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학의 출현과 그 의의

        김정명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was to fin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Kinesiology as an academic alternative of Physical Education with recent establishment of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METHOD] The discussion was threefolded as follows: 1)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disciplinary move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past, 2) to review critically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ians and professionals, and 3) to suggest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Kinesiology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physical education. [RESULT]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itnessed pros and cons in the radical disciplinary movements of physical education. Especially the gap between academic community and physical education fields was an inevitable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AAPERD) developed itself focusing on the practical base rather than the academic, delivering their original foci on academic disciplinary movements to American Academy of Kinesiology and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AAHPERD was composed with 5 sub-field assoc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and an integrative research consortium, while AAKPE(NAK) had 13 academic sub-disciplines. In contrast, KAHPERD stuck to the original focus on the academic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ently maintaining 15 academic sub-fields similarly to NAK. The practical demand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ould be rarely satisfied under the circumst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Kinesiology' in Korea whose academic focus is 'exercise' (or human movement) should be regarded as a practical discipline making the regulated health professionals as in Canada. [서론] 이 논의의 목적은 운동학회의 창립으로 구체화하기 시작한 학문적 대안으로서 ‘운동학’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과거 체육의 학문화 과정상 제기되었던 문제를 짚어보고, 둘째, 체육의 학문화와 체육현장의 관계를 문제의 시각에서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운동교육의 실용학문적 대안으로서 ‘운동학’의 위상이 갖는 의의를 제시하였다. [결과] 지난 반세기 미국과 한국에서 일어난 체육의 급진적 학문화 흐름에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같이 노출되었다. 무엇보다 학문화로 인한 현장과의 괴리가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의 극복을 위해 학문화를 주도하던 미국체육학회(AAHPERD)가 학문적 초점의 문제는 전국운동학회(NAK)로 넘기고 그 실용적 기반에 초점을 맞추어 학회를 발전시켜왔다. 그 결과 하위분과에 5개 현장협회와 하나의 리서치 컨소시엄이 형성되었고 NAK는 운동학(Kinesiology)에 초점을 맞추어 분과학문을 편성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체육학회는 미국의 NAK와 유사하게 학문중심의 분과학회를 구성하고 있지만, 학회와 현장과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북미의 운동학과 같이 운동에 학문의 초점을 두고 형성된 한국에서의 운동학은 캐나다의 경우와 유사하게 건강의 한 분야를 책임지는 실용 학문적 기반이 되어 운동교육 분야 전반의 발전에 이바지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류부호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us.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exercise group(n=8), and control exercise group(n=8).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for 60 min(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for 30 min and resistance exercise 30 min) per day, for 3 day per, 8 weeks.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8 weeks from each groups. [RESULT] First, The weight, %fat,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Secon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But C-reactive protei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exercise program. Third, The physical fitness(VO2max,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has beneficial effects on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서론] 본 연구는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 16명이며, 이 중 운동군(n=8)과 대조군(n=8)으로 구분하여 신체계측, 혈압과 혈액 검사 및 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군은 8주간, 주 3회 복합운동으로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또는 자전거 타기를 30분간 실시하였으며, 저항성 운동은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신체 주요 근육 부위별로 3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군의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공복 혈당 및 당화혈색소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군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감소 및 지질대사(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는 개선되었지만 CRP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군의 VO2max, 근력, 각근력 및 근지구력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합운동은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감소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낮추며 체력 증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직장 여성들의 운동실천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건강

        김은혜,이현영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3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according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of working women. [METHOD ] Participants were 405 working women and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VERSION 18.0 program, such as Cronbach's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post-hoc of Scheffe. [RESULT] It was found that positive exercise behavior in 40s age, married women, Office women, graduates women,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In particular, number of professional women were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working experience and salary were participating regularly in exercise. Sub-factors of job stress in response to exercise behavior level of working women,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factors of relationship conflict becomes clear, high clearly at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than the stage of contemplation was found. Psychosocial health was found that stage of maintenance was lower tha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of Working Women. also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previous finding of Psychological effects of exercise. [서론] 이 연구는 직장 여성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실천수준 양상, 운동실천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건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수도권 직장 여성 405명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 있는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ronbach`s Alpha,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사후 검정 Scheffe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직장 여성들의 운동행동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40대에 운동에 대한 실천행동이 두드러졌으며, 미혼자들보다 기혼자들이, 직업적으로 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운동에 대한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직의 운동행동은 준비단계에 머물러 있는 여성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졸 직장여성에게서 운동에 대한 준비와 실천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직장 근무경력과 월평균 수입이 높은 여성들의 운동 실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여성들의 운동실천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서는 관계갈등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관심단계보다 무관심단계에서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심리적 건강은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집단보다 운동에 전혀 관심이 없는 집단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직장여성이 운동에 전혀 관심이 없는 직장여성들 보다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운동의 심리적 효과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 지역보건소와 대학 운동처방 연구실과의 지역운동 활성화 작업 연계 및 성과

        조지훈,임은정,최은수,배윤정,이운용,서혜욱,이대택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현재의 산업사회에서는 신체활동 감소와 과다한 영양섭취로 인해 각종 성인병이 만연하여 사회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운동, 보건, 영양, 금연, 절주 등의 사업을 추진하여 국민의 건강 유지 및 증진 효과를 배가 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운동 실천율 증가를 위한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리고 강북구 보건소에서는 국민대학교 운동생리학 연구실과 협력하여 걷기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총 6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첫째, 기초자료를 수집. 둘째, 조사결과 분석. 셋째, 주요전략수립. 넷째, 사업수행 진행 도구개발. 다섯째, 프로그램 진행. 여섯째, 사업평가의 순으로 2002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강북구 주민이었으며,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에서는 1015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법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운동참여욕구에서 약 61%로 매우 높게 나온 반면, 운동참여의 장애요인으로 시간이 없어서, 게을러서, 운동을 같이할 친구가 없어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이러한 장애요인 극복을 위해 누구나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걷기운동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지역주민 운동실천율 증가를 위한 주요전략 수립 및 사업수행 진행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주민을 위한 걷기 동아리구성, 홍보를 위한 지역신문 및 유선방송 공익광고구성, 만보기, 도로표지판, 운동기록지, 운동책자등 사업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사업도구를 이용하여 걷기 운동 인식율, 걷기 운동 시작율, 걷기 운동 유지율 증가 등의 운동실천율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후 운동실천율 증가를 위한 도구로는 홍보, 만보기, 걷기운동, 표지판 등이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진행 전과 후의 걷기 운동 인식율에 있어서는 17.9%에서 23.2%로 사업수행 후 걷기 운동 인식율이 증가 했다고 볼 수 있다. 걷기 운동 시작율에 있어서는 20%에서 17.9%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걷기 운동 유지율은 47.7%에서 50.9%로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보건 수범사업평가대회에서 최우수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앞으로 이 사업의 보다 활성화를 위하여 사업도구를 연령을 고려하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며, 대학 운동처방 연구실과 지역보건소와의 적극적인 연대관계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시범모델로서 전국주민들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건강운동전문가 제도 도입과 국가지원정책의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홍용,박철호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3

        [INTRODUCTION] In modern life, exercise is necessary in order to restore an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eople. The demand for Exercise specialists who lead people to a safe and appropriate exercise considering the effect and the method of it have been increased. The introduction of the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has been attempted continuously since the mid-1990s in Korea. However, in various circumstances it has not yet been created by law. [MAIN ISSUE] Many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the system of Exercise Professional. Among them, Japan has established the law on the system of Health and Exercise Experts in the late 1980s. We should investigate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legislation on the exercise specialist system of Japan because we also need to introduce that system in our society. In this article some issues about the situation of legislation and system operating in Japan are examined in the legal perspective. [CONCLUSION] The enactment of the legislation is necessary for domestic introduction of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most appropriate as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at system than any other state agencies, the patients including healthy people should include as care target by Exercise Professional. And in legislative activities for domestic introduction of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adjacent vocational experts such as medical professionals etc. After the introduction of such system, stable financing plan is necessary for it. [서론] 현대생활에 있어서 운동이 국민 건강의 증진과 개선에 필요하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운동의 방법이나 효과를 감안하여 국민 개개인에게 안전하면서도 적절한 운동을 지도해 줄 전문가로서 운동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위한 입법활동이 199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아직까지 법제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론] 세계 각국은 운동전문가에 관한 제도를 이미 마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법제와 비슷한 일본의 경우 1980년대 후반에 건강운동전문가 제도를 입법화하였다. 운동전문가 제도의 법제화를 시도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 일본의 법제화 과정과 내용을 되짚어보고 향후 국내 입법활동에 반영할 시사점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입법과 제도 운용상황에 대하여 법적인 시각에서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결론] 국내 운동사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법령의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운동사의 관할 기관으로 보건복지부가 적합하고, 운동서비스 등의 대상으로 질환자까지 포함되어야 하며, 법제화를 위한 활동에 의사와 같은 인접 직역의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고, 제도 도입 후에도 안정적인 재원확보 방안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이 인정되었다.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역할 탐색

        정덕조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re is the increasing needs for personal trainers, with expanding demands that exte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professional trainers generally lack adequate scientif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ould result in poor decision making by these exercise special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du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and training requirements that are required to better support their actual responsibilities. [METHOD]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changing demands placed upon personal trainers and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educational improvements. [RESULT] The study found wide variation i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held by personal trainers. This variation in job responsibilities indicated the lack of a standard definition for the duties of a personal trainer. This wide variation of duties across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impedes the attaining of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at need to be supported. The indication is that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would benefit from a systematic approach to accumulate a common body of knowledge that identifi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Further, by identifying these responsibilities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academic training that would enhance their performing of these dut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trainer’s role would serve to avoid confusion regarding job responsibilities and could elevate personal training to be a professional job. [CONCLUSION] Clarification of job responsibilities, and additional training that includes related medical education, would significantly improve job satisfaction. Personal trainers require addit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include: professional development, client counseling, management of clients, and medical training.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certification for personal trainers would be an important step towards improving the personal trainers’ economic and social role within the law. [서론]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학문적 개념정리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상태에서 비과학적이고 비전문적인 퍼스널트레이닝의 양적 팽창과 지속적인 수요가 이루어졌지만,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전문적인 역할과 직역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마련되지 않아 차후 운동전문가에 대한 불신이 깊어질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퍼스널 트레이너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갖추어야 할 것들과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한 논의를 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퍼스널 트레이너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퍼스널 트레이너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검토와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지금까지도 퍼스널 트레이너는 직무의 범위나 직역이 확립되지 않아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체계적인 지식을 통해 더욱 과학적으로 고객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스스로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학문적인 발전을 통해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퍼스널 트레이너 역할에 대한 교육이 전문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새롭게 시작되는 전문직에 대한 건전한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고 더더욱 많은 혼란과 부작용이 야기될 것이다. [결론]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직업의식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도 필요하며, 몸을 다루는 운동전문가로서의 의학적 소양도 갖추어야 한다. 앞으로,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지식 함양, 고객상담 및 관리 능력 신장,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매너나 태도 교육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률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국가공인 취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Lateral Meniscus Tear Rehabilitation <Case Study>

        김우원,고필주,임미영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인간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여가를 선용하거나,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운동 선수들을 비롯하여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스포츠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과도한 경쟁과 무리한 신체 활동으로 인해 슬관절(Knee Joint) 손상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슬관절 손상은 일상생활능력을 저하시키고, 체력을 급격히 감소시키게 된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슬관절 손상에 대한 치료 방법에 있어서 재건술과 같은 수술이나 관절경과 같은 시술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재활운동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강도와 운동량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최근 체육학자들에 의한 슬관절 손상에 대한 연구들의 경우 전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 아닌 등속성 장비에 의한 효과만을 검증하는 수준으로 끝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외국의 재활운동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적용한 경우 한국인의 실정과는 조금은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사례연구는 외측 반월상 연골의 손상을 입은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약 8주간 실시한 본 센터의 재활운동프로그램과 슬관절 손상에 있어서 인대 손상과는 차이가 있는 반월상 연골 손상의 재활운동프로그램 지침을 소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선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활운동프로그램의 지침과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토대로 얻은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절의 가동 범위는 환측과 건측 모두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127°정도로 나타났다. 2. 근력(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각속도 60°/sec에서 검사)은 신근력의 경우 건측에 대한 환측의 결손율 변화가 54.7%에서 7.4%, 굴근력은 60.0%에서 9.7%로 향상되었다. 3. 무릎의 안정성에 대한 지표로 가장 흔히 사용되어지는 H/Q Ratio의 경우 환측 무릎의 변화는 각속도 60°/sec에서 45.1%에서 66.8%로 향상되었고, 건측 무릎의 경우에는 51%에서 54%로 향상되었다. 4. 부종 방지 및 퇴행성 관절염의 발병과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체중 감량도 함께 실시한 결과 BMI(Body Mass Index)가 25.6lg/m2에서 24.9kg/m2으로 감소하였다.

      • KCI등재

        저항성 운동에서 Valsalva Maneuver 호흡기법의 효과와 위험성

        이명천,김주영,김승현,양상진,이용수,한아름,이건재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2

        [INTRODUCTION] The pressure in the abdomen and the thoracic with closing the glottis by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is often used for resistance exercise. Since both advantageous effects and risks have variously been repor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is still in the middle of controversy. [METHOD] This study includes previous studies dealing the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and other issues regarding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to its effects, risks and recommendations. [RESULT] In resistance exercises, this respiration technique increase the stability of spine, so it helps for the person to lift heavy weight, therefore, resistance exercise skills are effectively performed and risks of injury is reduced. However, this respiration technique has the risks such as rapid change in blood pressure, eye diseases, change in amount of cerebral blood flow, and increase of intracranial pressure. [CONCLUSION] An exercise specialist must educate the basic respiration technique to the exercise participants before starting the resistance exercise and can effectively deliver the recommendations related to the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And the exercise specialist should accurately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medical history through the counseling and should consider the individuality in applying the Valsalva maneuver respiration technique to different participants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in doing exercise and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s. [서론]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은 성문을 닫고 흉곽과 복부의 압력을 높이는 것으로 저항성 운동에서 많이 사용된다.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에 대한 효과가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위험성 또한 보고되고 있어 아직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의 기전에서부터 효과, 위험성, 권고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저항성 운동에서의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은 척추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며 저항성 운동 기술의 효과적인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부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급격한 혈압 변화, 안과 질환, 뇌혈류 변화 및 뇌압 상승 등의 위험성 또한 가지고 있다. [결론] 운동사들은 저항성 운동 전 반드시 운동 참여자에게 기초적인 호흡기법부터 교육해야 하고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과 관련한 권고사항을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운동 참여자와의 상담을 통해 병력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발살바 메뉴버 호흡기법의 적용에 있어서 개별성을 고려해야 저항성 운동에서의 안전뿐만 아니라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체중유지전략으로서의 운동의 효과 및 운동지속에 도움이 되는 전략

        허시영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비만환자가 체중감소를 목적으로 식사와 운동 양상을 변화시킬 수는 있지만 아주 소수만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한다. 만약 감소한 체중을 유지할 수 없다면 치료는 일시적인 감소를 제공할 뿐이고 오히려 연이은 체중의 재중가가 체중 순환을 유발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인 문제를 만들 것이다. 1992년 의도적인 체중감소와 조절에 대한 방법(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의 제목으로 발간된 미국 국립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기술평가회의 보고서에서 미국인의 1/4-1/3이 과체중이며 미국 여성의 약 40%, 남성의 24%가 체중감소를 시도하고 있고 체중감소 방법은 다이어트를 비롯해 운동, 행동요법, 약물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런 방법에 의해 1년 안에 원래 체중의 평균 10% 정도의 체중 감소 효과가 있었고 이중 1년 안에 1/3-2/3에서 체중이 다시 증가되었고 5년 안에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체중 다시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이 보고서를 통하여 보듯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비만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운동은 체중조절을 비롯한 건강상에서 여러 이점을 가져다주는 것은 밝혀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운동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특히 체중 조절에 있어 운동은 빠른 체중감소의 효과보다는 체중감소 후에 이를 유지하는 것에 더 많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중 감소 후에도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체중의 유지에 필수적인 것인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제까지 알려진 운동의 체중유지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 운동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및 운동전문인 교육의 방향 탐색

        옥정석,유인화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of Kinesiologist professionals through reexamining of the Kinesiology concept and structure. [METHOD] document analysis was used abundant express and the articles about concepts, structure and the limitations related with sport, kinetics, exercise were collected [RESULT] First, traditionally the concept and name of P. E has been changed in accord with the social trend. The name of P.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and sport had a weakness to include the whole categories of this discipline itself. Second, the name kinesiology was the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P.E. and etc. The key concept and structure was suggested through reexamining kinesiology by two ways. That is, one is called academic-based reexamining, the other is professional-based reexamining. Third the direction for collegiate curriculum was suggested in four directions. [CONCLUSION] If this discipline had a concept and structures based on the kinesiology, and collegiate curriculum were provided, then the future of kinesiology in Korea will be prosperou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학이라는 개념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작업을 통하여 운동전문인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체육학 및 운동학의 개념과 한계, 의의 등을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헌연구를 시도하였다. [결과] 첫째, 전통적인 체육학 개념의 변전과정을 살펴볼 때 한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재구조화를 위해 두 가지 측면 즉, 학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와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셋째, 운동전문인 교육을 위하여 대학이 해야 할 4가지 기능적 역할이 제안되었다. [결론] 운동학이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재구조화되고, 그에 맞는 대학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면 운동학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