • KCI등재

        동작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이세나 ( Sae N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작교육 경험에 따른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80명을 대상으로 동작교육 경험, 동작교수불안,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t -test, F -test,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교과목을 두 과목 이상 이수하고, 정규 교육과정 외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이수한 경험이 있고, 동작 관련 취미활동을 하고, 동작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동작교수불안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교과목을 두 과목 이상 이수하고, 정규 교육과정 외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이수한 경험이 있고, 동작 관련 취미활동을 하고, 동작교육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동작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 보다 동작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이수 교과목 수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동작교육 자격증, 교육과정 외 동작교육 과목 수강 경험, 그리고 동작교과에 대한 인식정도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based on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and examined the variable that influence on their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subjects were 28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o colleges in Gyeonggi a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experiences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vement teaching anxiety according as number of school subjects about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hobbies relation to movement,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according as number of school subjects about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hobbies relation to movement, certificate of movement education,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Third, number of school subjects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lso certificate of movement education, informal curriculum subjects and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 KCI등재후보

        홀리스틱 교육과 유아교육과정

        이영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00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학적 관점에서 Holistic 교육과 Holistic 교육과정이 갖고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실용성을 논의하고, 특히 최근에 유아교육 분야의 다양한 새로운 유아교육 과정적 동향과 방향이 Holistic 정신과 무관하지 않다는데서 그 의의를 찾아보려고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Holistic 교육과정의 의미, 최근 유아교육과정의 동향, 그리고 Holistic 유아교육과정의 실제 등을 중심으로 홀리스틱 교육과 유아교육과정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홀리스틱 교육은 하나의 교육과정 모델의 성격보다 훨씬 더 추상적, 상징적, 정신적 의미가 강한 새로운 페러다임이며, 이러한 홀리스틱의 정신에 따라 Miller가 제시한 17개의 수업절차 모델들은 유아교육 현장에 그 적용이 가능한 것들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들 수업 모델들을 바르게 숙지하고 실천한다면, 유아교육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evance of the holistic education to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further identify some impli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ses from the holism and holistic education. There were recently the various curriculum mode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DAP curriculum, emergent curriculum, projective approach, and multicultural or antibias curriculum, etc. Those mode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holism and holistic education thought. The specific contents explored in this study were the meanings of holistic curriculum, the recent trends toward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nd exploration about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s based upon holistic education. Miller(1976) introduced seventeen teaching models of humanistic education or affective education in his book "Humanising the Classroom". Researcher presented the detailed instructional elements about each of ten teaching models abstracted from seventeen models, which were possibly applied in our early childhood settings. We expect it can be the crucial alternation for these teaching models become the high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act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