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原社會問題硏究所와 재일 한인 독립운동

        김경남(Kim, Kyung-nam)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1919년에 설립한 오하라사회문제연구소가 추진한 수집·조사활동이 한인독립운동과 어떠한 연관을 가지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소장기록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식민지적 특징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독립운동연구와 관련하여 향후 활용방안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하라 연구소는 1919년 노동사회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산업자본가 오하라와 당시 일본제국주의 정책에 반대하던 다카노 등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하였다. 연구소는 일본사회문제연감이나 일본노동연감 등을 만들기 위하여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서 자료를 대량으로 수집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노동단체나 사회단체를 조사하고, 직접 자료를 수집하러 출장 방식을 취하였다. 또한 일본노동당계 인사들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면서 내부자료를 대거 사들여 비밀을 유지해야할 중요한 기록까지 확보하였다. 각 단체들은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연구소는 한인독립운동단체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것만 노동운동단체 60단체, 청년·학생운동 7단체 등으로 총 67단체이지만, 내부 자료보다 유인물, 강령 등을 중심으로 확보하였다. 이 가운데에는 재일조선인단체뿐만 아니라 재조선 단체에 대한 수집활동도 일부 전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한인 민족해방운동 단체에 대한 보다 많은 노동자, 청년, 농민, 여성 조직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오하라사회문제연구소 기록은 한인독립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록의 총체상을 파악하는데 주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오하라연구소 수집 조사의 특징은 운동을 실행하고 있던 당시에 직접 출장방식, 조합조사방식, 주요단체 일괄구매방식을 취하여 운동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독립운동관련 기록을 수집하기 위하여서도 각 단체에 앙케이트 조사를 수행하였다. 오하라연구소 수집위원이었던 후세 다쓰지는 한국 독립운동관련 기록 수집과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후세는 한국 강제병합부터 시작하여 특히 1920년대~30년대에 재일 유학생과 노동단체·농민단체 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일본 제국주의 정책에 반대투쟁을 일본 본토와 조선에서 전개하였다. 이처럼 오하라연구소는 당시 진행되고 있던 한인독립 운동단체에 대한 기록을 목적의식적으로 수집하는 전략을 통해 한국독립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당시의 유인물, 강령, 규약 등이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일본의 노동운동단체의 내부기록을 입수한데 비해 한인독립운동단체의 기록은 유인물 중심으로 수집된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는 오하라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다른 기록을 발굴하고, 메이지대학도서관, 일본조선대학교, 이시마키문화센타(石巻文化センター) 등에 소장되어 있는 후세관련기록을 보충함으로써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인 단체가 소속되어 있던 기업들에 대한 자료수집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기록들을 실마리로 삼아 일본제국과 조선 식민지 사이의 일본과 조선에서 활동하던 각 기관 단체와 인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수집, 활용이 필요하다. 요컨대, 기록물의 총체적인 수집과 분석을 통해, 재일한인독립운동이 일본혁명의 수단이 아니라 한국독립운동과 민족해방운동의 목적의식적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lon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collecting the records rela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oused at the Ohara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cord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easures for the future use of the records in relation to studies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unded in 1919, the Ohara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has collected materials regarding labor issues and social issues, which provide a key clue to identify the overall status of the records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order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its history. At the tim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institute collected materials related to the movement by using the site visit method, combination survey method and bulk purchase method for the materials from the major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he records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clearly shows the actual status of the groups at that time. Fuse Tatsuji (布施辰治), who was a research fellow of the institute and took charge of material collecting, is an important link to the collection of the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strongly protested against Japan’s imperialism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ing in close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groups in Japan, labor organizations, and farmers’ unions in both Japan and Joseon. As the institute established a purposeful collecting strategy for the records on eac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hat were active at that time, their handouts, platform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preserved. Meanwhile, the researchers in charge of material collecti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abor organizations in Japan and this enabled them to collect internal data such as handwritten minutes, members’ lists and notes.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the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shows its limitations as they mainly consist of handout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by collecting the records creat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or those owned by Tatsuji’s family members, along with the records obtained by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collect, and utilize the records on th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at were active in Japan and Joseon at that time, us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oused at the Ohara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s clues. This will help overcome the national viewpoint towar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to open a new horizon for studies o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y of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twofold structure of empire and colony.

      • KCI등재

        『한국독립운동사연구』50집 간행(1987~2015)의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

        박걸순(Park, Geol-s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1

        1987년 개소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그해 8월부터『한국독립운동사연구』를 발행하여 28년 만인 2015년 5월 제50집을 발행하였다. 그간『한국독립운동사연구』에는 모두 214명의 국내외 연구자가 참여하여 550편(부록 60편 포함 61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연 면수는 23,908쪽, 연 발행부수는 54,450부에 달한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수록 논문의 경향성은 한국근현대사의 연구사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주제별 연구는 인물, 일제 침략·식민지 지배정책사, 독립운동단체 순인데, 이들 논문이 전체 수록 논문의 40.8%나 차지하는 것은 학계의 연구경향을 여실히 보여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독도영유권 문제, 해외지역의 독립운동도 꾸준한 연구경향을 보이며,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국민족주의와 역사인식 등 주제가 새롭게 등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국내 지역의 독립운동사와 자료연구가 급속히 활성화되는 것은 발전적 양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운동사의 중요 주제인 3·1운동과 의병·위정척사운동은 급격히 퇴조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는 28년의 역사를 통해 한국근현대사 관련 양대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와 함께 한국근현대사연구를 대표하는 ‘3대 학술지’라 평가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유사 성격을 지닌 일반 학회와는 차별화 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논문집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여, 학계를 선도하는 가장 권위와 공신력을 인정받는 논문집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논문집을 보다 다양하고 일관성 있게 구성해야 한다. In May, 2015, the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of Independence Hall of Korea issued the 50th volume of its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after 28 years since the first volume in August, 1987 when the Institute was established. Total 214 researchers home and abroad published 550 papers(610 when 60 appendixes are included) in the Journal whose annual number of pages was 23,908 and whose annual number of issues published was 54,450. The tendency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as the research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tself. The research topics went through the order of figures, Japanese invasion and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olicies, and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The papers on those topics accounted 40.8% of the entir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hich clearly shows the research trends of the academia. There was also a consistent research trend in the topics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wnership of Dokdo,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 foreign countries. An emerging trend of topics includes the issue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the nationalism and historical awareness of Korea. A developmental pattern was especially observed in the rapid activation of researches on the history and materials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Korea. It was shameful, however, that there was a swift decline in the researches on March 1 Movement(3·1運動) and also Uibyeong(義兵) and Wijeongcheo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two of the major topics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has emerged as one of the three major journals on the research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long with the other two published by two prominent societies on the subject in the course of its 28-year-old history. It is, however, tasked with reinforcing its status as a collection of dissertations issued by the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general societies of similar nature and evolving into a journal recognized for its authority and public confidence to lead the academic circles. It is thus needed to make mid and long term plans and organize the Journal in a more diverse and consistent fashion.

      • KCI등재후보

        헤이그특사가 국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이명화(Myeong-Hwa Le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헤이그 평화회의에 특사 파견 결과는 국내 · 외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이후에 국내외에서 전개된 한국 근대역사의 전개가 말해주고 있다. 이른바 ‘헤이그사건’이 일어난 후 고종황제가 강제로 퇴위당한데 이어, 정미7조약이 늑결되었으며 한국군대는 해산당하여 대한제국은 실질적인 주권을 상실해 갔다. 이로 인해 국내외에서는 전면적 의병항쟁과 의열투쟁이 거세게 일어나게 되었다. 헤이그 평화회의 개최 이전, 일본은 諸國 열강들과 조약 및 협정을 체결하면서 이를 통해 끊임없이 한국의 황실 보존과 주권 독립을 약속하면서 이면에서는 철저히 한국침략을 준비하며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구축해나갔다. 고종황제의 3특사는 일본의 불법행위와 사기적 기만을 비판하고 국제사회에 평화와 정의를 호소했지만, 그 어떤 나라도 공식적으로 한국에 동정을 표하고 일본의 한국 침략을 비판한 나라는 없었다. 결국 헤이그특사의 파견은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운동이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헤이그특사가 국내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을 매우 크다. 그것은 한국근대역사의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민들은 국제사회에 매달려 독립을 구걸하는 황실에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고 민족 대중의 힘이 아니면 독립을 이룰 수 없다는 냉험한 현실을 깨닫게 된다. 미주를 거쳐 러시아에 거점을 마련한 이상설 · 이위종을 중심으로 한 항일 세력은 1910년대 전후로,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까지 미국 · 만주 · 러시아 연해주 등지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동력이 되었다. 특히 헤이그 특사를 축으로 한국내외에서 형성된 항일운동의 인적 네트워크는 한국근대 독립운동의 중요한 계보로 발전했으며 이 역시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또한 이준의 순국이 국내외 동포사회에 전달되면서 한인들의 항일의식은 크게 고조되었다. 이준의 죽음은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으로, 황실이나 몇몇 지사의 저항차원이 아닌, 한인 공동의 저항적 민족의식에 불을 부쳐 국외 한인사회에 연대적 독립투쟁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끊임없이 전수된 이야기는 한인들의 애국적 감성을 자극하고 의열투쟁의 영감을 줌으로써 독립운동의 정신적 기반이 되어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e result of the dispatch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home and abroad. This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Korea’s modern history developed home and abroad since then. After the event in The Hague the Emperor Gojong was deposed by force, and then the third Korean-Japanese Agreement was concluded compulsively. As a result of the Agreement Korean troops were dismissed and the Korean Empire was losing its actual sovereignty. Hereupon the full scale struggle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nd the fight for justice broke out strongly. While Japan concluded treaties and agreements with the World Powers before the Hague Peace Conference and through them promised to protect the Korean Imperial Household and sovereignty, in the background she thoroughly prepared for the invasion of Korea and built up her found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ee envoys of the Emperor Gojong criticized Japanese illegal act and fraudulent deception, and appeal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peace and justice, however, any country didn’t express sympathy for Korea’s situation officially and didn’t criticiz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fter all, the dispatch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ended in failure finally. Nevertheless the event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home and abroad because it served as an epochal turning point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Since then the Korean people realized the hard realities that there was nothing to expect from the Imperial House entrea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Korea’s independence and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independence without the power of the mass of people. Anti-Japanese forces centering around Sang-Seol Lee and Wi-Jong Lee who established a base in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base in America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eveloped in America, Manchuria, Primorie in Russia before or after 1910s before World War I. Particularly, as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s formed home and abroad with as the center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developed into the important lineage of the Korea’s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the envoy to The Hagu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Jun Lee’s death wa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home and abroad, Koreans’ anti-Japanese consciousness rose to the climax. His death as the symbolic case showing Koreans’ independence volition laid the ground for the joint struggle for Korea’s independence in the Korean society abroad as it ignited the Koreans’ common national consciousness of resistance not on the level of the Imperial household or several patriots’ resistance. As the story of his death which was continuously handed down to posterity stimulated Koreans’ patriotic emotion and inspired them with heroic and noble struggle, his death got to be the spiritual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the significant meaning of his death.

      • KCI등재

        미국 선교사 Fitch 一家의 한국독립운동 지원활동

        김주성(Kim, Joo-s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7

        중국 상하이에서 활동하던 미국 장로교 선교사 가문인 피치 일가는 1900년대부터 한국과 인연을 맺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정부수립과 한국전쟁을 거치는 긴 시간을 함께 했다. 현재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에서는 조지 피치라는 인물의 활동에 관심이 있었지만, 이들 일가가 대를 이어 독립운동을 지원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아버지 조지 필드 피치와 아들 조지 애쉬모어 피치의 첫 이름(first name)이 조지로 같고, 중간이름(middle name)만 다른 탓에 아버지와 아들의 행적을 혼용하여 서술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피치 일가는 아버지인 조지 필드 피치(George Field Fitch)와 아들 조지 애쉬 모어 피치(George Ashmore Fitch), 애쉬모어의 부인 제랄딘(Geraldine Townsend Fitch)이 모두 중국에서 한국과 중국의 독립운동과 관계를 맺고 활동하였다. 피치 일가 중 아버지인 필드는 1916년 상하이의 인성학교설립, 1919년 3·1운동 이후 재건된 대한적십자사를 지원했다. 아들 애쉬모어는 1932년 윤봉길의 홍커우공원 의거 이후 김구 등을 피신시켰으며 그의 부인 제랄딘은 1940년대 태평양전쟁기 미국정부에 대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정) 승인을 위한 외교 활동을 벌였다. 특히 아들 애쉬모어 부부는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 한국 상황을 미 국무부에 전달하는 한편, 1950년대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과정에서 적십자사를 통해 한국의 구호활동을 벌였다.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한 외국인들 중에서 피치 일가는 2대에 걸쳐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했다는 점에서 수많은 외국인 지원자들 중에서 하나의 독특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피치 일가는 가족이 전부 기독교 선교사로 중국에서 활동하며 동아시아 지역에 선교, 서구적 교육, 구호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이들이 서구 기독교인으로서 서구문물 전수를 통해 동양을 근대화 시키겠다는 제국주의적 태도도 공존한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에서의 활동과 한국인들과의 접촉은 제국주의의 폭압적인 성격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제국주의 타도에 앞장서게 만들었다. 피치 일가의 활동에서 드러나듯이 한국독립운동은 단순히 한국인들만의 투쟁은 아니었다. 한국독립운동에는 피치 일가를 비롯해 많은 외국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들이 참여하게 된 것은 한국독립운동이 지니는 가치 때문이었다. 한국인들과 외국인들이 함께 활약한 한국독립운동은 전 세계를 무대로 세계인의 보편적 가치인 인류애·자유라는 기치를 되찾고자 하는 운동이었음이 외국인들의 활동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Fitch family since the early 1900s,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y family, who was in Shanghai, China began a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South Korea. The Korean War together through a long time. Although he was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of George Fitch, the Korean independence minister, he was unaware of the fact that his family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sons of Fitch were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orge Field George Field and his son George Ashmore Fitch and Ashmore’s wife eraldine and Fitch’s wife. In 1916, the father of the Korean National Red Cross family supported the In-Sung School in Shanghai in 1916, and the Korean National Red Cross rebuilt the Reconstru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19. In 1932, shmore defended Kim Koo. Ashomre’s wife Geraldine held a diplomatic campaign to authorize the U.S. government to approv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early 1940s. The Ashmore delivered the situation to the USAMGIK in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rough the Red Cross, it supported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War. The Fitch family is a unique example of support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ver two generations. All of the members of the Christian family worked in China as a Christian missionary in China, engaged in missionary work, education, and relief activity in East Asia.

      • KCI등재

        헐버트(Homer B. Hulbert)의 在美 한국독립운동

        홍선표(Hong, Sun-py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5

        헐버트는 구한말 시기 육영공원의 외국인 교사로 처음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며 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하였고 외국인으로서 처음으로 광무황제의 특사로 임명받은 인물이다. 그런데 그에 대한 평가는 주로 경술국치 이전까지의 활동에 국한되어 있어서 그의 전 생애, 특히 미국에서의 활동에 대해선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했다. 본고는 헐버트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에서 소략하게 취급되었던 미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에 중점을 두었다. 헐버트는 미국에 정착한 이후 여생을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다. 그는 강제 ‘병합’을 시도한 일본의 저의를 폭로하였고 한국의 기독교를 탄압해 기독교의 정신과 민주주의 사상을 한국인에게 확산시키는 것을 막으려는 일본의 음모를 규탄하였다. 을사늑약(‘Eulsa Treaty’) 당시 루즈벨트 전 대통령의 대한정책의 과오를 들추어내 조미조약을 근거해 맺어진 한미 간의 신의를 저버린 미국의 배신 행위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이같은 비판은 미국 정부로 하여금 더 이상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말고 식민 상태에 있는 한국의 독립문제에 관심을 갖고 지원을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한국 독립을 돕기 위한 헐버트의 활동은 미국의 언론과 의회,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한 강연활동, 그리고 한국친우회와 한미협회 등을 통해 활발히 추진되었다. 또 파리강화회의에 한국 독립 문제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며 김규식)의 외교활동을 적극 도왔다. 이승만과 함께 영문 잡지 The Orient 의 발간에 참여였고 워싱턴DC에 개최된 한인자유대회에서 장차 한국의 독립이 머지않았음을 역설하며 한인들을 격려하였다. 이같은 그의 활동은 해방 때가지 미국 내 어떤 한인 독립운동가들도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역동적이고 지속적이었다. 헐버트의 한국독립운동은 미국 사회에 한국 문제를 끈질기게 제기한 미국인이 거의 드문 상황에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볼 때 다른 어떤 것보다 특별하고 소중하다. 이런 연유로 지금까지 그를 구한말시기 국권회복운동의 인물로 한정해왔던 데서 벗어나 한국독립운동가의 한 사람으로서 당당히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Hulbert was a foreign teacher of The Royal English college. He had studied Korean history and culture since he had had special bond with Korea. He also was appointed the first foreigner envoy by Emperor Gwangmu to restore national rights of Korea. As the estimation about his activities were mostly limited to those of the national humiliation times, the activities for all his life, especially in America were never arranged well. This manuscript set importance on his Independence Movements for Korea in America which had been roughly treated on the existing research performances. Hulbert devoted his remaining years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he settled down in America. He exposed Japan’s real intention toward the compulsory ‘colonization of Korea’ and censured Japan’s plot which tried to stop the spread of christianity and democracy suppressing Korean christianity. He also criticized sharply about the act of betrayal that broke the faith between Korea and America based upon Korean American Treaty raking up the then president Roosevelt’s mistakes in foreign policy toward Korea during the ‘Eulsa Treaty’. The criticism like this is for American government not to follow the same bad methods as before and to support independence of Korea which was in the state of colonization. The activities of Hulbert to help Korean independence were actively pursued through 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 The Korean American Council and the lectures aimed at American media, congress and general public. He also aggressively helped diplomatic activity of Kim, Kiusic, pursuing plans to report Korean Independence issue all around world through Paris Peace Conference. He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English magazine The Orient with Syngman Rhee and encouraged Koreans that Korean independence was not long in the Korean Liberty Conference held in Washington DC. His activities like this was so active and continuous that no Korean independentista in America could carry out until the liberatio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Hulbert was very special and precious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people who persistently brought forward Korean issues to the American society were rare. For this reason, we have to estimate him highly as a fighter for Korean independence out of the limitation that bound him as a man of the The Movement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 KCI등재

        3 · 1독립운동 전후 쑨원(孫文)의 한국 인식 연구

        김승일(Kim Seung-Il)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7

        3 · 1독립운동 성격의 비폭력성에 대해서는 역사적 측면에서만 검토되었지, 법적인 검토는 안 이루어졌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법률적 차원에서의 검토 결과와 역사연구의 결과가 연결되어지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대두되었다. 즉 3 · 1독립운동에 참가하여 체포된 수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내란죄 및 소요죄, 그렇지 않으면 구한국의 법률인 보안법과 출판법, 총독부의 정치범죄처형령 등의 법에 적용되어 구속되었었는데, 최종심리가 진행된 고등법원에 이르면 이들 법을 그들에게 적용하기가 곤란하여 당시 판결을 내려야 하는 담당자들이 대단히 곤란해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당시 실무자들이 적용한 법률과 그 결과에 대한 재검토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의해서 새롭게 3 · 1독립운동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사실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통해서 여심→지방법원 판결→복심법원 판결→고등법원 판결을 계통적으로 정리하면 3 · 1독립운동의 비폭력적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어, 일본기독교대학의 사사가와 노리가츠(笹川紀勝) 교수와 필자가 이들 판결문을 수집하고 정리하기에 이르러, 『3 · 1독립운동 판결정선』이라는 책을 출간하였고,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나머지 판결문을 찾아서 정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판결문을 중심으로 3 · 1독립운동의 성격에 대해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3 · 1독립운동을 옆에서 눈여겨 본 쑨원이 한민족의 역량을 재평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해가는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 이와 같은 쑨원의 한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 상황을 3 · 1독립운동이 끝나가는 무렵인 1920년대 전반기를 전후하여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검증을 바탕으로 향후에는 3 · 1독립운동이 쑨원의 삼민주의 사상 정립과 연아용공 정책에 미친 영향, 그리고 3 · 1독립운동을 기점으로 쑨원의 일본관 변화의 추세도 추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처럼, 쑨원은 초기에는 한국을 중화주의적 영토관념에서 보아왔고, 그러한 관점하에서 본 한국의 식민지화는 중국의 것을 일본이 빼앗아 갔다는 강대국 간의 이해관계에만 머물러 있었기에, 초기한국 독립운동당인들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았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무창혁명 과정에서 보여진 한국독립운동가들의 활동과 본인이 이끌고 있던 호법정부의 미약함에 의한 의지처의 탐색, 그리고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따른 친일적 감정의 쇠퇴 등에 따라 서서히 한국독립운동가들과의 교류가 본격화 하게 됐고, 급기야 그들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주고받으며 약소국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는 과정에서 3 · 1독립운동과 5 · 4운동을 통한 민중의 역량을 보면서 중국의 민족모순을 갈파하게 되었고, 그 결과 지나청년과 한국인청년단과 쑨원 3자가 연결되게 되었으며, 결국 조선의 독립운동과 쑨원의 동지적 관계가 굳건하게 되어져 갔던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조선 망국의 비극을 교훈으로 삼으며 일본의 침략적 팽창정책을 전환하도록 요구해 나가게 되었던 것이니, 쑨원은 대일투쟁에 온 힘을 기울이던 한국의 현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고, 그 결과 한국 독립운동에 대해 열심히 원조하게 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930년대 신익희의 독립운동단체 결성과 통일전선운동

        이계형(Lee, Kye-hy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3

        1930년대 한국독립운동을 주도해 나간 것은 중국 관내의 독립운동세력이었다. 중일전쟁 이후 독립운동계는 ‘이당치국(以黨治國)’을 통한 독립운동 방략을 모색하였다. 신익희는 위유런(于右任)의 도움으로 난징의 국민당 정부에서 근무할 때, 1931년 9월 만주사변을 기회로 처음으로 한국혁명당을 창당하였다. 이 단체는 난경에서 활동하던 다양한 이념을 가진 인사들로 구성되었다. 신익희는 이를 기반으로 1932년 11월 여러 독립운동 단체와 함께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을 결성하고, 지청천이 이끄는 만주 한국독립당의 합당을 추진하여 신한독립당을 새롭게 출범시킨 뒤 교섭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그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대표대회를 통해 ‘단일대동맹’을 결성하고자 하였지만, 각기 통합방식을 두고 힘겨루기하면서 그러한 구상은 지지부진하였다. 그런 가운데 1935년 7월 그는 신한독립당의 대표로서 의열단·한국독립당·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대한독립당 등을 하나로 묶어 민족혁명당을 결성하는데 힘을 보탰다. 그는 민족혁명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서 당내의 의견 대립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민족혁명당은 상하이 한국독립당과의 당의·당강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였고 임시정부의 존폐 문제를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여 결국 일부 인사가 탈당하면서 위상은 예전만 못했다. 그런데도 신익희는 민족혁명당에 남아 김원봉과 함께 활동하면서 1937년 11월 공산주의와 무정부주의 계열 인사들과 함께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하였다. 이후 그는 1939년 8월 사천성기강에서 좌우익 세력을 통합하려는 ‘7당통일회의’에 참가하였다. 통일회의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조직 방식을 두고 논쟁이 격렬해지자 신익희는 회의에서 퇴장하였고, 결국 통일전선운동은 결실을 얻지 못하였다. 신익희는 1930년대 한국독립운동계의 숙원이었던 정당의 통일전선운동에 누구 못지않게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아마 세 차례의 통합운동에 모두 참여한 것은 신익희가 유일하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신익희는 이를 주도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통합전선운동이 당 대 당 결합이었기 때문에 그만큼의 자신의 세력을 가지고 있어야 했지만, 그는 그러지 못했다.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규모의 인원과 군사를 확보해야 했고 재정 또한 모자람이 없어야 했지만, 그는 이러한 요인들을 충족하지 못했다. In the 1930s, i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s within the Chinese jurisdiction that l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Especial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y sought an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y through “the stagn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Unique Party(以黨治國)”. Then Ik-hee Shin founded the Korean Revolutionary Party through the Manchurian Incident in September 1931 while working for th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in Nanjing with the help of Yu Youren(于右任). Shin Ik-hee formed the Korea-Japan Front Unification Alliance in November 1932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etc. Taking this opportunity, he promoted the joint party of the Korean National Party, newly launched the Shinhan Independence Party. Since then, he attempted to form a “one-to-one alliance” through the Korea-to-Japan Front Unification Alliance Congress, but the idea was sluggish as each competed for the integration method. Since then, he has tried to form a “single alliance” through Korea’s unification alliance with Japan tournament, but such a concept has been slowly progressing while comparing the strengths of each with an integrated method. Meanwhile, in July 1935, h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united front. However,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as not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party principle and party platform. In the end, several people withdrew from it, its status was lost. Nevertheless, Ik-hee Shin remained at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nd worked with Kim Won-bong. After that, in November 1937, he formed the Korean National Front Alliance with communist and anarchist family under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s the parent. After that, the “7-Party Unified Conference” was held in Qijiang, Sichuan Province in August 1939, and the left-right unification movement was developed. The unification conference proceeded smoothly, but the debate over the organizational method intensified, and he left the conference. In the end, the unification front m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id not come to fruition. Shin Ik-hee showed as much activity as anyone in the party’s unification front movement, which was the longing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30s. However, Ik-hee Shin seems to have failed to lead this. Since the Unified Front Movement was a party-to-party union, he had to have that much power, but he couldn’t. In order to exert influence, he had to secure the right size of personnel and troops, and his finances had to be low, but he did not meet these factors.

      • KCI등재

        윤기섭의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참여와 활동

        이재호(Lee Jae-H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9

        윤기섭은 1911년 독립운동 기지 개척을 위해 서간도로 망명한 이후 신흥무관학교를 창립하고 이후 10년 동안 수많은 군사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920년 상해로 건너 와 일제 패망 때까지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과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무장 투쟁의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윤기섭이 1920년 이후 주요 역할을 한 곳은 임시의정원이었다. 임시의정원은 상해 임시정부 탄생의 모체로, 임시정부 운영의 법적 근거인 헌법을 제정하는 입법기관 역할을 하였다. 제7회 임시의정원 회의에 서간도 대표로 참석하면서 의정 활동을 시작한 윤기섭은 의회의 수장인 의장을 맡기도 했다. 국민대표회의 기간인 1923년, 제7대 의장에 선임되어 의정원 내의 갈등과 이견을 조정하는 의회 민주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1920년대 중반 국내를 비롯한 중국 각지에서 전개되는 민족유일당운동에 참여한 윤기섭은 임시정부를 비롯한 민족주의 인사들과 독자적인 정당 결성에 나서 1930년 1월 상해에서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다. 이어 남경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 신익희와 함께 1932년 1월 한국혁명당을 결성하고 이사장을 맡았다. 윤기섭이 임시정부의 '단일 여당'임을 자처하는 한국독립당과 별도로 정당을 창당하였다고 임시의정원(임시정부)과 멀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 독립운동 전선의 통일을 이루기 위해 한국혁명당 대표로 임시의정원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34년 윤기섭은 만주에서 이동한 한국독립당과 합당하여 신한독립당을 결성하였다. 신한독립당의 결성은 중국 관내 독립운동 세력과 만주의 독립운동 세력이 통일을 이룬 최초의 성과였다. 정당 활동에 진력하면서 윤기섭은 의정원 참석을 소홀히 하게 되었다. 임시약헌은 의정원 의원이 개원 후 이유 없이 2주일까지 출석하지 않을 경우 의원직을 자연 해임하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1935년 11월 2일 의원의 자격을 상실하였다. 윤기섭은 한국혁명당을 조직하고 만주에서 관내로 이동한 한국독립당과 합당하여 신한독립당을 창당하면서 독립운동 정당의 주요 지도자로 부상하였다. 정당 활동의 주 무대가 의회라는 점에서 1935년 민족혁명당 창당 이후 그의 의정 활동이 더 진행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1930년대 활발한 정당 활동의 결과 임시의정원은 1940년대 중경에서 '통일 의회'를 구성하고 여러 정당들이 참여하는 다당제를 실현하여 한국 민주정치 발전의 토대를 이룰 수 있었다.

      • KCI등재

        1910년대 한국 독립운동과 몽골 -김규식의 활동을 중심으로-

        오미영(Oh, Mi yo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8

        김규식은 한국 독립운동가 가운데 최초로 몽골 땅을 밟아 독립활동을 모색한 인물로서 1914년 가을 비밀리 군관학교를 세울 계획으로 한인 청년들과 함께 몽골로 향했다. 이후 자금 문제로 그의 계획이 실행되지 못하였지만, 김규식은 몽골에 남아 몽골에 진출해 있던 미국의 무역회사에 근무하며 한국 독립운동의 새로운 외교적 방안을 모색해갔다. 학자형 독립운동가였던 김규식이 독립운동 초기 중국과 몽골을 오가며 무역업에 종사한 사실은 매우 이례적인 행보이지만, 무역업을 통해 김규식은 생계와 독립자금을 해결하는 동시에 외국 무역회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한인 인사들과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 후 김규식이 몽골을 다시 찾은 것은 1918년으로 당시 사촌동생 김은식과 큰아들 김진동이 함께 했다. 김규식의 소개로 이태준은 김은식과 결혼한 후 1919년 김규식의 파리강화회의 참석 경비를 지원해줄 정도로 김규식과의 긴밀한 관계를 이어갔다. 마지막으로 김규식이 몽골을 방문한 것은 1921년 겨울 극동민족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이다. 당시 김규식은 몽골 혁명지도자 린치노의 부인인 한인2세 남마리아를 만나 러시아로 가는 교통 편의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1925년 린치노가 소련으로 소환되자 이후 김규식을 비롯한 한인 인사들의 몽골행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기반으로 포문을 연 20세기 초 한몽 교류도 단절되고 말았다. 독립운동 초기 김규식은 독립운동의 새로운 근거지이자 삶의 터전으로 몽골을 주목하였지만, 이후 몽골에서의 한국 독립운동은 몽골 교통·통신의 어려움과 함께 상호 연대의 필요성이 약했다는 한계점을 가지며 지속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규식이 한국 독립운동의 새로운 근거지로 몽골로 시선을 돌릴 수 있었던 데에는 일제의 감시가 덜한 몽골에서 독립 자금과 독립운동 인재를 준비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Kim Gyu-sik was the first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to seek independence in Mongolia, and he headed to Mongolia with Korean youths in the fall of 1914 with plans to establish a secret military school. Although his plan could not be implemented due to financial problems, Kim Gyu-sik remained in Mongolia and worked for an American trading company that was operating in Mongolia at the time, continuing to seek new diplomatic way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it was very unusual for Kim Gyu-sik, who was a scholar-type independence activist, to engage in trade between China and Mongolia in the early day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rading business allowed him to provide a livelihood and independence funds while also utilizing a network of foreign trading companies to stay in close contact with Korean figures. After that, Kim Gyu-sik visited Mongolia again in 1918 and at the time, his cousin Kim Eun-sik and his eldest son Kim Jin-dong were accompanying him. Through the introduction by Kim Gyu-sik, Lee Tae-jun married Kim Eun-sik, and then h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Kim Gyu-sik to the extent that he supported Kim Gyu-sik’s expenses for attending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Kim Gyu-sik’s last visit to Mongolia was to attend the Congress of the Toilers of the Far East in the winter of 1921. At the time, Kim Gyu-sik met Nam maria, a second generation Korean, wife of the Mongolian revolutionary leader Rinchino, who provided him with transportation to Russia. However, when Rinchino was summoned to the Soviet Union in 1925, there were almost no cases of Koreans traveling to Mongolia, including Kim Gyu-sik. As a result, Korea-Mongolia ex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were opened based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re discontinued. In the early day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Kim Gyu-sik paid attention to Mongolia as a new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 place of life. Howeve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Mongolia could not be sustained due to the limitations of Mongolia’s transportation difficulties and the insufficient necessity for mutual solidarity between Mongolia and Korea. Nevertheless, Kim Gyu-sik could draw attention to Mongolia as a new base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ince it was able to prepare independence funds and talents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Mongolia with less surveillance by the Japanese and Mongolian Government’s Open Policy

      • KCI등재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

        홍선표(Hong, Seonpy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3

        본 글은 해방이전 미국에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어떤 인물이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미국인의 신분으로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인물에 대한 연구는 몇몇 국내 선교사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 미국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독립을 위해 벌인 활동과 업적을 제대로 조명해 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때문에 국내에서 활동한 미국인들과 달리 미국에서 활동한 미국인들 중에 한국 독립 유공자로 인정받은 인물은 단 한명도 나오지 못했다. 이것은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미국인들의 수나 활동의 질이 국내의 것보다 훨씬 적었거나 미약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그동안 미국 현지에서 한국독립을 돕는데 앞장선 미국인들에 대해 주목하지 못한 주된 요인은 미국인 중심으로 한국문제를 바라보고자 하는 관심과 관점의 부족 때문이었다. 한국의 독립문제를 한국인의 시각에서 만 보려고 했던 것이 외국인, 특히 미국인의 활동상을 간과했던 것 같다. 본고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3 ?1운동시기부터 제2차 세계대전시기까지 미국에서 한국인과 한국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국내 3?1운동의 소식과 영향은 미주지역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미국사회에도 확산되어 한국인을 동정하고 한국 독립 문제를 돕는 미국인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런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독립운동가들이 계획하였거나 조직한 단체와 행사 등에 동참해 기꺼이 한국독립을 지지하였다. 또한 스스로 한국친우회를 결성하거나 저서를 발행해 한국 독립을 지원하였다. 미국 의회의 의원들은 한국독립을 동정하는 연설을 하거나 결의안을 채택을 주도해 미국 정부로 하여금 한국 독립을 지원하거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압력을 행사하였다. 해방이전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본고에서 언급한 인물만은 아닐 것이다. 앞으로 연구가 진척되면 더 조명 받아야 할 인물들이 적지 않게 발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미국인들은 미주지역 한인 독립운동가들에게 큰 후원자이자 동역자로 활동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체 한국독립운동을 추진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였다. 따라서 주목을 받을 만한 인물이든 그렇지 못한 인물이든 미국에서 한국 독립을 도운 미국인들의 가치는 일본과 싸우는 무장 항일독립군 못지않게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에서 귀중한 역사적 자산으로 평가할 만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