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인 환자에서의 진정요법

        이제호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5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5 No.2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와 불안은 정도의 차이는있지만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이러한 공포와 불안은 장애환자에게도 마찬가지이며 이러한 장애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행동조절 기법을 사용하여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 시 행동 조절 방법은 심리적 접근법, 신체억제법, 약물을 이용한 진정법과 전신마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장애인 환자들은 심리적 접근법이나 신체억제법을 사용하여 양질의 치과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환자의 경우 불안과 공포로 인한 부정적인 행동반응, 또는 불수의적인 근육움직임으로 인해 정상적인 치과치료가 아예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할지라도 양질의 치료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음성조절, 신체속박 등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할 경우 환자나 보호자 그리고 치과 의료 진이 겪는 스트레스는 상당한 것이며 향후의 치료과정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이는 치과에서의 행동조절의 궁극적인 목표가 양질의 치과치료를 제공하고 치과치료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유도하는데 있음을 생각할 때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장애인 개인의 장애 특성, 전신적인 상태, 치과의사의 능력, 치과치료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어떠한 행동조절법을 사용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불수의 적인 운동 이 심해 양질의 치과치료가 어려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행동조절법은 진정요법과 전신마취이다. 진정요법을 사용하게 되면 치료과정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감소되거나 제거된 상태에서 진료가 진행되므로 양질의 치과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1회당 치료시간이 연장되고 치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총 내원 횟수를줄일 수 있으며 의식이 억제된 상태에서 치료가 진행되므로 향후 치과치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장애인에게 유용한 정형화된 진정법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진정요법을 사 용하여 치과치료를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할 뿐 아니라 많은 위험요소들이 존재한다. 진정치료 시 술자는 환자감시에 있어서 훈련받은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한, 진정치료의 필요성 및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만일, 환자가 대화가 어려운 장애인이라 동의를 구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보호자에게 어떤 치과치료가 행해질 것인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행해질 진정치 료가 어떤 것인지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 본 란에서는 통상의 치과치료가 어려운 장애인환자의 치과 치료 시 일반적이 치과외래환경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진정법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구강 점막 하 주입 Midazolam과 경구 투여한 Chloral Hydrate의 용량에 따른 산소 포화도 및 생징후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백광우,유지혜,김윤희,정상혁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6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6 No.2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pO2, PR, EtCO2, RR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Thirty two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one group taking oral CH (6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1 mg/kg) and the other group recieving oral CH (5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2 mg/kg).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edation, data including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2), pulse rate (PR), end-tidal carbon dioxide (EtCO2), respiratory rate (RR) and the behavior scale were checked every 2 minutes and were collected for only 40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 Results: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pO2, PR, EtCO2, RR during sedation between two groups (P>0.05). The values of SpO2, PR, EtCO2 and RR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mbination of oral CH, hydroxyzine,nitrous oxide gas inhalation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improved the sedation quality without compromising safety. (JKDSA 2006; 6: 89~97) 소아는 성인과 달리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으로 미성숙해서 치과 치료에 대해서도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Barr et al, 1977). Loc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조사 대상자의 50.9%가 어린시절 처음 치과 공포를 경험하였고,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낸다고 한다(Locker et al, 1999). 이와 같은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일종으로 치과 치료에 대해 회피 반응을 보이거나 불면증 및 악몽을 호소하기도 한다(De Bellis et al, 2005). 그러므로 치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예방하기 위해 진정법을 고려해야 한다. 진정을 이용한 치과 치료는 특히 행동 조절이 어려운 소아 환자에게 더욱 필요하다(Nathan, 1989; AAPD Guideline,2005).일반적으로 진정법은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과 깊은 진정(deep sedation)으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은 약물의 작용에 의해 유도된 의식 억제 상태로, 의식 수준에 따라 경미한 진정(minimal sedation)과 중등도 진정(moderate sed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깊은 진정(deep sedation)은 의식하 진정에 비해 보다 깊은 수준으로 진정되어 환자의 보호 반사가 부분적으로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신 마취의 상태 및 위험 수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는 유도된 무의식 상태로서 환자의 보호 반사 기능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상실되는 수준이다. 이러한 정의에 의해 의식 수준 이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의식 수준은 연속선상에 있으므로 계획하는 진정 깊이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AAPD Guideline, 2005).약물은 진정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약물에 의한 진정 시 최대한의 치료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환자의 안전을 위해 약물의 종류, 용량 및 투여 경로를 신중히 고려해야한다. 진정 치료 시 사용되는 약물은 안전해야 하고, 투여 시 통증이 없어야 하고, 약효 발현과 회복 속도가 빨라야 하며, 가역적이고,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소아의 진정을 위해 benzodiazepine, barbiturate, chloral hydrate, opioid 계통의 약물이 단독 혹은 병용으로 사용한다(Roelofse, 2000). 미국 소아 치과 학회 조사에 의하면 chloral hydrate, hydroxyzine, 그리고 nitrous oxide 흡입 진정은 소아치과 의사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의 조합이다(Wilson et al, 1998).Chloral hydrate (이하 CH)는 1832년 Justin Liebig에 의해 소개된 이래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는 수면제 중 하나이다. 오늘날 소아과, 응급센터, 방사선 과, 치과에서 소아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Graham, 1988; Pediatrics, 1993). CH에 대한 안전성과 진정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되었고(Nathan, 1987; D'Agostino and Terndrup, 2000), 성공률은 18%에서 9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낮은 성공률은 CH의 적은 용량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Nathan, 1987). 이 약물은 원래 불면증을 위해 처방되었는데, 치과에서는 소아의 경구 진정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약물은 alcohol 유도체이며, 위 장관을 통해 빠르게 심혈관계로 흡수되고 간과 신장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활동성 형태인 trichloroethanol(이하TCE)이 된다. 경구 투여 후 졸림 또는 얕은 잠은 보통 30분에서 40분 사이에 나타나고, 작용 기간은 2시간에서 5시간이다. 진정 작용은 대사산물인 TCE 때문이다. 흡수 후에 CH는 주로 TCE로 나머지는 trichloroacetic acid ...

      •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진정법

        이승호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5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5 No.1

        이제 임플란트 치과학은 치과 수복치료에서 생명력 넘치는 매우 중요한 분야가 되었으며, 완전 무치악과 부분 무치악 부위에 대한 수복 뿐 아니라, 한개 치아 수복 및 특별한 심미성이 요구되는 전치부에 대한 단일 치아결손의 복구치료, 또는 부족한 연조직과 경조직의 치조 조건에 대한 임플란트 치료에이르기까지, 치조제 재건술의 발달로 인하여 그 임상적 적용범위는 꾸준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다양한 환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치료과정에 대한 환자들의 걱정과 불안,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는 수준 높은 새로운 수술 방법들, 고 난이도의 외과수술이며 치주 외과적 많은 경험이 필요한 분야로서 술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임상교육, 더욱이 높은 치료비용과 함께 증가하는 환자 요구에 따라 날로 늘어날 법적소송 등 앞으로 현명하게 대처하고 해결해야 할 부분 도 적지 않다. 이에 진정법을 이용하면서 환자의 걱정과 불안을 크게 줄였고, 술자 입장에서는 고도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고 난이도의 수준 높은 새로운 수술방법들에 대하여 보다 나은 수술진행과 임상결과를 경험하였다. 현재 임플란트 관련하여 환자의 불안감을 조절하는데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정주 진정법이며, 흡입마취와 깊은 진정(DeepSedation) 혹은 전신마취법 등을 각각 필요에 따라 임상적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치주과학교실에서 임플란트 수술시 즐겨 이용하고 있는 정주 진정법에 관하여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다. 매일 진료에서 임플란트 시술에 진정법을 적용하면 우리 임상의 모두에게 대단히 유익하다고 판단되어 간략히 정리한다.

      • KCI등재후보

        Ludwig's Angina 환자의 어려운 기도 관리에서 기관지내시경과 비디오 후두경의 병용 경험

        송재격,김석곤,배정호,Song, Jaegyok,Kim, Seokkon,Bae, Jeong-Ho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13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3 No.4

        We experienced dfficult airway management in a patient who had Ludwig angina with morbid obesity, dfficulty with mouth opening and neck extension. We planned to perform awake-nasotracheal intubation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but the patient's condition was not suitable to do this procedure. Thus, we tried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but we experienc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due to epistaxis. We tried to use video laryngoscope instead of fiberpotic bronchoscopy but also failed to guide the tube into trachea due to limited mouth opening. We used video laryngoscope to make a view of vocal cord and used fiberoptic bronchoscope as an intubation guide of endotrachedal tube and successfully intubated the patient.

      • KCI등재

        Reduction of headache intensity and frequency with maxillary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headache comorbid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alvador L. Manrriquez,Kenny Robles,Kam Pareek,Alireza Besharati,Reyes Enciso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2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21 No.3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xillary stabilization splint (SS) therapy to reduce headache (HA) intensity and HA frequenc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HA comorbid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using full-arch coverage, hard resin, and maxillary SS therapy were included.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Cochrane Library, MEDLINE through PubMed, Web of Science, and EMBASE, were searched. The risk of bias was analyzed based on Cochrane’s handbook. The search yielded 247 references up to January 28, 2020. Nine RCTs were included at a high risk of bias. The comparison groups included other splints, counseling, jaw exercises, medications, neurologic treatment, and occlusal equilibration. Four studies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HA intensity, and five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 frequency from baseline at 2-12 months in patients with TMD-HA comorbidity treated with a full-arch hard maxillary SS. HA frequency in tension-type HA (TTH) comorbid with TMD diagnoses of myofascial pain (MFP) or capsulitis/synoviti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SS than that with full-arch maxillary non-occluding splint (NOS) in two studies. Comparison groups receiving hard partial-arch maxillary splint nociceptive trigeminal inhibition (NT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A intensity in patients with mixed TMD phenotypes of MFP and disc displacement comorbid with “general HA.” Comparison groups receiving partial-arch maxillary resilient/soft splint (Relax)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HA intensity and frequency in patients with HA concomitant with MFP. The meta-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pain intensity at 2-3 months with comparison of the splints (partial-arch soft [Relax], hard [NTI], and full-arch NOS) or splint use compliance at 6-12 months with comparison of the splints (partial-arch Relax and full-arch NOS) versus the SS groups in patients with various TMD-HA comorbidities. In conclusion, although SS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HA intensity and HA frequency when reported, the evidence quality was low due to the high bias risk and small sample size.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발행한 2007년도판 치과의사에 의한 진정법과 전신마취 사용 가이드라인 -번역-

        서광석,Seo, Gwang-Seok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9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9 No.2

        국내에서도 많은 치과의사들이 임상에서 진정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에 이와 관련된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임상에서 진정법 시행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격기도 하고, 법적인 문제에 휘말리기도 하고 있다. 이에 대한치의학회에서는 치과 진정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참고가 될 만한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발간한 진정법 관련 가이드라인을 완역하여 소개한다.

      • KCI등재

        An anesthetic management of head and neck cancer reconstructive surgery in a patient having hemophilia A: a case report

        유승화,권도현,이종호,서광석,김현정,감명환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2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21 No.3

        Hemophilia A is a hemorrhagic disease caused by coagulation factor VIII deficiency. In head and neck cancer surgery, especially during a reconstructive one, complications can occur. These include hematomas due to bleeding which can then lead to flap ischemia, necrosis, and impaired wound healing. There are fewer cases of reconstruc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hemophilia A. Here in we report, a reconstructive surgery that involved mass resection, partial glossectomy (right), selective neck dissection (right, Levels I, II, III, IV), and reconstruction at the lateral arm free flap (left) in a 25-year-old man with hemophilia A. The surgery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fter pretreatment with Factor VIII concentrate, which has not been reported earlier.

      • KCI등재

        A simplified CAD/CAM extraoral surgical guide for therapeutic injections

        Andrew Cameron,Antônio Luís Neto Custódio,Mahmoud Bakr,Peter Reher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2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21 No.3

        Therapeutic injections into the craniofacial region can be a complex procedure because of the nature of its anatomical structure. This technical note demonstrates a process for creating an extra-oral template to inject therapeutic substances in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The described process involves merg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data and extra-oral facial scan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to establish a correlated data set for virtual planning. Virtual injection points were simulated using existing dental implant planning software to assist clinicians in precisely targeting specific anatomical structures. A template was designed and then 3D printed. The printed template showed adequate surface fit. This innovative process demonstrates a potential new clinical technique. However, further validation and in vivo trials are necessary to assess its full potential.

      • 불안조절과 치주수술

        이승호,이준영,전혜란,한금아,Lee, Seoung-Ho,Lee, Jun-Young,Jeon, Hye-Ran,Han, Gum-Aha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5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5 No.1

        Chronic periodont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in clinical dentistry, which requires various surgical interventions to treat the moderately to severely destructed supporting periodontium. Most patients have anxiety and fear to these surgical procedures and dentists often have problems dealing with these patients. By applying the conscious sedation technique in outpatient units, periodontists have become able to manage their patients successfully with less anxiety or fear. Also, we have experienced the increased level of patients' satisfaction. Generally, periodontal treatments are time consuming procedures and patients are usually reluctant to the periodontal instrument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edation procedure with intravenous midazolam infusion performed i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Using questionnaires, we evaluated 80 randomly selected patients for the anxiolytic effect of intravenous midazolam. Anxiety control using IV sedation was very helpful in performing various periodontal reconstructive and advanced surgical procedures in implant dentistry.

      • KCI등재후보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에서 시행된 정주진정에 대한 연구

        오정은,김종수,김승오,O, Jeong Eun,Kim, Jong-Su,Kim, Seung-Oh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13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3 No.1

        Background: Intravenous sedation is effective for dental patients who are anxious. Recently,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has begun to be used widely to administer and titrate propofol and remifentanil during sed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safety of the pharmacologic agents used in anesthetic department,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Methods: Retrospective study of a series of dental procedure under intravenous sedation performed in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in Dental Hospital of Dankook University was carried out with propofol or propofol/remifentanil between January and August 2011 and January and April 2012. All patients received oxygen by nasal cannula. The average propofol and remifentanil target was 0.5 ${\mu}g/ml$ and 1.0 ng/ml, respectively using a TCI pump. The average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SpO_2$), heart rate, blood pressure, respiratory rate, nasal end-tidal $CO_2$ were recorded at 5-10 minute intervals. The age, gender, weight, procedure and sedation time, type of procedure were also recorded. Results: We included 22 cases of 19 adults (group A) and 6 cases of children (group B). In group A, 4 patients received propofol (group A-P), and 15 patients received propofol with remifentanil (group A-PR). In group B, 6 patients received propofol only. The mean age of group A was 41.1 years old and that of group B was 9.5 years old. No clini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noted. There were no case of de-saturation <90%. The median respiratory rate was 13.1 (range 6 to 36) in group A and 19 (range 13 to 25) in group B. The median end tidal $CO_2$ was 36.7 mmHg(range 8 mmHg to 56 mmHg) in group A and 41.7 mmHg (range 30 mmHg to 53 mmHg) in group B. Conclusions: Based on our results, dental sedation using propofol/remifentanil in adult and propofol in children with TCI pump seems to appear a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while performing dental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