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의 공공부문 사업성 평가 방안

        주용진(Joo, Yong Jin),김강수(Kim, Kang Soo),함창학(Hahm, Chang Hah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3

        최근, 국가공간정보 사업의 효율적인 투자와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관심과 대상 사업의 투자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경제성 분석 과정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 정보 (정사영상/수치표고모형) 구축 사업을 사례로 국가 공간정보 사업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으로 우선, 3차원 공간정보 사업성 평가를 위한 분석의 틀과 편익 추정을 위한 대상 항목과 업무를 정의함으로써 평가의 기본 원칙을 정립하였다. 이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은 가치창출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공동 활용 편익 중 2차원 지도제작 업무로 한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비용 절감 편익과 절감액 추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적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한 종합분석을 통해 사업성 검토를 위한 최종적인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계량화할 수 없는 무형의 편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편익 추정에 어려움이 있는 3차원 공간정보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경제성 평가방안을 제시할 수 있 었다. In order to carry out efficient investment and successful business in national geo-spatial industry, economic assessment on the field of 3D geo-inform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a serious issue.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offer cost-effective evaluation scheme which are proper for 3D geo-spatial information, especially focusing on development of orthophoto and DEM.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preliminary rules for feasibility by defining target work and category in order to estimate benefit. Then, this paper will be limited to consideration of production of digital mapping for target business which is expected to create high value and its benefit from cost reduction is suggested. Drawing from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s,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scribed final result and implication to examine business value. Consequently, this study can suggest economical evaluation methods on 3D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which takes up a considerable part of immaterial benefit and has difficulties in economic assessment and estimation. preventing a variety of errors in system operation in advance.

      • KCI등재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자지도와 POI 정보의 매칭 방법

        김정옥(Kim Jung Ok),허용(Huh Yong),이원희(Lee Won Hee),유기윤(Yu Ki 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4

        최근 포털사이트 및 여러 분야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로 쉽게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의 통합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종의 공간정보를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정보의 통합과정은 다른 제공기관에서의 공간정보 추출과 동일좌표계로의 변환 그리고 대응되는 공간객체쌍을 찾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인 실세계의 대응되는 공간객체를 매칭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전자지도와 POI와 같은 이종의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개의 매칭 종류와 그에 따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이종의 공간객체에 대한 매칭을 위해 공간정보 및 부가적인 속성정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Recent growth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Web has made it possible to easily access a wide variety of geospatial information. An integration of different geospatial objects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extracting geospatial objects from the maps, converting the coordinate system and discovering pairs of objects that represent the same real-world entity in the two maps. This paper deals mainly with the third step to correspond conjugate objects and four matching types and criteria is presented. The techniques designed and developed can be utilized to efficiently integrate distributed heterogeneous spatial databases such as the digital maps and POIs from other data sources. To achieve the goal, we presented four types and criteria for the matching schema.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A complete process of integrating data from maps on the Web is presented. Then, we show how attributes of the objects can be used in the integration process.

      • KCI등재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관련규정 개선방안

        최병남,김건수,박소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4

        Regulations on map publication of the management act and on framework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he infrastructure act could potentially caus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geospatial data. This is due to overlapping scope and vagu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cts. This research suggests first of all redefining scope of these acts with geospatial data life cycle (i.e., acquisition/creation - development/application - sharing/distribution) to address abovementioned issues. The management act is limited on acquiring and producing locational and attribute data of a real-world object. The infrastructure act is then focused on building environment for enabling geospatial dat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dditionally, scope of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is suggested as provision and distribution of geospatial data to private sector. All three acts should also address seamless implementation of each scope with one another within the cycle. Second, development of national geospatial data (NGD), which is commonly used by various users, is suggested to be reflected on the management act to resolve the duplication and inefficiency of map publications. This should include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the NGD, and its compliance. In particular, current regulation of map publication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placed with automatic prod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based on the NGD.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suggests defining components of framework data under the infrastructure act as geospatial data that are used as background, reference, and base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regulations for its acquisition and management. specification, content standard, and quality standard of framework data which would be designed to be interoperable with those of NGD under the management act should be reflected on the infrastructure act. 관리법의 지도 등의 간행과 기본법의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은 자료구축의 중복, 비효율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두 법 조항의 규정대상범위가 중첩되고, 관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법 규정의 대상범위를 다음과 같이 자료 생애주기(취득/생성-구축/활용-공유/유통) 기반으로 재정립할 것을 제시한다. 관리법의 대상범위를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객체의 위치와 속성 자료(공간자료)를 취득하거나 설정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기본법의 대상범위를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자료의 구축 및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활동영역으로 한다. 진흥법의 대상범위를 공간자료를 이용한 민간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지원하는 활동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생애주기 전 과정의 끊김 없는 상호연계를 각 법에 규정한다. 둘째, 지도 등의 간행 규정에 의한 중복, 비효율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공통 사용하는 국토기본정보 구축을 관리법에 규정한다. 이와 연계하여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와 준수 규정도 함께 반영한다. 관리법에 국토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고객맞춤 자료 자동생산 및 유지관리를 규정하고, 지도 등의 간행 규정을 대체한다. 셋째, 기본공간정보 취득 및 관리 규정개선을 위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떤 (공간)자료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바탕, 기준, 기초 자료 역할을 하는 공간자료를 기본공간정보 구성요소로 기본법에 정의한다. 이와 연계하여 기본공간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의 정의 및 준수 규정을 기본법에 반영하되, 이것들을 관리법에 규정한 국토기본정보의 제품사양과 내용표준 및 품질표준과 상호 연계하여 도출한다.

      • KCI등재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국가공간정보 목록 작성에 관한 연구

        김태우,윤홍식,송문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4

        In the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Portal, a large amount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ed or hel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registered and circulated.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our life, it is required to create and manage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Currently, NSDI classifies spatial information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users to find the information that they want among huge amounts of spatial information that are produced or possesse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Especially, There are 28 kinds of spatial information data sets regarding public order and safety in NSDI. These data sets are about 1.1% of the total 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was prepared, and inventory information on digital topographic map, satellite image, and digital elevation model was surveyed based on basic spatial information as a basis of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In addition, layer information included in various thematic maps is cataloged according to disaster characteristics such as geological, or geographical features.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는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대량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우리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공간정보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목록의 작성·관리가 요구된다. 현재 국가공간정보포털에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따라 7개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다. 일반 사용자들은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막대한 양의 공간정보 가운데에서 찾고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다. 특히, 공공질서및안전 분야의 경우 1.1%에 해당하는 28종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를 위한 공간정보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공간정보 활용의 기본이 되는 기본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수치지형도, 위성영상, 수치표고모델에 대한 목록정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종 주제도에 포함된 레이어 정보를 지질학적, 지형학적 등 재난특성 별로 목록화 하여 산사태 위험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HTML5/WebGL 기반 3D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김민수,장인성,Kim, Min Soo,Jang, In S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6

        최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형, 건물, 쇼핑몰 등과 같이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단순화된 3차원 공간정보가 아니라 실세계와 유사한 고정밀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이 개발되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은 빠른 렌더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과정의 어려움, 크로스 웹 브라우저/운영체제 지원 불가, 보안 약화 등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 모듈을 부득이하게 이용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크롬,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에서 플러그인 모듈의 동작을 지원하였던 NPAPI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선언함으로써, 기존 플러그인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동작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3차원 공간정보를 빠른 성능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으로 HTML5/WebGL의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HTML5/WebGL 기반의 차세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Windows, Linux, Mac 등의 크로스 운영체제와 IE, Chrome, Firefox, Safari 등의 크로스 브라우저, 그리고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Recently, the utilization of geospatial open platforms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and the interest in 3D geospatial data such as terrain, building and shopping mall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ified 3D geospatial data, interest in high-precision 3D geospatial data which similarly represents the real world objec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 for such the high-precision 3D geospatial data, various kinds of 3D geospatial open platforms has been developed and has provided services on the web. However, most of the 3D geospatial open platforms have been used plug-in module in order to ensure a fast 3D rendering performance on the web, despite the many problems such as difficulty of the installation, no supporting of cross browser/operating system and security issues. In addition, recently, the existing 3D geospatial open platforms based on plug-in module are facing a serious problem, by declaring the NPAPI service interruption in Chrome and Firefox browsers. In this study, we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3D geo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HTML5/WebGL technology without the use of plug-ins. Such the new 3D geo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HTML5/WebGL may support cross browsers such as IE, Chrome, Firefox, Safari and cross OS platforms such as Windows, Linux, Mac and mobile OS platforms.

      • KCI등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성 분석 및 개선방안

        최병남(Choe, Byong Nam),김진(Kim,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3

        공간정보의 작성규정 중복방지, 수요-공급 선순환 촉진 등을 위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 124개를 행(row)에, 이 법제에서 규정하는 공간정보 적용유형 9개를 열(column)에 배치한 2-모드 장방형 메트릭스(rectangular matrix)를 만들고, 2-모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적용하여 두 법제 사이 네트워크의 연결 정도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관계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토지이용관리법제 모든 법령은 공간정보 적용을 규정한다. 둘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공간정보 적용수요가 있으나, 이 수요를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추상화 수준이 다른 공간정보 수요가 있으나, 축척이 다른 공간정보 사이 일관성/일치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다. 넷째, 토지이용관리법제는 복수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적용하고, 묵시적 방식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명시적인 적용 혹은 준용이 용이하도록 공간정보법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정보법제 이외 법령의 공간정보 적용 규정을 따르는 법령도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공간정보 적용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법제 연계체계 정립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켜야 할 공간정보 적용수요와 추상화 수준수요를 중심으로 수요맞춤 기반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기반 주제공간자료 생산체계, 공간자료 일반화 및 일관성 체계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다양한 법령에서 공간정보 적용을 위한 법제 연계체계 개선방안으로 공간정보법제 중심의 다층 법제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한다.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and land use legislation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event duplicate articles of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to promote virtuous cycle of spatial data supply-demand. We created rectangular matrix with 124 laws on the land use legislation on rows and 9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regulated by those laws on columns. We then conducted 2-mode network analysis to calculate the connectivity and centrality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The analysis result confirm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gislations and its implications, as follows: (1) all laws in the land use legislation define geospatial data application, (2)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in the land use legislation is not fully identified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3) land use legislation specifies the need for geospatial data in multiple scale, and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lacks regulation to secure the consistency between geospatial data in different scale, (4) land use legislation identifies multiple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using related terminologies without fully defining them, and finally (5) some laws in land use legislation refers to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by legislations other tha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ree improvements defined by demand types of application and scale, including a customization based framework, framework based the guideline for thematic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generalization standard and consistency system of geospatial data. It also suggests establishing a geospatial data legislation-centered multi-level legislation network.

      • KCI등재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최병남,이지훈,박진식,강인구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5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nts based on frequency survey and case study. However, such research methods do not have objectivity in setting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data. This research uses factor analysis with 104 medium-level layers from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Base Map and 5 layers from the other sources including cadastre and aerial image. Each layer is scaled with usage level as four different patterns of 1) background data, 2) reference data, 3) base data, and 4) other data,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ayers are grouped into 5 to 7 factor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OVA reveals tha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ith high values and the other factors with low values under each patter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high value factors under each pattern consist of similar layers, close to identical, with those under the other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framework data system, inclu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ydrography, elev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orthoimagery, geodetic control, and cadastr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framework in this research will be a basis of establishing spatial data sharing system. For sharing proposed framework data in various fields, these data must b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s actual standard and also related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콘텐트)를 의미한다. 여러 연구들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선호빈도 조사, 외국 사례조사 등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공간정보 항목 선정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실체로 공간정보(콘텐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기본도의 중분류 레이어 104개와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 총 109개 레이어의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서 각 레이어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그리고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타의 경우를 조사한다. 요인분석 결과 각 활용행태에 따라 5-7개 요인집단들이 도출되었다. 각 활용행태의 요인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집단의 평균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활용행태에서 평균값이 높은 요인집단의 레이어 항목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만큼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통(도로, 철도), 건물, 수계, 고도, 행정구역, 영상, 측량기준, 지적 등 8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주제정의는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시작의 단추로 의미가 있다. 제안된 기본공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되기 위해서 실제 표준 형태로 구축되고 유통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 단사진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기술연구

        한성만(Han, Soung Man),유충현(Yoo, Chung Hyeon),위광재(Wie, Gwang J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3차원 가상현실, 실감정사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건물 및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제작이 중요하다. 최근 급격한 도시발달로 인해 요구되는 공간정보는 정밀도, 정확도 외에 신속성까지 요구하고 있다. 신속한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Tool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방법으로 3차원공간정보 제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3차원 입체시 장비와 다년간의 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했다. 최근 낱장의 항공사진을 이용해 3차원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외에서 출시되었으나 적지 않은 금액의 라이선스 비용, 꾸준한 기술지원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폭넓게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함에 있어 경험이 적은 기술자도 간단한 기술교육만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고가의 입체시 장비 없이도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신속하게 만들어 낼 수 있으나 제작된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및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규정’을 준수하며 성과의 정확도는 작업규정 내의 묘사오차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다양한 모습의 빌딩이 존재하는 여의도로 선정했으며 본 소프트웨어로 생성한 건물을 DXF포맷으로 내보내기 한 후 도화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작업규정에 만족하는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nd structures in order to produce 3D virtual reality, real sense orthoimages, etc. We require not only precision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ut also promptness of it, because of rapid urban development recently. In order to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quickly,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bout the production tool are crucial. It is necessary to have expensive 3D stereoscopic equipment and skilled technicians who have a lot of experiences abou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3D spatial information production in the conventional ways. Although the software for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a single aerial photograph has been released overseas, it has not been used widely in the field due to high-priced license and difficulty of steady technical suppor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the accuracy of the result is within the permissible error tolerance range and the result complies with the "Aeronautical Photogrammetric Survey Regulations" and the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advantages of these technologies are that skilled experts can access easily with data and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rapidly without expensive stereoscopic equipment.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Yeouido where various buildings are located, and the buildings created by this software was exported as DXF format. The accuracy of data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drawing dat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satisfying with the digital map prod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체계에 관한 연구

        김은형(Eun Hyung Kim)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의 가징 핵심적 키워드는 산업 내 혹은 산업간의 융합화 즉 컨버전스(Convergence)라 할 수 있다. 즉, IT를 매개로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들이 상호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 또는 기술을 제공하는 융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융합의 핵심에는 유비쿼터스라는 패러다임이 있으며,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로 정의된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선 기존의 지자체GIS 개념을 확대하여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지능형 도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체계가 필요하다. 즉, u-City의 실질적 구현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정보(컨텐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도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의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과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체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 공간정보기술 수요에 관한 연구: 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이정구(Lee, Jung Ku),탁제형(Tak, Je Hyung),김성곤(Kim, Seong Gon),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0 No.1

        스마트시티는 도시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 방식 중의 하나로, ICT를 활용하여 문제의 현상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수행한다. 공간정보는 ICT를 활용한 분석이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의 역할을 담당한다. 스마트시티는 정책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지자체마다 적용하는 ICT와 공간정보에 차이가 있으며, ICT의 변화가 빨라지면서 공간정보기술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를 구축 중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기술을 식별하고,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공간정보기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mart city is one of the problem-solving methods to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problem phenomenon are performed using ICT. Spatial information plays the role of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analysis using ICT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Since smart cities include both policy and technological elements, there are differences in ICT and spatial information applied to each local government that builds smart ci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mand for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quired by smart city services for local governments that are building smart cities, and through this, identifi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and space that is recognized as important. I wanted to check informa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