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부 당뇨병 환자의 식염에 대한 인지도와 식염 섭취량

        오경원,서일,남정모,김경래,허계영 대한당뇨병학회 1998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2 No.1

        연구 배경: 당뇨병성 대혈관병증과 신증 등은 식염 섭취 감량을 통한 고혈압의 치료가 우선적으로 교구되므로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식염 섭취의 제한에 관한 영양교육이 중요하다. 환자들의 식염 섭취에 관한 인지도와 실제 식염 섭취량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영양교육을 실시할 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염에 대한 인지도와 실제 식염 섭취와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영동세브란스병원 내과 외래로 통원 치료를 받았던 당뇨병 환자 87명(남자47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신체계측 조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생화학 검사 및 의무기록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 당뇨병 관련 특성, 신체계측적 특성 및 생화학 검사, 식염 섭취에 대한 인지정도, 식염 섭취 조절 의도와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에 대하여 단일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은 남자가 284±86.7mM, 여자가 220.2±71.7mM로서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5), 연령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정된 1일 식염 섭취량은 남자 16.6±5.1g, 여자 12.9±4.2g이었다. 2) 당뇨병과 관련된 특성인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조절정도, 합병증, 고혈압, 비만증 및 고중성지방혈증과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3)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과 당뇨병의 식사요법 교육 수혜 여부와 횟수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으나, 남자의 경우 당뇨병 식사요법을 실행하는 사람이 실행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이 유의하게 적었다. 4) 식염 섭취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 '싱겁게 먹는다'는 사람이 남녀 각각 38%이었다. 그러나 식염 섭취에 대한 인지도와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5) 현재 본인의 식염 섭취량에 비해, '식염을 더 줄일 필요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남자는 55.3%, 여자는 32.5%이었고, 식염 섭취 감량을 위하여, 남자 65.3%와 여자 68.3%가 '노력한다'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식염 섭취 감량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식염 섭취감량의 노력여부와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6) 식염 섭취 감량의 가능성에 대하여 남자 83.7%, 여자 70.7%가 '가능하다'고 응답하였으나 가능성 여부와 24시간 소변내 나트륨 배설량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식염 섭취 감량이 불가능한 이유로 남자의 100%, 여자의 91%가 '맛의 저하'를 지적하였다. 결론: 당뇨병 환자들의 식염 섭취에 대한 인지도와 실제 식염 섭취량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고, 식염 섭취 감량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실행에 옮겨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뇨병 환자에게 정확한 식염 섭취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결과 제시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식염 섭취감량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율적인 방법론 및 맛이 고려된 저염식단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당뇨병 환자에서 혈장 Thrombin-Antithrombin Ⅲ 및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복합체의 임상적 의의

        김경욱,김은숙,정상수,윤수지,박우일,이준희,남수연,안철우,문병수,김경래,차봉수,송영득,임승길,이현철,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5

        연구배경: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섬유소용해 체계의 이상경향이 있어 그 결과로 여러 혈관합병증의 발생위험이 높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혈당으로 인한 혈장 단백질들의 비효소성 당화작용이나 산화성 스트레스로 인한 유리 라티칼 작용으로 응고항진이나 섬유소용해 활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응고 및 용해인자와 그 억제자의 복합체들의 증가가 이 상태를 비교적 예민하게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 101명과 정상 대조군 20명에서 혈장내 thrombin­antithrombin complex(TAT)와 plasmin­α₂­plasmin inhibitor complex(PIC)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합병증의 유무에 따른 차이와, 이미 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1. 환자의 분포를 살펴보면 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은 85명, 혈관합병증이 없는 군은 1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57.9±14.1세, 49.9±16.6세로 혈관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더 나이가 많았고, 체질량지수는 23.2±3.4㎏/㎡, 24.1±3.4㎏/㎡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두 군간의 혈압 및 HbA1c, 공복혈당 및 인슐린과 C­peptide,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p⒜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었다. 2. TAT 및 PIC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는 2.8±1.2 ng/mL, 240.4±69.7 ng/mL이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9.5±22.6 ng/mL, 472.2±258.7 ng/mL이었다. TAT와 PIC 모두 당뇨병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p<0.001), TAT/PIC ratio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3. 당뇨병 환자의 혈관합병증에 따른 TAT 및 PIC, fibrinogen 농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은 각각 4.1±2.4ng/mL, 362.2±272.0ng/mL, 322.7±102.4mg/mL으로 PIC와 fibrinogen의 증가를 보였으나,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 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각각 6.0±4.9 ng/mL, 507.4±321.6 ng/mL, 427.1±194.7 mg/dL이었으며 미세·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10.4±6.4 ng/mL, 484.8±269.7 ng/mL, 388.4±132.4 mg/dL으로 TAT의 증가를 보였으나 역시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미세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PIC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049), 대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42). 5. 총 당뇨병 환자군에서 PIC는 fibrinogen과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47, 0.31,-0.25),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7). 결론:이상의 결과에서 혈장 TAT 및 PIC 농도는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연령의 증가와 유병기간이 혈액응고항진 및 용해의 장애에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총 당뇨병 환자군에 PIC와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용해의 장애가 동반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혈장 TAT 및 PIC는 혈관합병증으로의 진행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 혈당조절정도와 상관성이 있으므로 혈당조절후에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한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tic system is known as a predisposing factor of vascular complication in diabetes. Although the pathogenesis is not well known, non-enzymatic glycation reaction and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due to an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be linked to the hypercoagulibility and hypofibrinolytic activity. As indices of abnormality in coagulation and firinolysis in peripheral bloo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le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complex (PIC) were meas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hypercoagulability exists in diabetic patients with or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Methods : In our study, we measure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el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 or complex (PIC) in 101 diabetic subjects and 20 controls. Comparing TAT and PIC levels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and controls, we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Results : 1. The group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was older than group without compl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lood pressure, HbA_ic, blood sugar level, insulin, C-peptide, serum creatini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p (a) between two groups. The group with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had longer duration of diabetes. 2.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were 2.8±1.2 ng/ mL, 240.4±69.7 ng/ mL in controls and 9.5±22.6 ng/ mL, 472.2±258.7 ng/ mL in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 TAT and PI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patients than in control (p<0.001). But TAT/PIC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In diabetic patients,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respectively 4.1±2.4 ng/ mL, 362.2±272.0 ng/ mL, 322.7±102.4 mg/ dL in group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and 5.3±4.1 ng/ mL, 529.5±258.7 ng/ mL, 374.9±106.2 mg/ dL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had increase in PIC and Fibrinogen but no significance after correction of age.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60.±4.9 ng/ mL, 507.4±321.6 ng/ mL, 427.1±194.7 mg/ dL in macrovascular complication, and 10.4±6.7 mg/ mL, 484.8±269.7 ng/ mL, 388.4±132.4 mg/ dL in combined 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showed increase of TAT but also had no significant increase after correction of age. 4.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9) had significant high PIC concentration. In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2) had significant high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5. In all diabetic patients, PI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brinogen and HbA_1c and negatively correlated BMI (r=0.47, 0.31, -0.25). Only in daibetic patients without angiopathy, T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bA_1c (r=0.67). Conclusion : In this study, plasma TAT and PIC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s, and PIC was increased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TAT were increased in group with combined micro macrovascular compli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relationship existed when correctinf for age. PIC was correlated with HbA_1c. TAT was correlated with HbA_1c only in the group without angiopathy.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were combined in diabetes, plasma TAT and PIC can be used as an index of vascular complication. Also we found th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the blood glucose control. Therefore we need follow up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prevention of vascular complication after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to age-matched patients (J Kor Diaabetes Asso 25:354~363, 2001).

      •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표준진료지침이 혈당, 당화혈색소, 당뇨지식 및 재원일수에 미치는 효과

        김희승,윤건호,유양숙,오정아,송민선,신미옥,김경희,송복례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1

        연구배경 : 당뇨병 환자의 평균 재원기간을 단축시키고, 제한된 입원기간 내에서 질적인 면과 비용효과성을 고려한 총체적인 건강관리체계의 필요성이 요구됨으로써 생겨난 것이 당뇨병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 CP)이다. 현재 개발된 당뇨병 CP를 통한 진료가 환자의 당뇨병에 관한 지식을 개선시키고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이 개선되었다는 과학적인 검증은 당뇨병 CP를 여러 병원에 정착시키기이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3월부터 1년간 강남성모병원에 입원하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현재 개발된 1주일 CP를 적용한 실험군의 혈당, 당뇨병 관련 지식 및 재원일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 1주일 CP를 적용한 실험군은 내과병동에 입원한 당뇨병 환자 89명이었고, 대조군은 기타병동에 입원한 당뇨병 환자 22명이었으며 CP를 적용하지 않았다. CP를 적용하기 전인 입원시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공복혈당, 식후 2시간혈당, 당화혈색소 및 당뇨관련 지식을 측정하였고, 퇴원 시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공복혈당과 당뇨관련 지식을 재측정하고 재원일수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두 군에게 퇴원 3개월 후의 공복혈당, 식후 2시간 혈당 및 당화혈색소를 조사하였다. 결과 : 1) 실험군의 공복혈당은 입원 시 238.7: 1) 실험군의 공복혈당은 입원 시 238.7mg/dL에서 퇴원 시 139.4mg/dL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퇴원 3개월 후에는 150.6mg/dL로 약간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은 입원 시 251.5mg/dL에서 퇴원 시 136.2mg/dL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퇴원 3개월 후에는 219.3mg/dL로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실험군의 입원 시 식후 2시간 혈당은 312.5mg/dL에서 퇴원 3개월 후 248.5mg/dL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대조군도 입원 시 식후 2시간 혈당이 300.1mg/dL에서 퇴원 3개월 후 262.5mg/dL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실험군보다 감소의 폭이 적은 경향이었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입원 시 당화혈색소는 각각 10.3%와 9.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퇴원 3개월 후 실험군은 7.5%로 대조군의 9.1%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실험군의 입원 시 당뇨지식 점수는 실험군이 12.1점 대조군은 12.0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퇴원 시는 실험군이 15.5점으로 대조군의 14.6점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5) 재원일수는 실험군이 8.4일로 대조군의11.0일 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 따라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CP는 재원일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환자의 자가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개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장기적인 혈당 조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ritical pathway for the admitted patients with type 2 dia betes me llitus on glycemic control, the knowledge on the diseas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Methods: 89 diabetic in-patients were applied with the 1 week critical pathwa which was consisted of intensive education program for self-management of diabetes me llitus such as glucose monitoring, excercise prescription, diet control, self-a djustment of the drugs and so o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22 diabetic in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way. We assessed the effects of critical pathway on the degree of glycemic control, the knowledge on the diseas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Results: Although fasting and postprandial 2 hours blood g lucose levels did not showed sta tistically significantd ifference between critical pathway group and conventional group on discharge , HbA1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ritical pathwa group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roup (7.5±1.8% vs 9.1±2.6%) on 3 months after discharge . Knowledge on the disease tended to increase in critical pathway group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roup on discharge.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ritical pathway group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roup (8.4±2.8day vs 11.0±3.9da )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critical pathway for the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ight be a usefulway for improving the long term glycemic control through motivation, enhancing the knowledge on the disase as well as reduc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 SCOPUSKCI등재

        소아발병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체액성 면역표지자

        윤현대,김재홍,오정현,박진철,남상엽,윤지성,원규장,이충기,조인호,박중열,홍성관,이기업,이형우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제1형 당뇨병의 진단 및 예측에 사용되고 있는 자가항체로서는 ICA, GADA 및 IA2 항체 등이 있다. 이러한 자가항체의 양성률은 서양인 제1형 당뇨병환자에 비해 한국인이나 동양인 제1형 당뇨병환자에서 낮은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다. 제1형 당뇨병은 발병연령에 따라 그 경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의 경우는 전형적인 소아 발병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 비해 발병시 임상적 및 자가면역적 차이도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소아발병과 성인발병으로 나누어 각 환자군에 대한 임상적 지표 및 자가항체의 빈도의 차이를 관찰하여 한국인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의 소아 및 성인발병 형태의 차이 와 각각 병인에 자가면역이 관련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환자 32명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다시 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 39명과 비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33명으로 분류하였다. ICA는 간접 면역 형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GAD 항체과 IA2 항체는 방사성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과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각각15±3세, 47±14세 이었으며, 평균 발병 연령은 각각 11±2세, 39±12세이었다. 체질량지수는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19.1±2.2㎏/㎡,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21.4±3.2㎏/㎡이었으며,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는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은 0.18±0.19nmol/L이었고,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은 0.23±0.19nmol/L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32명의 ICA, GAD항체 및 IA2 항체의 빈도는 각각 50%(16/32), 38%(12/32), 31%(4/13)이었다. 성인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 40명의 ICA, GAD항체 및 IA2 항체의 빈도는 각각 30%(12/40)25%(10/40)18%(7/40)로 세 항체 모두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낮았으나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경우 각각의 작가 항체들이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로 나누었을 때, 각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을 연령, 병의 이환기간, 체질량지수,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연령에 따른 GAD 항체와 IA2 항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군의 경우 각각의 자가 항체들이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로 나누었을때, 각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을 연령, 병의 이환기간, 체질량지수, 공복시 혈장 C­펩타이드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연령에 따른 ICA, 체질량지수에 따른 ICA, 공복시 혈중 C­펩타이드에 따른 GAD 항체와 IA2 항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한국인 소아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항체 빈도는 성인 발병형보다는 높았으며, 중국인과는 유사하게, 서양인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소아 및 성인 발병 제1형 당뇨병 환자의 병인에는 자가면역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자가 면역을 제외한 다른 인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ype 1 diabetes melitus is autoimmune disease in which serum antibodies against islet antigens have been recognized. These antibodies include cytoplasmic islet cell antibodies (ICA), and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65 antibodies and IA 2 antibo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these autoantibodies is different among Caucacian and Asian and Korean type 1 diabetes patients. And the natural course of type 1 diabetes can differ according to the age of onset. But, in contrast to the classic juvenile onset type 1 diabetes, the adult onset type 1 diabetes is poorly characterized about clinical and autoimmune differences at presentation. Thus, this study was perfomed to evaluate clinical and autoimmune characteristics at presentation in subjects with either child onset or adult onset type 1 diabetes and to establish an autoimmune pathogenesis in Korean type 1 diabetes. Method : We examin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onset type 1 diabetes (n=32) and adult onset type 1 diabetes (n=40) retrospectively. At the same time, ICA from these patients was measured by standar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GADA and IA2A fro these patients were measured by radio immunoassay.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disease was longer in the adult onset and their serumfasting C-peptide concentration at diagnosis were higer. The prevalence of ICA, GADA, IA2A in sera from 32 patients with child onset type 1 diabetes was 50%, 38% and 31% respectively. And,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40 patients with adult onset type 1 diabetes was 30%, 25% and 18%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39 patients with typicaltype 1 diabetes was 46%, 30% and 16% respectively. And,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in sera from 33 patients with a typicaltype 1 diabetes was 30%, 30% and 25% respectively. The concordance rate of ICA and GADA in child onset and adult onset diabetes was 81% (26/32), 80% (32/40) respectively. In a subset of these patients with recent onset type 1 diabetes (duration of diabetes ≤ 1 year), the prevalence of ICA, GADA and IA2A was 75% (3/4), 75% (3/4), 100% (1/1) respectively, in the child onset type 1 diabetes.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show that autoantibodies in Korean patients with child onset type 1 diabetes is similar compaired with other Asian groups but is lower than Caucasia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nd the prevalence of humoral immunologic markers in child onset type 1 diabetes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 onset diabe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immune response is a significant cause of Korean type 1 diabetes but other factors except autoimmunit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Korean type 1 diabetes (J Kor Diabetes Asso 444~456, 2000)

      • KCI등재

        우리나라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현황: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정춘희,오지영,이준영,박이병,김대중,민경완,백세현,손현식,박석원,박정현,안철우,최경묵,김재용,김혜영,김화영,이선희,최인정 대한당뇨병학회 2006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0 No.5

        -Background: Foot ulcer diseases are more prevalent in diabetic patients than that those of non-diabetic patients. Several reports showed the risk of amputation and the medical cost were increased when foot ulcer developed. Therefore, strict glycemic control from the initial period of diabetes is necessary. Since there is no enough epidemiologic data, large scaled studies for med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about diabetic foot ulcer are needed.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health insurance claims submitted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994 through December 2002.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medical cost of foot disorders in Korean population using the disease-classification codes on the health insurance claim forms.접수일자: 2006년 8월 4일, 통과일자: 2006년 9월 28일, 책임저자: 박이병, 가천의과대 길병원 내분비내과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에서 족부궤양의 빈도는 비당뇨인 보다 높고 족부궤양 발생 시 절단의 발생률이 높으며 의료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당뇨병 초기부터 철저한 혈당 관리가 필요함은 자명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근간이 되는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로서 학회 차원의 대규모 역학 연구가 필수적이다. 방법: 저자들은 1994년 12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당뇨병을 주 또는 부상병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1회이상 청구된 3,911,647명의 환자 중 사망자와 기존 유병자를 제외한 3,587,5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도의 당뇨병성 족부질환의 발생률과 의료비용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당뇨병환자 (391만 1647명)의 1.2%에서 족부질환이 있었으며 이는 전체 족부질환의 47.9%였고 이중 족부절단은 전체 족부절단의 54.4%, 족부궤양은 전체 족부궤양의 52.5%, 족부손상은 전체 족부손상의 11.7%였다. 당뇨병환자에서 인구 10만 명당 족부질환 발생률은 족부절단 49.7명, 족부궤양 99.7명, 족부손상 1,051명이며 비당뇨병환자에서는 각각 4.2명, 10.3명, 943명이었다. 비당뇨병과 당뇨병환자간의 족부질환 발생건수의 비교에서는 족부절단의 경우 당뇨병환자가 비당뇨병환자에 비해 11.7배, 족부궤양의 경우 9.7배, 족부손상의 경우 1.1배 많았다. 1인당 평균 총 진료비는 족부절단 1162만원, 족부궤양 780만원, 족부손상 354만원으로 비당뇨병환자에 비해 각각 2.0배, 1.7배, 2.1배 많았고 평균 입원일수는 족부절단 76일, 족부궤양 61일, 족부손상 33일로 비당뇨병환자에 비해 각각 1.6배, 1.3배, 1.7배 길었다.

      • KCI등재

        젊은 당뇨병환자의 원인에 따른 병형과 임상적 특징 및 경과

        박미나,오승준,우정택,김진우,김영설,김성운,강양일,전숙 대한당뇨병학회 2006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0 No.3

        -Background: Recently, the number of young diabetic patients is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diabetes and classify it correctly to manage these patients successfully. We aimed to classify young onset diabetes according to etiology and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Methods: Young patients (15~30 years old) who have been treated diabetes in Kyunghee medical center in 2004 were included. We investigated family history of diabetes, disease duration, body mass index (BMI), the history of diabetic ketoacidosis, HbA1c, fasting C-peptide, autoantibody, lipid profile and treatment method via medical records. Result: Total 85 patients (M:F 40:45) were evaluated. Type 1 diabetes was 45.9%, type 2 diabetes was 23.5% and unclassified group was 25.9%. Many type 2 diabetic patients were overweight or obese (94.8%). Most young diabetic patients were using insulin (95.4%). Many type 1 diabetic patients have been treated by insulin only and many type 2 diabetic patients have been received combined therapy of insulin and oral hypoglycemic agent. The recent HbA1c was average 8.32 ± 2.7%. The prevalence of diabetic retinopathy, neuropathy and nephropathy was 32.9%, 22.4% and 16.4% as each. Conclusion: Nearly half of young onset diabetes was type 1 diabetes but many others were also classified to type 2 diabetes or unclassified group.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consistent algorithm for assessment and investigation for newly diagnosed young diabetic patients. More education and effort are required to control diabetes strictly and prevent its complication. (J Kor Diabetes Assoc 30:190~197, 2006) 연구 배경: 젊은 연령의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 이외에도, 제2형 당뇨병이나 MODY, 그 외 다른 요인에 의한 당뇨병이 존재한다. 젊은 성인 당뇨병환자를 병인에 따라 분류하고, 그 유병률과 임상 양상, 경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방법: 2004년 경희의료원에서 당뇨병으로 진료 중인 15~30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 기록을 통해 발병 시기, 가족력, 유병 기간, 진단 시 BMI, 당뇨병성 케톤산증, 당화혈색소, 공복 C-peptide, 인슐린 분비능, 자가 항체 유무, 지질 농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환자수는 85명 (남:녀 40:45), 평균 나이는 24.1 ± 4.6 세였다. 제1형 당뇨병은 45.9%, 제2형 당뇨병은 23.5%, 병형 결정이 어려운 경우는 25.9%였다. 제2형 당뇨병환자 중 과체중이나 비만인 경우는 94.8%로, 제1형 당뇨병에 비해 의미있게 많았다 (P < 0.01). 제1형 당뇨병환자는 인슐린 단독요법을, 제2형 당뇨병환자는 복합 요법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P < 0.01). 최근 HbA1c는 평균 8.3 ± 2.7%였고 목표 당화혈색소 (< 7%)에 도달한 경우는 49.4%, 당화혈색소가 10% 이상인 경우도 14.8%였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28명 (32.9%), 신경병증은 19명 (22.4%), 단백뇨는 14명 (16.4%)에게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 치료 목적에 관한 자기인식 연구

        진혜경 ( Hae Kyung Jin ),정현경 ( Hyun Kyung Chung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의 자기 관리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당뇨병 교육의 주요 목적이다. 특히 노인 당뇨병환자들은 장기간 당뇨병을 지니고 살아가는 부담과 함께 노화현상 자체에 따른 각종 신체, 심리적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당뇨병 교육의 난점을 많다.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환자들이 말하는 당뇨병 치료의 목적을 경청함으로써 교육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며, 당뇨병 전반에 대한 인식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고안하였다. 방법: 65세 이상 노인 제 2형 당뇨병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일대일 인터뷰 방식을 통해 연구자가 제시하는 문항에 대해 자유롭게 답변하도록 하였는데, 문항은 다섯 개 분획, 즉 `건강`의 정의, 당뇨병 치료의 목적, 당뇨병 발생원인, 당뇨병 치료 세부 사항, 당뇨병 치료 방향설정의 주체 등에 관한 12개 세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같은 내용의 질문을 폐쇄형으로 반복하여 보완하였으며, 환자의 답변 내용을 녹음한 후 추후 두 명의 연구자가 각각 정리하고 교차분석하였다. 결과: 노인 당뇨병환자들은 `건강`을 주로 신체기능이나 통증 등의 증상 유무로 정의하였다. 당뇨병의 치료 목적을 질문하였을 때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유지하고 타인에게 짐이 되지 않는 등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언어로 답변하였으며, 혈당 조절이나 합병증 관리 등의 의학적 언어를 사용하여 답변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당뇨병 발생이 본인의 생활습관상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인식하는 환자는 전체의 52%에 달했고 나머지 환자들은 유전이나 스트레스 등의 외부요인을 꼽았다. 전체의 91% 환자는 당뇨병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식이조절과 운동요법이라고 답변하였지만, 나름대로의 이유, 즉 오랜 습관, 저혈당 염려, 동반 질환이 주는 제한 등으로 인해 식이요법을 하지 않거나(33%)나 운동요법(64%)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당뇨병 치료의 방향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의료진이나 본인의 의견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가족이나 매스컴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 당뇨병들의 적극적인 자기 관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의학적 설명보다는 사회 기능적인 측면을 부각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병관리세부사항을 교육할 때도, 식이나 운동요법을 실행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원인, 환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오랜 습관이나 잘못된 믿음, 동반 질환이 주는 신체적 제약 등을 먼저 파악하고 개선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 당뇨병환자의 교육에서는 치료 목적과 실제 당뇨관리 전반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DM) is a growing health problem of the elderly population. Diabetes education based on effective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plays a major role in treatment of type 2 DM. In this study, as an effort for making better communication, we examined how older patients with type 2 DM report their healthcare goals, what factors influencing their goals and control their self-care behaviors. Methods: Subjects were thirty three patients with type 2 DM aged 65 and older. An interviewer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using open questions about 5 categories: concept of "health," purpose of DM management, causes of DM, practical aspects of DM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related to DM management.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two investigators independently reviewed. Results: The majority of our sample (79%) expressed their management goals in a socio-functional language, rather than medical issues. They defined "Healthy" as a status of keeping daily life without any symptoms. Many subjects has not altered their diet habits (33%) and making no efforts to exercise (64%) due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limitations though almost all (91%) older pati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iet control and exercise. Conclusion: When introduce the goal of DM management, it would be better to use socio-functional terms in diabetes education of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M. To improve the self-care behaviors,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not only to give knowledge but also to find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limitations related to poor performances. (Korean Diabetes J 33:439-447, 2009)

      • SCOPUSKCI등재

        당뇨병유발 백서에서 홍삼의 지질 과산화에 대한 효과

        진희종,임성희,임자혜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5

        연구배경:당뇨병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에 따른 지질 과산화는 혈관 합병증의 발생과도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에서 증가된 산화 스트레스가 산화 손상 및 합병증 발생의 중요한 기전이라면 항산화제 투여로 당뇨병의 합병증이 예방되거나 진행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홍삼이 내피세포에서 NO 합성을 증가시키고 하이드록시 라디칼과 반응하여 제거함으로써 유리 라디칼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이 당뇨병에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시험관내에서 인지질 리포솜 지질의 철이온에 의한 과산화에 대한 홍삼정(red ginseng extract)의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생체내에서 홍삼이 당뇨병시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STZ으로 당뇨병을 유발할 백서에서 홍삼정(1g/L in drinking water)을 12주간 투여한 후 혈장과 간, 신장 및 심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을 측정하여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홍삼정은 in vitro에서 인지질 리포솜 지질의 철이온에 의한 과산화와 저밀도지단백 지질의 구리이온에 의한 과산화를 억제하였다. 혈장 MDA 농도는 STZ­유발 당뇨병군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약 2배로 높았고, 12주간 홍삼 투여 당뇨군은 비투여 당뇨군에 비해 유의하게 41%낮았다. 간, 신장 및 심장 조직의 MDA 농도는 STZ­유발 당뇨병군에서 정상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12주간 홍삼 투요 당뇨군은 비투여 당뇨군에 비해 각각 17%, 14% 및 30% 유의성 있게 낮았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백서에서 홍삼정을 투여하여 혈장과 간, 신장 및 심장 조직에서 지질 과산화물이 감소함을 관찰하였고, 시험관내에서도 홍삼정이 인지질 리포솜이나 저밀도지단백의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홍삼이 당뇨병에서 산화적 손상을 줄이고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나 진행을 지연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Diabetes mellitus is postulated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lipid peroxidation which may contributo to vascular complications. Recently ginseng (Panax) has been sh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by enhancing nitric oxide synthesis in endothelial cells and by directly scavenging hydroxyl radicals. It is unknown whether ginseng might act as an antioxidant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diabetes. Methods : We studied the in vitro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employing phospholipid liposome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 as a model system. To investigate the in vivo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in diabetes, we administered red ginseng extract (1g/L in drinking water) to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12 weeks and measured lipid peroxidation products in plasma, liver, kidneys and heart. Results : The Fe^3+ - or Cu^2+ - mediated lipid peroxidation in phospholipid liposome and LDL,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of TBAR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red ginseng extract. MDA level in plasma measured by HPLC was higher 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an in control rats. Plasma MDA level was lower by 41% in red ginseng-treated diabetic rats than in untreated diabetic rats. Tissue MDA levels measured by TBA method in liver, kidneys and heart were higher 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an in control rats. In red ginseng-treated diabetic rats tissue MDA levels were lower by 14 ~ 30% than in untreated diabetic rats. Conclusion : We observed that red ginseng extract has an effect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both in vitro and 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ginseng might have a beneficial effect in diabetes as an antioxidant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s (J Kor Diabetes Asso 25:374~383, 2001).

      •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로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대한 공복혈당장애의 역할

        김수경,김대중,김세화,김형진,이유미,김하동,안철우,차봉수,임승길,김경래,이현철,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2

        연구배경: 1997년 미국 당뇨병학회(ADA)에서는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내당능장애(IGT)에 상응하는 새로운 범주인 공복혈당 장애(IFG)를 제안하였다. 내당능장애(IGT)에서 향후 당뇨병이나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복혈당장애의 경우 동맥경화증으로 대표되는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위험도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 국내 환자에서의 공복혈당 장애와 관상동맥 및 전신 죽상 동맥경화증의 지표인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4월부터 6월까지 건강 검진 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1239명중 항고혈합제 및 지질개선제를 복용하거나 과거력상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944명(남자 505명, 여자 439명)을 대상으로 당뇨병에 대한 치료 병력과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정상(공복혈당 <6.1mmol/L), 공복혈당장애(6.1mmol/L ≤공복혈당 <7.0mmol/L) 및 당뇨병(공복혈당 ≥7.0mmol/L 또는 당뇨병으로 치료받는 경우)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비, 평균 및 최대 경동맥 내중막두께, 혈압, 혈청 인슐린, 총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 세 군간의 임상 및 생화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당뇨병군에서 나이(p<0.001), 허리-엉덩이 둘레비(p<0.001), 및 혈청 중성지방 농도(p<0.05)가 다른군에 비해 높았다. 2) 경동맥 내중막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적 특성을 보정한 후, 평균 경동맥 내중막두께의 경우 당뇨병군이 0.77±0.22mm로 정상군(0.66±0.16mm, p<0.001)과 공복혈당 장애군(0.68±0.20mm, p<0.05)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최대 경동맥 내중막두께의 경우 당뇨병군이 0.84±0.26mm로 정상군(0.71±0.20mm, p<0.001)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공복혈당 장애군(0.74±0.30mm)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및 최대 경동맥 내중막두께는 공복혈당 장애군과 정상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공복혈당치의 정도와 경동맥 내중막두께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당뇨병의 기왕력이 없는 908명을 대상으로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1군 4.72mmol/L 이하, Ⅱ군 4.72mmol/L 초과 및 5.5mmol/L 이하, Ⅲ군 5.5mmol/L 초과 및 6.1mmol/L 미만, Ⅳ군 6.1mmol/L 이상 및 7.0mmol/L 미만, Ⅴ군 7.0mmol/L 이상으로 나눠 비교한 결과 평균 경동맥 내중막두께의 경우 Ⅴ군에서 0.74±0.15mm로 가장 높았으며, Ⅰ군, Ⅱ군과 Ⅲ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0.65±0.15mm, 0.67±0.16, and 0.68±0.15, p<0.05, respectively), 최대 경동맥 내중막두께의 경우 Ⅴ군에서 0.79±0.15mm로 Ⅰ군(0.69±0.17mm)과 Ⅲ군(0.73±0.17mm)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그러나 공복혈당장애에 해당되는 Ⅳ군의 경우 다른 어떤 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위의 다섯 군에서 HOMA법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을 평가하였는데, Ⅴ군에서 4.23±2.38으로 Ⅰ군(1.84±1.05, p<0.001)과 Ⅱ군(2.48±1.60, p<0.001)에 비해 높았으며, Ⅲ군(3.42±2.60과 공복혈당 장애군에 해당되는 Ⅳ군(3.31±1.89)에서도 Ⅰ군과 Ⅱ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당뇨병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평균 및 최대 경동맥 내중막두께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공복혈당 장애군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공복혈당치에 따라 5개 군으로 분류한 바, 당뇨병에 해당되는 Ⅴ군에서 경동맥 내중막두께가 가장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공복혈당장애에 해당되는 Ⅳ군에서는 다른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공복혈당 장애는 죽상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가 아님을 시사한다. 그러나 정상 공복혈당군에서도 혈당이 증가함에 따라 인슐린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당뇨병 기준치이하의 혈당에서도 다른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경구당부하검사 등을 통해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적절한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Expert Committee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aition(ADA) proposed a new category, but that was similar to the impaired glucose tolerance(IGT), that being the impaired fasting glucose(IFG). It was confirmed that the IGT is a fatal risk factor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the IFG is a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as is IG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IFG on the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IMT) as a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Methods: The analyses wer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medical checkups of 944 subjects. Subjects with a previous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 or cerebral vascular disease, or who had been treated with antigypertensive of hypolipidemic agents, were excluded. For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s of diabetes and IFG were based on the recent ADA recommendations. Diabetes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a fasting plasma glucose(FPG)≥7.0mmol/l, or current treatment with oralhypoglycemic agents or insulin. IFG was defined as a FPG≥6.1mmol/l but <7.0mmol/l, and a normal glucose tolerance(NGT) as a FPG<6.1 mmol/l. The body mass index(BMI), waist-to-hip ratio(WH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SBP and DBP), serum fasting glucose, insul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in all participants. High-resolution B-mode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ean and maximal carotid IMT.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WHR and triglyceride between the NGT, IFG, and diabetic groups. 2)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smoking history(packs/year), BMI, WHR, SBP, DBP, serum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the mean carotid IM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iabetic group(0.77±0.20mm) compared to the NGT(0.66±0.16mm, p<0.001) and IFG(0.68±0.20mm, p<0.05) groups. The maximal carotid IM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iabetic group compared to NGT group(0.84±0.26mm vs. 0.71±0.20mm, p<0.001), but not the IFG group(0.74±0.30mm, p=0.07).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FG and NGT groups in terms of the mean or maximal carotid IMT. 3) We divided all the participants, with no history of diagnosis or treatment for diabetes, into five classes according to their fasting glucose levels(Class Ⅰ : ≤4.72mmol/l, class Ⅱ : >4.72mmol/l and ≤5.5 mmol/l, class Ⅲ: >5.5mmol/L and <6.1 mmol/L, class Ⅳ : ≥6.1 mmol/l and <7.0mmol/L, and class Ⅴ : ≥7.0mmol/l). After adjusting for age, sex, smoking history, BMI, WHR, SBP, DBP,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the mean carotid IMT in class Ⅴ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classes Ⅰ, Ⅱ and Ⅲ(0.74±0.15mm vs. 0.65±0.15mm, 0.67±0.16mm and 0.68±0.15mm, p<0.05, respectively). The maximal carotid IMT for class Ⅴ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lasses Ⅰ and Ⅲ(0.79±0.17mm vs. 0.69±0.17mm and 0.73±0.17mm, p<0.05,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mean and maximal carotid IMT in class Ⅳ compared to the IFG and the other classes. 4) In the five classes above, we assessed the insulin resistance using the HOMA method. The insulin resistance in class Ⅴ (4.23±2.38)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lasses Ⅰ and class Ⅱ which were 1.84±1.05 and 2.48±1.60(p<0.001), respectively. In classes Ⅲ and Ⅳ, the insulin resistances were 3.42±2.60 and 3.31±1.89, respecitvely, which were higher than classes Ⅰ(p<0.001) and Ⅱ(p<0.001 and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abetic and NGT groups for the mean and maximal IMT. However, for the IFG group, there were no sih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mean and maximal IMT compared to the NGT or diabetic groups. Therefore, IFG may not be a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but as the FPG level was increased, the insulin resistance also increased. Therefore subjects with normal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hich have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need to be thoroughly screened by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IGT,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

        전국표본조사에 의한 우리나라 당뇨병 관리실태: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박석원,백세현,민경완,최경묵,손현식,이준영,정춘희,박이병,안철우,오지영,김대중,박정현,김재용,김화영 대한당뇨병학회 2007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1 No.4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의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당뇨병 인구의 증가는 각종 합병증 특히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증가, 삶의 질 저하 및 의료비 상승과 직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하여는 적절한 조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의 유병상태 및 그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2005년도에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기초통계연구 Task Force Team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연구실이 공동으로 시행한 연구이다.방법: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당뇨병으로 보험청구가 발생한 2,503,754명의 환자 중에서 2단계 집락추출법을 사용하여 무작위 추출된 3,902명에 대한 현장 방문조사와 전화설문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 사용된 의무기록조사지 및 환자설문지는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기초통계연구 Task Force Team에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결과: 대상자의 연령은 58.1 ± 12.6세, 평균 유병기간은 6.2 ± 5.5년이었다.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는 54%였으며 이들의 86.5%에서 고혈압약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나 혈압이 140/90 mmHg 미만으로 조절되는 경우는 59%,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되는 경우는 19%였다. 고지혈증이 동반된 경우는 29%였으며 이 중 LDL-콜레스테롤이 100 mg/dL 미만으로 적절히 유지되고 있는 비율은 38%였다. ADA에서 제시한 기준(HbA1c < 7%)으로 적절한 혈당조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40%에 불과하였다. 전화설문에서 60.6%의 당뇨병환자가 한번도 당뇨병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is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The increase in number of people with diabetes would ultimately result in premature death, poor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economic burden. However, in our country, researches regarding on the quality of diabetes management are lack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05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to know the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Methods: We have randomly selected 3,902 subjects out of 2,503,754 subjects who had claims with diagnosis of diabetes between January 2003 to December 2003 by using two staged cluster sampling method. Field survey with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tandardized record forms developed by Korean Diabetes Association; Task Force Team For Basic Statistical Study of Korean Diabetes Mellitus. Results: The age of diabetic subjects was 58.1 ± 12.6 years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was 6.2 ± 5.5 years. Hypertension was present in 54% of diabetic subjects. Among those with hypertension, 59% were controlled with blood pressure below 140/90 mmHg, but only 19% were controlled with blood pressure below 130/80 mmHg. Hyperlipidemia was present in 29% of diabetic subjects. Only 38% of those with hyperlipidemia were controlled with LDL-cholesterol below 100 mg/dL. For glycemic control, only 40% of diabetic subjects achieved the goal of HbA1c less than 7%, which was suggested by ADA. 접수일자: 2007년 3월 28일, 통과일자: 2007년 5월 23일, 책임저자: 김재용,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연구실Conclusion: We found that only 20~40% of diabetic subjects in Korea achieved the management goal for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s. It seems urgent to develop a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es subjects in Korea. (J Kor Diabetes Assoc 31:362~367,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