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선진,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박철현,이수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econdary special teachers recognize about each of the five-year plans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ve-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cogniz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PA quadra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focusing on the 4th and 5th development plans of the 5-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of special education.Through paired T-test and IPA, we identified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area of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uch facilities as special school and classes, teacher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formance was the securement of legal rate of recruitment, the Human Rights Support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ll questions but three ques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More on-sit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created. Teachers should actively try to identify and monitor policy change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에 대해 중등특수교사들은 어느 정도 중요하며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둘째,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의 중요도-실행도의 관계는 IPA 사분면의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의 중장기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중 제4차 발전 계획과 제5차 발전 계획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각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고, IPA를 통해 사분면의 위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중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형 및 특성에 적합한 특수학교(급) 시설ㆍ설비 등 기준 개선,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일반교육교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실행도 인식은 특수교사의 법적 충원율 확보, 장애학생인권지원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NEIS의 사용, 인성교육 강화 및 체육ㆍ문화예술 활동 운영, 취업률 확대를 위한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필요성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서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정책이 보다 더 많이 생겨야하며, 특수교사는 적극적으로 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점검하며 꾸준히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 특수교육사 연구 경향 비교 분석: 2000년 이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홍정숙,박경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history resear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ends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research in Korea and Japa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cial education history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alyzing 274 special educati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nd Japanese journals from 2000 to June 2019. The research subject was set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and content area trends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research in Korea and Japan.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d presentation type, time dimension, space dimension, target type, and content dimens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was steadily and actively conducted in Japan than in Korea, and in both Korea and Japan,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period in which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was established.Both countries showed higher rate of overall history than local history in the studies of foreign history. Concerning native history in Korea, the rate of overall histor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loc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overall history and local history was similar in Japan. In addition, both countries have conducted most research on general special education about special education subject types. The difference was that the target type was limited to disabled students in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in Korea, whereas in Japan, the target type was more widely studied, including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an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erms of content dimension, both Korea and Japan ha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o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system. In Korea, it was followed by the history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the thoughts and figures of special education,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culture of special education. In Japan, it was followed by the history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the culture of special education, the thoughts and figures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identifi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tudy trends of special education history in Korea and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on the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사 연구 경향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한국 특수교육사 연구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한국 특수교육사 연구의 발전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분석 대상 문헌은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한국과 일본의 학술지에 실린 특수교육사 연구 논문 274편이다. 연구 문제는 한일 특수교육사 연구의 전반적 경향과 내용 영역별 연구 경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발표 유형, 시간 차원, 공간 차원, 대상 유형, 내용 차원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일본이 한국보다 특수교육사 연구가 꾸준하며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한일 양국 모두 특수교육 제도의 기틀이 마련된 시기에 중점을 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양국 모두 외국사 연구에서는 전체사가 지역사 연구에 비해 비중이 더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자국사 연구에서는 한국이 지역사보다 전체사 연구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전체사와 지역사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전반적인 특수교육 대상 유형을 다룬 특수교육일반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이 양국의 공통점이었고, 차이점은 한국은 대상 유형을 장애학생에 한정하였으나 일본은 학습부진이나 특별요구아동 등을 포함하여 연구한 점을 들 수 있다. 내용 영역별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한일 양국 모두 특수교육제도사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한국은 특수교육내용ᐧ방법사와 특수교육사상ᐧ인물사, 특수교육학사와 특수교육문화사가 잇고 있었고, 일본은 특수교육내용ᐧ방법사, 특수교육문화사, 특수교육사상ᐧ인물사, 특수교육학사 순이었다. 이와 같이 한국 특수교육사 연구 경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일 특수교육사 연구의 특성과 한국 특수교육사 연구의 발전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최근 10년간의 중등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고찰

        강종구,김영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전공과 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환경별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특수교육통계’에 나타난 중등특수교육의 진로교육 여건 및 취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중학교에서 전공과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특수학교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경력 특수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는 특수학교에 더 많이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취업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전공과와 같은 추가적인 지원만으로는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방법들로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특수학교는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학교는 보다 많은 경력 특수교사의 배치를 포함하여 진로직업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비 일반교사를 위한 교직소양과목으로서 특수교육학 개론 수업에 적합한 내용 탐색

        허유성,이우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개론이 교직소양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이후 관련 과목 개설과 교재출판은 괄목할 만큼 확대되고 있지만, 기존의 특수 교육 전공학생과 어떻게 차별화하여 일반 예비교사들의 특수아동에 대한 교육역량을 극대화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추후 과목 운영을 위한 계획, 수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특수교육학 개론 교재 및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전문가 36명의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셋째, 40명의 예비 일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에서 꼭 배우고 싶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전문가 의견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통합교육 배경 및 개념에 관한 내용, 정서ㆍ행동장애 및 학습장애 아동의 개념ㆍ특성ㆍ교육에 관한 내용,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 교수방법에 관한 내용, 부모 상담, 그리고 장애 영역별 개념 및 특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의 비율이 높았다. 예비 일반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유형ㆍ특성과 특수아동 교수-학습 방법을 가장 배우고 싶어 했으며, 비디오를 통해 통합교육 수업 및 학교 장면을 가장 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중에서는 특히 행동장애, 정서ㆍ행동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학생의 특성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everal uidelines for those who pla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several methods including analysis of syllabus, textbooks, and surveys from special education rofessionals including teachers and researchers as well as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 aske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what are the most necessary and non-necessary contents and what competencies need to be trained from this course. In addition, we asked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at they want to know from this course.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listed basic concepts and ways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teaching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and learning disability, instructional adaptations as the most necessary contents. They also list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s the most critical competencies that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be developed. Lastly, the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nt to learn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ways to teach them.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시 기본 교육과정 적용 및 평가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박경옥 ( Park Kyoung-ock ),강은영 ( Kang Eun-young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함에 있어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경우, 특수학급 교사가 기본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8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학교급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적용 여부 결정 기준과 교육목표 우선순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적절성, 활용 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적용 시 어려움과 성취기준의 위계를 고려한 평가 정도, 그리고 효과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요구에 있어서는 과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적용 시 평가방안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basic curriculum across the level of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804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ne-way ANOVA and χ2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by school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priority of educational goals. Second, teachers in special class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cours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appropriateness and degree of use of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ird,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valuation considering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the hierarchy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order to be evaluated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on evaluation methods of special clas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whe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ssigned to special classes.

      • KCI등재

        경기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강은영 ( Kang Eun-young ),최나리 ( Choi Na-ri ),강경숙 ( Kang Kyung-suk ),김주영 ( Kim Ju-y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제도·인력·직무 관련 영역별 운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2명, 비전공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3명,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 4명, 기간제 교사로 계약직 센터 전문인력 2명으로 총 11명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과 관련된 쟁점은 제도적·행정적 영역, 조직·인력 영역, 그리고 업무(직무) 영역별로 각 5가지씩 중분류로 크게 유목화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 쟁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의미 단위는 1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도 및 행정 부분에서는 센터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접지원 확대의 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활용을 위한 원스톱 지원으로의 전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교육 및 연수가 제안되었고, 조직 및 인력에서는 신규인력 배치 문제, 특수교육지원센터장에 일반장학사 배치 문제, 행정주무관 배치의 당위성에 따른 조치, 팀장 중심 조직체계의 한계성 극복, 경력교사의 부재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립 해소방안이 제안되었다. 업무 영역으로는 업무분장의 효율화를 꾀하고, 팀장에 대한 직급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고, 전반적으로 행정업무 처리보다 특수교육지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cusing on its system, personnel, and duty and provid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through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and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 people: 2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3 school supervisors for general education, 4 team managers, 2 non-tenured track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focus group interviewed. As a result, 5 upper categories were founded and 14 subcategories for improvements were suggested. In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part, the expansion of direct support no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as reconsidered, conversion to one-stop support for linking and utiliz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pri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assignment of new personnel, the assignment of general scholarships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ead, measures according to the legitimacy of the assignment of administrative offic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eam leader-centered organizational system, the abse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measures to resolve the isol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roposed. In the area of work, it was emphas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vision of duties, to assign a position to the team leader, and to focus on supporting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handling administrative work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ion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