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의 학술민용 변화 추이 및 학술 영향력 지수 개선을 위한 제안

        김성환(Seong Hwan Kim),황성수(Seong Su Hwang),안명임(Myeong Im Ahn),정소나(Sona Je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최근 6년킨 한국의학학술지 인용색인 정보 (KoMCI)를 분석하여 대한망사선증앙학회지의 학술 인용 추이를 알아보고 학술지 영향력 지표OFI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에서 2005 년까지 KoMCI 자료에서 대한방사선좀앙학회지의 연간 게재 논문 수, 인용한 국내외 참고 문현 수, 자체 및 타 학술지의 인용 빈도, 대한방사선증앙학회지를 인용한 다른 국내 학술지 종류, IF 및 자체 학술지 인용를 제외한 영향력 지수 (ZIF) 등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K야AC기 등재 국내 학술지 평균과 비교하여 학술 인용 색인 추이 번화 앙상의 차이를 살펴보고 IF 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았다. 결 과 연간 게재 놈문 수의 감소는 국내 학숱지 전반에 걸쳐 공룡된 현상이었고, KoACI 등재 국내 학숱지 평균에서는 32%, 대한방사선증앙학힐지에시는 최대 38%의 감소 추세였다 논문당 국내 논문 인용빈도는 KoMCI 학술지 평균치는 2.0편에 비해 조금 낮은 1. 6편이었다 대한방사선종앙학회지의 놈문당 전체 발간 논문에 대한 인용 빈도는 1.333으로 KoMCI 학술지 평균 1.694에 비해 낮았으나, 2000년의 1,000 에 비해 20005 년에는 1.670으로 67% 증가하였다 논운당 자체 학술지 인용은 KaMCI 학술지 명란에서는 전체 인용빈도으 161% 였으니, 대한방사선종앙학회지 에서는 72%로 초금 더 높았다 6년간 대한방사선증앙학회지의 IF값은 2000 년의 0.144에서 2000년 0.107까지 감소후 2005 년에는 0.203으로 개선되었다 자체 학슬지 인용을 배제한 긴F값은 2004년의 0.044를 제외하고 2000 년의 0.038에서 2005 년의 0.013으로 감소 경향이었다. 결 론 대한방사선증앙학회지의 IF는 점진적 개선되고 있으나 매우 작은 인용빈도를 바탕으로 산출된 한계가 있다. 자체 학술지 인용를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타 학술지굳부터의 인용증대을 위한 노력(교차인용 학대 및 영문 논문 게재 증가) 들이 지속적인 학회지의 IF 개선에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학회 회원들의 학술지 IF 중요성 인식 및 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recent citation trend and to find a way to improve impact factor (IF) of the Journal of Korean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JKSTRO) by analysis of Korean Medical Citation Index(KoMCI) citation data of JKSTRO and comparison with that of mean citation data of all journals enlisted on KoMCI (KoMCI journals) during 2000-2005. Materials and Methods: All citation data of entire Journals enlisted on KoMCI and JKSTRO tram 2000 to 2005 were obtained from KoMCI. The trend of total and annual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and reference citations, total citations and self-citations per paper, IF and Impact factor excluding self-citations (ZIF) were described and compared on both KoMCI journals and JKSTRO Results: Annual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was decreased for 6 years on both KoMCI journals and JKSTRO (32% and 38% reduction rate). The number of Korean journal references per article is 1.6 papers on JKSTRO comparing to 2.0 papers on KoMCI journals. The percentage 이 Korean References/total references Increased from 5.0% in 2000 to 7.7% in 2005 on JKSTRO and from 8.5% in 2000 to 10.1% on KoMCI journals. The number of total citations received/paper on JKSTRO (average 1.333) is smaller than that of KoMCI journals (average 1.694), there was an increased rate of 67% in 2005 comparing to 2000. The percentage of self-citations/total citations (average 72%) on JKSTRO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KoMCI journals (average 61%1. IF of JKSTRO was gradually improved and 0.144, 0.125, 0.088, 0.107, 0.187, and 0.203 in 2000-2005 respectively However, ZIF of JKSTRO is steadily decreased from 0.038 in 2000 to 0.Ot3 in 2005 except 0.044 in 2004 conclusion: IF of JKSTRO was slightly improved but had some innate problem of smaller number of citations received. To make JKSTRO as a highly cited journal, the awareness of academic status of JKSTRO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very member of JKSTRO including encouraging elf-citations of papers published recent 2 years and submission of English written papers, and active academic cooperation with related academic societies

      • KCI등재후보

        Ginkgo Biloba Extract가 C3H 마우스 섬유육종의 분할 방사선치료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Jong Hoon Kim),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Ginkgo biloba extract (GBE)는 혈액순환개선효과가 있어 기존의 방사선민감제와 달리 혈류저항이 높은 악성종양에서 저산소세포 분획을 줄일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저선량 분할 방사선조사시에도 GBE가 방사선조사 효과의 증대를 나타내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선량 분할 방사선조사시 GBE가 방사선조사효과증대를 나타내는지, 또한 정상조직과 악성종양의 혈류량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통상적인 범위의 저산소세포 분획을 가진 C3H 마우스의 섬유육종(FSaII)을 마우스 우측하지에 이식한 후 종양직경이 7 mm에 도달하였을 때 마우스 체중 kg당 100 mg의 GBE를 방사선조사 25시간 전과 매회 1시간 전에 복강내 투여 후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3 Gy 내지 12 Gy의 방사선을 일회 조사시 GBE투여군과 방사선단독조사군의 종양성장지연기간을 비교하여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을 구하였다. 3 Gy씩 10회의 분할 방사선조사시 방사선 단독조사군의 방사선량-종양성장지연기간(tumor growth delay, TGD)의 관계식을 구하여 두 실험군의 선형회귀직선 기울기의 비율, 즉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을 구하였다. 같은 종양을 이용하여 레이저 도플러 혈류측정기로 정상근육과 종양의 혈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저혈류 분포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고, GBE 투여에 의한 혈류량분포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 과 : 3 Gy 내지 12 Gy의 방사선을 일회 조사시 GBE투여군의 종양성장지연기간이 방사선단독조사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었으며(p<0.05),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은 3일 종양성장지연 기준으로 1.16이었다. 3 Gy씩 10회의 분할 방사선조사시 방사선 단독조사군의 방사선량-종양성장지연기간(tumor growth delay, TGD)의 관계는 TGD (days)=0.26×D (Gy)+0.13, GBE 병용군의 경우 TGD (days)=0.30×D (Gy)+0.13이었고 두 실험군의 직선 기울기의 비율, 즉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은 1.19 (95% 신뢰구간; 1.13∼1.27)로 나타났다. 같은 종양을 이용하여 레이저 도플러 혈류측정기로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 혈류량의 분포는 모두 Poisson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정상근육의 혈류량은 평균 10.15 mL/100 g/min, 종양의 혈류량은 평균 7.78 mL/100 g/min으로 종양의 평균 혈류량이 근육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고(p=0.0001), 2 mL/100 g/min 이하의 저혈류 분포는 정상근육에 비하여 종양에서 높게 나타났다(0.5% 대 5.2%, p=0.005). 정상근육에서는 GBE 투여에 의하여 혈류량 분포에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종양에서는 2 mL/100 g/min 이하의 저혈류량 분포가 감소하였고, 평균 혈류량은 23.5% 증가되었다(p=0.0004). 결 론 : GBE는 방사선 일회 조사시 뿐만 아니라 분할조사시에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정상근육에 비하여 종양의 혈류량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이 확인되었다. Purpose : A ginkgo biloba extract (GBE) has been known as a hypoxic cell radiosensitizer. Its mechanisms of action are increase of the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decrease the blood viscosity, and decrease the hypoxic cell fraction in the tumo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 of GBE on 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BE by estimating the blood flow in tumor and normal muscle. Materials and Methods : Fibrosarcoma (FSaII) growing in a C3H mouse leg muscle was used as the tumor model. When the tumor size reached 7 mm in diameter, the GBE was given intraperitoneally at 1 and 25 hours prior to irradiation. The tumor growth dela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various doses of radiation (3, 6, 9, 12 Gy and 15 Gy) and to the fractionation (single and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and without the GBE injection. The radiation dose to the tumor the response relationships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blood flow of a normal muscle and a tumor was compa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according to the GBE treatment. Results : When the GBE was used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with doses ranging from 3 to 12 Gy, GBE increased the tumor growth delay significantly (p<0.05)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as 1.16. In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3 Gy per d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diation dose (D) and the tumor growth delay (TGD) were TGD (days)=0.26×D (Gy)+0.13 in the radiation alone group, and the TGD (days)=0.30×D (Gy)+0.13 in the radiation with GBE group. As a result, the enhancement ratio was 1.19 (95% confidence interval; 1.13∼1.27). Laser Doppler flowmetry was used to measure the blood flow. The mean blood flow was higher in the muscle (7.78 mL/100 g/min in tumor and the 10.15 mL/100 g/min in muscle, p=0.0001) and the low blood flow fraction (less than 2 mL/100 g/min) was higher in the tumor (0.5% vs. 5.2%, p=0.005). The blood flow was not changed with the GBE in normal muscle, but was increased by 23.5% (p=0.0004) in the tumor.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BE enhanced the radiation effect significantly when used with fractionated radiotherapy as well as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Furthermore, the GBE increased the blood flow of the tumor selectively.

      • KCI등재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게재 논문의 통계적 오류 현황

        박희철(Hee Chul Park),최두호(Doo Ho Choi),안성복(Song-Vogue Ahn),강진오(Jin Oh Kang),김은석(Eun-Seog Kim),박원(Won Park),안승도(Seung Do Ahn),양대식(Dae Sik Yang),윤형근(Hyong Geun Yun),정은지(Eun Ji Chung),지의규(Eui Kyu Chie),표홍렬(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본 연구는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게재 논문의 통계 오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문제 제기를 통해 학회지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2007년 사이에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총 7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논문에 적용된 통계 방법론의 적정성 평가는 통계점검표를 활용하였다. 통계점검표에는 연구의 종류, 통계기법의 사용 범위, 각 논문에 적용된 통계 기법의 종류, 통계적 기법 적용의 타당성 항목이 포함되었다. 통계 오류는 ‘생략의 잘못’과 ‘시행의 잘못’ 항목으로 나누었다. 한 논문에서 서로 다른 항목이 여러 가지 관찰된 경우 각각 횟수로 측정하였다. 같은 항목이 2회 이상 측정된 경우 1회로 횟수를 측정하였다. 통계 전문가가 개별 논문을 대상으로 통계점검표를 작성하였다. 일차 평가자가 방사선종양학 전문가가 아닌 것에서 올 수 있는 평가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개별 통계점검표는 간행위원회에서 한 차례 더 세부 점검을 하였다. 작성된 통계점검표의 통계 분석은 SAS (version 9.0, SAS Institute, NC,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빈도분석을 시행하여 각 항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 과: 총 77편 중 원문을 다운로드 할 수 없었던 4편을 제외한 73편의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증례보고는 5편, 원저 논문은 68편이었다. 대상 논문 중 46편의 논문에서 통계적 추론을 사용하였고, 16편의 논문에서 단순한 기술통계를 사용했으며, 11편의 논문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46편의논문에서 사용된 추론통계의 횟수는 각각 분할표분석 17회(37.0%), 비교통계분석 23회(50.0%), 회귀분석 7회(15.2%), 상관분석 5회(10.9%), 생존분석이 27회(58.7%)였다.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할 때 통계적용의 오류가 없는 논문은 19%였다. ‘생략의 잘못’은 34편(50.0%)의 논문에서 총 50회 관찰되었다. ‘시행의 잘못’은 35편(51.5%)의 논문에서 총 47회 관찰되었다. ‘생략의 잘못’과 ‘시행의 잘못’이 모두 발견된 논문은 21편 (30.9%)이었다.결 론: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통계 분석 과정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크고 작은 통계적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투고 논문의 심사 과정에서 통계 오류에 관한 적절한 심사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JKOSTRO) by evaluating commonly encountered errors. Materials and Methods: Papers published in the JKOSTRO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were reviewed for methodological and statistical validity using a modified version of Ahn’s checklist. A statistician reviewed individual papers and evaluated the list items in the checklist for each paper. To avoid the potential assessment error by the statistician who lacks expertise in the field of radiation oncology; the editorial board of the JKOSTRO reviewed each checklist for individual articles. A frequency analysis of the list item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0, SAS Institute, NC, USA) software. Results: A total of 73 papers including 5 case reports and 68 original articles were reviewed. Inferential statistics was used in 46 papers. The most commonly adopted statistical methodology was a survival analysis (58.7%). Only 19% of papers were free of statistical errors. Errors of omission were encountered in 34 (50.0%) papers. Errors of commission were encountered in 35 (51.5%) papers. Twenty-one papers (30.9%) had both errors of omission and commission. Conclusion: A variety of statistical errors were encountered in papers published in the JKOSTRO.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more thorough review of the statistical analysis is needed for manuscripts submitted in the JKOSTRO.

      • KCI등재후보

        송과체부 종양에서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연실(Yeon Shil Kim),유미령(Mi Ryung Ryu),정수미(Su Mi Chung),김문찬(Moon Chan Kim),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뇌중심부에 위치한 종양의 치료에 수술적 절제는 높은 치사율과 합병증을 동반한다.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한 뇌중심부 종양의 치료로 20∼30 Gy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방사선에 대한 반응 정도로 조직학적 유형을 예상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영상적 진단 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송과체부 종양환자 30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및 방사선치료로 치유 가능한 종양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송과체부 종양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범위는 7∼69세(중앙값 16세)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송과선(pineal gland) 18명(60%), 뇌하수체상부(suprasellar) 4명(13.3%), 송과선과 뇌하수체상부(pineal gland & suprasella) 2명(6.7%), 송과선와 주변 뇌실(pineal gland and paraventricle) 6명(20%)이었다. 20∼30 Gy/ 2∼3주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CT 혹은 MRI를 추적 검사하여 방사선 반응성에 따라 최종 치료방침 및 방사선조사범위를 다시 결정하였다. 총방사선치료선량 범위는 40.8∼59.4 Gy였으며(중앙값 : 50.4 Gy) 환자들의 중앙추적 기간은 36.5개월이었다(4∼172개월). 결 과 :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28명(93.3%)의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 혹은 안정되었고 영상학적 검사상 19명(63.3%)에서 부분관해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률과 5년 생존률은 각각 66.7%, 55.1%였다.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 방사선 영상학적 반응정도에 따른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 원발종양의 위치, 활동수행정도(KPS≥70), 방사선치료 종료 후 최종 반응정도, 방사선조사야가 단변량분석에서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p<0.05). 결 론 :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3.3%의 환자에서 영상학적으로 종양의 반응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뇌중심부 종양의 임상적 조직학적 양상은 매우 복잡 다양하여 초기 방사선 반응성만으로 조직학적 진단의 유추 및 완치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향후에는 이와 같은 종양에서 1차적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적용보다는 좀더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조직학적 진단방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sess the treatment results of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ho were underwent radiation therapy under the diagnosis by either CT or MRI. There was no histological verification.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rate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ere treated between March 1983 and August 1995. After a trial radiation therapy of 20∼30 Gy/2∼3 week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response and radiological response by either CT or MRI and the final treatment direction was then decided.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the trial radiation therapy and the involved site, radiation treatment was given in various fields i.e., local, ventricle, whole brain and craniospinal field.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8 to 59.4 Gy (Median 50.4 Gy). The median follow up was 36.5 months (4∼172 months). Results : An improvement or stability in the clinical symptoms was observed in 28 patients (93.3%) after the trial RT. Nineteen patients (63.3%) showed a partial or complete response by CT or MRI. The two-year and five-year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ere 66.7% and 55.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adiological response was abserved after the trial RT.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the primary site, the performance status (KPS≥70), the degree of response after completing RT and the RT field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p<0.05).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al region tumors are quite complex and diver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histological diagnosis and the possibility of radiocurability only with the initial response to RT. W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histological diagnostic techniques and tailored treatment to the histological type of each tumor are needed.

      • KCI등재

        동계 마우스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 예측인자로서의 생물학적 표지자

        장세경(Sei Kyung Chang),성진실(Jinsil Seong),김성희(Sung Hee Kim),신현수(Hyun Soo Shi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2

        목 적: 방사선 감수성이 다양한 동계(syngeneic) 마우스 종양들을 대상으로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등 방사선 감수성을 대변하는 지표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여러 유전물질의 기본(constitutive) 발현수준을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계 마우스 종양으로는 난소암 OCa-I, 유방암 MCa-K, 편평상피세포암 SCC-VII, 섬유육종 FSa-II, 간암 HCa-I을 사용하였고 이들은 PCR-SSCP 검사상 p53이 모두 자연형인 종양들이었고 주령 8∼10 주인 C3H/HeJ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0% 종양억제선량과 종양성장지연 및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를 측정하여 이들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 또한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유전물질 p53, p21WAF1/CIP1, BAX, Bcl-2, Bcl-xL, Bcl-xs, p34 등의 기본 발현양상 및 발현수준을 Western blot과 농도계측기로 측정한 후 이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와 종양성장지연과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R=0.922, p=0.026). 50% 종양억제선량과의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변연수준이었으나(p=0.070)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R=-0.848).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과 50% 종양억제선량(R=0.893, p=0.041와 R=0.904, p=0.035) 및 종양성장지연(R=-0.922, p=0.026와 R=-0.890, p=0.043)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즉, p21WAF1/CIP1과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낮은 경우에 방사선 감수성이 높고, 기본 발현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낮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아포토시스의 정도로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로 p21WAF1/CIP1와 p34의 기본 발현수준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investigated whether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umor control dose 50 (TCD50) or tumor growth delay (TGD) and radiation induced apoptosis (RIA) in syngeneic murine tumors. Also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markers that can predict radiosensitivity in murine tumor system through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CD50, TGD, RIA and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genetic products regulating RIA. Materials and Methods: Syngeneic murine tumors such as ovarian adenocarcinoma, mammary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fibrosarcoma, hepatocarcinoma were used in this study. C3H/HeJ mice were bred and maintained in our specific pathogen free mouse colony and were 8∼12 weeks old when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tumors, growing in the right hind legs of mice, were analyzed for TCD50, TGD, and RIA at 8 mm in diameter. The tumors were also analyzed for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53, p21WAF1/CIP1, BAX, Bcl-2, Bcl-xL, Bcl-xs, and p34.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hether the level of RIA were correlated with TCD50 or TGD, and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genetic products regulating RIA were correlated with TCD50, TGD, RIA. Results: The level of RIA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0.922, p=0.026) with TGD, and showed a trend to correlation (R=-0.848), marg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CD50 (p=0.070). It indicates that tumors that respond to radiation with high percentage of apoptosis were more radiosensitive.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and p34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ither with TCD50 (R=0.893, p=0.041 and R=0.904, p=0.035) or with TGD (R=-0.922, p=0.026 and R=-0.890, p=0.043). The tumors with high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or p34 were less radiosensitive than those with low expression. Conclusion: Radiosensitivity may be predicted with the level of RIA in murine tumors. The constitutive expression levels of p21WAF1/CIP1 or p34 can be used as biological markers which predict the radiosensitivity.

      • SCOPUSKCI등재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Intracranial Tumors

        서창옥 (Chang Ok Suh),정상섭 (Sang Sup Chung),추성실 (Sung Sil Chu),김영수 (Young Soo Kim),윤도흠 (Do Heum Yoon),김선호 (Sun Ho Kim),노준규 (John Juhn Kyu Loh),김귀언 (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8년 8월 10MV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뇌수술(radiosurgery, stereotactic external beam irradiation)을 시작한 이래 1991년 12월까지 총 24예의 두개강내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조직학적 유형은 뇌수막종이 5예, 두개인두종이 3예, 악성임파종이 1예, 전이성 뇌종양이 2예 있었다. 대상환자들은 몇가지 다른 질병상태에서 방사선 뇌수술을 받았는데, 10예는 뇌정위적 생검이나 신경방사선학적 영상만으로 진단을 한 후 일차적인 치료로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했으며, 9예에서는 수술 후 잔류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또 3예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재발한 종양에 대해 구제요법으로 시행하였고, 2예에서는 외부 방사선 조사와 함께 추가 방사선조사로써 시행되었다. 6개월 이상 추적 조사된 환자 16명 중에서 7명 (뇌수막종 2예, 신경교종 4예, 악성임파종 1예)이 CT Scan 또는 MRI상 종양의 완전 소멸을 보였고 나머지 9예는 모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방사선 수술시 급성 부작용은 없었고 4예에서 만성 합병증이 나타났는데 3예에서 신경학적 증상의 발현과 함께 CT Scan상 뇌부종이 나타났었고 1예의 두개인두종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시신경 손상으로 생각되는 시력 소실이 있었다. 저자들의 경험 예들은 조직학적 유형이 다양하고 증례수가 많지 않고 추적 조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결론을 얻기 어렵지만 정위적 방법으로 종양에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조사함으로써 완전 관해까지의 우수한 종양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종류의 뇌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뇌수술이 생존율 향상이나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증례를 통하여 경험을 축적하여야 할 것이다. Between August 1988 and December 1991, 24 patients with intracranial tumors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RS) using a 10 MV linear accelerator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re were 5 meningiomas. 3 craniopharyngiomas. 9 glial tumors, 2 solitary metastases, 2 acoustic neurinomas, 2 pineal tumors. and 1 non-Hodgkin's lymphoma. Ten patients were treated as primary treatment after diagnosis with stereotactic biopsy or neuroimaglng study, Nine patients underwent RS for post-op. residual tumors and three patients as a salvage treatment for recurrence after external Irradiation, Two patients received RS as a boost followed by fractionated conventional radiotherapy. Among sixteen patients who were followed more than 6 months with neuroimage. seven patients (2 meningiomas, 4 benign glial tumors. one non-Hodgkin's lymphoma) showed complete response on neuroimage after RS and nine patients showed decreased tumor size. There was no acute treatment related side reaction. Late complications include three patients with symptomatic peritumoral brain edema and one craniopharyngioma with optic chiasmal injury. Through this early experience, we conclude that stereotactically directed single high doses of irradiation to the small intracranial tumors is effective for tumor control. However, in order to define the role of radiosurgery in the management of intracranial tumors. we should get the long-term results available to demonstrate the benefits versus potential complications of this therapeutic modality.

      • SCOPUSKCI등재

        방사선의 항암작용에 대한 재조합 TNF-α의 효과

        성진실(Jinsil Seong),신항철(Hang Chul Shin),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마우스 동종암에 TNF-α와 방사선을 병용하여 방사선의 항암 효과가 TNF-α에 의하여 증강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3Hf/HeJ 마우스에 유방암인 MCa-K, MCa-4, 난소암인 OCa- I, 그리고 간암인 HCa- I 등 종양을 이식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6 mm에 이를 때 TNF-α, 방사선, 또는 병용군 등 실험군을 나누어 적절한 치료를 하였다. 방사선조사는 Cobalt-60 방사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HCa- I 에는 30 Gy를, 나머지 종양에는 15 Gy를 단일 조사하였다. TNF-α는 실험실 마우스당 하루 10 μg씩 7일간 연속 주사하였다. 치료 결과는 종양성장지연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TNF-α 단독 투여시 네가지 종양 중 MCa-K 및 OCa- I 종양에서 absolute growth delay(AGD)가 각각 5.0일, 6.5일로 유의한 항암 효과가 있었다. TNF-α와 방사선을 병용한 경우 OCa- I에서는 AGD가 TNF-α 단독의 6.5일, 방사선의 26.9일에 비하여 TNF-α와 방사선 병용시 41.1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p<0.05). EF는 1이상으로서 (EF: 1.29) TNF-α와 방사선 병용시 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세 종양에서는 TNF-α 단독 및 방사선 단독에 비하여 TNF-α와 방사선 병용시 AGD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TNF-α는 마우스 동종암 중 일부 종양 (MCa-K 및 OCa- I)에서 항암 효과를 보였다. 방사선과 병용한 경우에도 일부 종양에서만 (OCa- I) 방사선의 항암 효과를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종양에 따라 방사선과 TNF-α의 병용치료 효과의 정도가 다르다는 점은 향 후 임상적 적용에 대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o determine whether TNF-α increases the antitumor effect of radiotherapy in murine syngeneic tumor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Syngeneic murine tumors of MCa-K or MCa-4 (mammary carcinoma), OCa-I (ovarian carcinoma), or HCa-I(hepatocarcinoma were grown in hind legs of C3Hf/HeJ mice. When tumors were grown to 6 mm in mean diameter, mice were treated with TNF-α, radiation, or combination of the both. Gamma-radiation was given as a single dose of 30 Gy for HCa-I and 15 Gy for other tumors using Cobalt-60 teletherapy unit. A novel TNF-α mutein developed in Korea,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daily at a dose of 10 μg per mouse for 7 days. In combination of radiation and TNF-α, the drug was started 1 hour after radiation. Tumor growth delay assay was used to measure the tumor response to the treatment. Results : Among 4 tested tumors, TNF-α alone show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in MCa-K and OCa-I tumors, which showed absolute growth delay (AGD) of 5.0 days and 6.5 days, respectively.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TNF-α showed significant delay of AGD (41.1 days) in OCA-I compared to AGDs of TNF-α alone and radiation, i.e., 6.5 days and 26.9 days, respectively(p<0.05). Enhancement factor was 1.29 in OCa- I, which showed supraadditive effect. TNF-α did not show significant delay of AGDs in the remaining 3 tumors compared to AGDs of TNF-α alone and radiation. Conclusions: TNF-α alone showed antitumor effects in MCa-K and OCa-I.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TNF-α acted in supraadditive way in OCa-I on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ombination of TNF-α and radiation has different therapeutic potential depending on tumor model and further study is advocated.

      • SCOPUSKCI등재

        Sequence and Time Interval in Combination of Irradiation and Cis-Diamminedichloroplatinum in C3H Mouse Fibrosarcoma

        하성환 (Sung Whan Ha),최은경 (Eun Kyung Choi),박찬일 (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1

        방사선 조사와 Cis-Diamminedichloroplatinum<이하 챤-DDP라 함>의 병용시 최대효과를 얻기 위한 병용순서와 시간간격을 알아보기 위하여 C3Hf.Sed 마우스의 하지근육에 섬유육종(fibrosar-coma: FSa ll)을 이식하여 발생시킨 육안적 종양 (직경 6 mm)과 미시적 종양 (1,000개의 조양세포 이식후 3일된 종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동시에 생체의 실험을 병행하였다. 육안적 종양은 10mg/kg의 cis-DDP를 10 Gy의 방사선 조사전 24, 12, 8, 4, 2, 1시간 및 30분과 동시 그리고 방사선 조사후 30분 1, 2, 4, 8, 12, 24시간에 복강내에 투여하였고 미시적 종양은 같은 시간간격으로 5mg/kg의 cis-DDP를 5Gy 방사선과 병용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종양을 매일 3차원적으로 측정하여 성장곡선을 그린 뒤 성장 지연기간을 계산하여 판정하였다. 동시에 생체외 실험은 같은 시간간격으로 4µM의 cis-DDP 1시간 노출과 6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뒤 실험후 10내지 14일에 세포집락의 수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분획을 얻었다. 육안적 종양에 대한 결과는 방사선과 항암제를 병용함으로써 방사선 조사전 4시간부터 방사선 조사후 4시간까지는 부가선 (additive line)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나 병용시간 간격이 4시간 이상이 군에서는 부가선 이하의 효과를 보였다. 가장 효과적인 병용시간은 cis-DDP를 방사선 조사전 4시간에 투여한 군으로 성장지연은 10.66일이었다. 미시적 종양에서는 방사선과 항암제를 병요함으로써 방사선 조사후 4시간에 cis-DDP를 투여한 군을 제외하고는 모든 군에서 부가선 이상의 효과를 얻었으며 그 중에서도 cis-DDP를 방사선 조사전 2시간, 1시간에 투여한 군에서 가장 효과가 높았다. 생체외실험에서는 병용의 효과는 모든 시간간격에서 부가효과 (additive effect) 이상이었으나 시간간격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항암제와 방사선을 병용하여 치료할 경우 특히 미시적 종양에서는 병용순서 및 시간간격에 따라 암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병용치료시 적절한 순서 및 시간간격의 선택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C3H mouse fibrosarcoma (FSa ll)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sequence and time intervals between irradiation and administration of cis-diamminedichloroplatinum (cis-DDP) with gross tumors (6mm in diameter), microscopic tumors (3 days after transplantation of 10³ cells) and cells in culture. The drug was administered either 24, 12, 8, 4, 2, 1, 0.5 hour before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irradiation, or 0.5, 1, 2, 4, 8, 12, 24 hours after irradiation. In case of in vivo studies, tumor growth delay was used as an end point. Clonogenic cell surviving fraction was used for in vitro studies. tumor growth delay for gross tumor after 10 Gy radiation plus 10mg/kg cis-DDP ranged from 6.3 to 10.66 days and the enhancement ratio ranged from 1.37 to 2.23.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was when cis-DDP was given 4 hours befor irradiation. Tumor growth delay for microscopic tumor after 5 Gy of radiation and 5 mg/kg of cis-DDP ranged from 3.55 to 11.98 days with enhancement ratio from 2.05 to 6.92. Microscopic tumors showed response significantly greater than additive in every time interval and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were when cis-DDP was given 2 and 1 hour before irradiation. In in vitro experiment, the surviving fraction after 6 Gy of radiation and 1 hour exposure to 4µM cis-DDP fluctuated as a function of time between treatments, but the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surviving fractions was very smal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equence and time interval between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is very critical especially for the management of microscopic tumors as in the case of postoperative adjuvant treatment.

      • SCOPUSKCI등재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 영역 하연의 개별화

        박석원(Suk 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허승재(Seung Jae Huh),전호경(Ho Kyung Chun),강원기(Won Ki Kang),김대용(Dae Yong Kim),임도훈(Do Hoon Lim),노영주(Young Ju Noh),이정은(Jung Eun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 적:직장암의 림프액 배액의 주된 경로는 종양의 위치가 항문환에 근접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근위부를 향하므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조사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에 따를 경우 하부 골반강과 회음부에 불필요한 방사선조사를 하게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지 않고 수술 문합부로부터 2 cm 내지 3 cm 하방으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치료 실패의 양상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4년 9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근치적 하전방 절제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Modified Astler-Coller (MAC) 병기 B2에서 C3까지인 88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환자 수는 각각 44명씩이었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7세(32-81세)였다. 2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저용량의 5-fluorouracil을 포함한 항암 화학요법을 병용하였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6, 10, 15 MV X-ray를 이용하여 후전-좌우 대향의 3문 조사법으로 전골반부에 45 Gy와 종양 병소부위에 6 Gy를 5.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연구 기간 초기의 16명의 환자에서는 전통적인 방사선조사영역 결정법을 적용하여 폐색공 하단, 또는 수술 문합부의 2 cm 내지 3 cm 하방 중에서 보다 낮은 쪽을 방사선조사영역의 하연으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7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문합부에서 2 cm 내지 3 cm 하방에서 조사영역 하연을 개별적으로 결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개별화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으로 55명(76%)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 두 군에 대해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생존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예후 인자의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추적 관찰 기간은 7개월부터 58개월이었으며, 중앙 추적기간은 27개월이었다. MAC 병기로 구분시 B2가 32명(36%), B3가 2명(2%), C1이 2명(2%), C2가 50명(57%), C3가 2명(2%) 이었다. 전체 환자의 2년과 4년 생존율은 각각 94%와 68%였으며, 2년과 4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6%과 58%였다. 첫 치료 실패로서 국소 재발이 4명, 원격전이가 14명, 그리고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는 경우가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 결정을 전통적인 방법을 적용한 군과 수술 문합부의 위치에 따라서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한 군을 비교하여 볼 때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2, p=0.68). 종양 색전자의 존재는 생존율, 국소 종양 억제율, 무병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관찰되었다. 결 론:하전방 절제술을 시행받은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하연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 환자들의 병소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하연 결정방법에 비하여 국소 종양 억제율과 무병생존율에 있어서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방사선치료 부작용과 후유증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When determining the lower margin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iel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recommended by Gunderson), the organs located in the low pelvic cavity and the perineum are vulnerable to unnecessary radi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on the failure patterns. Materials and Methods:Authors included 88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MAC) stages from B2 through C3,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nd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from Sept. 1994 to May 1998 at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The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44 and 44, and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2-81 years). Three field technique (posterior-anterior and bilateral portals) by 6, 10, 15 MV X-rays was used to deliver 4,500 c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600 cGy's small field boost to the tumor bed over 5.5 weeks. Sixteen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by traditional field margin determination, and the lower margin was set either at the low margin of the obturator foramen or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whichever is lower. In 72 patients, the lower margin was set at 2 cm to 3 cm below the anastomotic site, irrespectively of the obturator foramen, by which the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was possible in 55 patients (76%). Authors evaluated and compared survival,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se two groups. Results: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7 months (range:7-58 months). MAC stages were B2 in 32 (36%), B3 in 2 (2%), C1 in 2 (2%), C2 in 50 (57%), and C3 in 2 (2%) patients, respectively. The entire patients' overall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94% and 68%, respectively,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2 and 4 years were 86% and 58%, respectively. The first failure sites were local only in 4, distant only in 14, and combined local and distant in 1 patient,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p=0.42, p=0.68) between two groups of different lower margin determination policies. Conclusion:The new concept in the individualized determination of the lower margin depending on the anastomotic site has led to the equivalent local contro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radiation-related morbidity by reduction of radiation volum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lower margin determination.

      • KCI등재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를 위한 삼차원 및 사차원 방사선치료계획의 비교

        채규영(Gyu Young Chai),임영경(Young Kyung Lim),강기문(Ki Mun Kang),정배권(Bae Gwon Jeong),하인봉(In-Bong Ha),박경범(Kyung Bum Park),정진명(Jin-Myung Jung),김동욱(Dongwook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폐암환자의 종양추적 정위방사선치료에서 삼차원 및 사차원치료계획의 선량분포 차이를 비교하였고 선량계산 알고리즘에 따른 폐의 비균질성 보정 결과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명의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호흡동조된 사차원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환자의 호흡에 대응하는 10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차원치료계획이 수립되었다. 사차원 치료계획에서는 종양과 주변장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X선의 방향과 선량분포를 최적화한다.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최적화된 빔을 호흡의 50% 위상에 해당하는 한 개의 삼차원단층촬영 영상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삼차원치료계획을 만들었다.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선량계산을 위하여 각각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수립된 4개의 치료계획에서 처방선량의 종양체적 포함률, 종양체적의 95%를 포함하는 선량인 D95, 종양의 최대선량, 그리고 척수의 최대선량을 비교하였고 종양의 위치에 대한 연관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결 과: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한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에서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종양 포함률이 평균 4.4%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4.6% 낮았다. 또한, D95도 종양이 폐의 하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사차원치료계획에서 평균 4.8% 높았던 반면에 종양이 폐의 중엽이나 상엽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반대로 평균 1.7% 낮았다. 척수의 최대선량에 대한 비교에서도 종양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Ray-tracing과 몬테칼로 알고리즘 사이의 선량계산 차이는 평균 30% 정도로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종양의 부피는 크게 줄어들었다. 결 론: 폐 종양의 삼차원 및 사차원 치료계획 사이의 차이를 종양과 척수의 선량분포를 통해 비교하였다. 두 치료계획 사이에서 planning target volume (PTV) 포함률이나 D95와 같이 종양과 관련된 선량학적 인자들의 차이 또는 척수의 최대선량 차이는 종양의 이동크기와 형태변화의 정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계획의 차원과 무관하게 몬테칼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처방선량이 포함하는 PTV 포함률이나 D95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dose distributions between three-dimensional (3D) and four-dimensional (4D) radiation treatment plans calculated by Ray-tracing or the Monte Carlo algorithm, and to highlight the difference of dose calculation between two algorithms for lung heterogeneity correction in lung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Prospectively gated 4D CTs in seven patients were obtained with a Brilliance CT64-Channel scanner along with a respiratory bellows gating device. After 4D treatment planning with the Ray Tracing algorithm in Multiplan 3.5.1, a CyberKnife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system, 3D Ray Tracing, 3D and 4D Monte Carlo dos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nder the same beam conditions (same number, directions, monitor units of beams). The 3D plan was performed in a primary CT image setting corresponding to middle phase expiration (50%). Relative dose coverage, D95 of gross tumor volume and planning target volume, maximum doses of tumor, and the spinal cord were compared for each pla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umor lo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onte Carlo calculations, mean tumor volume coverage of the 4D plans was 4.4% higher than the 3D plans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lower lobes of the lung, but were 4.6% lower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upper lobes of the lung. Similarly, the D95 of 4D plans was 4.8% higher than 3D plans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lower lobes of lung, but was 1.7% lower when tumors were located in the upper lobes of lung. This tendency was also observed at the maximum dose of the spinal cord. Lastly, a 30% reduction in the PTV volume coverage was observed for the Monte Carlo calculation compared with the Ray-tracing calculation. Conclusion: 3D and 4D robotic radiotherapy treatment plans for lung cance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a dosimetric viewpoint for a tumor and the spinal cord. The difference of tumor dose distributions between 3D and 4D treatment plans was only significant when large tumor movement and deformation was suspected. Therefore, 4D treatment planning is only necessary for large tumor motion and deformation. However, a Monte Carlo calculation is always necessary, independent of tumor motion in the l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