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정교합자의 전치부 치아크기 부조화에 관한 연구

        남동석,김혁수,심혜영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Bolton 분석이 치아크기 부조화를 예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그 정확도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전치부 부조화가 나타나는 양상을 조사하고,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부정교합 (ClassⅠ, ClassⅡ, Class Ⅲ surgery)을 가졌으며, 교정치료를 마친 80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다. 치료 전 모형, 치료 후 모형으로부터 얻어진 셋업 모형, 그리고 치료 전후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전치부 Bolton ratio는 Bolton의 표본 및 한국인 정상교합자 표본과 비교해 보았을 때 평균, 표준편차, 범위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실제 전치부 부조화는 상악의 부족(deficiency)을 보이는 경우가 상악 과잉 (execess)을 보이는 경우보다 많았다. 전치부 Bolton ratio로부터 예측한 전치부 부조화는 셋업 모형을 통해서 얻은 실제 전치부 부조화와 비교해 보았을 때 차이를 보였다 (p<0.05). 성별 및 부정교합군은 실제 전치부 부조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수직피개와 상악 치아 절단연 두께는 실제 전치부 부조화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실제 전치부 부조화에는 치료 전 모형의 전치부 Bolton ratio, 치료 후 상악 전치가 교합평면과 이루는 각, 치료 후 절치간각, 치료 전 상악 우측 측절치 폭경 등의 요인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lton analysis is widely used to predict tooth size discrepancy, but its accuracy has been challe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rue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ies among orthodontic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affect true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ies. The subjects consisted of 80 patients with varying malocclusions (ClassⅠ, ClassⅡ, ClassⅢ and ClassⅢ surgery) who were treated orthodontically. Pre-treatment models. set-up models from post-treatment models,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s, the standard deviations, and ranges of anterior Bolton ratio in the present study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Bolton's samples and Korean normal samples.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maxillary deficiency was larger than that of patients showing maxillary excess in view of true anterior discrepanc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rence between anterior Bolton discrepancy from pre-treatment medels and true anterior discrepancy from set-up model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e anterior discrepancies among malocclusion groups (p>0.05). And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p>0.05). Overbite and the incisal edge thickness of maxillary anterior theeth have little relationship with true anterior discrepanc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ue anterior discrepancy was mainly determined by anterior Bolton ratio. upper incisor to occlusal plane angle after treatment. interincisal angle after treatment, and upper right lateral incisor width.

      • KCI등재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안면 연조직 계측 분석

        유형석,한수연,백형선,김기덕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최근 들어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진단기법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3차원적인 두개악안면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정 치료나 악교정 수술 후의 결과에 있어서 안면 연조직의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남자 12명, 성인 여자 11명의 CT 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V works 4.0 프로그램 (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CT 연조직 영상을 재구성한 후에 soft tissue Nasion을 기준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평면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정중선상의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등 8개의 계측점과 양측성인 Endocanthion, Alare lateralis, Cheilion, soft tissue Gonion, Tragus, Zygomatic point 등 총 20개의 재현 가능한 안면 연조직의 계측점을 지정하였으며 V surgery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이들 계측점의 3차원적인 좌표와 기준 원점으로부터 각 계측점까지의 Net (δ=√ (X^(2)+Y^(2)+z^(2)))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안면 연조직 분석의 3차원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계측점 간의 거리 계측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Na'-Sn과 En(Rt)-En(Lt)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측값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차원적인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이나 안면 사진으로는 정확한 계측이 어려웠던 Na'-Zy, Na'-Ch, Na'-Go' (facial depth) 등의 정상치도 구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부정교합 환자와 악안면 기형 환자의 3차원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ies for diagnostic analysis using three-dimensional (3D) CT images are recently in progress and needs for 3D craniofacial analysis are increasing in the fields of orthodontlcs.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In this study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Norms were obtained from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12males, 11 females) using a computer program named V works 4.0 program. 3D coordinate planes were established using soft tissue Nasion as the reference point and a total of 20 reproducible landmarks of facial soft tissue were obtained using the multiple reconstructive sectional images (axial, sagittal and coronal images) of the V works 4.0 program: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Endocanthion (Rt/Lt), Alare lateralis (Rt/Lt), Cheilion (Rt/Lt), soft tissue Gonion (Rt/Lt), Tragus (Rt/Lt), and Zygomatic point (Rt/L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landmarks and measuring method, the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measured and the normal positional measurements and their Net (δ=√ (X^(2)+Y^(2)+z^(2))) values were obtained using V surgery program. In the linear measurement between landmar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except Na'-Sn and En(Rt)-En(Lt). The normal ranges of Na'-Zy, Na'-Ch and Na'-Go' (facial depth) were obtained. which was difficult to measure by two-dimensional (2D) cephalometric analysis and facial photographs. These data may be used as references for 3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with malocclusion and dentofacial deformity.

      • KCI등재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와 타액오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변화

        김일규,남은혜,윤영아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접착 시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잡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 (SEP)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종류와 타액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비교 연구 하는 것이다. 소의 하악 영구 전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기존의 본딩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고, 타액 오염 유무에 따라 다시 각 군을 분류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진 접착제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인산 처리군에 비해 낮은데 비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 전처리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액 오염이 존재 시에는 SEP를 사용한 군이 인산 처리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P를 사용 시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타액에 오염된 치면에서도 SEP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hets depending on the variety of adhesives and whether saliva exists. by using self-etching primer (SEP).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adhesive into resin adhesive (Transbond XT) and resin-medified glass ionomer cement (Fuji Ortho LC). One group of resin adhesive used XT primer after etching with 37% phosphoric acid, and the other group used self-etching primer. One group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only used etching for bonding, and the other group used SEP. Each of the group were also classified by whether saliva was contaminated or not. and then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using resing adhesive. the shear bond strength of SEP was lower than the XT primer. In the resin-medified glass ionomer cement groups, the shear bond strength which depends on the priming method, did not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When saliva was contaminated. the group which used SEP, regardless of the adhesive variety, had a great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normal priming group. From these results, SEP showed a shear bond strength that is possible to be used clinically, regardless of the adhesive variety. It can especially be clinically useful to use SEP to bond brackets even on tooth surfaces contaminated with saliva, because it offers the appropriate bonding strength as well as shorter treatment time and easy application.

      • KCI등재

        Formulation of a reference coordinate system of threedimensional head & neck images : Part Ⅱ. Reproducibitity Ⅱ부 수평기준면과 정중사상면의 재현성

        Kim, Nam-Kug,Park, Jae-Woo,Chang, Young-Il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and to suggest a stable coordinate system for three-dimensional (3D) cephalometric analysis. Eighteen CT scans were taken and the coordinate system was established using 7 reference points marked by a volume model, with no more than 4 points on the same plane. The 3D landmarks were selected on V works (Cybermed Inc., Seoul, Korea), then exported to V surgery (Cybermed Inc., Seoul, Korea) to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s. All the landmarks were taken twice with a lapse of 2 weeks.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were constructed and its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s. But, FH planes were more reproducible than other horizontal planes. FH plan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planes constructed with 3 out of 4 points. The angle of infersection made by 2 FH planes, composed of both Po and one Or showed less than 1° difference. This was identical when 2 FH planes were composed of both Or and one Po. But, the latter cases showed a significantly smaller error. The reproducibility of the midsagittal plane was reliable with an error range of 0.61 to 1.93° except for 5 establishments (FMS-Nc, Na-Rh, Na-ANS, Rh-ANS, and FR-PNS). The 3D coordinate system may be constructed with 3 planes; the horizontal plane constructed by both Po and right Or; the midsagit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cluding the midpoint of the Foramen Spinosum and Nc; and coron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nd midsagittal planes, including point clinodale, or sella, or PNS. 본연구는 삼차원 두부 영상을 위치시키기 위한 좌표계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하기 위해, CT data에서 기존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쓰이는 점들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평, 수직평면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18명의 CT자료를 채득하였으며, 모든 환자는 서울대학교 병원 진단방사선과에서 촬영하였다. (Somatom Plus 4: Siemens, Eriange, Germany). V works for surgery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차원 좌측표를 선정하고, 계측점을 선택하였다. 좌표축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7개의 점(reference point)을 4·4·2 pixel size의 voxel로 따로 표시하였다. 계측점을 선정한 후 V surgery (Cybermed Inc., Seoul, Korea)에서 각 점의 좌표값을 추출하였다. 각각의 점들은 2회 반복 선정한 후 점들을 조합하여 수평, 수직평면의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수평 기준면의 재현도는 S-CI평면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잇각은 FH평면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FH평면은 Po과 Or중 어느 3점을 선택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사한 재현도를 보였다. FH1과 FH2의 사잇각과 FH3과 FH4의 사잇각은 1° 이하의 적은 오차를 보이며, FH3과 FH4의 사잇각이 통계적으로 더 작은 차이를 보였다. 정중시상면의 재현도는 FMS-Nc, Na-Rh, Na-ANS, Rh-ANS, FR-PNS를 기준으로 설정한 경우를 제외하면, 0.61~1.93° 의 양호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공간에서 정의되는 평면의 재현도는 평면을 정의하는 점 자체의 식별오차뿐 아니라, 각 점의 위치관게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안정적인 3차원 기준좌표계를 구성하려면 양측 Po과 편측 Or으로 구성되는 평면을 수평기준면으로, 수평면에 수직이고, Foramen Spinosum의 중점과 Nc를 포함하는 평면을 수직기준면으로, 수평면과 수직면에 수직이고, clinoidale나 sella, PNS를 지나는 평면을 전두면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상악 구치부 회전양상의 평가

        이성근,정득룡,장연주,전윤식,정상혁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의 중첩만으로는 교합평면상의 치아이동을 알 수 없으며, occlusogram 역시 촬영 및 중첩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3차원 영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첩된 영상을 통해 상악 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 구치부 회전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여성 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치료 전 석고모형 및 치료 완료후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상악 경구개면을 기준으로 두 영상을 중첩한 다음, 치료 전후의 상악 구치부의 회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치부의 회전 양상은 매우 다양하였다. 그 주요 원인은 치료 전 상악 구치의 다양한 회전 상태와 치열궁 및 치아의 형태학적인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발치공간 폐쇄 시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 양상을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치료 전후에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을 초기 배열 전후의 구치 회전,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구치 회전, 그리고 마무리 단계 전후의 구치 회전으로 세분하여 평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Cephalometric superimposition is unable to evaluate tooth movement along the occlusal plane and the errors of photographing and superimposition of the occlusogram is also inevitab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following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f maxillary first premolars, using 3D dental images. In 19 adult females, analysis of rotational movements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was performed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3D dental images superimposed on the maxillary hard palate. The results showed a diversity of rotational movements of posterior teeth. The causes of various rotational movements may be different rotation of molars in each cas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individual characters of the dental arch and tooth morph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curate evaluation of retational movements of posterior teeth following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f premolars using 3D dental image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ubdivision of tooth movement during the initial aligning, space closure and finishing stages.

      • KCI등재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 강도

        임용규,조지영,이동렬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according to different light sources (halogen-based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malgam surface treatments. Ninety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4 experimental and 2 control groups) of 15 by light sources and surface treatments.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and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with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to amalgam surface was 3-5.5 MPa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acid-etched enamel (19 MPa) control. In the sandblasted amalgam surfac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halogen ligh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ED group (p<0.05) but, in the non-treated amalgam surfa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s (p>0.05). Within the same light source. sandblast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adhesive bonded to amalgam surface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s in acid-etched enamel control groups. This results suggerst that there can be a limit in using light curing adhesives when brackets are bonded to an amalgam surface. Additional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before routine use of halogen light and LED light curing units can be recommended in bonding brackets to an amalgam surface.

      • SCOPUSSCIEKCI등재

        Nonextraction treatment of Class Ⅱ division 2 in an adult patient using microimplant anchorage (MIA)

        Chae, Jong-Moon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intruded and lingually root torqued with two maxillary anterior microimplants between the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Overerupted maxillary canines were intruded with two other microimplants between the maxillary canines and first premolars. Maxillary posterior teeth and canines were distalized, then the maxillary incisors were retracted with two maxillary posterior microimplant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s.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intruded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were extruded with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nterior bite plane, intrustion arch and Class Ⅱ elastics. The mandible moved slightly forward after the correction of deep bite and retroclination of the upper incisors. Consequently, microimplant anchorage (MIA) provided absolute anchorage for simultaneous correction of Class Ⅱ canine and molar relationships and deep overbite. 상악 측절치와 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implant를 이용하여 상악 전치의 함입과 설측으로의 치근 이동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상악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implant를 이용하여 과맹출된 상악 견치를 함입시켰다. 또한 상악 제1,2대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implant를 이용하여 상악 견치 및 구치의 후방 이동 및 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을 시행하였다. Anterior bite plane과 intrusion arch, 그리고 Ⅱ급 고무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하악 전치의 함입 및 구치부의 정출을 얻얼 수가 잇었으며, 과개 교합 및 상악 전치의 설측 경사가 해소 되면서 하악골이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였다. 이와 같이 MIA는 Ⅱ급 2류 부정교합 환자에 있어서 Ⅱ급 견치 및 구치 관계 그리고 과개교합을 동시에 해소 하는데 절대적인 고정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셋업 모형 제작의 정밀도

        배기선,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치아 모형 및 셋업 모형에서의 정확한 순설측 및 근원심 경사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셋업 모형 측정기로 4개의 제1소구치 발거 후 설측 교정치료를 시행 받은 22명의 성인 환자들의 치료 전후의 진단 모형 및 셋업 모형을 계측하여 설측 교정치료에서 간접 접착술식을 위해 사용되는 셋업 모형의 형태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전 진단 모형과 셋업 모형간의 상하악 6전치의 순설측 근원심 경사 차이는 각각 -3.93 ± 6.98°, 1.87 ± 5.79° 였으며 셋업 모형과 치료 후 치아 모형간의 차이는 -4.31 ± 5.91°, -2.16 ± 3.27°였다. 치료 후 치아 모형에서는 치료 전에 비해 상하악 전치부의 순설측 경사가 -8.24 ± 5.39°만큼 유의성 있게 변화되었다. 또한 facebow transfer 등을 통해 교합기에 치아 모형을 거상하지 않고도 셋업 모형 측정기만으로 치아 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서로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그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진단용 모형으로부터 측정한 계측 게이지 각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 동일한 계측점과 선분들을 작도하여 측정한 산술 게이지 각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상하악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치들을 진단용 모형에서의 계측치와 서로 연계시켜 분석하고 이를 셋업 모형 제작 시 반영하는 방법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Making a precise and ideal set-up model is an essential part in the indirect bonding procedure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aking a set-up model, 22 adult patients who received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with 4 bicuspid extractions were selected, and 3 sets of dental models (before, set-up, and after treatment) were measured using the set-up model gauge,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incllnation and acgulation of the clinical crowns on the dental model. Two sets of lateral cephalograms (before and after) from each patient were also evaluate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before treatment model and the set-up model was -3.93 ± 6.98° for the inclination and 1.87 ± 5.79° for the angulation.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et-up model and the after treatment model was -4.31 ± 5.91° labiolingually and -2.16 ± 3.27° mesiodistally. The after treatment model differed from the before treatment model about -8.24 ± 5.39° in inclin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gauge that measured from the dental model using the set-up model gauge and the calculated gauge angle measured from the lateral cephalogram using constructed points and lines. Using the set-up model gaug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study model 3-dimensionally in relation with the patient's lateral cephalogram and establish whether the doctor's prescription or overcorrection is built in the set-up model preci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