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플렉스(HyFlex) 기반 대학 간 공유협력 수업 개발 연구

        최보라(Bora Choi),김현우(Hyunwoo Kim),윤혜진(Hyea Jin Yo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2023학년도 1학기 전주 J대학, 서울 K대학, 청주 S대학이 변화하는 교육환경을 위한 대안이자 대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하여, 하이플렉스 기반 대학 간 교양교과를 공동으로 개발·운영하였고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기, 인지, 행동 영역으로 나누어 자기조절학습검사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고 성찰일지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으나 타 대학 수강생들의 수업 태도를 보면서 학습 동기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인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는데, 정보의 정교화 및 조직화, 다양한 관점 및 사고의 확장 효과가 있었으며, 대학별로 팀 활동 수행을 통해 상호작용이 촉진되었다. 셋째, 행동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거나 향후 대학 생활에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나타났다. 또한, 실제적 과제의 수행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방법을 탐색하여 실천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간 공유협력 수업은 인터넷 연결, 음향 및 화면 전송 등 H/W 및 S/W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원거리에서 함께 같은 수업을 가능하게 함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었을 뿐 아니라 공통 과제 수행과 결과를 공유하는 학습경험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향후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미래 대학 교육으로써 대학 연계 공유협력 교과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yFlex-based learning as a university-affiliated collaborative shared course, conducted by three universities, J University in Jeonju, K University in Seoul, and S University in Cheongju, Korea. They jointly developed and operated a liberal arts elective course to improve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yflex classes and university-linked learning strategy classes, a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First,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re- and post-tes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lass, and the reflection log was analyzed as follow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otivation domain, but it is interpreted that looking at the attitudes of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had some positive impact on learn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notable improvements were seen in the cognitive area, with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of information, expansion of various perspectives and thinking, and interaction promoted by performing team activities in each university. In the behavioral area, meaningful change was revealed with many comments on willingness to practice and apply what students learned in learning activities or their future college care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rying out authentic tasks, students reflected on how they learned and explored and practiced learning methods that suited them. For a collaborative shared course between universities, the need for an upgrading H/W and S/W such as better internet connection, clear audio, and ease in transmitting screens was raised. Nevertheless, this course derived not only learners’ interest by making it possible to take the same class simultaneously from a distance, but also overall positive learning effectiveness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performing common tasks and sharing outcomes with other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ity-affiliated collaborative shared courses as an innovative future higher education that responds to raid conversion in the forthcoming time.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및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탐색 연구 -G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선(yunseon Cheong),양정모(Joung Mo Y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의 G 국립대학 재학생 2,812명의 학적 데이터와 대학 적응력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집단의 구분은 중도탈락에 대한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에 따른 2×2 네 집단과 재입학한 학생 집단을 포함하여 총 다섯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업 관련 변인과 대학 관련 변인에서 다섯 집단이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중도탈락 의도가 있었고, 실제 중도탈락한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학사경고 횟수와 낮은 평점평균(GPA)을 보이는 집단이며,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총 취득 학점도 낮았다. 중도탈락 의도가 없었지만 중도 탈락한 집단 역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취득 학점을 보였지만, 평점평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도탈락 의도가 있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낮고,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 만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나, 중도탈락 의도가 없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고, 높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 정체성, 경제적 안정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차별적이었다. 한편 중도탈락 의도는 있으나 탈락하지 않은 집단은 정서적 안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마지막으로 재입학 집단은 학사경고 횟수와 일반휴학 횟수가 높으나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actual dropout status, and re-entry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is purpose, enrollment data and CAT data of 2,812 students at G National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ere utilized.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cluding a 2×2 matrix based on the inten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dropout, as well as a group of students who re-entry. The results of explor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five groups in academic and university-rel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both prior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cademic warnings, a lower grade point average (GPA), fewer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lower total acquired credi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exhibited similar levels of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acquired credits, but with a higher GPA. Examining differences in university-related variables, the group with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displayed lower academic integration, poore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lower university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showed higher academic integration, higher emotional stability, career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Those with dropout intention but did not drop out constituted the group with the lowest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major. Lastly, the re-enrollment group exhibited higher instances of academic warnings and general leaves of absence but demonstrated positive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university dropouts.

      • KCI등재후보

        대학 CTL 전문가들의 원격교육 질 관리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분석

        김경이,남민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1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수학습센터(CTL)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원격교육의 질 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대학 CTL 전문가들은 원격교육 질 관리를 위해 인프라, CTL 교육지원, 제도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인프라 영역에서는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는 교수자 대상 온라인 강의 운영 교육 실시 확대, 제도에서는 원격교육을 위한 규정 개편이 질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 중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인 항목은 인프라 영역에서 원격교육 담당업무 인력 확충, CTL 교육지원에서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제도에서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으로 나타났다. 대학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별 중요도-실행도의 IPA 분석 결과에서는 우선 중점개선 영역 항목으로 원격교육 담당 업무 인력 확충, 학습 격차 해소를 위한 학습 지원이, 점진적 개선대상 영역 항목은 원격교육 인증제 도입, 디지털 접근성 취약계층 학생 대상 스마트 기기 지원, 원격교육 관리위원회 학생 참여, 비대면 수업을 위한 대학 간 협업・공유 모델, 학점 교류 필요성, 원격교육 참여 학습 공간 지원 등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인프라, 제도, CTL 교육지원 측면의 원격교육 질 관리 항목들에 대해 중요도 인식 만큼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영(Jiyoung Choi),박양주(Yangjoo Park),배라영(Rayoung Bae),배현민(Hyunmin Bae),유위(Liu Wei)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검토, 재학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질적분석한 결과와 델파이 방법을 통해 166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최종 확정 문항은 82문항이며 이 중 학업적응 영역은 4개(진로 및 학업목표, 시간관리 및 학습전략, 학업적 흥미 및 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심리정서적응 영역은 3개(긍정적 자아개념, 긍정적 정서, 심리적 건강), 사회적응 영역은 4개(사회적 지지, 의사소통능력, 교수와의 관계, 프로그램 참여), 대학환경적응 영역은 3개(교육과정 및 수업 만족도, 제도 및 시설 만족도, 대학 만족도)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활적응 척도의 각 영역별 신뢰도는 .914∼.942로 나타나 신뢰로운 척도라 할 수 있으며 적합도 검증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적응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 학교생활소진 척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which is reliable and valid to measure the degree of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66 questions was made through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method after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nrolled students and experts. Questions for making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 the main survey, and their valid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confirmed questionnaire finally consists of 82 questions, which included 4 academic adjustment areas such as career & academic goals, time management &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interest &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3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djustment areas such as positive self-concept, positive emotion, psychological health, 4 social adjustment areas such as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ability,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participation in programs. and 3 adjustment to the college environment areas such as curriculum & class satisfaction, system & facility satisfac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The reliability of each area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914 to .942, which can be said to be a highly reliable scale, and it was also found to be good in verifying fitness.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is shown to fulfill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student burnou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혁신지원사업 교육영역 프로그램 분석 틀 개발 및 유형화 : 수도권 대형사립대학을 중심으로

        김효정,진서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교육영역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고, 프로그램의 유형을 살펴 향후 재정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사업에 참여한 수도권 대형사립대학 중 2개년 이상 평가 A등급을 받은 7개교의 3차년도 사업계획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사제도,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내용, 비교과, 성과관리의 6개 영역과 23개 유형으로 구성된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영역별 프로그램을 유형화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정지원사업의 현황을 탐색하고, 일관성 있게 비교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PDCA 모형을 기반으로

        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체계적인 질 관리를 위한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에 따라 선행연구, 대학사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지표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준거를 개발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Plan–Do–Check–Act의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총 10개 요소, 39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대학 교수‧학습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자체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현장 활용성 높은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여 실제 대학 교육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환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관리 모델로 매우 의미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나은창(Eunchang Na)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경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0년 한국교육종단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메타인지, 교수방법 다양화를 외생잠재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능동적 수업참여와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을 내생잠재변수, 자기주도학습을 최종 내생잠재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교수학습 과정의 교육만족도를 높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높이고,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학습지원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둘째, 메타인지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능동적 수업참여와 교육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육에서 메타인지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수방법 다양화는 교육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단일 변수 간의 관계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모형을 통해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양하게 분석한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 방향성을 제언한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that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Metacognition and teaching method diversification were set as exogenous latent variables, active class particip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s endogenous latent variabl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final endogenous latent variab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directly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ar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econd, metacognition directly influenced self-efficacy, active classroom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the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was analyzed to have an impact on teaching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different variables through a comprehensive model of self-directed learning.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대학특성에 따른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차이

        김희란(Heera Kim),권다남(Danam Kw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능동적·협력적 교수·학습경험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대학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대학만족도와 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와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FET)」의 92개 전국 일반대학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협력학습에서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는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중소규모 대학이 대규모 대학보다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학생과 유의하게 더 높았다. 능동적 학습과 사고력 증진 학습에서는 학생과 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교수와 학생 모두 인식이 높은 대학이 모두 낮은 대학에 비해서 학생의 대학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학생과의 인식 차이와 대학만족도간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간 교수·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active and cooperativ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econd, universities where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highly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s and had sm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and a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compared to universities where the differences were small.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역량 향상 지원을 위한 시기성과 평가기준 개발 및 교육요구도 분석: K 의과대학 사례

        이가람(Garam Lee),정성원(Sungwon Ju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역량기반 의학교육에서 의과대학생의 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시기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고, 교수와 학생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t 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기준의 적합도와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개발된 평가기준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적합도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응답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요구도가 가장 큰 1순위 항목은 교과목 이수, 의학연구 교과목 이수, 교과종합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와 학생으로 응답자를 구분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1순위 항목은 전체 응답자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으나, 차순위 항목의 경우 교수는 연구활동과 성찰활동, 학생은 연구활동과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평가기준과 연계한 전체 교육과정 재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평가와 교육과정 운영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성과를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개발하였고, 그 과정에서 교수와 학생의 요구도를 수렴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tandards for evaluating phase outcome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in order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medical students'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he suitabil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using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metho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uitability for th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was found to be positive. Second, the items with the greatest demand were course completion, medical research course completion,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evalu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dents by dividing them into professors and students, professors responded that research activities and reflection activities were the second most important, and students responded that research activities and completing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the second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for redesigning the entire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evaluation standards and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valua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evaluate performance in a multifaceted manner, and in the process sought ways to support student capabilities by collecting the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 KCI등재후보

        Kirkpatrick 4-Level 모형 기반 대학 교수지원 프로그램 성과지표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남민우,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과 실적으로 교육의 질 관리가 매우 강조됨으로써 더불어 대학 CTL의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 부분들이 강조되는 바 교수지원 측면에서 질 관리를 위한 성과지표 및 산출식을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지원 4개 단위 프로그램에 대해 Kirkpatrick 4-Level 모형에 따라 단계별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현행 성과 목표 달성에 유리한 형식적 지표 구성에서 진일보하여 교수지원 사업을 실질적으로 점검, 개선, 환류하고, 사업성과를 우수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양질의 성과지표로의 연구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반영하였다. 또한, 대학별로 우후죽순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지원 성과지표들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향후 타당성 높은 성과지표 개발과 성과 관리의 표준화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