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이미지의 미학적 해명: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이재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1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science and aesthetics are questioned by the fact that their theoretical intentions are different. However, the historical epistemology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historically constructed by variously intervening in its outsides shows the potential of coupling technoscientific images with the aesthetic. The article focuses on their representation of neuron images in the neuroscience debate of Golgi and Cajal in the 19th century. In these representation processes scientific knowledge has been transformed and structured not only by the aesthetic intervening, but by the intervention of materials, such as dye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tools. In their analyzing the epistemic conventions of technoscientific images, Daston and Galison have rightly disposed the their images to historical-epistemic division of 'the mechanical objectivity', but could not properly explain the materiality intervened in the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representation involved not only the aesthetic, but the materiality of the contemporary photographic techniques. This shows the historical aspect of technoscientific images related to the aesthetic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e experiment, and instantiates the coupling of technoscience with aesthetics. 과학기술과 미학의 관련은 학문 영역의 지향점이 상이하다는 사실에서 의문시되었다. 그러나 과학 지식이 그 외부의 다양한 개입에 의해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이해는 과학기술 이미지와 미적인 것의 연결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논쟁에서 실험 이미지의 재현 과정에 주목한다. 그들의 신경세포 이미지 재현에는 미학적인 개입만이 아니라 신경세포염색물질의 개입이 과학적 지식을 변형시켰다. 대스턴과 갤리슨의 ‘기계적 객관성’ 개념은 그들의 이미지 재현을 인식적․역사적 구분에 따라 적합하게 배치했으나, 물질적인 개입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반면 골지와 카할의 이미지재현은 19세기 사진 기술이 사용한 물질들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이는 과학기술 이미지가 실험 재료의 물질성을 매개로 해서 미적인 것과 연결될 수 있는역사적 계기들을 보여주며, 과학기술과 미학의 접점을 예시한다.

      • KCI등재

        인문과학연구논총의 연구동향 및 다학문성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최상희,이재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3

        This study identifies research trends and influences based on the informetric analysis of data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Journal of Humanities from 2010 to 2019.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Humanities, the subject areas of the cited journals by the Journal of Humanit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 fields of journal articles that were cit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subject areas of the Journal of Humanities were Korean and literature, Japanese and literature, historical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Futhermore, highly cited papers of the journal has an interdisciplinary influence o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edagogy. 이 연구는 인문과학연구논총의 10년간 데이터 인용관계를 기반으로 연구동향과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게재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인문과학연구논총에서 인용한 학술지의 주제분야를 살펴보았고 인문과학연구논총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고인용된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타 학술지 논문주제분야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게재논문의 주요 주제분야는 한국어와 문학, 일본어와 문학, 역사학, 종교학 등으로 다른 분야와 함께 다학문적으로 접근된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인용된 논문을 인용한 주제분야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육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 학제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1930년대 廣東省 廣州의 목판화 잡지 『現代版畫』 연구: 李樺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주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3 No.1

        Modern Prints was the pictorial published by the Modern Print Society of Guangzhou from December 1934 to May 1936. The member of the society was Li Hua, the drawing instructor of Guangzhou Municipal School of Fine Art and his fellow. By the time the artists of Shanghai, the epicenter of Chinese Wood Cut Movement were oppressed by the Anti communist policy of Nationalist Party of Chiang Kai-shek’s. From the 1931 onward Chen Jitang of the anti Chiang Kai-shek faction, took control Guangdong Province, this accounted for the political atmosphere that had allowed the Modern Prints Society to exist and flourished Guangzhou for the time being. The wood cut prints of Li Hu before the first contact with Lu Xun in December 1934, showed the modernism style of Cubism and Fauvism. In the letters to Li Hua, Lu Xun emphasized importance of returning to Chinese traditions for inspiration. He advised Li Hua to combine European styles with the line of Han Dynasty reliefs, materials of Ming and Qing book illustration, and New Years pictures appreciated by the common people. The effort to combine the German Expressionist wood cut and folk traditions – New Years Pictures from Foshan, Buddhist engravings and amulets-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Li Hua's <Roar, China!>. As the aftermath of student movement in Beijing on December 9. 1935 to protest the ‘anti communist self governance’ in Northern China, spread to Gwangju, Modern Prints published an ‘Anti-Imperialist Issue’ in its 17th volume, directly embodying the scenes of suppression of protests and the suffering of the student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Li Hua was active as a representative wood cut printer of the Nationalist Party. 『現代版畫』는 광주의 ‘현대창작판화연구회’가 1934년 12월부터 1936년 5월까지 발행했던 목판화잡지였다. 목판화운동의 진원지였던 상해가 장개석의 멸공정책으로 해산되었던 시기, 광주는 반장개석파가 정권을 잡았고, 비로서 광주에서 목판화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다. 광주의 목판화운동은 좌익미술가들이 주도했던 상해와 달리 모더니스트를 자처한 광주시립미술전과학교의 서양화과 교수 李樺와 그의 제자들이 이끌었다. 이화는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총 7통의 편지를 魯迅과 주고 받으며 『현대판화』의 창작 방향을 수정해 나갔다. 초기의작풍은 입체주의나 야수주의 화풍과 소련 목판화가 공존했으나, 중국의 전통 목판화 - 漢代 畫像石, 明代 서적 삽화, 민간 年畵 – 와 유럽의 양식을 조화롭게 융합하라는 노신의 조언을 받아들이면서 변화를 보이게 된다. 민간의 삶을반영하는 소재 선택, 독일 표현주의 판화와 민간 전통 – 佛山年畵, 불경 판화, 부적에 이르기까지 - 을 융합하려는 양식적 노력이 더해져 이화의 <외쳐라 중국이여 !>가 예시하는 바 처럼 독특한 판화 양식을 만들어 가게 된다. 1935년12월 9일 북경의 항일학생운동의 여파가 광주에도 불면서 『현대판화』는 17집에반제국주의 특집호를 발행하고, 시위 탄압 장면과 인물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했다. 단체를 이끌었던 이화는 중일전쟁 시기 국통구의 대표적 판화가로 활동하면서 신중국 성립 후 중앙미술학원의 판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판화계를 이끌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인의 몸과 마음 길러내기: 안종화의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1909)를 통해 본 생리위생학의 수용과 변용

        오선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이 연구는 안종화의 소학교용 생리위생학 교과서,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를분석함으로써, 비전문가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생리위생학 수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던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생리위생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전유했는지 추적한다. 이때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은 전염병 통제라는 사회적 수요, 그리고 사회진화론의 과학적 근거라는 오해로 인해 계몽지식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다른 서구 과학기술 지식에 비해 빠르게 수용될 수 있었다. 특히 실력양성을 표방한 각종 학회들이 발간한 학회지들은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의 실제 내용을 배우고 익히는 효과적인 학습 공간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회지에 토대한 집단 학습을 통해 생리위생학은 근대전환기 가장 주목받는 과학이론이자 계몽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할 교양지식으로서 나름의 지식 체계를갖출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Ahn Jong-hwa's textbook on physiological hygiene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group learning b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nd traces how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ctually understood and inherited Western physiological hygiene.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was quickly accepted compared to other Western science due to the social demand for epidemic control and the misunderstanding of evolution. In particular,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yvarious academic societies provided effective learning spaces for enlightenment intellectuals to learn and deepen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As a result of collective learning through these journals, physiological hygiene was the most popular scientific theory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and the cultural knowledge that an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should know.

      • KCI등재

        국내외 인문학 분야의 인공지능 주제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김진원,이재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umanities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A total of 635 and 594 papers were collected from KCI and WoS, respectively, from 2002 to February 2023, and analyzed using keyword co-occurrence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AI in humanities have become more active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2016 and 2019 were turning points for research activitie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respectively. While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overseas are similar overall in that they cover various topics related to AI in humanities, oversea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history of AI development as well as theological perspectives compared to Korea 이 연구는 국내외 인문학 분야의 인공지능 주제의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학적비교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KCI와 WoS에서 2002 년부터 2023년 2월까지의 논문 635건과 594건을 수집하여 단어동시출현분석과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는 2016년, 해외는 2019년을 기점으로 연구가 보다 더 활성화되었다.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지는 점은 전반적으로비슷했지만, 해외의 경우 국내와는 다르게 신학 관점의 AI 연구와 AI 발전사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 KCI등재

        韓國十進分類法 第4版에서의 數學, 物理學, 化學, 天文學, 地球科學, 土木工學, 機械工學 分野의 展開

        김용성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인문과학연구논총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nslate and discuss the expansion in the field of pure sciences(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astronomy, earth sciences) and technology(civil engineering and mechanical engineering) i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cheme, fourth 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ansion in the field of Pure Sciences and Technology in KDC Scheme is, in general, similar to DDC Scheme, while the subdivisions of the third summary of these two schem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2) KDC classed Topoly in 410.07, while DDC did it in 514. (3) KDC classed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433.1 and 433.5 respectively, while DDC did these two subjects in 544 and 545 respectively. (4) KDC classed Earth Sciences in 450-459, while DDC did it 550-553, and while DDC 554-559 is geographical treatment like 554 Earth Sciences of Europe. (5) KDC classed Civil Engineering and Mechanical Engineering in 531-539 and 550-559 respectively, while DDC did these in 624-625, 627-628, and 621-623, 629 respectively. (6) KDC relocated the subdivisions of Aerospace Engineering and Astronautics in 558.1-.4 and 558.9 on the basis of DDC 629.1 and 629.4.

      • KCI등재

        ‘통섭 (統構: Consilience)’ 의 의미 : 휴월(Whewell) 의 귀납적 통섭에 대한 분석

        김준성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29 No.-

        휴월이 제시한 귀납적 통섭은 과학 이론들의 관계에 관한 규칙성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필자는 휴월의 귀납적 통섭을 소개하고 이 개념에 대한 두 가지 해명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귀납적 통섭에 대한 한 가지 바람직한 해명을 제시한다. 이 해명은 과학 이론들의 통합 관계를 일반화하는 형식적 모형을 찾는 데 단서를 줄 것이다. 또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학문들 간의 통섭의 정당성과 방향을 줄 것이다.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wo interpretations of the consilience of inductions Whewell articulated, and propose another way to explicate it. My proposal is not only intended to help us formally generalize the consilience of inductions. It is also expected to evaluate the recent discussions about consilience of different studies.

      • KCI등재

        퇴계학(退溪學)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퇴계집』(退溪集) '비판적 정본'(批判的定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We Need a New Critical Version of ToegyeJip(退溪集)

        문석윤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22 No.-

        1997년에 나온 한 보고에 따르면,1)국내에서 출간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년 관계 단행본은 100여 권에 이르며, 석·박사 논문이 120여 편, 개별적인 연구논문이 1,000편 이상 발표되었고,2)퇴계학(退溪學) 국제 학술회의에서 영어로 발표된 논문만도 200여 편을 헤아린다. 또한 그의 문집과 저술은 대부분 번역되었으며,3)그 중 고봉 기대승과 왕복한 서찰들과『성학십도』(聖學十圖)가 영문으로 번역되었고,4)대동문화연구원본『퇴계전서』(退溪全書) 전부가 중국어로 번역되었다.5)그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목적으로 설립된 연구기관 만하더라도 1973년 설립된 서울의 퇴계학연구원(退溪學硏究院)(기관지:『退溪學報』, 계간), 경북대학교의 퇴계연구소(退溪硏究所)(기관지:『韓國의 哲學』, 연간), 1982년에 설립된 퇴퇴계학부산연구원(退溪學釜山硏究院)(격월간으로『退溪學釜山消息』발간), 1986년에 설립된 단국대학교 퇴계연구소(退溪硏究所)(기관지:『退溪學硏究』연간), 1988년에 설립된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退溪硏究所) (기관지『退溪學』, 연간) 등 수 개소에 이른다. 이외에도 1972년에는 일본에 이퇴계연구회(李退溪硏究會)가 창립되어 『이퇴계연구회보』(李退溪硏究會報)를 내고 있으며, 1978년에는 국제퇴계학회(國際退溪學會)가 설립되어 지금까지 15차례에 걸쳐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러시아 등지에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한국사에서 한 개인에 대해 국내외적으로 이만한 관심이 기울여 진 것은 그 예가 드물며 앞으로도 희소할 것으로 보인다.6)가히 한국의 문화적 영웅이라 할 만하다.

      • KCI등재

        과학기술 시각주의에서 비인간의 재현: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 연구를 중심으로

        이재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4

        과학기술에서 시각 이미지는 과학적 실재성의 진리 주장을 보증해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과학기술 시각주의는 과학기술 지식의 구성에서 시각 이미지의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고자 하는 돈 아이디의 생각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아이디의 과학기술 시각주의를 브뤼노 라투르의 관점과 비교하고, 이러한 시각주의가 인간적인 것을 로봇에 재현하려는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과학기술연구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스탠포드 연구소의 로봇 <쉐이키>는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찾기위해 인간의 두뇌 기능을 로봇에게 구현하고자 했으며, 가토 이치로의 <와봇> 은 인간 신체 구조 및 기능을 이족보행 로봇에게서 실현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은 비인간에게서 인간적인 것을 번역해내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종의 인간-비인간 혼종 양상을 낳는 계기가 된다. Scientific visual imag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guarantee the truth of scientific reality. The techno-scientific visualism supports Don Ihde's idea that critically interpret the place of visual images in the composition of techno-scientific knowledge. The article compares Ihde's scientific visualism with B. Latour's stance and analyzes robotic researches which represented the human into robots in the U.S. and Japan in 1970s. The Stanford Research Institute's robot researches embodied human intelligence in Shakey the robot. Shakey the robot which could move with wheels represented visual information process of human brain by AI programing based on the Physical Symbol System Hypothesis, GOFAI. Japanese medical engineer Ichiro's researches represented an ideal image of human body and its function with his WABOT series. But his WABOT could represent just aggregation of human functions not the integrity of human. Their researches for a representation of human on the robot demonstrated an hybrid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process of the translation of the human into non-hu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