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9 교육학논총 Vol.40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4대 영역 중 하나인 진로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로활동은 2009 교육과정 때 창의적 체험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진로활동 관련 내용은 1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에 해당되는 항목 중 ‘직업준비 및 이용후생에 관한 것’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의 목표에 ‘직업적 특수 기능을 기른다’는 목표가 반영되었으나, 2차 부분 개정과 3, 4, 5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에 진로활동 관련 목표나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6차 교육과정 때 대 영역인 학급활동의 하위 활동인 적응활동의 내용 중 기본생활 습관형성 활동의 예로 ‘일의 세계’와 ‘근로정신’이 반영되었다. 7차와 2007 교육과정 때는 진로활동이 대 영역인 적응활동의 하위 영역으로 편성되었다. 교육과정 개정 차시별 진로활동 관련 개념과 성격, 목표와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활동이 2009 교육과정 때 처음 대 영역에 편성되었으나, 기본 정신은 1차 교육과정 때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시된 교육과정에는 진로활동 개념과 성격이 명확히 진술되지 않고, 목표와 내용 체계도 피상적으로 개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진로활동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진로를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areer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areer means to develop one’s own future for happy lif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ideals and goals of Korea and core competences and career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ontent related to the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n exampl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1<sup>st</sup> curriculum. Objective related to the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in the 2<sup>nd</sup> curriculum. In the 7<sup>th</sup> curriculum, career activity was reflected as a sub-domain of adjustment activity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In the 2009 curriculum, extra-curricular and school discretion activity was integrated into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Career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s of career activity, it has been revealed that career activity as a main domain organized firstly into the 2009 curriculum, the basic spirit is continued from the 1<sup>st</sup> curriculum and successively evolved to the 2015 curriculum except 3<sup>rd</sup>-5<sup>th</sup> curriculum. Bu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career activity revised a little bit formally without valid grounds like other main domain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areer activity,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esent more valid and reasonable standards for teachers and students. Also, it is needed to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career reflecting the spirit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era.

      •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및 실태

        배상식 ( Sang Sik Bae ),서미옥 ( Mee Ock Suh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2 교육학논총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현장에서 실시되는 인성교육의 실태,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기 위함이다. 교사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려는 이유는 최근 학교폭력과 따돌림 등으로 인해 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었고, 양측의 관점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사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비례 유층 표집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최종 연구대상 인원은 교사 1,589명, 학부모 1,642명으로 총 3,231명이다. 결과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들 모두 인성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들 간에 차후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이 다소 달랐다. 45.4%의 교사들이 가정과 연계된 인성교육의 실시를 원하였으나, 학부모들의 36%는 교사들이 기본 수업에 통합된 인성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더 많았다. 본 결과를 토대로, 차후에는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개선되고, 학부모들의 참여가 포함된 인성교육이 계획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and par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a character education. There were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of students in schools; therefore teachers has been a central role in developing students` character. This research presented the teachers` and parents` perspectives, understandings of the characte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Participants were 1,589 teachers and 1,642 par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and parents agreed that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needed.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t perspective toward character education. 45.4% of teachers believed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perform with parental support, but 36% of parents thought that teachers should play a primary role in class, and additional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more challenging, and parents are required to involve in character education.

      • IB교육과정의 도입과 과제 -대구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신경애 ( Shin Kyunga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20 교육학논총 Vol.41 No.1

        한국은 급격한 국제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사회에 대비한 공교육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 학계와 현장에서 IB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B가 한국의 만성적인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개선하고, 공교육 혁신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2015년 개정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이 IB와 공유하는 부분이 많고,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의 공교육의 변화,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목을 받고 있는 IB의 도입과 과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교육청의 시도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대구시 교육청은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교육에서 IB 프로그램의 도입을 추진해왔다. 그 결실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2021년에 공립학교로서는 한국 최초로 IB 국제 인증교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교육풍토에 적합한 IB 프로그램의 안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한국의 교육과정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IB 프로그램에 관한 기대와 관심이 극대화된 이 시기에 본 연구는 글로벌 교육을 추진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Korea is responding to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promoting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o this end, research on IB progra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domestic academia and in the field. This is because IB is expected to improve the harmful effects of chronic infusion education in Korea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public education innovation. In addition, this is because the human character and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often shared with the IB, and are thought to be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teaching-evaluation. As such, this study explores the efforts of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the challenge and tasks of IB,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to change public education in Korea and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IB programs in public education in earnest since 2018. As a resul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ecame the first public schools in Korea to become IB international accredited schools in 2021.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curriculum in Korea by finding a way to settle the IB program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climate in Daegu. In particular, in this period when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IB programs are maximized, this study is thought to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global education.

      •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실천적 교수모형에 관한 소고

        김애령 ( Ai Lyoung Ki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3 교육학논총 Vol.34 No.2

        본 논문은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실천적 교수모형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예술 교육과 평생교육의 관련성을 제도적, 구조적, 가치적, 실천적 측면에서 분석?조명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예술교육에서 추구하는 가치들이 수업장면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의 문화예술교육방법론을 ADDIE 교수설계모형의 토대 위에서 설계?제시하였다. 체계적 교수설계모형의 개발은 학습자의 요구(need)를 반영하여 적절한 교수방법을 적용할 수 있 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최적의 학습지원체제의 마련 및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이러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평생교육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며 어떠한 측면의 가치들을 공유하는가에 주목하고 문화예술교육과 평생교육의 연계성을 정책적, 구조적, 가치적, 실천적 측면에서 분석·조명하였으며, 나아가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ADDIE 설계모형 토대위에서 적용?제시하여 평생교육지도자들이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는데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e context of times need which challenge to the creative-society and social realization of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aslifelong education, the lifelong learning in our society has become one of main topic to changeover paradigm of culture-art education policy. Despite of inevitable relationship & closeness between culture-arts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our culture-arts education has been used independently without any academic relations with lifelong education. And culture-arts education curriculum in the lifelong education training course have been conducted without having any kinds of educational standard.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arts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the common value of both parts, also analyzed and illuminated relationships of both parts in political, structural and practical method. Moreover, has intended to suggest guideline of culture-art educational methodology to lifelong educational leaders by applying practical culture-art education methodology of lifelong learning course on ADDIE design model.

      • 교육과정 개념화의 이미지 유형

        이원희 ( Won Hee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교육과정을 개념화하는 양태는 다양한 수준을 넘어서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교육과정의 여러 가지 접근은 학문을 다채롭게 장식하는 효과는 있지만,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고 교육과정 관련 교육공동체의 구심점을 상실케 하 며 교육 실제의 문제 해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 자나 교육자가 각기 자기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개념화하는 유형을 직선적, 상 관적, 대비적, 탈구조적 네 가지 이미지로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 념화의 이미지 유형 연구는 교육과정에 관한 각가지 복잡함과 다단함을 시각화 하고 교육과정 논의를 단순화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가속화하는 하나의 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imagery types of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and to review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curricular foundation of data visualization or information graphics(infographics) which "are graphic visual representations of information, data or knowledge intended to present complex information quickly and clearly"(wikipedia). As results of this study, they can be classified with four types of image on curriculum inquiry: liner, interactive, contradistinctive, and post-structural types. Liner type may be used to represent the data of systems approach or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also visualize the prescribed ways of curriculum control in centralized system. Second, one of interactions or associations can be used to describe the work-specific area and overlapping domain between (or among) curriculum concepts and similar ones. Third, type of contrast which is based on the "binary oppositions or distinctions" may be argued with two different side of concepts. The last one is actually difficult to depict the image of concept because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criticize the curricular texts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may be utilize to sketch big data into classifying with four types of curriculum studies. Further to these ones, it is required to study visual tools to elaborate imagery types of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

        조영남 ( Young Nam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의 변천과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양자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나눔 과 배려를 실천하는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해 기존의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통합 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되었다. 방과후 학교는 1995년 5.31 교육개혁안 에서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방과후 교육활동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후, 기존 에 사용되던 여러 용어들을 통합하여 2006년부터 방과후 학교로 공식화 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와 함께 정규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반면, 방과후 학 교는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과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창의 적 체험활동은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의무교육과 무상교육 차원에 서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방과후 학교는 학생들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 어지며 실비의 교육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는 태 동 배경과 성격과 목표 및 내용 체계 등 여러 면에서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개 성과 특기를 신장하고 자아실현의 기초를 형성하고자 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가 지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방과후 학교가 대립이 아닌 상생의 관점에서 시너 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행, 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character, objectives and content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newly introduced via integrating extra-curriculum and school discretion activit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fter-school was formalized in 2006 integrating the terms of after-school educational activity,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with subjects. But after-school was not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was implemented in a dimension of compulsory and fre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ut after-school was implement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ents``s hope and students have to pay the tuition. Like thes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were different in many aspects. But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have the common objectives to foster individuality and special talents, and form the basis of self-actualization. S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were not in the positions of opposition but interac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strengthened to demonstrate the synergy effect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nd after-school.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교육과정 매핑의 사례와 시사점 탐구: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오승욱 ( Seung-uk Oh ),이지은 ( Ji-eun Yi ),강현석 ( Hyeon-suk Kang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7 교육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학생의 학습 경험의 계획과 실제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교육과정설계의 방법으로 백워드 설계와 교육과정 매핑의 개념과 절차를 소개하고, 백워드 설계에 기반하여 교육과정 매핑을 적용하고 있는 미국의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인 Atlas 시스템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초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매핑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 백워드 설계의 특징과 절차를 각각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Atlas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백워드 기반의 교육과정 지도 템플릿의 형식과 기존의 교육과정 매핑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지도의 형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핵심적인 요소인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과 절차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on introducing the curriculum mapping based on backward design. Curriculum mapping is an ongoing, calendar-based process involving teacher designed operational and planned learning curriculum, collaborative inquiry, and data-driven decision making. There are four types, diary map, projedted map, consensus map, essential map in curriculum mapping. While curriculum mapping is recognized as a highly effective method for serving studednts' instructional needs and creating systemic change, the means for putting this data-based decision-making process into practice is nor always clearly understood. Wiggins and McTighe refer to planning the outcome assessments first as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We propose the method of curriculum mapping based on backward for effective student's learning and teachers' teaching. This research tries to explain the method of mixing curriculum mapping and backward design in case of Atals system. Korean teacher minding curriculum mapping and backward design may apply to curriculum design and reconstruction.

      • 제정 러시아 시기 러시아 이주 한인의 역사적 조국어로서 한국어 교육관의 변화

        이종원 ( Jong 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민족정체성과 민족어의 사용과 교육은 순환적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관점에서 러시아 한인들의 민족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이주 초기에는 귀화 한인이던 아니던 간에 모두 조선 신민으로서 강한 정체감을 지니고 있어 러시아화 교육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했다. 2) 러시아 를 정치적 조국으로 받아들인 귀화 한인들은 러시아 교육을 수용하고 민족 교육 을 배척하게 되었다. 비귀화 한인들은 돌아갈 고국에 대한 교육과 조국어 교육을 원했다. 3) 1차 세계 대전 후 일본과 우호적 관계를 갖게 된 러시아는 의병 활동 을 탄압하게 되어 연해주 한인들과 망명 우국지사들이 이 지역에서 독립 운동 방 향을 애국 계몽 교육운동으로 전환하였다. 한인 마을마다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과 민족어 교육을 하였다. 4) 1917년 부르주아 혁명 후 러시아 내에서 정치적 인정을 우선시한 귀화 한인들은 민족 자치 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는 이를 지원 하였다. 비귀화 한인들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기 위해 항일 전쟁을 수행하 고 지원을 했다. 내전이 끝날 때까지 국제 간섭군으로 들어온 일본군과 영사관에 의해 연해주 한인 교육은 전반적으로 친일적 성향을 띠고 있어 민족 교육과 민족 어 교육이 매우 약화되었다. There is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education of mother tongue. In this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Russian-Koreans’ education of mother tong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early Korean immigrants had strong identity as Korean Empire’s subjects. So they strongly resisted the education of Russification by Russian government and Russian Orthodox Church. 2) The Koreans who were naturalized as a Russian citizen adopted Russia as political country. They wanted education of Russification and rejected Korean education for their well-being in Russia. But the Koreans who were not naturalized as a Russian citizen hoped to return to Korea some time or other, so they wan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in Korean. 3) After First World War, Russia became an ally of Japan and depressed Koreans’ war of independence in Maritime Province. The Russian Koreans who hoped Korea’s independence and the patriots who were fled from Korea to Maritime Province changed the dire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rom armed struggle to educational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y established schools in every Korean villages and educated Korean language. 4) After 1917’s bourgeois revolution, the naturalized Koreans progressed autonomy movement in Maritime Province, and Japanese imperialists assisted their movement. But the non-naturalized Koreans conducted or assisted independence war. Until civil war in far east of Russia, the Koreans’ education in Maritime Province had an inclination toward pro-Japanese by Japanese imperialists and pro-Japanese group of Russian Koreans.

      •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 있어서 종합기술교육의 의미와 한계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9 교육학논총 Vol.40 No.1

        10월 혁명 후 볼셰비키 정권은 학생들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 개혁을 하고자 하였다. 그 개혁의 방향은 통합노동학교와 종합기술교육이었다. 통합학교는 차별적 복선제 학교 체제를 단선제 학교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며, 노동학교는 학생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도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종합기술교육은 통합노동학교가 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서 종합기술교육이 나타난 특성과 한계성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접합, 학교 급에 따른 상이한 교육 내용, 통합교육과정, 국가 주도적 보급과 저항이다. After October Revolution, the Bolshevik attempted to revise educational system of Russia Soviet Federal Socialist Republic to recover workers as subject of labor. That ways of revolution are unified labor school and polytechnical education. Unified school means the transition of dual system to ladder system and labor school means to educate the students to be the subject of labor. That is institutional change of schools. Polytechnical education means the chang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to realize aims of unified labor school. The meanings and limits of polytechnical education may summarized as followings: conjunc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variance of contents of 1<sup>st</sup> and 2<sup>nd</sup> schools, integr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resistance of polytechnical education.

      • 창의적 체험활동의 봉사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8 교육학논총 Vol.39 No.2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4대 영역 중 하나인 봉사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봉사활동은 7차 교육과정 때 처음으로 특별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계속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다. 하지만 봉사활동은 2차 교육과정 때 학교의 아동 전체가 참가하는 활동의 예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부분 개정과 3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의 대 영역인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에 봉사, 관리를 위한 클럽활동으로 편성되었다. 4차 교육과정 때에는 학교행사의 하위 내용 중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행사의 예로 봉사활동이 편성되었다가, 5차 교육과정 때 다시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으로 봉사·수련활동이 편성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에는 봉사·지원활동이 대 영역인 학교활동의 하위 영역인 행사활동의 소 영역으로 편성되었다. 봉사활동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 차시별 봉사활동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봉사활동이 7차 교육과정 때 대 영역으로 처음 편성되었으나, 2차 교육과정 때부터 점진적으로 강화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시된 교육과정에는 봉사활동의 목표와 내용 체계가 다소 형식적으로 개정되어 왔으며, 봉사활동의 개념과 성격도 명확하게 진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봉사활동 교육과정을 더욱 체계화하여 학생들이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ervice activity curriculum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Service means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without rewards for the public benefit. Service spirit is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ideals, goals and curriculum of Korea. Service activity was firstly introduced as a sub-domai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e 2nd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6th curriculum. In the 7th curriculum, service activity was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But in the 2009 curriculum, the nam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changed into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Service activity was also introduced as a main domai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15 curriculu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s of service activit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aspects of service activity were reflected through the 2nd to the 2015 curriculum. Service activity as a main domain organized firstly into the 7th curriculum, the basic spirit is continued from the 2nd curriculum and successively evolved to the 2015 curriculum. Bu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activity was not defined clearly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service activity revised a little bit formally without reasonable ground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ervice activity,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esent more reasonable standards for teachers and students. Also, it is needed to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 community competency and spirit through the rich environments for the active service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