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배수빈(Su-Bin Bae),신채림(Chae-Rim Shin),서효원(Hyo-Won Seo),이민경(Min-Gyung Lee),김은택(Eun-Taek Kim),감경윤(Kyung Yoon K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O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s :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13, 2023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bout AOT among 55 students majoring in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online survey was formulated in Korean and Englis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of AOT?”, 65.5% of Korean students answered yes and 58.2%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answered no.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score for the question “Can AO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eenag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for “Is AOT sufficiently advanced in your country?” was the lowest. For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of AOT,” the scores for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Conclusion : Students in both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OT, but there were differences noted in terms of prospects of the therapy.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의 퇴원계획 개입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황나경(Hwang, Na-Kyoung),유은영(Yoo, Eun-You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과 퇴원 스크리닝과 계획을 위해고려되어야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 자료를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퇴원계획 현황, 퇴원평가와 퇴원계획 필요성, 총 36문항으로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퇴원계획과 준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퇴원평가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작업치료사의 퇴원 관련 지식 및 정보 보유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퇴원계획중재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면담과 평가를 위한 적절한 수가의 부재, 퇴원계획을 위한 팀 접근의 부족, 퇴원계획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의 부재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퇴원 시 평가의 필요성이 높은영역은 낙상위험과 BADL수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필요성이 낮은 영역은 안녕감과 발병 전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과적인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volvement in patient discharge planning, the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ischarge screening and planning,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60 occupational therapists who were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and ha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6 question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charge planning process and the necessity of discharge assessment and plann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As for the post-hoc test, Scheffe’s test was used. Results :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s role in discharge planning and the necessity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were high, but the occupational therapist s awareness of discharge-related knowledge was low. The difficulties in discharge planning showed high response rate in the absence of adequate fee-for-service in the patient interview and assessment and the lack of team approach and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The high-needs areas for evaluation during discharge were fall risk and BADL, and the low-needs areas were well-being and functional level prior to onset. Conclusion :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discharge planning.

      • KCI등재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김민지,김영욱,김준혁,김가희,최홍석,문광태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가 정신질환자에게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제공한 업무 경험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방법 : 2022년 11월 7일에서 11월 14일까지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으며, 수집된 응답지 46부에 대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58.7%), 20~30대(84.8%)가 가장 많았고, 주로 정신건강복지센터(41.3%)에서 근무하였으며, 정신건강작업치료사 수련과정(91.3%)을 수료하였다. 정신건강분야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65.2%), 담당 업무는 프로그램(71.1%), 사례관리(62.2%), 행정업무(57.8%)가 가장 높았으며,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73.9%)를 제공한 경험이 있었다. 자료 분석 결과 신체기능 중심 그룹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41.2%)가 많았고,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산책 순이었으며, 개별 중재의 빈도는 주 1~2회 (38.1%)가 많았고, 산책, 스트레칭, 유산소운동 순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정신건강 전문가로서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작업과 일상생활활동에 균형 잡힌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다수의 작업치료사들이 정신건강 분야에서 정신질환자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작업치료적 중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작업치료의 중요성과 신체기능 향상 중재의 근거 기반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and provid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bod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mental health therapists between November 7 and November 14, 2022. A survey was distributed via email and 4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Results : The majority were female (58.7%), aged 20–30 years (84.8%), working in mental health centers (41.3%), and undergoing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training (91.3%). They had 1-3 years of mental health experience (65.2%) and were commonly involved in programs (71.1%), case management (62.2%), and administration (57.8%). Interventions for physical functioning were common (73.9%), including group interventions (41.2%), such a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and walk training, and individual interventions (38.1%), such as walking,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play a crucial role in enabli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o engage in daily life activities. However, relevant studies in this field are lacking.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need for evidencebased services for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more effective treatments for mental illnesses.

      • KCI등재

        원격재활 기반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성순(Park, Seong-Sun),김수경(Kim, Su-kyung),유두한(Yoo, Doo-Han),김 희(Kim, He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원격재활에 기반 한 작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재활병원에 외래로 통원하는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집단과 실험군의 중재는 모두 주 3회 18회기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함께 더불어 가정에서의 원격재활 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대조군 15명은 전통적 작업치료만 실시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실행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실행기능 수행평가 한국판(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version; EFPT-K)으로 측정하였고,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작업수행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해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이용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수행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p<.05),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작업수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증진이 나타났다. 결론 : 원격재활과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작업수행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업치료에 병행된 원격재활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추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써 제시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on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outpatients with stroke residing in community. Both groups underwent the intervention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8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elerehabilitation was administered at home to only fifteen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hedule, and it was supervised by the caregiver. Fifteen people in the control group underwent only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Execu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EFPT-K). The basic daily activities of living were assessed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was used to evaluate the client-centered occupational performance.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ccupational performanc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ele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positively affect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We suggest that telerehabilitation combined with occupational therap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요양·재활병원 환자의 사회적 입원과 지역사회 복귀 어려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관점 : 현상학적 연구

        김정헌(Kim, Jung-Hun),황나경(Hwang, Na-Kyoung),김종성(Kim, Jong-Sung),송영진(Song, Young-Jin),최민경(Choi, Min-Kyung),김형선(Kim, Hyung-Sun),한가람(Han, Ga-R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재활·요양병원 환자의 사회적 입원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작업치료사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활 서비스 평가 도구 RSAT를 기반으로 주관식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2019년 8월 전국 3년차 이상의 작업치료들에게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효 세부서술에 대해 Word cloud로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배포한 설문지는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에서 46명의 작업치료사들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설문지의 응답자료는 2개의 범주(categories)와 4개의 주제(theme), 13개의 하위주제(subtheme)로 분석되었다. 2개 범주는 ‘병원의 체계’와 ‘작업치료 임상의 내·외부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의 체계’에 따른 주제는 ‘다학제 팀 접근의 어려움’과 ‘퇴원계획 체계의 미흡’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임상의 내·외부적 요인’에 따른 주제로는 ‘작업치료사의 어려움’과 ‘작업치료 실시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은 재활·요양병원 환자들의 지역사회 복귀가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이 합리적이지 못한 작업치료 관련 요양급여체계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퇴원 및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 체계의 미흡함 역시 환자들로 하여금 퇴원하지 못하고 결국 다시 병원으로의 입원을 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작업치료 처방 및 의료 급여 체계를 환자의 재활 목적에 맞도록 다면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social admission in Korea’s rehabilit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perspectiv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We developed a written questionnaire based on RSAT and, in August 2019, distributed it t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t the tim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van Kaam s method. Further, high frequency words were analyzed by word cloud in order to extract significant statements. Results : Forty-six written interview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of Korea. We analyzed the data into 2 categories, 4 themes, 13 sub-themes. The two categories were ‘hospital system’ and ‘external factors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The themes according to ‘hospital system’ wer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inadequate discharge planning system’. The theme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occupational therapy’ were analyzed as ‘difficul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difficultie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recognize that the reason for social admission is insufficient insurance system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rehab hospitals. This leads to difficultie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We need to develop the insurance systems that can meet patient needs for social recovery.

      • KCI등재

        보건소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 재활 및 보건서비스 제공에 대한 업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강현(Park, Kang-Hyun),전병진(Jeon, Byoung-Jin),정민예(Jung, Min-Y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재활 및 보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업무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보건소 작업치료사들의 역할 및 업무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내 근무하는 보건소 작업치료사 6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 동의를 통해 대화 내용은 녹음되었고, 녹음된 자료는 패턴화된 반응이나 주제를 분석하고자 Colaizzi의 주제 분석법(Thematic analysis) 7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4개의 범주와 16개의 주제, 24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보건소 내 작업치료사가 주로 행하는 업무 영역 및 역할은 대상자 평가, 방문재활치료, 치매관리사업, 지역사회 연계사업으로 나타났다. 그 외 작업치료사가 느끼는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향후 보건소에서 필요한 중재는 사례관리 및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다양한 보상적 접근방법 적용, 건강한 생활습관을 위한 중재로 나타났다. 보건소 근무 시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작업치료사의 인력 부족, 고용 불안정으로 인한 사기저하, 실적 위주의 행정 정책으로 인한 업무의 부담감, 전문인력 간 소통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업무 효율성 저하가 나타났다. 반면에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이 느끼는 보람으로는 치료의 자율성 보장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응답하였다. 보건소 작업치료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으로는 보건행정, 보건소 실습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현재 보건소 및 치매 안심 센터의 필수인력으로 자리 잡은 작업치료사들의 향후 업무 범위 및 역할과 관련된 가이드라인과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내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and practi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based on their working experi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working in these facilities. Methods : We use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ix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corded data were analyzed using Claizzi’s thematic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4 categories, 16 themes, and 24 elements were elicited. The major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were the evaluation of clients,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management of dementia programs and community connection projects. Interventions that are needed to create a healthy community include case and program management, compensatory approaches, and healthy lifestyle intervention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clude their limited number job insecurity, performance-oriented administrative policy,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among professionals. Occupational therapists require education in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in public health centers to build their capac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guideline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work in community healthcare centers, as well as basic training for competent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문광태(Moon Kwang-Tae),박혜연(Park Hae Yean),김종배(Kim Jong-Ba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disabled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Methods : In this single-subject ABA design study with follow-up evaluation, one severely disabled person diagnosed with stroke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recruited. The procedu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sessions for 17 weeks. Intervention was according to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 subject’s hom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OTIPM.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ask assignment and feedback,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formation-related caregiver education, and community resource network. The evaluation of each session included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the changes in occupational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maintenance of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during follow-up. The results were visually analyzed using a bar graph and a linear graph.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putting on socks, shoes slip-on, and upper body dressing garment within rea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MP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improved in all the subjec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lso improv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based rehabilitation can improve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Therefore,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useful for them.

      • KCI등재후보

        신경계 재활에서의 작업기반중재(occupation based intervention)에 관한 고찰

        이미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7 재활치료과학 Vol.6 No.2

        Introduction: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s effective intervention of nervous system client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domain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study suggested neurological references to apply it in realistic occupation therapy area. Body: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s performed in occupation based practice. Client’s proper performance in natural environments is important. That is application of meaningful occupation in client’s realistic environment is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At this point, meaningful occupation is included client’s motivation, selective task, and habituation of performance. Conclusion: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were included motivation, habituation, and realistic environment of clients. The reviews identified that each factor is based on neurological basis. Therefore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need to use in realistic neurorehabilitation. 서론: 작업기반중재는 신경계 질환의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작업기반중재의 이론적 배경, 정의 및 범위를알아보고 실제 작업치료중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경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작업기반중재는 작업기반실행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적 요소들이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수행을 하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의 실제적 환경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 때 의미 있는 작업이란 클라이언트가 동기를 가지고 작업을 선택한 것으로 규칙적이고 반복적이어서 작업의 수행이 습관성이 있다. 결론: 작업기반중재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와 습관 그리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각각의 요소는 다양한 신경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신경계 재활에서 세요소가 포함된 작업기반중재의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채용공고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에 대한 연구

        임승주(Lim Seung-Ju),양민아(Yang Min-A),한대성(Han Dae-Sung),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작업치료사 채용공고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응시 및 합격 현황과 작업치료 포털사이트(오티브레인)에 게시된총 15,869건의 작업치료사 채용 공고를 수집하여 지역, 고용형태, 급여수준, 채용시기, 채용분야를 기준으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도별 작업치료사 전체 채용공고 건수는 국가시험 합격인원보다 평균 544건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에 채용공고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용형태의 경우 연도별 정규직 채용비율이감소추세를 보였으나, 비정규직 채용비율은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급여수준은 연봉 2,000만원 이상 2,500 만원 이하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채용분야는 성인 및 노인분야 공고가 아동분야 공고보다 약 4.6배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구직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by analyzing recruitment advertisemen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2011 to 2018. Methods : A total of 15,869 job placement notices posted on the portal site(http://otbrain.com/)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based on their regions, employment types, salary levels, employment times, and recruitment fields.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annual recruitment advertisemen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as 544 which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people who passed the national exam. According to the region, recruitm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the employment rate of permanent workers was on the decline but that of temporary workers showed an increasing trend. The salary level was the highest with the annual salary ranging from 20 million won to 25 million won or less, and the recruitment fields were found to have about 4.6 times more offerings in the adult and senior fields than in the pediatric fields. Conclusion : Thes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효과: 사례 연구

        정은화(Jeong, Eun-Hwa)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 소재 보건지소에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신청한 뇌졸중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 기능, 작업수행 기능, 인지기능, 정서 기능을평가하고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Client-centered approach)을 기반으로 작업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하였다.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주요 문제를 바탕으로 여가 활동 탐색 및 참여를목표로 설정하여 12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두 사례 모두 COPM 점수에 향상이 있었고, 사례 2에서 MBI와 K-MMSE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또한 사례 1에서 KGDS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면서 뇌졸중 환자의일상생활활동, 인지, 정신적 기능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정 및 지역사회 통합에 있어 기관중심재활에서 지역사회중심재활로 지속적이고 연속된 재활 서비스가 활성화가 요구되어지며, 병원에서 퇴원하는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및 사회적 접근의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o patients with stroke who appli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t a health center in Seoul were enrolled. Th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evaluates the subject s daily living, task performance,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sets occupational therapy goals and plans interventions based on a client-centered approach.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nsisted of 12 sessions based on the client s major problems. Results : COPM scores improved in both case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OPM scores, and in Case 2 there were improvements in MBI and K-MMSE scores. There was also an improvement in KGDS scores in Case 1. Conclusion :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aily activities, cognition, and ment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uring home and community integration, continuous and continuous rehabilitation services need to be activated from institutional rehabilitation to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ctiv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s needed to promote physical, cognitive, mental and social access in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