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기여에 관한 고찰

        김판준(Pan-Joon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3 No.2

        우리는 체류외국인이 153만 명에 이르는 다문화사회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사회에 관한 담론도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고 정부지원도 적극적이다. 그러나 이민자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역사가 일천하고 재정적·환경적 한계로 대상자 모두에 대한 사회통합차원의 다문화정책은 아직 시행하지 못하고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지원정책을 펴고 있지만 능력에 따른 차등적 지원이 아닌 일방적 지원과 부처간 중복지원이라는 이유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사회통합정책이 성공하려면 다문화사회에 신속한 대응과 적응이 필요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역할분담을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한다. 다문화사회 구성원이 종래 단순기능 분야 종사자 중심에서 정치가·교수·공무원·결혼이민자·유학생·투자가 등 활동유형별로 다양화 되고 있다. 게다가 이주자의 유입증가는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부족한 경제활동 인구를 충원시키면서 인종적·문화적 갈등을 피할 수 없는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 동안 주로 문제점을 지적하는 담론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 대안 없는 문제점 제기는 공염불로 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비판과 대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미래의 이민정책은 사회통합적 차원의 이민정책이 되어야하고 재외동포를 우수인재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과거의 이민정책이 국경심사와 체류관리에 집중이 되어 규제와 통제였다면 앞으로는 사회통합과 경제적 효과를 가미시켜야 하는 복합적 이민정책으로 바뀌어야 한다. 사회통합정책은 이주자 자녀의 교육과 정체성, 현역입대의 영향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다문화사회는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자 순리이며, 그 나라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국가나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민자와 원주민은 서로의 문화를 인정하고 포용해야 하며, 정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W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there are 1.53 millions residing in Korea. Under the circumstances,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more activated than ever and the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is positive. The history on the migrants social integration policy is only a short time, and, due to th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limits, the multicultural policy in a social integration level has not been implemented, but has been made with married migrants as the assistance objects. Besides, its policy has been attacked because of bilateral assistance instead of the graded assistance and overlapping assistance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succeed in a multicultural policy, the government need to specially cope with and adapt itself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olicy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by dividing their roles. Constituents of multicultural society have been various ranging to politicians, professors, government officials, married migrants, students, investors etc., from pure labor field of the past. Furthermore, the increase of migrants changes into the circumstances which cannot escape the racial and cultural conflict as well as making up for the lack of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Until now, the discussions were centered on pointing out problems, but from now on it will have to focus on presenting alternative ideas. Because only to point out problems without substitute proposals is likely to end in an empty talk, the government need to positively consider and listen to a variety of rebukes and proposals. The future immigration policy should be that of social integration level andshould consider making use of overseas ethnic Koreans as professional talents. While the past immigration policy was regulations and control by focusing on border inspection and stay management, the future policy will be inovated into the complex policy including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effects.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is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consider the effects etc., of education, identity, and military forces entry, of migrants children, with various points of view.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flow of unavoidable world and reasonableness, and has not a litt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Accordingly, any nations have expected th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For that, migrants and original residents are to recognize and engage different cultures each other, and the government need to develop and assist a variety of programs.

      • KCI등재

        다문화사회를 위한 입법적 대응방향

        조규범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1

        우리나라에서 다문화사회를 위한 국가정책은 다문화에 대한 개념정의에서부터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채로 부처별 경쟁적·중복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다문화에 대처하는 법률이 ‘결혼이민자’ 또는 ‘다문화가족’이나 ‘다문화자녀’ 등 특정 대상에만 집중하고 있고, ‘다문화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전체적 시각이 반영된 법률이 제정되지 않고 있다는데서 기인한다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정부의 다문화 관련 정책추진은 크게 한국어교육 사업,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 사업, 강사 등 교육인력 양성 사업, 축제·문화체험 등 행사성 사업 등에서 일부 중복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책추진 사업의 중복은 예산의 낭비로 직결되기 때문에 부처간 연계체계의 확립을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정책추진을 이룰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관련 정책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법체계를 정비하는 일이다. 부처별 중복요소를 조정하고 부처간 연계체제를 확립할 수 있도록 다문화정책의 추진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국무총리실 중심의 다문화정책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칭)다문화사회기본법」의 제정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본법은 각 행정부처에서 추진해 온 사업들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서 필요최소한의 내용을 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다문화와 관련한 정책들이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속에서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칭)다문화사회기본법」에서 다문화정책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사회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인식의 문제이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국가정책의 첫걸음은 동등한 인간의 입장에서 ‘공존’ 또는 ‘상생’의 관점에서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을 바라보는 시각으로 다문화주의의 모형을 인식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을 포용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의 조성을 위하여 정부는 대국민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정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난민과 불법체류 아동의 인권보장을 위한 개선작업도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불법체류자의 자녀문제와 관련하여서는 체류자격을 불문하고 이주아동·청소년에 대한 의료지 원 방안을 인권적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가정폭력을 경험하는 이주여성들이 가정폭력의 피해자로 인정받기 위하여 「가정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가정폭력의 정의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결혼중개업의 경우도 정확한 신상정보제공과 통역의 의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입법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반한 경우 처벌 및 행정처분을 부과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프랑스의 언어·문화교육 정책

        이민경(Lee, Min Kyu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8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8 No.1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프랑스의 언어·문화 교육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다문화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의 공존을 위한 통합 정책은 매우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그 가운데 언어, 문화 교육 정책은 장기적 차원에서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회 구성원 간 사회적, 문화적 갈등을 예방하고, 소수자인 이주자들의 주류사회로의 적응과 통합을 위한 토대적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이 논문은 프랑스가 어떠한 통합정책을 펼치고 있는가라는 단순한 사실적 기술을 넘어 언어, 문화교육 정책의 사회문화적 배경, 그리고 실행의 양상을 보다 맥락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프랑스 사회의 변화에 따른 이주민 문제를 둘러싼 핵심적인 쟁점과 이주정책 변화의 흐름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 문화교육정책을 정책대상과 범주에 따라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프랑스의 언어, 문화교육정책이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France for Korea. The social integration strategi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re carried out at a very different level all over the world. French society’s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have served as a fundamental device for social integration among members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onsidering the macro trends in France’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o that end, firstly, this study described the recent changes in French society caused by the influx of immigrants with diverse backgrounds.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categorizing according adults and children education as a policy target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French cases,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 KCI등재

        A Study on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k, Hye Sung(박혜성),Kim, Wha Soo(김화수)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9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로서의 한국이 어느덧 ‘성장의 전환기’를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간 선행 연구나 자료들에서 종합적으로 제시되지 못하였던 국내 다문화 사회 현황 및 10여년 간(2006 · 2017)의 국가적 지원 흐름과 변화를 체계적, 개괄적으로 총괄 정리 · 비교해 봄으로써 현재를 반추하고, 미래를 위한 다문화 한국 사회에 대한 기본 인식을 형성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 현황을 인구 실태와 특성, 관련 법제와 정책형성 중심으로 살피고, 더불어 그 내용을 다문화가정 자녀로 좁혀서 이들의 현황과 교육지원경로 및 내용에 대해 분석하여, 관련 문제점이나 비판점을 새롭게 재정리해 보고,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고민 등을 성찰해 보았다. 즉, 이러한 연구의 핵심적 실행을 위해 한국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흐름을 국가적 정책 변화 흐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관련 내용 확인 및 분석의 기준 시기는 여성가족부의 ‘제 1차(2008 · 2012년) 및 제 2차(2013 · 2017년)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수립과 추진 시기’를 기본 바탕으로 삼았다. 이는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이후, 결혼이민자 정착지원, 다문화가족 및 자녀지원, 다문화가족에 대한 수용성 제고 등 관련 정책을 포괄하는 시기라는 점에 의거한 것이다. 또한 제 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 계획 수립 추진 시기는 2018 · 2022년으로서 아직 시행(추진) 중에 있음을 감안하는 등의 이유로 분석 중심 기준 시기에서 제외하되, 2018년도와 2019년도 최신 자료들을 통해 개별적 변화를 비교 ·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자들은 다문화가정 자녀(학생)에 대한 교육부의 주요 정책 기조 흐름과 그 내용을 좀 더 파악하기 위하여, 반영하였던 분석 중심 기준 시기(10여 년; 2006 · 2017년) 를 본격적인 다문화가족 자녀의 교육 지원 정책 실행 시기 및 내용에 근거하여 초기(2006 · 2008년), 중기(2009 · 2012년), 최근/후반기(2013·2017년)라는 관점으로 구분하였고, 또 이러한 시기 동안의 교육부 정책 내용이 잘 드러나고 있다고 판단되는 초기의 ‘다문화가정자녀 교육지원 대책(2007)’ 내용과 중기의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2012)’ 내용, 그리고 최근의 ‘다문화가족 자녀지원 종합 대책(2016)’ 의 핵심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제시해 보았다.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epublic of Korea is now entering into ‘Growth Transi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ruminate current situations and form basic perceptions on a multicultural society for the future by summarizing and comparing government assistance trends and changes in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anner from 2006 to 2017 and domestic multicultural society situations which have been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Fo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opul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 domestic multicultural society and examined related laws and policies. Then, it analyzed their current situations, educational support channels and details, focusing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n, it aimed to reconsider current problems and criticisms and contemplate ways to solve them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other words, to implement this kind of stud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for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For this, the rela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rst-(2008-2012) and 2nd (2013-2017)-stag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Master Planning and Promotion’ set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above period includes the related polices such as support on married immigrant women’s settlements, assistance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and improvement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t’ in 2008. Furthermore, the 3rdstag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Master Planning and Promotion is set to ‘2018-2022’. Since it is still in progress, this period has been excluded from the analysis. Based on the latest data from 2018 and 2019, however, this study targeted to compare and analyzed individual change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and analyze a trend in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the period(2006-2017) was divided into the early-(2006-2008) and mid-(2009-2012) and recent/late-(2013-2017) stages based on the time of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details. This study also summarized and suggested the early-stage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2007)’, mid-stage ‘Educational Advancement Pla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2012)’ and recent ‘Master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2016)’, which reflect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수용성 제고,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용승(Yong-Seung Lee)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6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6 No.1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 제고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다루고 있다. 먼저 다문화수용성 증대는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정책 구현의 도구로서 의미가 있다는 전제 아래 ‘사실’, ‘당위’, ‘이익’, ‘옳음’의 관점에서 정당화하였다. 네 가지 정당화 논리는 서로 겹치는 것은 물론 상호 규율관계에 있다.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대안으로는 담론과 교육, 정책을 제시하였다. 담론으로서는 한국 사회의 이질성, 연구자의 역할, 반다문화주의 논쟁 활용, 주민권/구성원권,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다문화’의 폐지 등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교육 부문에서는 교육과정의 구조 변경과 커리큘럼의 전반적 변경을 말하고, 다문화시민성 함양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이 수행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정책으로서는 다문화정책이 야기하는 정책 피로감을 낮추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책 대상의 확대, 문화에 대한 온전한 이해 반영, 차별금지법 제정, 정책에 대한 편견 및 차별 영향분석평가 등을 언급하였다. 더 근본적으로는 한국 사회의 약자보호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ason why and how to rais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n the premise that the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the instrumental meaning of realization of multicultural policy, the reason for the raising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s proposed ‘fact,’ duty or must, interest, justice or correctness. Four logics are mutually overlapping and restrict each other. As the measure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I suggest the discourse, education and policy. The heterogeneity of the Korean society, the role of researchers, the utilization of anti-multiculturalism, denizenship/membership, and the abolition of ‘multiculture’ that refers to specific people are stated as the discourse. In the education sector, the overall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structure and civic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are pointed out. As the policy, the enlargement of objects of policy, reflecting full-fledge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mpact assessment about all policies and acts are mentioned, which has the ends for the reducing the policy fatigue. More fundamentally, I argue that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weak must be equipped for the raising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r sensibility.

      • KCI등재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경혐에 따른 차이

        강운선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The goal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poli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has effect on underlying types. For these, data were gathered from 495 high secondary school students Daegu.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policy: corporat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cultural relativism, and assimilation. Secondly, 55%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liberal multiculturalism class, 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ultural relativism class, and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ssimilation class, Thirdly, the respond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ti-bias educ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 and the experienced. 2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nti-bias education class,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inority human right class, and 36%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inexperienced class. Fourthly,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1, 0=else), dummy variables 3(anti-bias education=1, 0=else)were strong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of multicultural policy(p<.001), but dummy variables 1(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1, 0=else) is not statistically signicant. The most striking finding is that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an right=1, 0=else) were 475 times more likely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than the inexperienced class.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와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고, 그들의 인식에 다문화교육경험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방향에 따라 대구 지역 고등학생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의 기본권을 보장해주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그리고 다문화교육경험을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고등학교 2개교의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유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인식 유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과정에서느 다중로지수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활용한 도구는 PROC LCA이다. 편의표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적 집단분석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와 기본권 인정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조합적 다문화주의(55%),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34%), 문화 상대주의(7%), 그리고 동화주의(4%)의 네가지 관점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경험에 다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다문화교유경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은 반편견교육(27%), 다문화이해 교육(4%), 소수자 인권교육(34%), 그리고 경험없음(35%)의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반편견교육을 받은 집단이나 소수자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은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문화인정, 반편견, 인권 존중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인식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

        강운선(Woon-Sun Ka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와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고, 그들의 인식에 다문화교육경험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방향에 따라 대구 지역 고등학생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의 기본권을 보장해주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그리고 다문화교육경험은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고등학교 2개교의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유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인식 유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과정에서는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활용한 도구는 PROC LCA이다. 편의표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적 집단분석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와 기본권 인정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조합적 다문화주의(55%),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34%), 문화 상대주의(7%), 그리고 동화주의(4%)의 네 가지 관점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은 반편견교육(27%), 다문화이해 교육(4%), 소수자 인권교육(34%), 그리고 경험없음(35%)의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반편견교육을 받은 집단이나 소수자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은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문화인정, 반편견, 인권 존중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인식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The goal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poli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has effect on underlying types. For these, data were gathered from 495 high secondary school students Daegu.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policy: corporat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cultural relativism, and assimilation. Secondly, 55%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liberal multiculturalism class, 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ultural relativism class, and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ssimilation class. Third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ti-bias educ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minority human right, education and the inexperienced. 2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nti-bias education class,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inority human right class, and 36%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inexperienced class. Fourthly,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an right education=1, 0=else), dummy variables 3(anti-bias education=1, 0=else) were strong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of multicultural policy(p<.001), but dummy variables 1(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1, 0=els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st striking finding is that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an right=1, 0=else) were 475 times more likely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than the inexperienced class.

      • KCI등재

        탈북자와 다문화가족 정책담론 비교 연구 -WPR(What’s the Problem Represented to be) 접근을 기반으로-

        류이현(Yi Hyun Ryu),이덕로(Deog Ro Lee)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이 논문은 탈북자들과 다문화가족을 둘러싼 정책 담론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의 존재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를 탐구한다. 다른 이민자들과는 달리, 이 두 이주민 집단은 한국 정부에 의해 열정적이고 전략적으로 환영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서로 다른 역사적·인종적·사회적 배경 때문에, 두 집단의 지원정책을 비교연구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이 논문은 ‘What’s the Problem Represented to Be’ 접근을 통해 이들에 대한 정부의 통치기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접근법은 특정한 사회적 이슈가 어떻게 정책 대상으로 문제화(problematized) 되는지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틀이다. 이 분석의 틀은 탈북자와 다문화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고 그들에게 우호적인 것처럼 보이는 정책을 둘러싼 담론을 해체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한국인 선주민이 아닌 인구가 정부 정책에 의해 어떻게 통치되는지를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by comparing policy discourses surrounding them. The two migrant groups, unlike other migrants, have been enthusiastically and strategically welcom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vertheless, because of their different historical, ethnic, and social backgrounds,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policies for them.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the art of government in policy discourses through the ‘What’s the Problem Represented to Be’ approach. This approach is for analyzing how a particular social issue among many became problematized as a policy object. This approach challenges taken-for-granted understandings of the two groups and dismantles policy discourses seemingly supportive of them. Thu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an examination of how the non-South Korean population is governed by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학제적·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최병두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1

        초국적 이주자의 급증과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관련 학문 분야들에서는 연구 성과물들이 발표·누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관련 연구의 질적 발전, 특히 학제적 협력과 통합적 이론 체계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관한 학제적 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제적 연구를 위해, 각 학문 분야에서 누적된 성과의 비교가능한 검토, 특정한 관련 주제의 협력적 공동 연구, 방법론과 개념들의 통합을 위한 노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은 개인 행위의 미시적 차원에서 지구적 구조의 거시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층적 배경과 영향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을 연계시킬 수 있는 다규모적 접근에 바탕을 둔 통합적 이론 체계가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을 검토하여 사회적 정의와 같은 보다 바람직한 윤리적 관점을 모색하는 한편,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의 각 측면들에서 정책적 방안들을 마련하고 종합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분석: 청소년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윤영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2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2 No.2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활동을 9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는 사회적 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청소년활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신체만족 도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 수준은 낮아지고, 청소년활동도 많이 한다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사회적 위축의 관계에서 청소년활동 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과학·정보활동, 모험·개척 활동, 진로탐색·직업체험 활동, 건강·보건활동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사회적 위축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방과 후 활동에서 찾고 그 경로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위해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