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정선아,홍덕기,이충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을 확인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41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6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 역할 관련 10 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 20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 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는 죽음에 대한 준비, 통증 예방과 감소, 삶의 질 순서로 높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낮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와 교육과정에 대 한 필요성은 높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견해 및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y confirming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nviron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6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hospice·palliative care, 20 questions on knowledge measurement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5 questions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palliative care .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y, frequency, and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y rol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measur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 The priority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pare for death, pain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Overall awarenes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ow, and the need and curriculum for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high. Comparative analysi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inion and level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duct related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에서 사례관리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역할 : 조사연구

        김아영,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 야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사례관리에 대한 설문 문항은 국내외 문헌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으며, 지역사회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사 145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신된 설문지 중 정보가 불명확한 12부는 제외하여 총 133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다중응답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사례관리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으나, 사례관리에 대한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 다수는 사례관리 경험(83.5%)이 있었으며,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직종에 작업치료사(31.7%) 가 포함되었다. 사례관리자로서 작업치료사의 강점은 사정(28.1%), 직접개입(23.3%)과 같은 직접 서비스에 대한 인 식이 높았다. 사례관리자로서 작업치료사의 약점은 행정업무(21.0%), 서비스 연계(19.6%)와 같은 간접 서비스로 나 타났다. 사례관리에 대한 교육 경험은 대부분이 없다(71.4%)고 응답하였으며, 교육과정 개발(83.5%) 및 보수교육 (78.9%)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되는 환경은 작업치료 필요성 인식 저하(29.6%)가 높은 빈도를 보였고, 필요한 환경에서는 작업치료 업무 및 역할 인식 확대(27.2%)가 높 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 결과에서는 서비스 실행 역할의 일상생활 훈련(4.74점)과 사정 역할 의 작업수행 분석 및 평가(4.64점), 사정 및 중재 계획 수립(4.63점)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역할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작업치료사가 사례관리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지원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 며,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awareness and role of case management among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establish basic data on case management in the field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Questionnaires on case management were produced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5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community organizations. Among the returned questionnaires, a total of 13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12 with unclear inform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Although there was general awareness of case management and the need for it, expertise in case management was found to be low.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83.5%) in case management , and expert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cluded occupational therapist(31.7%). The strength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case managers was their high awareness of direct services such as assessment(28.1%) and direct intervention(23.3%). The weakness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case managers were indirect services such as administrative duties(21.0%) and service linkage(19.6%). Mos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d no training experience on case management(71.4%), and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ment(83.5%) and continuing education(78.9%) was very high.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the most important roles were ADL training(4.74 points) in the service execution role. In the assessment role, the import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order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4.64 points) and establishing a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lan(4.63 points). Conclusion : In order for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s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as case management experts, systematic suppor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necessary, and continuous research related to this needs to be conducted.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 조사

        강대혁,김진경,이주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 작업치료(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EBOT)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조사연구를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보수교육과 이메일을 통해 작업치료사들에게 배부된 20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16부(56%)를 기술통계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치료사들 대부분은 EBOT가 작업치료에서 중요하고(84%), 임상에서 과학적인 근거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85%)이라고 응답 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6%(7명)만이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근거를 적극적으로 임상에서 적용한다고 하였고, 자주 임상 연구를 기초로 치료를 결정하는 치료사도 11%(13명)에 불과하였다. EBOT 적용을 위한 치료사들의 기초 능력을 묻는 항목에서는 치료사의 12%만이 논문 검색 전 임상문제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고 하였고, 발표된 연구에 대한 비평(17%)과 자신의 치료에 대한 객관적 평가(28%)가 치료사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경력과 최종학력에 따라 EBOT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67%의 치료사들은 새로운 근거를 기준으로 자신의 치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교육의 기회가 된다면 참석하겠다는 치료사들이 81%를 차지하여, 앞으로의 EBOT의 임상 적용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가 보다 경쟁력 있는 전문가가 되고 작업치료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학술논문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필수적으로 작업치료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고, 보수교육이나 학회, 세미나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작업치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이의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o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EBOT). Methods : A self-administering written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this survey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8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ttended at continuing education workshops and responded through E-mail between March and June in 2006. One hundred sixteen responses were return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cross-tabulations. Results : Majority(84%)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EBOT was important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85% expressed that EBOT would help OT practice. Only 6% of the therapists answered that they actively incorporate research evidence into practice and 11% of the therapists were applying research evidence to their clinical decision making. On the questions of basic skills for EBOT, 12%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generate clinical questions before searching database and a little number of therapists felt confident that they have critical appraisal skills(17%) and objective self-evaluation skills of their own practice(28%).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on the perception of EBOT based on academic degrees and clinical experiences. However, 67%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change their practice in response to new evidence and 81% of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EBOT workshop indicating good potential to adopt EBOT to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felt that EBOT was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but they needed to enhance skills and knowledge of EBOT.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incorporate EBOT into OT curriculum and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n EBOT to ensure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 경북지역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강석구,이춘엽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 경북지역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지역의 14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04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편차,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이 작업치료를 처음 받은 시기는 평균 3.25세, 작업치료서비스를 받아 온 기간은 평균 31.84개월 이었고, 작업치료를 이용한 주된 동기는 어린이집 상담을 통한 것이 40.4%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이 외 받는 서비스는 언어치료가 78.0%로 가장 많았고, 작업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필요가 69.3%로 가 장 많았다.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작업치료사의 태도가 평균 4.49점이었고, 작업치료 프로그램 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36점이었으며, 작업치료실의 환경이 평균 4.26점으로 작업치료사의 태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시각으로 작업치료를 볼 수 있었고, 보다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작업치료가 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disabled in Gyeongbuk.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parents who have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at 14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disabled in Gyeongbuk.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July, 2014 to March, 2015. Descriptive statistics of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ANOVA study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 Disabled children got occupational therapy at first when they were 3.25 years, on average. Du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use were 31.84 month, on average. The subjects determined to got occupational therapy mostly through consultation nurseries(40.4%). Most of them got speech therapy(78.0%) other than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responded very necessary to occupational therapy(69.3%).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were 4.49 point at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4.36 point a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4.26 point at environment of occupational therapy room.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the highest satisfied. Conclusion :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and meaningful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objective view.

      • KCI등재

        작업치료 중재가 노인의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문영,정혜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4

        목적 :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 유무에 따른 대상자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체계 내에서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치료 중재를 받은 5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지 않은 5명을 대상으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작업치료사가 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9월부터 12월까지였다. 대상자의 만족도 측정을 위해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작업치료 비중재 집단 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복지용구 기기에 대한 항목 중 효과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1). 복지용구 서비스에 대한 항목에서는‘수리와 유지관리 서비스’항목(p=.02)과‘전문가 서비스의 질’항목(p=.0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급여 서비스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대상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기초로 복지용구급여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self-care training 치료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곽호성,정봉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self-care training) 치료과 정 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자기관리훈련에 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은 무엇인지 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지닌 치료사들의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신규 작업치료사들이 자기관리훈련에 대한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 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가 사용하고 있는 자기관리훈련 치료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 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심층 설문지와 인터뷰를 병 행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토대로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크게 4가지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연령별 치료대상에 대한 치료전략을 아동과 성인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치료환경구성에 따른 치료전략을 클라이언트의 가정과 치료실에서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었다. 세 번 째로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따른 치료전략 설정에서 작업에 기초한 치료를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 전략을 사용하였다. 네 번째는 자기인식을 통한 치료전략 중 동기부여 과정에서 서로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인식을 달리 하였다. 결론 : 자기관리훈련은 단순히 환자를 대상으로 ADL 훈련을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령별 치료대상, 치료 환경구성, 작업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클라이언트의 자기인식의 네 가지 항목별 치료전략을 이해하고 클 라이언트 연령 및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자기관리훈련 치료 전략을 설정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 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self-care train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loring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erspectives in self-care training Method : A phenomen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use of self-care training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different setting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by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and survey. Result : The self-care training strategies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summarized to four main themes; 1. Different strategies for different age group, 2. Design therapeutic strategy rely on client’s natural environment, 3. Use of theoretical background: occupation-based or client-centered, or both. 4. Use of self-awareness stragety; using different method to reflect self-awareness. Conclusion : The self-care training is not just simply conduct ADL training but understanding client’s age, environment,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lf-awareness of the client. Through eatablishing understandable self-care training strategy according to client’s age and environment, the more effective self-care training would be possible.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 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7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편마비’, ‘단일대상연구’, ‘단일사례연구’, ‘응용행동분석’ 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쳐 총 24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ABA설계가 가장 많았다. 1명이 12(50.0%)으로 가장 많았고, 3명이 8(33.3%)으로 두 번째 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으로는 상상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상지기능과 편측무시가 가장 많았다. 또한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연하 곤란’, ‘시각-운동 협응’, ‘균형능력’, ‘일상생활활동’, ‘부종’ 등의 다양한 목표행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종속 변인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수준은 1개 연구를 제외한 연구들이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수행 시 갖추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분석하였다는 것에 학문적의의가 있고, 후속연구에 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나 임상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미약하나마 근거중심 설계를 확립하여 양질의 단일대상연구를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a single target study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Bpia (DBpia), RISS (Rad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formation (K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s original case study from 2002 to 2017. A total of 24 single target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to analyze the quality level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Results : ABA design was th most common study design method. One person was the most with 12(50%). and three were the second with 8(33.3%). Imagination was the most used as an independent lawyer. Dependent variables had the highest level of situability and one-sidedness.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a variety of target behaviors, including 'memory', 'visual attention', 'dysphagia', 'visual-motor coordination', 'balance', 'activity of daily life' and 'edema' behaviors. It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level was found to be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except for one study. Conclusion : It i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to be prepared for in the performance of a single target study and further studies may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a weak but good-quality single target study for researchers conducting research in local communities and clinical sites.

      • KCI등재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보호자간 비교연구 : IPA를 중심으로

        곽나임,이춘엽,홍기훈,김지훈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와 보호자가 생각하는 일상생활활동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50명과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보호자 90명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작업치료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3rd edition; OTPF-3rd edition)에 포함된 일상생활활동훈련치료의 내용을 기준으로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중요도-만족 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중요도가 높으면서 보호자의 만족도도 높은 지속유지 항목은 목욕·샤워하기, 옷 입기, 먹기, 식사하기, 기능적 이동, 몸단장, 타인 돌보기, 의사소통 관리, 운전 및 지역사회 이동, 식사 준비와 정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가 높지만 보호자의 만족도는 낮은 집중노력 영역 항목은 화장실 사 용 및 위생, 개인 용품 관리, 안전 및 응급상황 관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와 보호자의 만족도 모두 낮은 점진개선 항목은 성적 활동, 반려동물 돌보기, 아이 양육, 재정 관리, 건강관리 및 유지, 집안 관리 및 유지, 쇼핑 요인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으나 보호자의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과잉 항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보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작업치료사가 일상생활활동훈련 치료 시 치료의 우선순위를 고려할 때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치료 제공으로 환자 및 보호자의 작업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ompar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ought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arer. Methods : This study surveyed 150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and 90 carers of pati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at hospitals.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ed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3rd Edition (OTPF-3rd Edi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 Keep up the good work items with high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high satisfaction of carers were found to be factors such as bathing/showering, dressing, swallowing/eating, feeding, functional mobility, personal hygiene, grooming, care of others, communication management, driving and community mobility, meal preparation, and cleanup. Intensive effort area items with high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w satisfaction of carers were found to be factors such as toilet use and hygiene, personal device care, and safety and emergency maintenance. Low priority items with low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w satisfaction of carers were sexual activity, care of pets, child rearing, financial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 hom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shopping. There were no possible overkill items with low importa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high satisfaction. Conclusion :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arer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s study provided the necessary evidenc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onsider the priority of treatment wh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carers with occupational therapy by providing more efficient treatment.

      • KCI등재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배수빈(Su-Bin Bae),신채림(Chae-Rim Shin),서효원(Hyo-Won Seo),이민경(Min-Gyung Lee),김은택(Eun-Taek Kim),감경윤(Kyung Yoon K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O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s :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13, 2023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bout AOT among 55 students majoring in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online survey was formulated in Korean and Englis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of AOT?”, 65.5% of Korean students answered yes and 58.2%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answered no.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score for the question “Can AO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eenag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for “Is AOT sufficiently advanced in your country?” was the lowest. For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of AOT,” the scores for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Conclusion : Students in both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OT, but there were differences noted in terms of prospects of th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