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종립대학 교양교과를 통한 대학생 포교 방안 연구 - 동국대학교 <불교와 인간> 강좌를 중심으로 -

        이석환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6 No.-

        본 연구는 종교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사찰에서 진행되는 전통적인 포교방식과 차별화된 종립대학의 교양강의를 통해 대학생 포교의 실현가능성과 확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동국대학교의 교양필수 강의인 <불교와 인간>을 통해 대학생 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종교계 종립대학에서는 대부분 필수 교양과목으로 각 종교의 역사와 철학을 교육하고 있었다. 불교계 4년제 종립대학들도 졸업필수 요건으로 불교 관련 이론과 수행 강의를 교양필수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소규모 대학은 운영상의 문제로 교양 선택 과목의 개설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 가운데 동국대학교는 보편적 종교성과 지식을 함양하는 교육을 진행하여 불교에 대한 폭넓은 접근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국대학교의 교양필수 과목인 <불교와 인간>은 『불교입문』 교재를 중심으로 강의통일안을 마련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교육의 획일화, 교수자 간 의견조율의 미비, 강의교안의 부실, 주교재의 내용부실과 저작권 시비 등의 문제를 향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강의 편차를 줄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강좌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이웃종교인과 학생들에 대한 배려, 역사문화를 바탕으로 한 강의 당위성 확보,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불교윤리의 확립, 강의자를 위한 재교육과 강의경험 공유, 강의교재와 교안의 개선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포교전략으로서 강의 성격과 목표 구체화, 수강인원 축소, 학교와 종단의 관심, 불교 관련 교양과목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불교와 인간> 강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학생과 강사의 강의만족도조사, 강의개선방안 협의, 강의표준화에 따른 의견조사가 진행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으나, 교양필수 과목을 통해 불교의 대중화와 포교를 위한 시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ore that the feasibility and scalability of Buddhism propagation for undergraduates through liberal education classes at the Buddhist religious university. In particular, through <Buddhism and Human>, a liberal arts class at Dongguk University, the study was focused on educational methods for revitalizing university undergraduates' propaganda. In most religious universities in Korea,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each religion were taught as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s. Buddhist universities are also operating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classes as a mandatory requirement for graduation. Especially, Dongguk University has a broad approach to Buddhism through education that cultivates universal religiousness and knowledge. Dongguk University's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 <Buddhism and Human> has been operated with a lecture unification plan centered on Introduction to Buddhism, but several sup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 sugges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consideration for other religions and students, securing the legitimacy of lectures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establishing Buddhist ethics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re-education and sharing of lecture experiences for lecturers, and improvement of lecture materials and teaching plans. As a missionary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he nature and goals of the lectures are specified, the number of students is reduced, the interest of schools and religious groups, and expanding the liberal arts related to Buddhis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was conducted centered on <Buddhism and Human> at Dongguk University Seoul Campus, and that no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 and instructor's satisfaction, discussions on lecture improvement measures, and lecture standardiz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beginning for the popularization and propagation of Buddhism through compulsory subjects.

      • 불교종립대학의 선 수행 교양강좌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 ‘자아와 명상’ 교과의 핵심역량 교육을 중심으로

        안효기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6 No.-

        동국대의 대표적인 선 수행 교양강좌는 자아와 명상 교과이다. 자아와 명상은 동국대의 건학이념 구현을 위한 대표적인 종교교양 교과이며, 또한 인성교육 교과이기도 하다. 현재 동국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학들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역량 기반 교육은 기존의 지식 중심 교육과 인재양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아와 명상 교과는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정책에 따라 학생들의 대인관계 역량과 자기개발 및 관리 역량과 연계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의 관점에서 자아와 명상 교과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선방안으로 SEE Learning과 감성지능 이론을 참고하여 자아와 명상 교과가 어떻게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과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논의하였다. 사띠빠타나의 내적 관찰과 사띠빠타나의 영향을 받은 감성지능 이론과 SEE Learning의 자기인식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인성과 핵심역량 함양의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본고는 사띠빠타나 수행이 학생들의 대인관계 역량과 자기개발 및 관리 역량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논의하였고, 이런 내용을 교재 또는 강의 내용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학생들이 선 수행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typical liberal arts lecture of Seon cultivation at Dongguk University is the subject of Self & Meditation (자아와 명상). Self & Meditation is a representative religious liberal arts subject for the realization of Dongguk University's founding philosophy, and is also a character education subject. Currently, most universities, including Dongguk University, advocate core competencies‐bas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policy. Competencies‐based education is positioned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knowledge‐based education and talent nurturing problems. The subject of Self & Meditation is linked to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self‐development & management’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competencies‐based education policy. This study tried to find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lf & Meditation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ies‐based education. As an improvement measure, the rationale for how the subject of Self & Meditation can b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was discussed by referring to social, emotional & ethical (SEE) learning and an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observation of satipatthāna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influenced by satipatthāna and the self‐awareness of SEE Learning have the same function, and they play a key role in cultivating character and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discussed the fact that satipatthāna performance lead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self‐development & management’ competencies, and presented the necessity of actively introducing these contents into textbooks or lecture contents so that students can re‐aware the importance of Seon cultivation.

      • 포스트 코로나, 불교 포교의 변환에 대한 소고

        신명희(정운)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2020년 2월부터 코로나가 발병하였다. 금방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코로나19 전염증은 끝나지 않고, 앞으로 장기간 지속될 거라고본다. 근자에 경제 ․ 사회 ․ 문화뿐만 아니라 종교계까지 코로나 이후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가 관건이다. 앞으로도 이 코로나19가잠잠해져도 또 다른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사회 전반적으로 비대면 사회가 장기화되자, 개인적으로는 불안과 블루 우울증이만연되고, 경제 또한 계속 침체되어 가고 있다. 이에 코로나19 전염증의 무거운 공기를 타개할 불교적 변환점을 모색해야 한다. 현 불교계는 신도수가 줄고 있고, 출가자 또한 감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시점에 코로나 전염증이 발병해 사찰들이 경제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사찰들 중에는 여러 곳에서(?)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고, 스님들도 현시대를 타개해나갈 새로운 포교 매체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물질적인 대체 방법만이 아닌 현대인의 코드에 맞는 불교적인 행법을 개발해야 한다. 더 나아가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하고 대승교도들이 행했던 중생을 향한 염원을 갖고 불교 포교의 미래 지향해 나가야 한다. Corona took place from February 2020. The COVID-19 epidemic, regarding which it had been thought that it will disappear soon, did not end. And it is seen that it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period in the future. These days, how to prepare for after Corona on the part of not only the economy, the society, and the culture, but, also, the religious circle is a pivotal point. Even if this COVID-19 abates in the future, too, the possibility of yet another virus taking place is big. As the untact society has become longterm in the overall society, individually, the anxiety and the blue depression have been getting rampant, and the economy, also, has been continuing to get stagnant. As such, a Buddhist transformation point that will break through the heavy air of the COVID-19 epidemic must be sought after. Regarding the Buddhist circle at the present, the number of the believers has been getting reduced. And it is the reality in which the home leavers have, also, been reduced. At such a time point, because the Corona epidemic has occurred, the Buddhist temples have been receiving the economic blows. Among the Buddhist temples, the self-saving measures have been deliber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s. And the Buddhist monks, too, have been preparing a new propagation medium for overcoming the present era. But, a Buddhist practice method that fits the chord of the modern people and not a material replacement method must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Buddha must save the mankind. And, with a wish that is directed toward the mankind, which had been had by the great monks, the future of the propagation of the Buddhism must be pursued.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종교의 사회적 역할

        김형록(인경)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본고는 코로나 사태 속에서 종교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해서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 대유행에서 비롯된 사회적인 거리두기로 말미암아 대면적 활동에 기반한 종교활동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위축되었다. 코로나 불안뿐만 아니라인공지능이 중심이 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발생할 인간소외와 경제적 스트레스 문제 등으로 종교집단은 기존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적인 역할에 대해서 고민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 본고는 다음과 같은 측면들을 고찰한다. 첫째로 전통적인 종교의 역할에 대해서 기독교의 정치개입과 불교의 사회참여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동선’의 사회적 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두 번째는 고도기술 사회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비대면 현상은계속 유지될 것이며, 인간은 사물과 융합되어서 개별화 과정을 겪게 될 것이다. 개별화된 인간은 개방/통제와 소통/단절의 갈등경험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셋째, 이런 시기에 집단의례 중심의 ‘기도형’ 종교보다는 개인적인 자유로움을 추구하면서 내적 깨달음을 중시하는‘구도형’ 종교가 미래 종교의 사회적 참여 양식을 더 잘 설명한다고 본다. 넷째는 지난 10년 동안의 힐링 문화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코로나 이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인간의 고통 문제를 해결하는데 새로운 종교의 사회적인 역할로서 명상과 힐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social role of religion in the corona crisi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As a result of the social distancing arising from the coronavirus pandemic, religious activities based on large-scale activities have shrunk to a very serious level. Not only corona anxiety but also human alienation and economic stress that will occu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center, the religious group is contemplating a new social rol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siders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role of traditional religion is critically reviewed by Christianity's political intervention and Buddhism'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sensus on the ‘common good’. Secon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 high-tech society, the non-face-to-face phenomenon will continue to be maintained, and humans will undergo a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by fusion with objects. Individualized humans will repeat the conflicting experiences of openness/ control and communication/disconnection. Third, in this period, rather than the “prayer-type” religion centered on group rituals, the “constructive” religion that emphasizes inner enlightenment while pursuing individual freedom is considered to better explain the social participation style of future religions. Fourth, it reflects on the healing culture of the past 10 year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and healing as a social role of a new religion in resolving human sufferi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Corona.

      • 불교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고찰 : 불교 포교의 관점에서 본 문화인류학

        최윤희(효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불교포교사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을하는 사람들이다. 포교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포교 대상의 문화와 특성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 문화는 사람들이 정신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사상, 물질을 통틀어서 말하는것이다. 포교 연구는 바로 현지조사를 통해 사람들로부터 답을 찾아내는 일이다. 현지조사는 낯선 장소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부터 시작된다. 포교사가 포교를 위해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친근감 즉 라포(rapport)를 조성하는 일이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라포를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현지인들의 언어를 습득하고 그들의 관습과 예절을 우선적으로 익힌다. 그런 후에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과 해석을 한다.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는 추구하는 지향점과 방법론에서 유사한점이 많다. 포교사의 목표는 붓다가 설하신 고(苦)과 고로부터의 해방의 가르침을 널리 홍포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고 이익 되게 하는 것이며, 문화인류학자의 목표는 문화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배우고 익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툼을 줄여 화합하게하는 것이다. 본 소고의 목적은 문화인류학자들이 현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민족지 연구방법들을 포교사가 어떻게 포교에 활용할까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포교일선에서 이러한 방법들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포교와 문화인류학의 개념과 역사를 먼저 짚어보고,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 방법을제시하고 난 후에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지적 연구방법이 포교에 적극 활용되어야 함을 고찰한다. A buddhist missionary is a person who works to conve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o contemporaries. So the missionary should study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the miss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Culture is all about the institutions, ideas, and materials that people have created through mental action. Missionary work resear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from people through field surveys. Field surveys begin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in an unfamiliar place.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for the mis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reate rapport. Cultural anthropologists learn the language of the locals in advance and learn their customs and manners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the rapport. After that, data i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arried out. The missionaries and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pursuits and methodologies. The goal of the missionary is to expose the Buddha's teachings of the suffering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and to make people happy and profitable. The goal of cultural anthropologists is to learn different cultures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erspective and respect other culture, reduce contention and harmoniz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anthropologists use the research methods that are being used locally by the missionary for mission work. The purpose is to study how to approach cultural anthropologically in order to broade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ow to use these methods on the frontline of mission.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history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y first, and after presen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s for missionary wor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ist to examine how anthropological methodology can be used in missionary work.

      • KCI등재후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현대 명상의 실용성

        최현성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2 宗學硏究 Vol.8 No.-

        전통적으로 명상은 다양한 종교와 문화의 전통에서 형성되어 발전해 왔으며 종교적․영적인 가치가 주된 것이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실용적인 측면이 중요하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증대되었으며 미래 사회로 갈수록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현대 명상은 전통 명상에서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실용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그로 인해 현대인에게 명상을 보급하고 대중화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마음챙김 명상이 있으며 자비 명상이 보완하는 역할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현대 명상의 신뢰성과 실용성이 강화되었다. 마음챙김 명상은 먼저 의학계와 심리학계에서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명상의 효과가 검증되면서 여러 기업에서도 받아들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활용하게 되기 시작했다. 국내외 기업에서 명상을 도입해 직원들의 정신건강을 개선하고 업무능력을 계발하는데 효과를 얻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미래 사회에서도 명상의 실용성이 더욱 증대되고,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가 직접 명상을 함으로써 보다 진전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불교환경의 현황과 대응

        이병인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이 글은 코로나19 발생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불교환경의현황과 대응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다.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많은 사람들을 죽고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경제와 삶을 정지시키는 비극으로 생명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봉쇄 조치로 인해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을증가시키며 빈곤과 배고픔을 증가시켰다. 이렇게 많은 사람 및 번영과 관련된 지속가능한 발전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지구 관련 지속가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2020년의 연간 CO2 배출량은 작년보다 4~7퍼센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기와 물은 깨끗해 졌으며 많은 곳에서 자연의 복원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상이한 결과는발전과 번영을 달성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구의 건강에 위협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으며, 코로나 대유행 이후에도 지구전체의 공존과 상생을 위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한국불교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특성화하는방안으로서 포스트 코로나시대 한국불교환경의 현황과 특성으로서불교의 수승한 친환경적 가르침과 생활양식 등 종교유산과 함께 사찰림 등 생태환경이 우수한 자연유산과 훌륭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복합유산(Complex Heritage)적 특성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이제 한국불교는 불교의 친환경적 가르침과 생활양식, 그리고, 역대 조사들의 친환경적 전통을 오늘에 되살리는 청정성 회복운동(Clean Restore Movement)이 시대적으로 일어나야 하고, 더불어 근원적으로 인간과 자연의 인과관계 및 공생관계를 구현하는 환경에 대한깨달음과 한국불교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불교의 주체성(Identity)을 살림으로서 한국불교가 21세기 국가적, 지구적 환경보존및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ponse and change of buddhist environment in the post-Corona period after the outbreak of Corona Virus Disease in 2019(COVID-19). Since the pandemic, many people have died and many parts of the world have experienced a direct impact on life and health with the tragedy of stopping both economy and people's life. Various containment measures have slowed down the economic growth, increased unemployment, poverty and hunger. While this phenomenon is damaging to such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relates to human prosperity, it showed positive impacts on overall global sustainability. Annual CO2 emissions in 2020 are expected to be 4-7 percent lower than last year. The air and water became clean and nature's restoration was observed in many places. These different results confirm that the current method of achieving human development and prosperity poses a great threat to the Earth's health, therefore, indicate the need of efforts to ensure global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that sense, this paper addresses the merits of Korean buddhism in post COVID-19 era. The virtue of Korean buddhist environment lies in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itself is considered to be a complex heritage, encompassing the religious inherited heritage such as the eco-friendly teaching and lifestyle of buddhism, as well as the role of preserving the excellent and natural cultural heritage such as temple forests. Now, Korean Buddhism should move onto the era of clean restoration movement that brings back the eco-friendly tradition of buddhism's eco-friendly teaching and lifestyle. Moreover, Korean buddhism should actively contribute to overall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ustainability in the 21st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environment that embodies human-nature's symbiosis and causality, and utiliz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 경전 독송(讀誦) 수행의 교학적 함의에 관한 일고

        안유숙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3 No.-

        이 글은 경전 독송(讀誦) 수행의 교학적 함의에 관한 고찰이다. 수행의 관점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받아 지니기 위해 행하는 경전독송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불자들은 그저 불보살님의 위신력에의지하고 가피를 얻기 위해 독송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연유 때문인지 선행연구물은 독송의 영험담을 중심으로 한 연구물들이 다수이다. 본 연구는 경전 독송 수행의 본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불교에서 대승블교에 이르기까지 경전 독송에 대한 교학적 전거를 찾고, 독송 수행의 목적과 현대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함과 니까야를 비교 ․ 대조하여, ‘독송하다’는 산스크리트어 √dhṛ에서 파생된 동사 ‘dhārehi’에서 비롯된 용어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 단어는 ‘~들고 지니다, ~를 간직하다, ~의미를 명심하다, ~을 호지하다’의 명령형으로 해석되며, ‘受持 ․ 諷 ․ 誦 ․ 讀 ․ 誦’ 으로 한역되기도 한다. 교학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아비달마에서는 십이부경을 수지 ․ 독송하고 사유 ․ 관찰하며, 청문한 교법에 대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생각하기 때문에 문혜(聞慧)가 발생한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대승경전에서 사경(寫經)과 경(經)에 대한 공양을 추가하며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근본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늘날관음신앙의 근거가 된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 천수경, 혹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수지 독송할 때에도 경에 담긴 본래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며 독송 수행해야 함이 마땅하다고 사료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Buddhist doctrine implications of scripture reading (讀誦) practice. The practice of reading the scriptures is a preliminary step of taking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of the Buddha's teachings in order to move on the path of liberation. However, today, the scripture reading practice tends to be accepted as a ritual act that is performed for penance or offering blessings. Also, most Buddhists tend to scripture reading or chanting just to get the Gapi (加被) by relying on the Bodhisattva's prestige. Perhaps due to such reasons,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hat focus on the miracle of scripture read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the Buddhist doctrine basis for the scripture reading practice from early Buddhism to the Mahāyāna Buddhism, and to confirm the purpose and modern significance of the reading to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istorted scripture reading. First, on the basis of contrastive analysis data, Pāli Canon and Chinese Agamas, the conclusion as follows meaning. The etymology of chanting is interpreted as the imperative ‘dhārehi’, derived from the Sanskrit √dhṛ, is interpreted as the imperative of ‘to bear in mind’, ‘recollect’, ‘remember’.And this word is translated as a 受持 ․ 諷 ․ 誦 ․ 讀 ․ 誦. These words have been confirmed by CBETA.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particular focus on 受持 and 讀誦 in order to grasp the viewpoints of Abhidharma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on scripture reading practice. Abhidharma begins to establish a Buddhist doctrinal system of Dharma. Reciting, observing, and thinking about 12 types of sūtra causes 聞慧.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Mahāyāna Buddhism attempted to restore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Buddha's teachings by transcription and offerings for Sūtra. Lastly, it is deemed that it is deserved to properly understand and to do practic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s even when reading the scriptures that have been the basis of today's Korean Buddhist faith.

      • 다라니기도 및 수행의 실용적 가치 -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

        김동숙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3 No.-

        우리나라에서는 다라니기도 즉 주력신앙은 매우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체계적인 수행체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다라니수행을 지도해줄 선지식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라니 수행은출가자 재가자가 모두 즐겨하는 수행 중에 하나이다. 다라니수행에관한 성취도도 매우 높은 편으로, 선방의 수좌스님들 가운데 일부는다라니수행과 참선을 병행하는 이들도 많다. 다라니기도 혹은 주력신앙은 정토신앙과 마찬가지로 타력신앙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정토의 타력신앙과는 약간은 성질이 다른 부분이 있다. 정토수행에서는 타방정토와 자성미타 유심정토를 동시에 설한다. 하지만 다라니 수행에서는 타방정토라는 설정은 없다. 오직 다라니 수행을 통한 삼매를강조한다. 특히 선종에서 정혜쌍수를 강조하듯이, 표현은 약간 다르지만 다라니 수행에서도 정혜의 다른 표현인 염혜(念慧)쌍수를 강조한다. 무슨 기도이든지 가장 중요한 것은 믿고 행하는 신심이다. 신심이견고하면 모든 장애를 극복 할 수 있고, 업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점이바로 다라니기도 및 수행법의 실용적 가치라고 여긴다. In Korea, the main faith, or Darani, is very universal, but there is no systematic performance system, and there is no prior knowledge to guide Darani performance., Nevertheless, the Darani practice is one of the activities that the in-house members enjoy., The achievement of Darani performance is very high,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parallel to Darani performance and jinseon in the line., Therefore, it is a reality and fact that the story about the performance of Darani is very universally talked about, Darani or the main faith is classified as a tacit faith, just like the religion of the land., However, there is a part that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ther belief of the land, and on the other hand, it also describes the other land and the magnetic mita oil core soil at the same time., But there is no other settlement in the Darani practice. Only the Sammae through the Darani practice is emphasized.,Especially, as the emphasis on Jeonghye-binds in Zenjong emphasizes Yeomhye() twins, which are different in expression but different in Darani performa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ny prayer is the faith that is believed and done; if the faith is strong, it can overcome all obstacles and change the business., This is the real value of Darani prayer and practice.

      • 일상생활속의 염불신행(念佛信行)

        정광균(법상)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3 No.-

        본 논문은 “일상생활속의 염불신행”이라는 논제 하에 여러 경론에언급되어 있는 내용을 추적하여 근거로 삼아 논해보았다. 그 내용을다시 간략히 정리하자면, 첫째로 염불신행의 근기론과 수행론에서 여러 경론에 언급된 근기론에서 수법행과 수신행, 사실단(四悉檀)과 삼취(三聚)를 검토해서 정업(淨業)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왕생신행의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해서는 관경을 통해서 다양한 왕생신행을 검토하여 염불신행의 다양성과 포용적인 염불신행을 고찰하였다. 셋째로 일상생활속의 염불수행은 불교의 중요한 신행인 오념문(五念門) 을 비롯하여 오회(五悔)와 10대 행원(行願)을 포괄하여 포용하는 염불이 참회방법과 연관된 것임을 고찰해 보았다. 그러면서 일상생활 속의 염불신행이 바로 가장 용이한 신행의 지침임을 검토해 보았다. This paper traces and discusses the references mentioned in the dharma and shastras under the topic “Buddhānusmṛti's faith practice in daily life”. To recap it briefly, first of all, in the theory of ability and practice of buddhist chanting, in the theory of ability mentioned in the Dharma and shastras,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the practice of faith, four truth standards. After reviewing the three groups and the three groups, we looked at the clean acts. Second, the diversity and inclusiveness of rebirth in the other world faith and practice were reviewed through GwanMuryangsuSūtra , to examine the diversity of Rebirth faith and practice. Third, buddha chanting faith and practice in everyday life includes the five kinds of contrition and ten big action and vow, including five types of mindfulness, which are important faith and practice of Buddhism. The comprehensive inclusion of buddha chanting is related to the repentance method. In addition, we examined that buddha chanting faith and practice in daily life is the guideline of the easiest faith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