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스포츠 활동 복귀

        박종혁,이준모,배현경,임종한,이주홍,Park, Jong-Hyuk,Lee, Jun-Mo,Bae, Hyun-Kyung,Im, Jong-Han,Lee, Ju-H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2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정도와 관여 인자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109명의 환자 중 스포츠 손상으로 2년 이상 추시 가능한 43예를 대상으로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여부를 조사하였다. 평균 나이는 26세(17~45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31.2 개월(24~53개월)이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의 임상적 결과는 Lysholm 점수, Tegner 활동 수준 척도, 객관적 및 주관적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questionnaires (IKDC 평가표),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에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43예 중 25예(58%)는 수상 전 운동으로 복귀하였으나 18예(42%)는 복귀에 실패하였다. 복귀에 실패한 환자에서 11예(61%)는 재부상에 대한 두려움, 나머지 7예(39%)는 불안정과 통증을 이유로 복귀하지 못하였다. ANOVA test상 세 환자 군의 Lysholm 점수, 주관적 IKDC 평가표, 및 KT-1000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그러나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한 군과 재부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복귀하지 못한 두 군에서는 Lysholm점수와 KT-1000 검사 상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Tegner 활동 수준, 주관적 IKDC 평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스포츠 손상으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들 중 약 25%에서 재손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재건술 술기 향상과 체계적인 재활 방법이 여전히 요구되지만 심리적인 요인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many of our patients who had ha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returned to their previous levels of sports and to identify why not doing so. Material and Methods: We evaluated 43 knees with a minimum of two years follow-up among whom undergoing 109 ACL reconstruction from September 200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6 years (17 to 45 years) Clinical result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Lysholm Knee scores, Tegner activity score, subjective IKDC questionnaires, objective IKDC evaluation form and KT-1000 arthrometer. Results: The overall clinical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final follow-up comparing to preoperative data (P<0.05). Among 43 patients, 25 patients (58%) returned to their previous level of sports and 18 patients (42%) did not. Of whom, 11 patients (61%) were not able to return to sports due to fear to re-injury and 7 patients (39%) suffered from instability and pain. The differences in the Lysholm Scores, KT-1000 arthrometer and subjective IKDC in the 3 groups of patients by ANOVA tes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objective IKDC and KT-1000 arthrometer, th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gner activities, subjective IKDC obtained by those who returned to sport and those who had fear to reinjury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quater of patients could not return to their previous level of sport after ACL reconstruction because of fear to reinjury. We thought that not only improving the technique of ACL reconstruction and systemic rehabilitation but also considering psychological factor of patients could allow more patients to return to the previous level of sports.

      • 인대 손상과 치유

        빈성일,주동만,최준원,Bin Seong-Il,Joo Dong-Man,Choi Jun-We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인대는 인체의 관절 주위에서 기능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대의 기계적 성상과 손상 기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치료 방법들이 발달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으나 치유의 질적 면이나 치유 촉진 및 완전한 치유에 대한 의문점들이 아직 도 남아있다. 관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대의 치유에 대한 연구와 이해를 하여 저자들은 인대의 조직학적 특성과 기계적 성상, 치유 과정 등에 관하여 여러 문헌들을 고찰하여 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Ligaments are functionally very important structures in the joints of human.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bout injury mechanism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gaments. Although treatment methods of injured ligaments have continually improved, many questions still remain about enhancing the rate, quality and completeness of ligament healing. For studies and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of ligaments that have important functions in the joint, this article reviews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 of healing.

      • 건강 달리기와 그와 관련된 스포츠 손상

        경희수,Kyung Hee-S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달리기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강이란 "질병 없이 허약하지 않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온전한 상태" 라고 정의한다. 운동은 처음 시작할 때 현재 지니고 있는 체력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그리고 자기에게 적절한 운동의 양과 질 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서는 운동처방에 대하여 기술하고, 달리기의 전 단계인 속보에 대하여 기술한 후, 조깅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한다. 그리고 그와 관련된 스포츠 손상에 대하여도 간략히 논한다. Running people is exceedingly increasing with the concern about the health. The health is defined a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 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by WHO.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at which level is one's physical strength and what is adequate quality and quantity of one's exercise. In this paper I would describe about exercise pre-scription, sports walking, and jogging. And sports injuries related running will be described briefly.

      • 스노우 보드 손상에 의한 요추 압박 골절 - 증례 보고 -

        정국진,정영기,노규철,홍성구,유정한,Chung, Kook-Jin,Chung, Yung-Khee,Noh, Kyu-Cheol,Hong, Sung-Koo,Yoo, Jung-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주5일제 근무의 도입으로 인하여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로 스포츠 손상의 빈도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겨울 스포츠 중 최근 청소년과 젊은이들 사이에 인기를 얻고 있는 스노우 보드로 인한 척추 관련 손상은 그 문헌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정으로 저자들이 스노우 보드 손상에 따른 요추의 압박 골절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한다. With the introduction of working 5 days a week,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y has been increased so rapidly, therefore sports related injuries also has continued to grow. Among winter sports, snowboard has been gaining popularit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But, snowboard related injuries, especially spinal injuries, has been rarely documented. We report a case of lumbar compression fracture following snowboard injury.

      •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김태균,전근철,황재선,Kim, Sung Hun,Kim, Tae Kyun,Chun, Keun Churl,Hwang, Jae S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겨울철 스포츠로서 스키와 스노우 보드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여 대중화 되고 있다. 안전 장비에 대한 인식도 발전하여 스키나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도 늘었고, 이 영향으로 두부나 안면부 손상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경추부손상의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보호장비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2시즌 동안 국내 대형 리조트에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손상으로 의무 시설에 내원한 환자 14,538명 중 경추부 손상으로 내원한 6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432명, 여자 226명이 내원하였고, 상급자 273명 초급자 385명 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헬멧을 착용 한 군과 착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경추 손상 비율, 수상 기전, 손상의 정도 및 진단된 질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각의 군은 SPSS 12.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처리 하였다. 결과: 스키 손상으로 인한 환자는 312명, 스노우 보드 손상은 346명 이었으며, 헬멧을 착용한 수상자는 스키 143명, 스노우 보드 140명 이었다. 각 질환 별 분류는 단순 염좌 292명, 타박상 359명, 경추부 골절 6명, 탈구 1명이며, 수상 원인 별 분류에서 대인 충돌 287명, 대물 충돌 212명, 혼자서 넘어진 경우 108명, 낙상 39명, 기타 12명으로 나타났다. 헬멧을 쓴 경우 스키 78명/스노우 보드 70명에서 단순 염좌 였고, 스키 64명/스노우 보드 68명에서 타박상으로 나타났으며, 스키 1명/ 스노우 보드 2명에서 경추부의 골절이나 탈구가 발생하였다. 헬멧을 쓴 경우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경추부 염좌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헬멧을 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좌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골절, 탈구에서는 헬멧을 쓴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수상빈도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헬멧이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공히 추가적인 경추 손상의 발생과 심각도를 증가시키지 않았고, 대인 손상시에 헬멧의 사용은 경추부 염좌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좌상의 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생체 역학적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s the number of people enjoying skiing and snowboarding which are two popular winter sports has been increasing, wearing helmet during doing these sports has been needed for safety. The rates of head or face injury have decreased after using helmet. However the effect that wearing helmet has on cervical damage is not yet to be known. So through this research we inten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and safety equipment.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wo seasons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1, cased 658 cervical injuries within 14538 admittance in medical center of major resort due to skiing and snow-boarding injuries. For survey and research model, one year before the research year conducted a pilot study. Admittance were 432 male and 226 female, advanced 273 and 385 novice.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earing helmet, measured cervical damage ratio and injury mechanism, and researched the severity of damage and diagnosed injury. Each group used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to process data statistically.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as 312 in skier and 346 in snow boarder. Patients wearing helmet were 146 in skier and 127 in snow boarder. Classification of each injuries were confirmed as 292 cases of simple sprain, 359 bruising, 6 cervical fractures and 1 case of dislocation. Classification of injury mechanisms were 287 of human collision, 212 material collision, 108 of slip down by oneself, 39 of falling and 12 cases of etc. In cases wearing helmet ski 78/ snow board 70 were simple sprain, ski 64/ snowboard 68 were shown as bruising, ski 1/ snow board 2 had cervical fracture or dislocation. The ratio of cervical sprain increased in cases of wearing helmet compared to non-wearing cas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The ratio of cervical contus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n-wearing helmet user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fracture and dislocation compared between helmet user and non-user (p> 0.05). Conclusion: In this study, wearing helmet had no relation to additional cervical injury occurrence or severity among skiers and snow boarders. The ratio of cervical sprain increased significantly in helmet user with person to person accident. However, the cervical contusion decreased. On this ground, further biomechanical studies are required and modified helmet will be necessary.

      • Suture anchor를 이용한 외측 반월판 연골 전방 뿌리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 -증례 및 술기 보고-

        김도영,유연식,이상수,정운섭,서은민,박승재,Kim, Do-Young,Yoo, Yon-Sik,Lee, Sang-Soo,Jeong, Un-Seob,Seo, Eun-Min,Park, Seung-Jae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1

        반월상 연골판의 뿌리파열의 심각성이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봉합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 봉합 방법과 결과가 최근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보고는 아직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저자들은 과거에 시행했던 원판형 연골의 부분 절제 후 발생한 의인성 뿌리 파열과 이로 인한 아탈구를 경험하였고 이를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정복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s awareness of root tear of meniscus have been increased, it became necessary to have an intensive repair. Posterior horn tear, especially for a lot of repair methods and the result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The report of the anterior root tear has yet to be found. We recently encountered a patient with an iatrogenic meniscal subluxation caused by past experienced partial menisectomy for discoid meniscus. Thus, we repots the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subluxated lateral meniscus anterior root tear using suture anchor.

      • 스포츠와 연관된 과사용 증후군: 주관절

        오정환,금정섭,박진영,Oh, Jeong-Hwan,Keum, Jung-Sup,Park, Jin-You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7 No.2

        반복적으로 던지는 동작은 주관절에 심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주며, 주된 기전은 외반력이며 그 결과 내측 인장력과 외측 압박력, 후방부의 충돌현상이 발생한다. 성장기나 청년기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주관절에 해부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운동선수와 가족, 코치들은 반드시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스포츠와 관련된 주관절 손상을 막기 위하여 적절한 운동법 교육, 워밍업, 의학적 전문 지식, 보호 장구 등이 필요하다. 또한 손상 예방과 재활은 적절한 투구 동작, 근력 강화, 견갑골에 대한 조절, 관절 운동 범위의 적절한 유지가 필수적이다. Repetitive overhead throwing exerts significant mechanical stress on the elbow joint. Pitching in baseball, serving in tennis, spiking in volleyball, passing in American football and launching in javelin-throwing can all produce elbow pathology by forceful valgus stress, with medial stretching, lateral compression and posterior impingement. This stress can lead to developmental anatomic changes in the young thrower. Asymptomatic pathology in the shoulder and elbow joint is prevalent and, with overuse, can progress to disabling injury. Joint injury occurs as a result of the body's inability to properly coordinate motion segments during the pitching delivery, leading to further structural damage. The implications of acute and overuse injuries and the possibility of permanent damage should be understood by parents, coaches and the athletes. Proper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isk factors that could lead to elbow injuries is thus required. Measures to prevent elbow injuries should include proper coaching, warm-up, medical expertise and protective gear.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should center on optimizing pitching mechanics, core strength, scapular control, and joint range of motion.

      • KCI등재

        대학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종목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과 스포츠 성취목표 성향 및 지각된 동기분위기의 관계 분석

        김은국 ( Eunkuk Kim ),박한별 ( Hanbyel Park ),최호경 ( Hokyung Choi ) 대한스포츠의학회 2021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9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doping, sport orientation,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anti-doping strategy. Methods: A total of 567 athletes in 21 spor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 (SOQ; competitiveness orientation, win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task orientation, ego orientation),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PMCSQ-2; ego-involving and task-involving climate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peed/power (n=201), endurance (n=154), motor skill (n=119), and team (n=93). We identified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mong four categories and verified possibl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oping. Results: The PEAS of athletes in both speed/power sports and Team sports was higher than motor skill sports, and the team sports athletes also showed higher PEAS than endurance sports athletes. In speed/power sports, the task of TEOSQ and the win of SOQ were related to PEAS, and in endurance sports, the task of TEOSQ and the ego-involving of PMCSQ were related to PEAS. In motor skill sports and Team sports, the task-involving of PMCSQ and the goal of SOQ were associated with PEA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new insights into the psychosocial mechanisms of attitudes toward doping, and it w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ffective anti-doping strategies based on sports characteristics.

      •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간의 임상결과 비교

        손현철,조병기,김용민,김동수,최의성,박경진,박지강,Shon, Hyun-Chul,Cho, Byung-Ki,Kim, Yong-Min,Kim, Dong-Soo,Choi, Eui-Sung,Park, Kyoung-Jin,Park, Ji-Ka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 환자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동일한 술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단일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17예,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20예 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Karlsson 점수 및 Sefton의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 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및 내반 스트레스 검사가 이용되었다. 결과: Karlsson 점수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5.2점에서 술 후 89.4점으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6.4점에서 90.5점으로 각각 호전되었다. Sefton 평가법상 단일 봉합나사군은 우수가 7예, 양호가 8예, 보통이 2예 였고, 이중 봉합나사군은 우수 8예, 양호 10예, 보통 2예로 나타나 각각 15례(88.2%), 18례(90%)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 방사선검사 상 거골 경사각과 거골 전방전위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3.6도, 8.6 mm에서 술 후 최종 추시시 5.4도, 4.1 mm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4.1도, 8.4 mm에서 술 후 3.9도, 4 mm로 각각 호전되었으며 두 기법간에 술 후 거골 경사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에 술 후 임상 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은 이중 봉합나사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 모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결과 및 생역학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the single suture anchor and the double suture anchor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even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suture anchor. Single surgeon treated seventeen cases with single suture anchor and 20 cases with double suture anchor.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arlsson scale and Sefton grading system. Radiologic measurement of the talar tilt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was performed through anterior and varus stress radiographs using Telos device. Results: The Karlsson scale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45.2 points to 89.4 points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and from 46.4 points to 90.5 points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According to the Sefton grading system, 15 cases (88.2%)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and 18 cases (90%)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The talar tilt angle and anterior talar translation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13.6^{\circ}$ and 8.6 mm to $5.4^{\circ}$ and 4.1 mm in single suture anchor group, from $14.1^{\circ}$ and 8.4mm to $3.9^{\circ}$ and 4 mm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Double suture anchor technique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postoperative talar tilt. Conclusion: Single and double suture anchor techniques produced similar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except for talar tilt, which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double suture anchor group. Both modified Brostrom procedures using the single and double suture anchor appear to b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urther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and biomechanical studies in athletes are needed.

      • 태릉선수촌 국가대표 스포츠 팀 닥터의 역할

        김리나,고정아,김종덕,이제훈,Kim, Li-Na,Ko, Jeong-Ah,Kim, Jong-Duk,Lee, Je-Ho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2

        대한민국의 국가대표 선수가 되기 위해서 선수들은 반복적으로 많은 양의 훈련을 하며 이에 따른 크고 작은 스포츠 손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들이 많다. 태릉선수촌 안의 의무실에서는 이러한 부상 선수들을 관리하며 국제대회의 지원 업무와 도핑 관련업무 등을 수행해 내고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관리하는 태릉선수촌에서의 의사의 역할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To be the national players, athletes undergoes repetitive hard training and then they have many kinds of sports injuries. The medical department in the Taeneung National Training Center has roles of management of injured athletes, supporting of international games and cooperation of doping control. The review article wants to introduce the role of doctor in the Taeneung National Training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