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과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연구

        전한솔,이진한,Jeon, Han-Sol,Lee, Jin-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3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에 종사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로 구성되었다(n=126). 설문지는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교육 관련 문항, 치과 보철 치료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에 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에 대한 설명 후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인지도와 실천도는 1에서 5 사이 값을 갖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고, 직종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 시행하였으며, 인지도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7%는 치과 보철 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 교육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보철치료와 관련된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의 평균값은 각각 $2.72{\pm}0.80$, $1.58{\pm}0.88$으로 나타났다. 감염 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62{\pm}0.9$, 받지 못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31{\pm}0.49$로 나타났다. 현재 근무하는 곳에 감염 관리 지침서가 있는 응답자의 인지도는 $3.01{\pm}0.91$, 없는 응답자의 경우 $2.56{\pm}0.70$로 나타났다. 결론: 1. 대학 교육과정 중 감염 관리 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무지에 감염 관리 지침서를 갖고 있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했으며,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실천도는 인지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egree of awareness and actual practice of dental practitioner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during prosthodont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dentists, dental hygienists, dental technicians working at dental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 dental hospital and dental clinics in Daejeon, Korea (n=126).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during prosthodontic treatment through personal self-administration survey. Awareness and practice were measured by Likert scale ranging from 1 to 5.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Influence of awareness on practice was estimat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27.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regarding prosthodontic treatment is insufficient. The mean value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were $2.72{\pm}0.80$, $1.58{\pm}0.88$,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practice who answered that had education curriculum at college was $1.62{\pm}0.9$, and $1.31{\pm}0.49$ who did not. The mean value of awareness who equipped guideline was $3.01{\pm}0.9$, and $2.56{\pm}0.70$ who did not. Conclusion: 1. The respondents who received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by college curriculum showed higher degree of practice than the respondents who did not. 2. The respondents who have appropriate infection control guidebook in their workplace showed higher degree of awareness than the respondents who did not. 3.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during prosthodontic treatment; the degree of awareness becomes higher, so does the degree of practice. 4.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the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 KCI등재

        치과대학 및 치과전문 대학원의 보철학 교과과정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김지환,이소진,박영범,정문규,Kim, Jee-Hwan,Lee, Sojin,Park, Young-Bum,Chung, Moon-Kyu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연구 목적: 대한민국 치과대학의 보철학 교육은 자율적 규제를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전 되어 가고 있다. 주어진 환경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이며 동일한 교육 교과과정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국내 2012년 현재 치과대학에서의 보철학 교육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보철학 교과과정의 현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보철학 교육의 개선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 11개의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에 전달 된 설문지에 대한 회신 내용을 근거로 조사 되었다. 결과:학생 수, 평균 연령, 남녀 성비, 보철학 강의 및 실습 학점, 4학년 학생이 환자를 보기 전에 시행되는 평가 방법, 졸업을 위한 최소 요구 조건, 임상 교육의 시작과 종료시점, 교육에 참여하는 인력이 학교마다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치과 대학 보철학 교과과정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보철 임상 교육을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자가 주체가 되는 교육 인력의 확충, 교육 시간의 증가, 효율적인 교과과정 확립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Purpose: Prosthodontics education of Korean dental schools is developing under liber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school. Diversity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condition for each school make it impossible to apply the same and uniform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validate the status of the 2012 prosthodontics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dental school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survey was completed by all the 11 dental schools in South Kore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age, sex, credits for prosthodontics lecture and practice courses, evaluation method before senior students' clinical practice, modalities for minimum requirement for graduation, beginning and finishing timing of clinical practice and faculty personnel involved in the education varied among the dental schools. Conclusion: High-quality educators leading an expanded teaching personnel are required, education hours must be increased and efficient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to improve the prosthodontics education.

      • KCI등재

        보철물 수명 연구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 표준 방안: KAP Criteria

        윤준호,박영범,윤승환,오남식,Yoon, Joon-Ho,Park, Young-Bum,Youn, Seung-Hwan,Oh, Nam-Si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4

        목적: 보철물 수명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철물을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게 평가하는 것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에서는 이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보철물 수명연구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의 표준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수명 연구의 통일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보철물 평가 흐름도와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제작하는 데 있다. 재료 및 방법: 기존에 사용되었던 보철물 평가 방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알아본 후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쉽고, 보철물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개발한다. 또한 이 기준을 시범 사용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한다. 결과: 고정성 보철물 30 증례, 가철성 보철물 25증례,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 13 증례로 시범 사용하여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고정성 보철물의 평균수명 추정치는 12.82년, 가철성 보철물은 5.96년, 임플란트 보철물은 4.82년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조사자들에게 시범 사용 후의 문제점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한 후 보철물 평가흐름도 및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완성하였다. 결론: 보철물 수명 평가를 위한 대한치과보철학회 표준 방안 마련을 위해 개발된 보철물 평가 흐름도와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통일된 자료 수집이 가능하였다. 향후 본 표준 방안을 이용한 보철물 수명연구가 시행될 것이다. Purpos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is objective and consistent evaluation of the prosthesis.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suggested developing a standardized method for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eviously-used criteria and to develop new criteria, in the form of a procedure flowchart and an evaluation sheet. These new criteria may be able to provide a unified standard for future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bout the evaluation of dental prostheses. Taking into accoun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previously used criteria, a novel, intuitive and objective method was developed for assessment of dental prostheses. Then, a pilot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newly developed flowchart and evaluation sheet to determine problems and implement possible improvements. Results: Thirty cases of fixed dental prosthesis (FDP), 25 cases of removable dental prosthesis (RDP), and 13 cases of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ISP) were evaluate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estimate was 12.82 years for FDP, 5.96 years for RDP, and 4.82 years for ISP with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dditionally, possible improvements discovered by the pilot survey were reflected in the flowchart and evaluation sheet.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KAP criteria, flowchart and evaluation sheet enabled objective and consistent results in trial longevity studies of dental prostheses.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not only use the KAP criteria but also further improvement will be made on them.

      • KCI등재

        국내에서 치료된 고정성, 가철성,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명 및 성공률 분석

        윤준호,박영범,오남식,Yoon, Joon-Ho,Park, Young-Bum,Oh, Nam-Si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ongevity of failed prosthesis and the success rate of the prosthesis based on the data evaluated with the newly developed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KAP) criteria. Materials and methods: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he restored prosthesis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prosthodontics department of the 13 dental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status of the prosthesis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Good, Fair, Bad, Worst. The success was recorded if only the category was classified in 'good'. The mean duration of failed prostheses and the success rate through Kaplan-Meier method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804 cases of prosthesis were evaluated: 810 cases of fixed dental prostheses (FDP), 519 cases of Removable Dental Prostheses (RDP), and 475 cases of implant prosthesis. The mean duration of failed FDP was $11.41{\pm}0.30years$ and the median was 10 years. The mean duration of failed RDP was $8.18{\pm}0.29years$ and the median was 7 years. The mean duration of failed implant prosthesis was $7.99{\pm}0.30years$ and the median was 7 years. The factors related to the failure were as follows: number of units, abutments, abutments treated with root canal, and plaque index in FDPs; treated and opposing dentition in RDPs; the number of implants, duration of use, and plaque index in implant prostheses. Conclusion: The average duration of failed prosthesis was 11.41 years for FDPs, 8.18 years for RDPs, and 7.99 years for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with newly developed KAP criteria.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대한치과보철학회의 보철물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고정성, 가철성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함으로써 보철물의 수명과 이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전국 13개 대학/종합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내 사용중인 보철물을 평가하였다. 대한치과보철학회의 기준에 따라, 수는 성공, 우, 양, 가는 실패로 규정하고, 실패한 보철물의 평균 사용기간과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Kaplan-Meier 분석에 의한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정성 보철 810 증례, 가철성 보철 519 증례,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 475 증례, 총 1,804 증례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검사 시점에 실패로 판정된 보철물의 평균 사용기간은 고정성 보철물은 $11.41{\pm}0.30$년, 중간값은 10년이었고, 가철성 보철물은 $8.18{\pm}0.29$년, 중간값 7년이었으며, 임플란트 보철물은 $7.99{\pm}0.30$년, 중간값은 7년이었다. 실패와 관련있는 요인 중 고정성보철물은 유닛 수, 지대치 수, 근관치료된 지대치 수, 치태지수였고, 가철성 보철물의 경우 대합치였으며 임플란트 보철의 경우 임플란트 개수, 사용기간, 치태지수였다. 결론: 대한치과보철학회의 기준으로 보철물을 평가한 결과, 실패한 보철물의 평균수명은 고정성 11.41년, 가철성 8.18년,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은 7.99년이었다.

      • KCI등재후보

        치과의사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

        심수현,김석규,최봄,Shim, Su-Hyun,Kim, Seok-Gyu,Choi, Bohm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3

        Statement of problem: In spite of increasing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there was no collected data on prosthodontic treatment status and dentists' perceptions in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entists' perceptions about current prosthodontic treatment status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to suggest public health policies for the disabled. Material and methods: Total of 68 dentists who have regularly treated the disabled were asked to fill questionnaires regarding prosthodontic treatment for the disabled. Results: 1. 45.6% of dentists felt the necessity of an esthetic prosthesis for the disabled. However, 54.3% of dentists reported the improvement of access to implant,orthodontic and esthetic treatment is needed. 2. Most (79.4%) of the dentists thought it is imperative for the government to support the disabled to maintain adequate oral health by providing at least 50% of charge in their prosthesis.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97.1% of dentists answered that the current prosthodontic treatment status for the disabled in Korea is poor. This indicated the necessity of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e disabled. 연구목적: 우리 사회가 선진화 됨에 따라 장애인과 장애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장애인의 의료환경에 대한 연구도 차츰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 진료의 수요 및 관심에 비해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치과의사가 바라본 현행 대한민국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전국의 장애인 진료를 하는 치과 병의원 및 복지기관, 보건소의 치과의사 87명을 대상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발송하여 6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1. 조사 대상 치과의사 중 45.6%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에게도 심미보철 진료가 필요하다는 데에 긍정적으로 답변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과거 기능회복 위주였던 장애인 치과치료에서 점차 심미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2. 보철 진료의 이상적인 진료비 지불방식에 대한 조사결과 정부로부터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9.4%를 차지하였고, 그 중 66.7%의 응답자가 그 규모를 일반보철 수가의 최소 50%이상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에 관해 97.1%의 응답자들이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장애인의 협조도 부족 문제를 제외하면 재정적인 부분이 가장 컸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통계적 오류: 국문논문과 영문논문의 비교

        박동규,최용근,김영수,신상완,Park, Dong-Gyu,Choi, Yong-Geun,Kim, Young-Su,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3

        연구목적: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사용된 통계적 방법의 통계적 오류현황을 파악하여 통계적 방법의 잘못된 활용으로 인한 치의학 연구논문에서의 문제를 검토하고, 또한 통계적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여 동일문제의 재발 방지 및 효율적 대처의 기회로 삼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 게재된 총 399편의 논문 중 통계적 방법이 사용된 292편의 논문을 조사했고, 이를 위해 1997년 국제의학학술지 편집위원회의 "생의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양식의 통계학적 방법론에 관한 서술지침" 15개항을 기초로 하여 1) 통계 프로그램의 불명시, 2) 통계 방법의 부적절한 기술, 3) 통계용어의 오용 등으로 크게 3가지 범주로 구성된 점검표를 사용하여 통계적 방법의 종류 및 통계적 오류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한글판과 영문판으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및 결론: 1. 통계 프로그램 명시 오류는 한글판에선 54%가, 영문판에선 59%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P = .66). 2. 통계 방법의 부적절한 기술에 관한 오류는 한글판에선 49%가, 영문판에선 33%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P = .09). 3. 통계용어의 오용오류는 한글판에선 54%가, 영문판에선 24%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1). 상기 결과로 볼 때 통계용어의 오용 오류 이외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진 않아서 한글판과 영문판의 통계적 오류의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난 걸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통계적 타당성은 다소 부족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치의학 연구자는 통계적 방법을 기술하고 적용할 때 통계적 오류를 피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아울러 치의학 논문에서의 통계학적 방법론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Statement of problem: The aim of dental research is to advance scientific knowledge and leads to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ntal disease. Utilizing an effective research design and adequate statistical methods are essential procedures ensuring that the results of researches are based on evidences. A research should utilize proper statistical methods without statistical errors; Otherwise, it could adversely affect clinic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JKAP) and then to assess them for the statistical errors. Material and methods: Among the total of 399 articles in the JKAP published from 2000 to 2006, 292 articles using statistics were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m were assessed using a checklist based on the guideline for statistical reporting in the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by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The checklist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of statistical errors: 1) Unspecified computer statistical packages, 2) Inadequate description of statistical methods, 3) Misuse of statistical terms.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Korean version and the English version in the JKAP. Results: Among the 212 articles using statistics in the Korean version, 115 articles (54%) and among the 80 articles using statistics in the English version, 47 articles (59%) were shown to have unspecified computer statistical packages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66). Likewise, 101 articles (48%) in the Korean version and 25 articles (31%) in the English version were shown to have the inadequate description of statistical methods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9). However, 114 articles (54%) in the Korean version and 19 articles (24%) in the English version were shown to have the misuse of statistical ter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1). Conclusion: Some of the articles in the JKAP had inadequate statistical validity, given the statistical errors identified in this assessment. Hence, dental researchers should be more careful when it comes to describing and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 KCI등재

        대한치과보철학회지에서 볼 수 있는 통계적 오류의 고찰 : 2006-2010

        강동완,서윤암,오남식,임회정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4

        Purpose: Use of in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may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and a waste of valuable resourc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he types of several common statistical errors in the published article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JKAP) for a 5-year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Of 336 articles in the JKAP published from 2006 to 2010,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by statistical method and year. The frequency and types of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examined, and the statistical errors were evaluated by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rimental design, assumption check, independent outcomes, proper sample size and suitable use of statistical method. Statistical guidelines were completed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Results: Of the 255 articles using statistics, 193 articles (75.9%) used inferential statistics and 153 articles used SPSS statistical software (60.0%). Of the articles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the thre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s were ANOVA (41.5%), t-test (20.0%), and the nonparametric method (16.9%). The average rate of statistical errors was 61.2 percent, similar to the rate reported by several studies completed for the medical journal. Conclusion: After the whol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ost-hoc tests for the pairwise comparisons are required. The optimal sample size calcul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is study protocol.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tatistical errors, statistical guidelin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each statistical test procedure and will contribute to the academic improvement in the JKAP. 연구 목적: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최근 5년간 게재된 논문 중에서 통계 방법이 사용된 논문의 빈도를 조사하고 통계 방법의 종류 및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살펴 보고 오류별 적절한 통계 방법을 제시하고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대한치과보철학회지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게재된 논문 336편 중 통계방법이 사용된 255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도별로 통계 방법 사용 여부, 주로 사용된 통계방법과 소프트웨어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통계방법 별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오류를 조사하였는데 주로 실험설계의 적절성, 분석법에 대한 가정검토, 표본의 독립성 및 변수의 적합성, 적절한 표본 수와 적절한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안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결과:본 연구에서 조사된 논문 중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이 193편(75.9%)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SPSS가 153편(59.77%)으로 가장 많았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통계방법을 분류한 결과 ANOVA (41.5%), t-test (20.0%), 비모수 방법(16.9%)순으로 많았고 최근에 가까울수록 다양한 분석법을 시도하였으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표본수의 산출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분석법에 대한 가정(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 등) 검토를 하지 않은 공통적인 오류를 범했다. 전체적으로는 61.2%의 통계적 오류를 범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오류는 전체적인 분석 후 세부적인 분석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두 요인에 대한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단변수 분석을 여러 번 한 경우와 연구 계획 단계에서 적절한 표본 수를 산출하지 않아 나타난 경우 등이었다. 이러한 통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석 방법 별 검정 절차에 대한 통계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로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최소 삭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 연구

        도레미,이근우,Doh, Re-Mee,Lee, Keun-W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2

        연구 목적: 전통적인 초기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가능한 보존적이고 가역적인 치료를 추구했지만 유지력의 상실이 큰 문제가 되면서 임상적 성공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들 중, 자연 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여 유지력을 얻는 3-piece형태의 변형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제안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의 상실치 수복을 위한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상실되어 수복을 요하여 2007년부터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에 내원하여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는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 수복 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중 주기적 검사가 가능한 2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및 결론: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21명증례, 71 unit의 최대 25개월 (평균 7개월)간의 후향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은 단기간의 follow-up 에서 보철물의 탈락, 파절등의 기계적인 실패가일어나지 않았다. 2. 보철물 주변의 치주조직은 비교적 안정되었다. 3. 방사선 사진상 유의성있는 골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The object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modified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which utilizes the original tooth undercuts and different path of insertion of components. Materials and methods: 71 units of modified RBFPDs that were used in 21 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were evaluated. The follow-up period was up to 25 months, the mean being 7 months. Survival rate, mobility, percussion, probing depth, bleeding on probing, plaque index was recorded and radiographs were taken to monitor alveolar bone loss. Results &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hort term retrospectiv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1. No mechanical failure such as debonding or fracture of the framework was fou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2. The periodontal apparatus was stable and no clinical change was observed after prosthetic treatment. 3. No significant marginal bone loss was found in the radiographic evaluation.

      • KCI등재

        한국의 노인치과학 교육 현황

        김하영,이정열,허중보,신상완,Kim, Ha-Young,Lee, Jeong-Yol,Huh, Jung-Bo,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3

        연구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고령인구 추이를 파악한 후 한국의 노인치과 교육의 현실을 조사하여 선진국의 노인치과 교육의 현실과 비교해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UN에서 제공하는 인구 데이터베이스, 고령친화산업 기초통계 자료 및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한국의 고령 인구 증가 추이를 파악하였다. 1980년 대 Ettinger에 의해 개발된 초창기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노인치과 교육 현황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한국의 각 치과대학에서 1명의 교수를 선택하여 노인치과에 관한 설문지를 보냈다. 설문지는 크게 학부과정의 노인치과학 교육 및 노인치과학에 대한 행정적 지원에 관한 주제들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정보는 회신된 설문지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유사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미국과 서유럽에서 보고된 논문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은 2005년 기준으로 고령화 사회에 이미 진입했으며, 2030년에는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24.3%를 차지하는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한국의 경우 11개 치과대학 중 7개 대학에서 학부과정에 노인치과학이 포함되었고, 그중2개의 대학에서만 이론 수업과 임상 수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특수화된 노인치과 클리닉을 운영하는 학교는 7개 치과대학 중 2개 대학에 불과했다. 한 편 미국의 54개 치과대학 중 53개에서 학부과정에 노인치과학을 포함하고 있었고, 36개 대학에서 이론수업과 임상수업을 병행하고 있었으며, 16개의 학교에서 특수 클리닉을 보유하고 있었다. 유럽의 27개국 82개의 치과대학 중 68개의 치과대학에서 학부과정에 노인치과학이 포함되어 있었고, 50개의 학교에서 이론수업과 임상수업을 병행하고 있었으며, 15개의 학교에서 특수클리닉을 보유하고 있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경우 비교적 다수의 학교에서 노인치과학을 정규 학부 과정에 포함하지 않은 상태였고, 다양한 임상 수업이 병행되지 못했으며, 특수 클리닉과 같은 시설이 부족했다. 결론: 한국의 치과대학에서 노인치과학 교육은 대체적으로 강의에 의해 이루어졌고, 임상 교육 프로그램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잘 조직화되지 못했다. 한국의 노인치과학 교육은 학문적으로나 행정적으로 아직 잘 정립되지 못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geriatric education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One of the faculty members related in geriatric education was selected in each Korean dental school and the questionnaire on geriatric dental education was sent to them by e-mail.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topics about undergraduate geriatric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geriatric educati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wa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 the aspects of curriculum, teaching methods, subjects, and existence of specific clinics, etc. Results: Seven schools have geriatric dentistry in undergraduate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ose, only two schools had it taught by theoretical lecture as well as clinical lecture. Two dental schools had specific geriatric clinic among seven dental schools. Compared with the USA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e geriatric dental education in Korea is at a developing stage and was perfunctory without diverse clinical experience. Conclusion: In Korean dental schools, geriatric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by lectures, and clinical teaching programs were not well organized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It seems that the status of geriatric dental education in Korea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academically or administratively yet.

      • KCI등재

        SLA 표면 처리 및 외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랜트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

        안희석,문홍석,심준성,조규성,이근우,An, Hee-Suk,Moon, Hong-Suk,Shim, Jun-Sung,Cho, Kyu-Sung,Lee, Keun-W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2

        골유착 개념에 기반한 치과용 임플랜트가 $Br{\aa}nemark$ 등에 의해 도입된 이후로 치과 치료에서 임플랜트를 이용한 방법은 장기적으로 높은 성공률을 보여 왔다. 임플랜트를 이용한 치료법이 상실된 치아의 수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면서 임플랜트를 이용한 방법을 선호하게 되었고 적용 범위 및 사용 빈도도 급증하였다. 예전에 비해서 국산 임플랜트의 사용도 증가하였으나 장기간의 임상적, 객관적인 자료를 가진 국산 임플랜트의 수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SLA 표면 처리 및 외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랜트에 관하여 18개월에서부터 57개월까지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네오플란트$^{(R)}$ 임플랜트 (네오바이오텍, 서울, 한국)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25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96개의 임플랜트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 중 남성의 평균 연령은 63.5세, 여성의 평균 연령은 44.3세였다. 진료기록부를 통해 성별, 연령, 무치악 유형, 식립 위치, 식립된 임플랜트의 직경 및 길이, 2차 수술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 임상적 합병증의 종류 및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분포 및 생존율의 차이와 함께 이들 항목이 변연골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25명에게 식립된 96개의 임플랜트 중 2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7.9%로 나타났다. 2. 정기검진이 가능했던 88개의 임플랜트에 대해서는 상악에서의 생존율이 96.2%, 하악에서의 생존율은 98.4%였고, 구치부에서의 생존율은 97.5%였으며 전치부에서의 생존율은 100%였다. 3. 보철물 장착 후 1년과 1년 이후의 연간 흡수량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변연골 흡수량이 많았다 (P<0.05). 4. 임플랜트 지지 보철물 후방에 자연치가 존재하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과 1년 이후 모두에서 연간 흡수량이 적었다 (P<0.05). 5. 보철물 장착 1년 이후의 연간 흡수량은 전치보다 구치에서 더 많은 변연골 흡수를 보였다 (P<0.05). 6. 악궁 간,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 2차 수술 여부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성별, 무치악의 유형, 악궁 내 위치였으며, 악궁 간,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 2차 수술 여부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최대 57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SLA 표면 처리 및 외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랜트의 임상적인 성공률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변연골 흡수량도 임플랜트 성공기준에 부합하였으나, 이보다 더 장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다양한 국산 임플랜트 시스템에 대한 중장기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Statement of problem: Since the concept of osseointegration in dental implants was introduced by $Br{{\aa}}nemark$ et al, high long-term success rates have been achieved. Though the use of dental implan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there are few studies on domestic implants with clinical and objective long-term data.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vide long-term data on the $Neoplan^{(R)}$ implant, which features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and external connection. Material and methods: 96 $Neoplan^{(R)}$ implants placed in 25 patients in Yonsei University Hospital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factors on marginal bone loss, through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during 18 to 57 month period. Results: 1. Out of a total of 96 implants placed in 25 patients, two fixtures were lost, resulting in 97.9% of cumulative survival rate. 2.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survival rates were 96.8% in the maxilla and 98.5% in the mandible. The survival rates were 97.6% in the posterior regions and 100% in the anterior regions. 3. The mean bone loss for the first year after prosthesis placement and the mean annual bone loss after the first year for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P<0.05). 4. The group of partial edentulism with no posterior teeth distal to the implant prosthesis showed significantly more bone loss compared to the group of partial edentulism with presence of posterior teeth distal to the implant prosthesis in terms of mean bone loss for the first year and after the first year (P<0.05). 5. The mean annual bone loss after the first year was more pronounced in posterior regions compared to anterior regions (P<0.05). 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was found in the following factors: jaws, type of prostheses, type of opposing dentition, and submerged /non-submerged implants (P<0.05).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marginal bone loss were gender, type of edentulism, and location in the arch, while the factors such as arch, type of prostheses, type of opposing dentition, submerged / non- submerged impla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ne loss. In the present study,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Neoplan^{(R)}$ implant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was 97.9% up to a maximum 57-month period. Further long-term investigations for this type of implant system and evaluation of other various domestic implant systems are needed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