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정책의 지향성 고찰

        강용배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2 지역학연구 Vol.창간 No.-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에 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속가 능한 지역발전의 본질을 구명하고 지역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논 문의 연구절차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과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고 , 지역발전주체 들 (지방자치단체, 지역기업 , 지역주민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전략을 문석한 후, 지 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을 거졌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은 지 역차원에서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이다 즉 , ① 지역발전 주체들의 참여가 보 장된 가운데 , ②미래지 향적이고,③생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④지역간 · 세대 간 계층간 부문간 성(性)간의 형평성을 유지하면서 , 궁극적으로는 ⑤삶의 질을 고려한 관리된 경제성장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지역발전이다 본고에서 제시된 지 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지역멸 지속가능한 발전주체들 간의 거버넌스 형성 및 자치단체 들간의 파트너십 강화 둘째 , 삶의 질을 고려한 환 경친화적 지역경제 기반 확충 셋째,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지방행정의 녹색경영화 넷째, 지역환경의 생태조직화이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은 거버넌스 형성 및 파트 너십 강화 등과 같은 조화와 합의 가 이루어진 가운데 , 복지와 녹색을 고려한 경영 마인드와 조직화된 행동이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지 역발전은 21 세기에도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능성 있고 가장 바람직한 지역발전 방 향이다,

      • 지역개발과 비선호 공공서비스 시설입지에 관한 고찰

        김병식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3 지역학연구 Vol.2 No.1

        민선 지방자치제 출범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집단 • 지역분쟁 또한 다양한 원인과 사유에서 비롯되고 있으 며, 이를 해결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기도 하지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풀어 나가야할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이처럼 정책문제에 있어 갈등 은 획일적 명령일변도 위주의 과거 권위주의체제하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이 며,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라는 지방정치 환경의 변화는 지역이기주의의 대 표적인 현상인 님비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청주시가 추 진하고 있는 청주화장장 건설에 따른 해당 지역주민과의 갈등문제를 일반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청주화장장이라는 비선호시설의 입지에 따른 지역개발의 방 향과 지역의 서비스 시설 입지에 따른 정책적 방안을 지역주민과의 신뢰구축 방 안, 지역 이미지 개선 및 새로운 이미지 구축 방안, 지역개발 및 경제적 보상방 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onflict relations in the local development project between local people and public institution. The case of study is a crematorium of CheongJu city. The construction of CheongJu crematorium is a very important policy, but meet with opposition by local people. so this study, ar first, tries to define local people resistance and problem solution methods of local resistance in the local development project. Also, this study tries to define policy ways to succeed construction of CheongJu crematorium This study first shows trust way between local people and public institution. Second, this study shows ways to sweep off local bad image because of construction of CheongJu crematorium. Third, this study shows ways of l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CheongJu crematorium

      • 지역사회 중심의 지역복지실천활동에 관한 경험적 연구

        이재완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3 지역학연구 Vol.2 No.1

        최근 지역복지환경변화롤 가져올 수 있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이 있었다. 다 름 아닌 주민참여형의 지역복지체계의 구축과 지역사회중심의 민간목지 활성화 를 도모하고자 2003년 7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주민조 직화운동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복지실천이 무엇보다 필 요하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지역복지실천활동에 대한 사례연구로 써 이론적 실천적 합의를 통해 지역복지실천모형의 시준점을 얻고자 하였다. 지 역복지실천활동의 구체적 방법은 조직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차원 이 아닌 조직차원의 운동을 통해 지역사회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지역복지실천 과정상에 가능한 많은 영역과 수준에서 지역주민과의 접촉점을 개발하고 확보하 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조직활동의 주도하는 지역주민들의 의식화와 주체적 참 여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복지정치의 전면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지방정치라는 공간속에서 지역복지가 우선순위가 되도록 조직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복지조직화사업을 통해 사회복지기관 • 단체 그리고 시민사회와 의 광범위한 연대와 협력관계의 툴을 구축해야 한다. 기관간 집단간 갈등관계를 해소하고 공동의 선을 이루기 위해 상호 노력해야 한다. 또한 복지네트워킹의 공간적, 영역별 범위툴 확장해야 한다. As a case study of welfare practice in a local area, this article discuss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community welfare and suggests several important points for its future practices. It can be said that one specific method to practice community welfare δ an organizing activity which aims to change community through not an individual but people’ systematic participation. Such an organizing activity can be practiced by developing and establishing connection points with community people in as many areas and levels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it can be done by helping community people be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welfare. This will lea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and further help welfare agenda claim priority in local politics. A critical point is that such an organizing activity sh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in which various actors, such as welfare agency, welfare institutions and civil organizations, cooperate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s. Simultaneously , such a framework w피help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welfare agency and other welfare providers and expand the boundary of welfare network.

      • 지자체국제협력(MIC)의 수단과 영역

        안성호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4 지역학연구 Vol.3 No.1

        논 본문의 목적은 지난 2O~30년 동안 세계의 선구적 지방자치단체둘이 전개해 온 국제협력의 선진 사례들을 수단과 영역에 따라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21 세기 세방시대 세계질서의 중요한 행위자로 부상하고 있는 지방정부 국제활동의 지평 을 확장하고, 향후 지방정부 국제협력의 발전방안을 강구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 지자체국제협력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IC) 사례들을 수단별로 자매결연, 협력네트워크, 협약체결, 시민교육, 캠페인, 프로젝 트, 보조금, 혜택과 제재, 규제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한다. 이어, 지자체국제협력 사례들을 영역별로 환경보호 및 지속가능발전, 인권보장, 인종차별 반대, 연대운 동, 긴장완화와 평화건설, 남북통일의 기반조성, 행정역량과 민주주의의 강호t 인 도적 원조와 빈곤퇴치 , 건강증진과 사회개발, 문화교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끝으로, 본 논문은 이둘 선진사례들에 기초하여 향후 지자체국제협력의 발전과제 에 관해 논의한다. This paper aims at extending the horiz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s emerging as significant actors in the glocal governance as well as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useful in designing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lQ program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paper reviews a wide range of exemplary cases of MlC programs initiated by sub-national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over several decades and attempts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wo categories, i.e., policy t∞Is and issues. 깐e t∞Is which MlC programs have 따d can be grouped into twining and liking, networking, international agreements, civil education, campaigning, project support, preferences and sanctions, regulation, institution-building, grants etc. And, the issues that MlC programs have tackled cover a wide spectrum of international activitie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enhancing human rights, anti-apartheid, strengthening solidarity, reducing tension and peace building, bridging national unification, capacity building for administration and democracy, providing relief and assistance, poverty alleviation, enhancing health care, social development, promoting fair trade, cultural exchanges etc.

      • 지역중심 미술

        노병일,전영신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4 지역학연구 Vol.3 No.1

        현대에 들어 의사를 전달하는 매체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미술이 지역 복리와 관련하여 맺는 연계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미술가둘이나 미 술에 재능이 있는 지역 주민들은 자신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 지역 미술가가 가진 자원을 지역 사회의 구축과 재건에 활용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런 맥투뻐| 서, 본 글에서는 지역중심 미술의 기능과 중요성을 논의하고, 또한 지역중심 미술 이 지역의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활용된 실제 사례를 살펴본다.

      • 동북아그린파트너십과 지자체국제협력(MIC)

        안성호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4 지역학연구 Vol.3 No.1

        21 세기 동북아 정세에 대한 전망은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21 세기에 동북아지역이 세계경제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동북아의 위기적 정세에 대한 우려 역시 심상치 않다. 21 세기 동북아는 미 · 일 · 중 · 러의 치 열한 다툼과 남 · 북한의 군사적 긴장이 감도는 가운데 ‘불안한 평화’으| 시기를 맞 고 있다 정치 • 군사적인 갈등 이외에 에너지 • 식량 • 환경 문제도 심각하다 동북 아는 이런 정치 • 군사적 긴장과 대립, 에너지 • 식량 •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체제의 구축이 절실하지만,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견실한 지역협 력의 틀을 아직 갖추고 있지 못하다. 근래 역내 중앙정부들이 동북아 협력에 관심 을 표명하기 시작했지만, 가까운 장래에 국제협력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의 선구적 지방정부들이 공정무역 (fair trade) , 환경보호, 인권보장, 긴장완화, 평화정착 등에서 NGO들과 연대 하여 국제협력을 실천함으로써 세계시민사회의 건설에 기여해온 모범적 선례들은 향후 동북아 협력의 대안적 국제협력 방안으로서 우리의 기대를 모은다. 이런 관점 에서 본 논문은 21 세기 동북아공동체의 형성운동이 지향해야 할 이념과 전략으로 서 동북아그린파트너십 (Northeast Asian Green Partnership) 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 를 실현하기 위한 지자체국제협력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IC) 의 발전 과제에 관해 논의한다. Many experts’ prospects for the 21St century's Northeast Asian situation have been intermingled with bright expectations and dark worries. on the one hand, there has been a general consensus that the 21st century’ s Northeast Asian region will be the most active and predominant hub of the global economy. on the other hand, experts have expressed gloomy, views of the 21st century’ s Northeast Asian region. Actually, we have already experienced serious challenges engendered by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orporation of Northeast Asia into the global economy. Northeast Asian region is confronted with the fierce competition of military buildup amongst countries, the problems of energy and food shortage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Nonetheless, Northeast Asia do not equipped with a sound and reliable regional cooperation framework, such as the European Union and the NAFTA Fortunate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98, East Asian countries have shown positive attitudes toward bringing regional Cooperation endeavours to a higher plane. The forming and operating of ’ASEAN Plus Thre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movements. At this juncture, I suggest that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IC) movement be utilized as a potent policy lever to cope with the serious challenges facing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Northeast Asian Green Partnership’adopted as a vision-cum-strategy of MIC movement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n Community.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ng future tasks for the promotion of MIC movement.

      • 지역사회 민간 복지자원 네트워크 구축 및 참여전략

        곽현근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5 지역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복지공급자원으로서의 민간자원의 성격을 살펴보고, 이러한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민간자원의 참여제고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복지공급자원의 다원략 민간복지자원의 필요성, 민간복지자원의 구성요소, 민간복 지자원의 활용을 위한 복지서비스전달 네트워크를 다루고 있다 실증적인 부분으로 서 복지공급자원 네트워크 구축의 실태 및 문제점, 민간복지공급자원 동원의 실태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복지공급자원 네트워크 구축 및 참여전략으로서 민관 복지자원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전략, 지역사회복지기관 사이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전략, 인적자원의 동원전략, 재정자원의 동원전략 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ar reviewing the nature of private resources for community welfare, exploring the problems of network building among those resources, and seeking for effective strategies to mobilize those resourc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t deals with the pluralization of welfare supply resource, the necessity of private resources for community welfare, the types of private resources, and the welfare delivery network to facilitate the use of those resource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welfare delivery network building and private resource mobilization are discussed empirically. The conclusion provides collaborative network building strategies among private resources or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and private human and fìnancial resource mobilization strategies

      • 지역 환경분쟁 해결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과 제언

        김선태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3 지역학연구 Vol.2 No.1

        1900년 이후 사회적인 갈등과 분쟁 대상 중의 하나가 고도 경제성장의 후유증 으로 인한 지역환경 오염을 둘러싼 내용이다. 현재 환경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제 도적 수단으로 환경분쟁 조정제도와 법률 소송도 있으나, 대부분의 환경분쟁의 경 우는 관련 당사자 간 또는 행정기관의 조정 아래 해결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분 쟁 해결의 과정에는 사실 확인이나 원인 및 피해 규명 등의 환경문제의 복잡성 때문에 전문가의 개입이 필연적이다. 본 고에서는 환경분쟁의 해결과정에서의 전 문가 참여의 과정과 역할에 대해 대전 3.4산업단지의 생활폐기물 소각장 건설 과 산업단지의 악취 문제를 대상으로 한 지역 주민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 평가하였다 또한, 이롤 토대로 앞으로의 바람직한 환경분쟁조정과 전문가 활용 방안을 위한 Govemance제도, 미국의 대체적 분쟁조정제도(ADR)와 Su따fund 등 에 대해 검토하였다. 환경분쟁과 이의 해결 과정에서의 전문가 역할의 당위성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 전문가 인력 풀과 체계적인 연구가 부즉한 상태 로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학제적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Local environmental disputes might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social conflict and dispute problems in Korea since 1990, which was be mainly due to the adverse effects of the compresse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There are two major institutional means ro cope with these disputes in Korea, such as environmental dispute mediation system and legal lawsuit, but most of the local environmental disputes have been solved between the interest patties and with the help of administration. 1t has been indispensable for expert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dispute in terms of the fact findings and the confirmation of cause-and-effects of the injuries.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the role of the experts were described and discussed in the process of resolution for a local environmental dispute case, mainly around a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nd the odor nuisance by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jeon, Korea. Based on this case, some institutional systems, such as a governance system,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and a superfund aα were discussed for 야e better utilization of the experts’ role. Despit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experts’ role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nd educational efforts until now, which would be promoted in 비 form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 용수골 개발과 독일의 대학촌 사례

        조성혜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5 지역학연구 Vol.4 No.1

        우리나라의 대학촌은 전국 어디를 가나 술집 , 노래방, 상점, 자취 . 하숙 • 원룸이 혼합되어있는 무질서한 유흥가 일색이다. 전국의 대학촌이 획일화 • 상업화된 직접적 인 원인은 문화, 품위나 격조보다는 개발이익 , 시세차익을 둘러싼 개발업자와 상인 들의 이해관계와 지방자치단체의 허술한 규제에 있다 할 것이다. 설령 대학당국이나 지자체가 의욕적으로 지역특색에 맞는 대학촌 건설을 구상하더라도 지역주민들과 개발업자간의 마찰로 인해 계획적인 대학촌 개발이 성공하기는 매우 어렵다. 지자체 의 행정력과 기획력의 미비 , 적극적인 추진의지의 미약, 지역주민들과 업자간의 이 해관계 등이 얽혀 전국의 대학촌이 유흥과 주거의 공간으로 변질된 것이다. 독일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거의 없고 대학이 전국 각 도시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독일의 종합대학교는 우리나라와 같이 넓은 캠퍼스 안에 단과대학 건물들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곳곳에 단과대학들 이 산재해 도시와 캠퍼스의 경계가 없기 때문에 대학촌이라기보다는 ‘ 대학도시 ’ 라는 표현이 오히려 적절하다. 대학 주번에는 고층건물이 거의 없고 고도와 도 시미관을 고려한 4-5층 정도의 고색창연한 건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독일에서 는 어느 도시를 가든 복지와 공원이 많아 학생들이 잔디밭이나 벤치에서 책을 읽거나 일광욕을 하며 여유를 즐기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 도시의 복지와 휴식공간이 우리나라 대학의 캠퍼스 역할을 한다고도 하겠다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경우 아름다운 경관과 고풍스러운 도시 분위기가 세계 적인 대학이 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품격있는 대학촌이 대학과 주변지역 및 도시 전체의 경제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한 대표적인 예라 할수 있다. 보훔대학이 주(州) 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공업지역 내의 신설대학이라는 악조 건을 극복하고 독일의 유수한 대학으로 성장한 예에서 보듯이 대학의 발전은 지 방자치단체의 지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기샌 대학은 저출산의 여파로 인한 입학생 감소와 그로 인한 도시의 위축을 극복하기 위해 치밀한 사전계획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대학 과 도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미 수백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도 수요자(학생)들에게 매력있는 대학과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끊 임없는 혁신의지를 보이고 있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와 독일은 대학도시는 역사적, 문호}적, 정서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양국의 대학촌을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학의 발전이 지역사 회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 대학과 지역사회는 상호 밀접한 연관관계 하에 있 다는 점에서는 양국 간 큰 차이가 없다. 궁극적으로 대학촌 개발의 성공여부는 개발주체인 지자체와 대학의 추진력과 전략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핵심단어: 대학, 대학촌, 문화, 지역경제, 지역개발 In dieser Arbeit werden die Zusammenhange von der Universitar und Regionalentwicklung bearbeirer und empirisch anhand der Entwicklungsplanung der Region Yong Su Gol und der Beispiele einiger deurschen Sradren überprüft. Zu den Zusammenhangen gehbren die Imageprodukrion fur die Konkurrenz der Universiraren, die Vernerzung von Subkulrur und die Regionalentwicklung sowie Markrmechanismen und polirische Aushandlungsprozesse in Entwicklungsgebieren. Die Universirar Daejeon liegc auf einem máBig grof3en Campus in einem kleinen und schbnen Bezirk Yong Un Dong, Daejeon. Als ein Faktor im Kulrurleben der Region isr sie durch Inpur- und üurputsrrome rnir der regionalen Umwelr verknÜpft. Damit isr die KuIrurbkonornie ein wesenclicher Forschungsgegenstand der Wirrschaftsgeographie. Kulrur ist zunehmend zu einem Vehikel winschafclicher Verwertungsprozesse geworden. Das Design von Produkten har die Funkrion des Transporrs von Inhalren und Idemiraten bekornmen. Produkre und Diensdeisrungen werden rnir Zeichen oder Codes versehen, welche als Symbole gesellschafcliche Verhãlrnisse, Zugehbrigkeiten zu Gruppen, Schichten oder Kulruren reprasemieren. Sradr und Universirar sind aber nichr nur emotional, sondern auch wirtschafclich rnireinander verbunden. Es gibr noch viele andere Beispiele fur die Wechselbeziehung von Universitat und Region. Srudemen der Universirar bestimmen auch das Erscheinungsbild der Region. Sie prágen das regionale KuIrur- und Freizeirprogramm. Wissenschaftliche Serninare, Diskussionsrunden und Vomagsreihen bereichern das kulrurelle Angebor. oft sind diese Veransralrungen einer breiren Zuhbrerschaft zuganglich und werden von dieser auch gerne besucht. Die Beziehungen zwischen HochschuIe und Region sind vieIfaltiger, als es auf den ersren Blick erscheinr. Auch als Standortfakror und lmagerrager fur die regionale Wirrschafi: ist eme Universitát von Bedeutung. Das Angebot von Universitaten kann Standorrenrscheidungen von Unremehmen beeinfIussen. Regionen rnit einer hohen Dichte an Hochschulen sind fur Industrie und Diensdeistungsuntemehmen arrraktiv. AIS universitatsbezogene StandortVorreile gelten die Verfugbarkeit von qualifizierrem Personal und die Mõglichkeit zu Wissens- und Technologietransfer zwischen Hochschule und Unremehmen. Ebenfalls von Bedeutung sind 'weiche' Standortfakroren, zu denen neben den aIlgemeinen Bildungsangeboten auch das an einem Universitatsstandorr vorhandene geistige, soziale und kulturelle Potenzial gerechnet werden kann. Generell werden die regionalwirksamen Impulse einer Universitat vor aIlem durch überregionale Finanztransfers bewirkt, welche trotz aIler finanziellen Pressionen der lerzten Zeit vergleichsweise konstant und vor aIlem sicher sind. Damit ist die Universitat ein wichtiger regionalokonornischer Stabilitatsfakror. Srudenten benotigen ein soziales Urnfeld, das Bedingungen fur Begegnungen zwischen Lehrenden und Lemenden wie zwischen Lemenden untereinander auch aul3erhalb von Vorlesungen, Übungen und Serninaren schafft. Stral3en, Platze, Kinos, Kneipen, Parks, Sporranlagen, Schwimmbader schaffen den Raum fur solche Begegnungen und damit den Markrplatz, auf dem Ideen ausgetauscht und Missverstandnisse berichtigr werden kOnnen. Srudenren idenrifizieren sich rnit ihrer Universitat um so mehr, je besser es der Stadt gelingr, eine Atmosphare des Wohlfuhlens zu schaffen

      •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간의 관계연구

        유재일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3 지역학연구 Vol.2 No.1

        오늘날 지방자치제는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의 역할과 활동영역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일부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행정에 반영하는 것으로만 주민참여 의 실현을 주장하기에는 설득력이 적다. 마찬가지로 시민단체도 주민의 대표성 확보 없이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매개역할을 원활히 수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 황에서 지방자치제는 기존의 민-관 관계를 대폭 수정할 당위성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간의 협력 역사가 짧고 서로 간에 갈등과 불신이 팽배해 있는 우리 사회의 실정에 비춰볼 때 기존의 민-관관계는 많은 한 계롤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간의 새로운 협력관계 롤 정립하는 일은 진정한 지방자치의 정착과 내실 있는 사회자본의 증진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당면과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같은 문제 의식을 강고 대전광역시 서구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구지방자치단체는 주민참여적이고 사회자본이 증진되는 민-관 협 력체제를 구축해야 성공적인 지방자치를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 구를 통해 대전광역시 서구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간의 바람직한 민-관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양자 간의 협력관계를 통해 주민참여를 높이고 사회자본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도 모색하고자 한다. Actual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has been lost its way to advance despite the fact the roles and spheres of local self-governing institution and NGOs enlarge. In the localities, persuasion power is limited with only partical perspectives of a few NGOs reflected on the public admistrative bodies of local self-governing . In the same nutshell, NGOs face difficulties playing mediating roles without having citizens' representativeness. In this situation,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needs to be refined in terms of public-private relations. Thus the current public-private relations have limited abilities due to the short history of cooporation, misturst and conflicts between local self-governing and NGOs. A prevailing task is to establish a new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m to consolidate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improve social capital in the localities.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local self-governing system, a new public -private cooperative system should increase local citizens’ participation and promote social capital. This inquiry attempts to propose a preferrable public -private cooperation scheme between seo-gu self-governing bo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NGOs. It also searches for policy plans to increase citizens’ participation and promote social capital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