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와 연관된 특성(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 분석)

        배정연(Jung Yun Bae),곽상호(Sang Ho Kwak),강상우(Sang Woo Kang),우승훈(Seung Hun Woo),안태영(Tae Young Ahn),이상현(Sang Hy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어떠한 특성의 논문이 보다 많이 인용되는지에 대한 보고는 아직 발표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기준이 피인용 횟수와의 연관되었는지 분석하여 어떤 특성이 피인용 횟수와 연관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3명의 저자가 논문의 양식, 대상, 연구 시점, 연구 설계, 임상적 위치, 저자 수, 그리고 증례 수에 따라 분류하고 2020년 1월까지 국내 및 국제 학술지에 인용된 횟수와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640편의 논문 중 724편이 1회 이상 인용되었으며, 평균 1.0회(표준편차 1.9)의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연도별로는 2009년에 게재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높아서, 평균 1.6회 인용되었다. 논문의 양식에 따라서는 원저, 수술기법 및 종설, 연수 강좌, 증례 보고의 순서대로 평균 피인용 횟수가 높았고(p<0.001),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에 대한 논문이 가장 피인용 횟수가 높았다(mean=1.5, p=0.006). 원저 중에서는 정형외과 일반에 대한 논문, 임상 논문, 실험 논문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높았으며, 임상 논문 중에서 위치에 따라서는 척추에 대한 논문(mean=1.7, p<0.001)이, 연구 설계에 따라서는 역학 논문(mean=5.0, p<0.001)이 유의하게 높은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결론: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을 다룬 논문이, 원저 중에서는 역학 연구이거나 척추 관절을 대상으로 작성된 논문이 게재 후 피인용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No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JKOA). This study classified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articles in the JKO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Materials and Methods: A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all articles published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15. Three independent reviewers classifi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article type, material, time of the study, design, clinical categories, number of authors, and number of cases. The citation numbers of each article by other journals were taken in January 2020. Un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an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itation rates. Results: A total of 1,640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2001 to 2015, and 724 articles were cited more than once. The articles published in 2009 had the highest average number of citations. Original article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surgical techniques and review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and case reports (p<0.001). Among the case reports,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citations (mean=1.5, p=0.006). Among the original articles, articles on general orthopedic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order by clinical articles and experimental articles. Among the clinic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mean=5.0, p<0.001) and studies on the spine (mean=1.7, p<0.001)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citation rates than the others. Conclusion: Of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KOA from 2001 to 2015,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among case reports. Among the origin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and studies concerning the spine were cited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s.

      • KCI등재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에 대한 추적 관찰

        김주오,최병완,김주한,송경진,이광복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A review of all presentations at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KSSS) congress from 2001 to 2005. Objectives: To determine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in peer-reviewed journals of abstracts presented at the KSSS congress and evaluat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resented abstract and published full-text counterpar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rate of publication for presentation at international meetings has been determined but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he KSSS.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all podium presentations of the past KSSS Spring and Fall meetings from 2001 to 2005. A computer search for each abstract was performed. The final published journal, time to publication and publication rat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ubspecialty. The published full-text article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abstract and evaluated for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author, material and method, and result. Results: A total of 288 free-papers were identified, of which 167 of them were published as full-text articles. The mean time to publication was 12.15 months. The publication rates according to the subspecialty were basic 67%, lumbar 68%, cervical 64%, deformity 50%, trauma 53%, minimal 14% and others 5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of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odium presentations was lower than other international meetings but the articles showed a high consistency rate. Key Word: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congress, Presentation, Publication 연구계획: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을 검토하였다. 목적: 대한 척추 외과 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의 게재 여부 및 그 내용의 변경 정도를 분석하고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주요 국제학회의 경우 구연된 논문의 출간 여부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 척추학회에서는 그 시도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춘계부터 2005년 추계학회까지 총 10번의 연례 학회에서 구연된 28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출간 여부는 온라인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최종 게재된 학술지와 출간 소요 기간, 분야 별 게재율을 분석하였고, 게재된 논문에 대하여 학회에서 발표된 초록을 기준으로 게재 논문 상 저자의 변경여부, 대상 및 결론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88편 중 167편(58%)이 게재 확인되었으며 게재까지의 평균 기간은 12.15개월이었다. 각 분야 별로 기초, 요추, 경추, 변형, 외상, 미세 침습,기타의 게재율은 각각 67%, 68%, 64%, 50%, 53%, 14%, 51%이었다. 최종 게재 시 초록의 내용을 일부 변경한 경우는 저자가 35편, 대상이 32편, 결론이 28편이었으며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국내논문 92편, 국외논문 17편이었다. 결론: 대한 척추외과 학회의 구연 논문은 동일 기간의 외국 학회에 비해 최종 게재율은 낮았으나 내용의 일치율은 높았다. 색인 단어: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게재약칭 제목: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논문

      • KCI등재

        국내외 정형외과학회의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의 현황

        최대정(Dae Jung Choi),진명자(Myung Ja Jin),이영성(Young Sung Lee),강길원(Gil Wo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목적: 국내외 정형외과학회관련 웹사이트에서 의학연수교육용(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웹컨텐츠(web-contents) 현황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국내는 대한정형외과학회(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OA)와 대한정형외과사이버학회(Korean Orthopaedic Cyber-Society, KOC), 국외는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rns (AAOS),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JBJS), AOSpine 및 Arthroscopy 웹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웹컨텐츠는 정보기술 구현 방법에 따라 전자논문, 강연 및 술기 동영상, 증례토의, 상호교류형 자료 및 CME 이수프로그램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KOA는 전자논문 19종, KOC는 동영상 43개, 증례토의 217개를 제공하였다. 2011-2012년도에 동영상 1개만 업데이트되었으며, 2008년도 동영상 20개는 시청되지 않았다. AAOS는 전자저널 1종, 강의 동영상 142개, 술기 동영상 570개, 상호교류형 CME 프로그램 5개와 CME 이수 프로그램 107개를, JBJS는 전자저널 1종, 동영상 97개, 증례토의 24개와 CME 이수프로그램 37개를, AOSpine은 전자저널 12종, 동영상 994개, 상호교류형 자료 1개와 증례토의 347개를, Arthroscopy는 전자저널 1종과 동영상 126개를 제공하였다. 모든 웹컨텐츠는 이용이 가능하였다. 결론: 국내 정형외과 의학연수교육의 일환으로 표준화된 정보기술로 제작된 보다 많은 양질의 웹컨텐츠와 웹기반 CME 이수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current states of web-contents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of domestic and foreign orthropaedic web sites were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OA) and Korean Orthopaedic Cyber-Society (KOC) as domestic, an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rns (AAOS),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JBJS), AOSpine, and Arthroscopy as foreign web sites were searched in view of provid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cluding electrical paper (ePDF), lecture and surgical procedure video clips, case discussion, interactive content, and CME credit program. Results: KOA supplied 19 types of ePDFs, and KOC, 43 video clips, and 217 case discussions. However, only one video clip was updated from 2011 to 2012 and 20 video clips from 2008 were not accessible. AAOS provided one type of ePDF, 142 lecture and 570 surgical procedure video clips, five interactive CME programs and 107 CME credit programs. In JBJS, one kind of ePDF, 97 video clips, 24 case discussions, and 37 CME credit programs were provided. In AOSpine, 12 types of ePDFs, 994 video clips, one interactive content, and 347 case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Arthroscopy, one type of ePDF and 126 video clips were supplied. All webcontents were available. Conclusion: A large number of better quality web-contents and web-based CME credit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with standardized IT for Web-based CME in domestic orthropaedic societies.

      • KCI등재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서 통제어로 작성된 저자 키워드

        강규복(Kyu-Bok Kang),김지형(Ji-Hyung Kim),김영배(Young Bae Kim),김진각(Jin-Kak Kim),신상미(Sang-Mi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통제어를 이용한 저자 키워드를 사용하면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여 해당 논문의 피인용 지수를 높일 수 있다. 대한정형외과학 회지는 키워드로 통제어인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용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사용 경향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학회지에서 발표된 논문 320편에서 사용된 1,058개의 영문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 분석 후, MeSH browser를 이용해 일치, 부분 일치, 불일치로 구분하였고, 부분 일치의 경우 기입어, 전후방 일치, 부주제어 등으로 세분하였다. 이를 토대로 MeSH 용어와의 구조적인 차이와 투고자들이 실수하기 쉬운 유형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치율은 평균 23.5%, 부분 일치율은 평균 34.8%, 불일치율은 41.7%였다. 부분 일치로 전후방 일치 205예, 기입어의 사용 147예, 복수 미사용 10예, 부주제어 사용 6예 순이었다. 최빈어들은 knee 및 total knee arthroplasty (17회), osteoarthritis (9회) 등 의 순이었다. 결론: 논문들의 정확한 검색과 재인용을 위하여 저자 키워드들을 MeSH 용어와 같은 통제어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quality between author key words us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and controlled vocabulary or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58 English key words in 320 papers (average 3.3 words in a paper) from 2009 to 2012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We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matched, partially matched, and non-matched terms. The partially matched terms were further dissected into entry terms, qualifiers, anteriorly or posteriorly matched, abbreviations, and pleurals. After descriptive analysis, we assayed patterns of errors in using MeSH, and reviewed frequently used non-MeSH terms. Results: The rate of matched terms was 23.5% for an average of four years, and 34.8% for 2013, which is on the rise by year. The rate of partially matched terms was 34.8%, and that of non-matched terms was 41.7% for an average of four year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s were Knee and Total knee arthroplasty (17 times), followed by Osteoarthritis (9), Femur, Hip, and Total hip arthroplasty (8). Conclusion: Use of proper keywords aligned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MeSH is important to be properly cited. The authors should pay attention and be educated on correct use of MeSH as key words.

      • KCI등재

        국내 정형외과학회의 의학연수교육에 대한 인식도 평가

        최대정(Dae Jung Choi),이영성(Young Sung Lee),김응도(Eung-Do Kim),안동기(Dong-Ki Ahn),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목적: 대한정형외과학회 의학연수교육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전통적인 학회식 의학연수교육의 장단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한정형외과학회의 학회식 및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근무현황, 정보기술에 대한 친밀도, 학회식 및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에 대한 장단점에 대하여 웹(web)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수신 3,427명 중 유효 응답은 168건(4.9%)이었다. 응답자의 74.4%는 근무시간과 맞지 않아서(35.7%)와 학회가 대도시에서 개최되어 거리가 멀어서(13.2%) 등의 이유로 의학연수교육에 자주 참석하지 못하였다. 학회식 의학연수교육의 장점은 임상적 문제에 대하여 다른 회원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64.3%)로, 단점은 비슷한 내용의 학회가 많고(60.1%), 짧은 시간에 강의가 이루어져 심도 있는 공부가 되지 못한다(53.0%)로 조사되었다.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이 구축 시 웹컨텐츠는 수술 술기 및 조언(tip)에 관한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49.0%), 강의 슬라이드(44.6%)나 동영상(37.6%)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서는 응답자의 95.5%에서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결론: 학회식 의학연수교육에서의 비교적 짧은 교육 시간과 질의 문답의 부족을 보완하고, 지역적, 시간적 장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웹기반 의학연수교육의 필요성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Purpose: Awareness o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OA)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augment the weak educational points of the conventional academic CME. Materials and Methods: The web-survey was conducted in the KOA on the awareness of conventional academic or web-based CME. The questionnaire included working conditions, intimacy of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cademic and web-based CME. Results: Among 3,427 emails sent, 168 (4.9% of effective response rate) responses were received. Of the responders, 74.4% of the responders could not attend CME frequently because of working time (35.7%) and a distance far from the working place (13.2%). The merits of academic CME included as the opportunity for considerations of other members’ thoughts on some clinical matters (64.3%); however, the weak points were holding several similar conferences (60.1%) and too short time for adequate study (53.0%). They wanted that surgical procedures and tips (49.0%)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lecture slides (44.6%) or movie clips (37.6%) in web-based CME. 95.5% of the responders showed positive response regarding the need for web-based CME. Conclusion: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high needs and interests in web-based CME, which could support the weaknesses of the academic CME with less time for education and limited accessibility to CME due to time or space barriers due to their working conditions.

      • KCI등재

        요추 추간판 수술과 관련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에 대한 비교 분석

        심대무(Dae Moo Shim),정을오(Ul Oh Jeung),김태균(Tae Kyun Kim),김정우(Jeong Woo Kim),박진영(Jin Young Park),권석현(Seok Hyun Kweon),박성규(Seong Kyu Park),최병산(Byong Sa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의 개원의 및 봉직의를 중심으로, 요추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에 대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4월까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하였다. 검색된 68개 정형외과 병의원과 27개 신경외과 병의원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여 추간판 수술 시행 여부와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전문의 수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검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정형외과 병의원은 45.6% (31/68)였으며, 신경외과 병의원은 85.2% (23/27)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정형외과 병의원 중 16.2% (11/68)는 척추 질환 수술을 시행하는 신경외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어, 실제 정형외과 전문의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는 병의원은 29.4% (20/68)였다. 정형외과 전문의가 근무하는 신경외과 병의원은 51.9% (14/27)로, 정형외과와 신경외과 전문의가 동시에 근무하는 경우는 신경외과 병의원이 의의 있게 많았다(p<0.001). 결론: 정형외과 병의원의 70%가 추간판 수술을 시행하고 있지 않았으며, 향후 학회 차원에서 추간판 수술을 잘 시행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 및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LID) of practitioners and pay doctors of orthopedic surgeons and neurosurgeons by examining their websit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April 2006, we searched the internet using the key words orthopedic surgery and neurosurgery, with NAVER as the portal site. There were 68 homepages of orthopedic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OHP) and 27 homepages of neurosurgical hospitals and physician's offices (NHP). Each homepage was visited in order to survey the operability for disease of an intervertebral disc and the number of board of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In 45.6% (31/68) of OHP and 85.2% (23/27) of NHP, the operation for LID was perform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16.2% (11/68) of OHP, neurosurgeons employed by OHP performed the operation for spinal disorders. In 29.4% of OHP, the orthopedic surgeon performed the operation for LID. Orthopedists were employed in 51.9% of NHP. NH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HP in the cases in whom the orthopedists and neurosurgeons worked together in a single hospital (p<0.001). Conclusion: In 70% of OHP, surgery for LID was not performed. A survey about reasons for not performing operation for LID and improvement of that reasons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medical association.

      • 단순 방사선 검사를 이용하여 석회성 건염에서 발생하는 석회 침착물의 성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가?

        김성재,이희제,이광현,박동혁,이봉근,Kim, Sung-Jae,Lee, Hee Jae,Lee, Kwang-Hyun,Park, Dong-Hyeok,Lee, Bong Ge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견관절의 석회성 건염에서 발생하는 석회 침착물의 성상에 대한 기존의 단순 방사선학적 분류법들이 가지는 진단적 정밀도(precision)에 대한 평가로써, 관측자간 일치도를 평가하고, 석회 침착물의 치약형 성상 여부를 예측하는데 있어서의 진단적 정확도(accuracy)를 평가하여, 기존의 방사선학적 분류법들이 가지는 진단적 검사로써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3년 9월까지 본원에서 견관절 석회성 건염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6명 환자(26예 견관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측한 석회 침착물의 성상은 총 26예 중 14예에서 분필 가루형이었고, 12예에서 치약형이었다. 수술 전 단순 견관절 방사선 검사상 나타나는 석회 침착물의 형태를 G$\ddot{a}$rtner, DePalma, Patte이 기술한 3가지 분류 체계에 따라 각각 2인의 평가자가 분석하였으며, Cohen's kappa를 이용하여 각 분류법의 관측자간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단순 방사선상에서 G$\ddot{a}$rtner 분류 III형, DePalma 분류 I형, Patte 분류 II형의 각각의 치약형 석회 침착물의 예측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 양성 우도비 및 음성 우도비, 그리고 진단적 승산비(diagnostic odds ratio)를 평가하였다. 치약형 석회 침착물 성상의 기준은 관절경하에서 관측한 성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상에서 평가한 석회 침착물의 형태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는 Patte 분류에서 Kappa 값이 0.62로 가장 높았고, DePalma가 0.56, G$\ddot{a}$rtner가 0.36 순이었다. 치약형 침착물을 예측하는 단순 방사선상의 침착물 형태의 민감도는 G$\ddot{a}$rtner 분류 III형, DePalma 분류 I형, Patte 분류 II형에서 각각 순서대로 83.3%, 91.7%, 58.3%였으며, 특이도는 각각 85.7%, 50.0%, 64%였다. 양성 우도비는 각각 순서대로 5.833, 1.833, 1.633였으며, 음성 우도비는 각각 0.194, 0.167, 0.648이었다. 진단적 승산비는 각각 순서대로 30.00, 11.00, 2.52이었다. 결론: 견관절의 석회성 건염에서 발생하는 석회 침착물의 성상의 예측에 대한 기존의 분류법을 이용한 평가 결과, 진단적 정밀도 및 정확도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보이는 분류법은 없었다. 따라서 추후 초음파와 같은 검사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 성상의 예측 가능 여부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radiological classifications as a diagnostic modality for predicting characteristics of calcific deposition in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joint. For that purpose, we determine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evaluating diagnostic precisions of the classification and also evaluated diagnostic accuracy of predicting the toothpaste type calcific de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retrospective study with total 26 patients surgically treated with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joint from March 2010 to October 2013. Two independent observers reviewed preoperative radiographs of shoulder joints,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alcific deposition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Gartner, DePalma and Patte. Cohen's kappa were calculated for each classifications to evaluate inter-observer reliabilit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likelihood ratio, negative likelihood ratio and diagnostic odds ratio were determined for type of calcific depositions with Gartner type III, DePalma type I, and Patte type II for predicting toothpaste type calcific deposition. Results: The values of Cohen's kappa were the highest in the classification of Patte, 0.62, and the values for the classifications of DePalma and Gartner were 0.56 and 0.36, respectively. The sensitivities for predicting toothpaste type calcific deposition in Gartner Type III, DePalma type I and Patte type II were 83.3%, 91.7%, and 58.3%, respectively. Specificities were 85.7% 50.0% and 64%, positive likelihood ratios were 5.833, 1.833 and 1.633, negative likelihood ratios were 0.194, 0.167 and 0.648, and diagnostic odds ratios were 30.00, 11.00 and 2.52,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were no radiologic classifications of calcific tendinitis which has both high precision and accuracy. Further studies with other diagnostic modalities such as ultrasonography are needed for predicting characteristics of calcific deposition in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joint.

      • KCI등재

        정형외과 의사가 본 건강보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정순택(Soon-Taek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서론: 1977년 저부담, 저급여, 저수가로 시작된 의료보험제도가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로 굳어지고 건강보험 재정이 부실해지면서 진료비를 줄이기 위한 각종 정책을 시행하여 의료계 환경이 열악해졌다. 특히 건강보험의 인정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의사들의 불만을 고조시켰고 국민들은 본인 부담금이 늘어나는 형편이다. 그러나 의사의 입장에서 의료수가가 낮거나 일부 규정이나 심사기준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공감하면서도 의료제공자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실증 사례를 지적하는 논문은 아직 발표된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따라 현 건강보험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문제제기, 심사 기준의 문제 및 수술 등의 수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목적: 환자를 진료하는 현장에서 몸소 느끼는 건강보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현재 건강보험의 진료비 청구나 심사 기준 등의 문제점, 불명확성, 비효율성, 낮은 의료수가 등을 개선하고 적정진료 수가 확립 및 정부의 올바른 의료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본론: 그 내용은 (l) 상대가치점수의 동결에 의한 문제, (2) 일방적이고 축소지향적 심사 기준의 개정, (3) 삭감 기준의 은 변동, 모호성에 의한 견해 차이 및 삭감의 문제, (4) 외래 진찰료, (5) 병원 입원료, (6) 병실 창상 처치수가,(7) 수술수 가 및 심사기준, (8) 척추 수술수가 인정기준의 불명확성, (9) 동일부위의 재수술시 수가의 추가인정 문제, (10) 수술시 사용되는 고가의 재료대 문제점, (11) 수술시 사용되는 고가의 보조 장비, (12) 외고정 장치, (13) Day Surgery 비용의 순서로서 기술하고자 한다. 결론: 지금까지는 개별 수가에 대한 문제나 요양급여비용의 수술항목 자체에 대한 논의는 매우 적었다고 생각하며,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형외과학회 및 각 분과학회를 통한 의학적 타당성에 기초하여 심사기준을 합리적으로 고치도록 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제시된 낮은 수가, 불합리하거나 모호한 심사 기준은 의학적 타당성을 갖고 명확하되 환자의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도록 고쳐지길 바라며 향후 잘못된 규정, 심사지침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기준, 수가 등이 조속히 개정되길 바라며 본 논문이 수술수가에서 재료대와 기술료를 분리하는 작업, 위험도 평가 및 상대가치점수의 재조정에도 반영되고 향후 심사기준 개정 및 심평원 업무와 정부의 건강보험 정책에도 일조하기 바란다.

      • KCI등재

        척추외과 의사의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최성우(Sung-Woo Choi),이재철(Jae Chul Lee),장해동(Hae-Dong Jang),전민철(Min-Chul Jeon),김중혁(Joong Hyuk Kim),김충현(Chung-Hyun Kim),박수연(Suyeon Park),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척추외과 의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과 발생 위험요소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수정된 discomfort survey를 사용한 설문지를 대한척추외과학회 회원들에게 e-mail로 발송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류사회학적 요소, 수술 업무 관련 요소, 근골격계 질환 관련 요소로 이루어졌다. 근골격계 질환의 호발 부위와 발생 위험요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420명 중 80명(19.0%)이 응답하였다. 78.8%에서 최근 1년 동안 수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있었고,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목(52.5%), 허리(46.3%), 어깨(18.8%)였다. 척추 수술 집도 개수가 많은 군(>200건/year)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주관절/전완부 통증이 많았고(p=0.033), 대수술을 많이 시행하는 군(>10건/year)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손목/손의 통증(p=0.008)과 허리의 통증이 더 많았다(p=0.042). 결론: 척추외과 의사들의 78.8%에서 최근 1년 동안 수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이 있었고, 일반인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이런 현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척추외과 의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대해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MSD) among spine surgeons. Materials and Methods: A modified version of discomfort survey was sent via e-mail to surgeons that belong to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demographics, factors relating to spine surgery, and MSD. We investigated the common sites of occurrence of MSD and its risk factors. Results: The survey was sent to a total of 420 subjects; of which, 80 subjects (19.0%) responded. About 78.8% of the respondents had MSD for the past year. The common sites of occurrence included the neck (52.5%), back (46.3%), and shoulder (18.8%). The prevalence of pain in the elbow joint/forearm was higher in the group performing a higher frequency of spine surgeries (p=0.033). Moreover, the prevalence of pain in the wrist/hand (p=0.008) and in the back (p=0.042) was higher in those with greater frequency of major surgeries (>10 case/year) as compared with those with lower frequency of major surgeries. Conclusion: As shown, about 78.8% of spine surgeons experienced MSD for the past one year. Its prevalence was higher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Thu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evention of MSD among spine surgeons.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에서 손상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에 대한 수상기전, 손상유형, 초기 치료적 접근의 비교

        이의섭(Eui-Sup Lee),손훈상(Hoon-Sang Sohn),김영환(Younghwan Kim),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의 손상기전, 부위, 유형, 치료적 접근 및 그 치료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은 기간을 제외한 57개월 동안 국립중앙의료원 외상센터로 입원한 손상 중증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9점 이상의 환자들 중 정형외과적 손상이 동반된 7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ISS와 생리학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중등도 손상군(1군, 679명)과 중증 손상군(2군, 99명)으로 분류하고 손상기전, 비정형외과적 손상을 평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침범된 해부학적 영역과 골격구조의 수와 유형을 평가하였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세분화하여 비교하였다. 치료결과는 재원기간을 포함하여 재원기간 내 발현된 전신 합병증과 사망률을 평가하였고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2군이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가 높았고 고에너지 손상기전 및 동반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정형외과적 손상중 침범된 골격계의 수는 2군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면서 하지를 주로 침범한 1군에 비해 2군에서는 골반, 척추, 상지 영역의 침범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확정적 또는 단계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다발성 중증 손상을 보이는 2군에서는 일시적 외고정술을 이용한 단계적 수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1군에서는 생리학적 안정화를 이룬 뒤 확정적 수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재원기간 역시 길어졌으며 재원기간 내 총 전신 합병증은 약 4.9%, 총 사망률는 약 4.5%였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사망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1군 2.9%, 2군 15.2%; p<0.0001).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중 고령과 높은 ISS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손상의 중등도가 높을수록 고에너지 손상기전에 의한 손상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와 동반 손상의 빈도가 높아졌다. 정형외과적 손상 역시 다발성 손상의 빈도와 중증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면서 정형외과적 외고정장치를 이용한 내고정술 등이 단계적 치료의 일환으로 시행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원기간, 전신 합병증 및 사망률 역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사망률에는 높은 연령과 ISS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injury mechanism, site, type, initial management approach of orthopedic injury,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in moderate-to-severe injur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57-month, excluding the period when the authors’ emergency/trauma center was not operating, from 2014 to 2019,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78 patients with orthopedic injuries among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9 scor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injured group (group-1, 679) and severe-injured group (group-2, 99)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based on the IS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injury mechanism and non-orthopedic injury were evaluated. Orthopedic injuri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injury pattern and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T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orthopedic injuries in two groups was compared. Outcomes (hospital stay, system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evaluated, and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2, the incidence of younger males, high-energy mechanisms, and accompanying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1.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increased in group-2. The involvement of the pelvis, spine, and upper extrem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2, whereas group-1 was involved mainly by the lower extremit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definitive or staged management for orthopedic injuries may be used. Group-1 was treated mainly with definite fixation after the phys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and group-2 was treated with staged management using temporary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2. The overall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as approximately 4.9% and 4.5%. A higher injury sever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hospital mortality (2.9%, 15.2%; p<0.0001). Increasing age and high IS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onclusion: A higher severity of injur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high-energy mechanism, younger, male, accompanying injurie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orthopedic injuries. Severe polytrauma patients were treated mainly with a staged approach, such as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vere-injured patients. Age and ISS are strong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in poly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