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PS를 이용한 동의캠퍼스 음성안내시스템의 개발

        백성헌;김재명;안미애;김진일 東義大學校産業技術開發硏究所 2008 産業技術硏究誌 Vol.22 No.-

        본 논문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의대학교 캠퍼스 음성안내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위치정보는 GPS에서 사용 되는 WGS-84 (World Geodetic System, 1984) 좌표계를 좌표번환 없이 이용하여 지도를 제작하고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이용된 GPS 수신기모델은 BU-303이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좌표 값, 이동경로 표시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건물의 특정범위에 진입하게 되면 음성안내를 시작한다. 본 안내시스템의 개발 결과는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에 적용해 보았으며,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스마트폰 블랙박스 설계 및 구현

        황현정;이호섭;전대현;김동열;김진일 東義大學校産業技術開發硏究所 2012 産業技術硏究誌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각종 센서를 통해 교통사고 현장의 상황을 자동으로 저장,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웹 캠 형식의 블랙박스 기능을 탈피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한 스마트 폰이라는 장점을 활용해 차량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자전거에도 모두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고발생시 사전에 등록한 번호로 사고위치를 SMS 문자로 전송하여 사고 상황을 노출하도록 설계되었다.

      • KCI등재

        대학교의 정보공개 실태에 대한 검토: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사례를 중심으로

        신관우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4 공공정책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지위를 갖는 대학교가 행하는 정보공개 처리실태에 대한 위법 또는 부당한 재결 사례의 검토를 통해 국민의 알권리 보장과 공공기관 운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정보공개와 행정심판 제도를 고찰하고, 중앙행정심판위원회가 대학교 정보공개 처분에 대하여 위법 또는 부당성을 인정한 재결례의 현황을살펴본 후, 대학교 정보공개 관련 사례를 검토하였다. 대학교는 정보공개 청구를 받으면 법정절차에 따라 공개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고, 이에 대하여 불복하는 자는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청구하여 다툴 수 있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2023년도에 대학교 정보공개처분 사건 17건에 대하여 위법 또는 부당성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재결 이유를 검토한 바에 따르면, 대학교 정보공개 처분의 법정 처리 의무 부작위, 정보공개결정 형식의 민원처리종결, 임의적 정보공개 종결통지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검토 내용을 통해도출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공개법을 불이행한 대학교및 정보공개 담당자의 징계 처분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부장관은 대학교의 위법한 정보공개 업무집행에 대한 감독권 행사를 통해규범이 요구하는 적법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보공개법위반에 따른 인용 재결례에 대하여 대학교 정보공개 담당자의 교육강화를 통해 정보공개 법정 절차를 이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illegal or unfair rulings on information disclosure by universities and makes recommendations to ensure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ensure transparency in the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we will examine information disclosure and administrative judgment systems, examine the status of rulings in which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ttee has recognized the illegality or unfairness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ispositions, and review cases related to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The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review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ciplinary action against universities and information disclosure officers who fail to comply with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must be strengthened. Additionally, the Minister of Education needs to ensure the legality required by the standards by exercising supervisory authority over universities’ illegal information disclosure practices. In addition, conditions must be created to implement the legal procedures for information disclosure by strengthening the training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personnel in response to citations and re-admissions due to violation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관 및 공직관에 관한 조사 연구

        정명영 ( Myong Young Jeong ),이강웅 ( Kang Ung Lee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4 공공정책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들이 한국사회와 공직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한 것이다. 대학생들의 사회관과 공직관이 개인적 인식 차원에 머물지 않고 공감대가 형성되어 외부로 표출될 경우에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한 수준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소위 정보화 사회에서 스마트몹스(Smart Mobs)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학생은 미래에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담당할 세대인 만큼 이들의 인식체계는 나름대로 의미와 중요성을 갖는다고 하겠다. 대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먼저 대학생들의 사회관을 보면, 한국사회의 준법수준을 비교적 낮게 평가하였으며 특히 우리사회의 부정부패문제는 심각한 것으로 바라보았다. 다만, 한국의 위상이 앞으로 나아질 것으로 예견하고 또 각종 선거의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향을 보인 것은 바람직한 모습이라 하겠다. 다만, 시민단체 등에 직접 참여할 의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생들의 공직관을 보면, 정치권의 역할에 대해 매우 낮게 평가하였고 따라서 우리사회에서 개혁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꼽았다. 그리고 공직사회가 국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보았지만, 공직의 부정부패에 대해서는 부정적 견해가 강하였다. 그러나 공직을 상당히 매력적인 직업으로 평가하였고 자신의 직업으로의 선호도 역시 높았지만 그 이유는 신분보장이라는 안전성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앞으로 정부가 중요한 정책의 결정에 있어서는 국민의 직접 투표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대학 존재의 중심체가 되는 대학생들의 사회관과 공직관은 나름대로 큰 의미를 가지며 나아가 이것은 대학 교육에 있어서 현실적인 방향성 설정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understanding of awareness of today`s college students on the public sector and Korean society. Which may influence given to the society if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social view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in the dimension of personal realization, empathy is formed,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will be a considerable level. In the so-called information society, since these located in the heart of Sumatomopusu(Smart Mobs). And it can be said that college students, to just a generation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nd society of the future, recognition of these systems, to have meaning and importance in its own way. I conducted a survey on 608 college students. First, looking at their perspective on the society, the result came out relatively low, it is regarded as a serious problem of corruption of our society in particular. However, it can be said that also, foresaw that the status of South Korea will be better future, showed a willingne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voting of the various elections and desirable appeara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directly in civic organizations is low. Then, looking at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of college students, listed as major area that needs reform in our society. Then, I saw the effect that public sector on the life of people is large, but the negative perception was strong for corruption of public office. However, to evaluate the profession quite attractive public office, evaluation of their work was also high, but the reason was answered that because of the safety of guarantee of status. In the future, in determining the important policy, will need to be mindful that you have pointed out direct vote of the people the need for government. This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social view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central body of the presence of the university, have a great influence and will be used to set the real guidelines in university education.

      • 大學生의 政治 및 行政에 관한 認識分析

        이강웅 東義大學校 法政硏究所 1999 統一論叢 Vol.12 No.-

        특정 집단이 사회문제에 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특히 주관적인 가치판단을 요하는 문제에서는 더 그러하며 더하여 평가자 자신에게 직접 관련된 일이 아니거나 경험 밖의 사항에 대해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두드러 질수 있다.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정치 및 행정에 관한 문제는 이 경우에 포함될 수도 있겠으나 최근의 사회적 흐름에 있어서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단순히 인구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그 역할활동에 있어서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고 이 중 대학생 계층이 이를 주도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대학생들이 사회전반에 걸쳐 가지고 있는 인식체계는 향후 사회발전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대학생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현상에 관해서 5개 문항을 제시하였는 바, 우리 사회의 준법성 수준을 상당히 낮게 평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긍정적 평가는 6.5%에 불과하고 낮은편이다 52.0%와 매우 낮다가 7.9%로 보통이다 33.3% 보다 훨씬 많은 비율 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평가도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즉, 매우 잘 한다는 평가는 1.1%에 불과하고 비교적 잘 한다가 20.6%인 반면에 별로 못한다가 60.3%, 매우 못한다가 11.1%로 다수를 점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강도 높은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정치권을 압도적으로 1순위로 꼽았고 두 번째 공직사회, 세 번째로 교육계를 지목하였다. 향후 세계무대에서 한국의 위상변화에 대해 긍정적 전망이 21.2%로 부정적 전망 18.3% 보다 약간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지금과 비슷할 것이다가 54.4%로 과반수를 넘는 만큼, 한국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치가 그리 높지 않다고 하겠다. 두 번째로 6개 문항을 통하여 정치문제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았다. 정치문제에 관한 관심도에 있어서 23.8%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고 26.2%가 관심이 없다는 비율이므로 관심이 없다는 쪽이 약간 우세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저 그렇다는 중간이 49.8%로 응답자의 반에 해당되는 만큼, 대학생의 정치문제에 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 아니라고 하겠다. 그리고 사회 및 국가의 발전에 있어서 정치권이 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해 대학생들이 어떤 점수를 주고 있는지 살펴보았는 바, 사회 비판의식이 강한 세대의 특성이 그대로 드러났다. 즉 긍정적인 평가는 3.4%에 불과하였고 부정적인 평가가 72.1%에 달하였다. 대학생들은 국가의 정책방향이 지역의 이익에 우선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점과 더불어 정치문제에 관해 관심이 적은 만큼, 지방자치와 관련하여 시의원 그리고 구청장 및 구의원의 활동상에 대해 거의 모르거나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앞으로 실시될 각종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할 의향이 매우 높은것으로 나타난 것은 최근 각종 선거에서 투표율이 지나치게 저조한 현실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즉, 투표에 꼭 참여할 것이다 21.1%, 가능한 한 참여하겠다 53.3%로 참여쪽이 74.4%를 점하였다. 세번째로 행정현실에 관해서 6개 문항올 제시하였다. 먼저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를 사회의 전반적인 부패수준과 비교케 하였는 바, 훨씬 더 심하다가 30.6%, 조금 더 심하다가 31.4%로 높게 나타났고 비슷하다가 29.2%인 반면에 덜하다는 평가는 미미하였다. 이를 통하여 볼 때, 대학생들의 공직사회 부정부패를 심각한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공무원에게 가장 중요한 자질에 있어서도 정직 청렴성이 50.9%로 가장 높았고 친절 봉사정신이 22.9%, 해당분야의 전문지식은 11.5%로 세 번째순이었다. 정부가 정책과정에 있어서 주민의 요구나 기대를 파악하고 수용하는데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평가와 더불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도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견해가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이 공직(공무원)을 비교적 좋은 직업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아주 좋은 직업이다 5.2%, 비교적 좋은 직업이다가 62.9%에 달하고 있고 부정적 평가는 2.7%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최근 공무원 채용시험에 있어서 상하위직을 막론하고 합격자의 대부분이 대학학력자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하겠다. 이상의 조사에서 대학생 집단내의 특성 즉 학년별, 성별, 전공별로 견해차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두드러진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이는 대학생들의 견해가 대동소이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한마디로 대학생들이 정치 및 행정현실에 대해서 상당히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인식수준이 사회 일반이 느끼는 바와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한편으로 대학생들이 현실사회에 대하여 비판의식이 강하고 특히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긍정적이기 보다는 무조건적으로 부정적 견해를 표방할 가능성이 있음도 배제할 수 없겠다. 그러나 이러한 조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라보는 사회, 평가하는 사회의 좌표를 알 수 있는 만큼, 사회 진출을 앞 둔 대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현실을 직시하게 하고 또한 역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조직 적정규모 분석

        차지철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인력운영 효율성을 중심으로 대학조직 인력의 적정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 구조조정 정책, 대학조직인력 현황, 대학 인력운영 효율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64개 4년제 대학이며, 2021년 기준 대학정보공시자료 중전임교원 수, 직원 수, 신입생 수, 재학생 수, 전임교원 담당학점수, 총교육비를 분석변수로 활용하였다.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최소화 모형을 적용한 DEA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 인력운영 효율성 분석결과 164개 대학 중 효율적인 대학은 23.8%, 비효율대학은 76.2%로 나타났으며, 비효율대학으로 분류된 125개 대학의 인력 감축규모는 교원 7,897명, 직원5,889명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조직 인력 적정규모화를 위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내 중장기 인력운영계획을 포함할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적정규모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장용언 ( Jang¸ Yong E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2년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75명으로 이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기술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Participants analyzed data of 375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ver.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Second,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Third, in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were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skill of college students.

      • 도시유역에서의 유출해석을 위한 시험유역의 개발

        서규우,송일준,구본석,김남길 동의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誌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experiment catchment for hydrological monitoring at Urban Watershed. The location of test basin is Dong-Eui University, Gaya Dong, Pusan, Karea. For the collecting of basic hydrologic data of experiment catchment, topography inquiry and survey was conducted, and sub-basins data, such as areas of test basin and impervious layer, we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at result, a drainage pattern was drawn up and for the collection of hydrological data such as the rainfall data and the water-level data-EMS installed at Dong-Eui Univ. in 1998, and 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Dong-Eui Univ) installed at the point of the end discharge.

      • Ti 및 Ti합금의 전자빔용접성

        윤종원,이채훈 동의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8 産業技術硏究誌 Vol.22 No.-

        Electron beam weldability was investigated for 1mm thick cold rolled sheets of commercially pure grade titaaium and Ti-6A1-4V alloy. Microstructure of weld metal, the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was observed using optical microscope.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across the welds and the transverse tensile test was carried out. Hydroformability test was also carried out for the butt welded coupons of commercially pure grade titanium. For the electron beam welded C • P Ti, the average grain size was 15~25 ㎛ at equiaxed a phase for base metal, 80~200 ㎛ at coarsc equiaxed a phase for weld metal and 40~120 ㎛ at annealed and enlarged grain for the HAZ. The Vickers hardness of C • P Ti was 180~200Hv for base metal, and 160~180Hv for the weld metal and the HAZ. For the electron beam welded Ti-6A1-4V alloy, the Vickers hardness was 360Hv for the base metal, and 400-425Hv for the weld metal and the HAZ. All die failure occurred at the base metal, when the transverse weld tensile test was carried out for both electron beam welded C • P Ti and Ti-6A1-4V alloy. The formability of electron beam welded C • P Ti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C • P Ti base metal.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

        차지철 ( Cha¸ Jicheol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 및 A지방사립대학 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지방대학의 학업중단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학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신입생 경쟁률, 기회균형 선발학생 입학비율은 부적 영향요인, 휴학률, 특성화고 출신입학비율은 정적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영향요인의 상반된 영향력은 대학생 학업중단 방안 모색을 위한 대학의 전략별 방향성을 의미한다. A지방사립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입학연령, 성별, 재적기간, GPA, 교내장학금, 입학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관적인 정책이 아닌, 학생 맞춤형 정책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지방대학의 학생 학업중단 대응 방안으로 첫째, 대학이탈 위험성을 지닌 학생들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 고려, 둘째, 기숙형 대학프로그램(RC) 도입 고려, 셋째, 대학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방안 발굴, 넷째, 학업중단 원인 파악을 위한 추적체계 확립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dropout at Korea universities and A local private university, and to find improvements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ve dropout at local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n dropout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ropout at Korea universities, the admission rate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affirmation action were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ratio of stopout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positive correlation. Next,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dropout at A local private university, various factors such as age of admission, gender, GPA, scholarship, and admiss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 First, there need a preemptiv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ho are at risk of dropou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doption of the boarding college program(RC). Third,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should be discovered to raise awareness of universities. Lastly, a track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find out the cause of drop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