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やさしい日本語」の観点から初級日本語のシラバスを 考える

        李尙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1 No.-

        한국 일본어교육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의 일본어학습자 수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는 초급일본어 과정을 마친 학습자가 그 다음 레벨로 올라가지 않고 일본어학습을 포기하는 경우를 주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오랫동안 언어교육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어 현장 교육에서는 실러버스나 학습법 등 실질적인 변화를 찾기가 어렵다. 무엇보다도 니즈에 맞는(학습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교육은 오랫동안 연구를 거듭해 왔으나 아직 한국의 일본어교육에는 충분히 적용되지 않아 이에 대한 재고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대학의 일본어과정이 감소하고 일본어교육의 존재마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현황을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그 일환으로서 최근 2년간(2018-2019) 초급일본어과정의 학습현황을 검토하고 “쉬운 일본어”를 도입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쉬운 일본어”는 일본어실러버스를 간소화하고 산출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교육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 방안이다. 본고에서는 “쉬운 일본어”를 도입하여 일본어를 처음 시작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초급일본어과정에 “쉬운 일본어”의 요소인 “1기능1형식”의 문법항목, 스파이럴 식 학습, 산출레벨 중심, 초급에서 중급까지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실러버스의 적용 및 활용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As Japanese education in Korea continues to stagnate, the number of Japanese learner in university has been decreasing exponentially simultaneously. To be clear, a number of learners who finished beginner’s level, the curriculum focusing on new learners, tend to give up on going up to the next level.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hanges from different perspective are highly required in recent language education. So it is imperative to set up an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learners (focusing on learner’s opinion) since Japanese field education is challenging to find changes in syllabus or learning method. This paper examines the solution on not only decreasing number of needs for Japanese education, but the existence of itself. This paper went through the learning status of the beginner’s Japanese language course and presented an educational plan that introduced “easy Japanese”. “Easy Japanese”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requires Japanese society to acquire multilingual multiculturalism from a few years ago, aiming to commercialize education by simplifying the Japanese syllabus and placing importance on cal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easy Japanese to beginners who are new to Japanese, making it a beginner’s course for beginners with the use of “One function one form”, spiral method, output level, continuous and systematic syllabus for basic – level Japane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依頼場面における丁寧表現の使用/不使用に影響する要因の分析 ― 日本人と韓国人の比較を通して ―

        辛昭静,石崎雅人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령과 조직에서의 관계를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한 후 ①입장의 차이(의뢰를 하는 화자의 입장/의뢰를 받는 청자의 입장), ②상대와의 관계(친/소), ③대화의 상대(외국인/내국인)의 조합에 따른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과 평가를 조사했다. (1) 표현에 대한 선호일한 모두 의뢰하는 경우와 의뢰받는 경우에 따라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확률이 달랐다. 의뢰를 받는 경우에는 정중표현을 선호하지만, 의뢰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와 친한 관계라면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일본인은 친한 외국인/일본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한편,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받는 경우에 일본인(이 친한 일본인에게 의뢰 받는 경우)보다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이 적당하다고 선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2)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의 선택과 관계가 있는 평가요인일본인은 의뢰하는 경우에도 의뢰받는 경우에도 주로 표현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선택이 바뀌지만, 한국인은 「자연스러움」「친근함」「정중함」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표현의 선택이 바뀌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에서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보다 다각도로 평가하여 표현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일한 모두 반말은 친한 상대에게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이 너무 정중한 말투보다는 반말이 서로의 심리적인 거리를 좁힐수 있으며 지나치게 정중한 말투는 친한 인간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장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외국인도 경어 사용법을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외국인의 경어 사용이 틀리는 건 괜찮지만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일본인도 한국인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은 친한 관계가 전제조건이며 특히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의 경우가 그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로부터 한국인은 친하지 않은 상대가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함을 느끼는 정도가 일본인보다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해서는 더욱 다양한 장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면에 있어서 반말이「오용」이라고 평가되는 이유의 하나가 화자와 청자의 입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y Japanese and Korean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 items concerning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in eight hypothetical scenes constructed from a combination of the participants' roles (addresser/addressee), their familiarity, and whether the language they speak is native or not, and 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while their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age and when they join the company being the same. The obtain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Korean/Japanese preferences towards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Binominal test is applied to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oth Korean and Japanese prefer polite expressions when they are requested to photocopy the papers for business. More Korean choose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a familiar native friend in the company to photocopy the papers, while more Japanese select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familiar native/non‐native company friend. (2)Korean/Japanese perceptions on polite/non‐polite expressionsCorrelation ratio is calculated between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 expression such as brief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are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the expressions for Korean; mainly naturalness for Japanese. Korean seem to decide on the use of the polite/non‐polite expressions with multiple perspectives than Japanese. (3)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Binominal test is used to examine the judgment on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Both Korean and Japanese think that non‐politeness expressions should be used for close friends, while more Korean recognize that non‐polite expressions lessen psychological distance to the other and polite expressions can be a hindrance to amicable relations than Japanese.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ider the proper use of honorifics necessary for non‐natives; Korean do not care non‐natives' misuse of honorifics, but feel uncomfortable for their inappropriate use of honorifics than Japanese. In summary,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is recognized to be allowed between familiar friends in Korean and Japanese. However, Korean think this condition more rigid and thus feel more discomfort for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by unfamiliar friends than Japanese.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examine all factors underlying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 for Korean and Japanese, it sheds light on the reasons for improper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 KCI등재

        日本の安全保障概念の再構築に関する考察 -安全保障の地理的拡大と自衛隊活動の内容深化-

        尹奭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9.11테러이후, 일본의 안전보장 개념이 지역안보 중심에서 국제평화협력활동 확대로 변용되는 과정을 자위대 활동의 변화를 통해 고찰 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고에서는 일본의 안전보장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9.11테러와 이라크 전쟁을 통해 자위대 파견의 의의가 어떻게 변용되었으며, 일본의 안전보장 정책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왔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냉전종결과 9.11테러, 이라크 전쟁은 일본에 있어 안전보장의 목적과 대상, 그리고 수단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이었다. 특히 이라크 전쟁발발 이후 자위대파견에 이르기까지 과정은 지금까지 미일협력과 국제공헌이라는 측면에서 설명되어온 자위대의 국제평화협력활동의 정책적 의의가 다원화 되고, 결과적으로는 국제안전보장의 불안정화에 대한 대처가 일본의 평화와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정책적 의의가 부여되는 과정이었다. 일본의 안전보장개념의 재구축에 있어서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국제평화협력활동이 9.11테러 이전까지 ‘국제공헌’이라는 제3자적 의미로 정의되어 온 것에 반해, 9.11테러 이후 자위대의 평화유지 활동은 단지 국제공헌 측면이 아니라 일본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간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japanese security concept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and Iraq war had a tremendous impact on strategic thinking, both at the global and individual national level. For Japan, security still depends primarily on the US-Japan Defence Treaty, but in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and Iraq war, Japanese leaders realize that international contribution and Peace-keeping Operation to stabilize the regional situation is connected with japanese security. Consequently, transformation of Japanese security concept paves the way for Japan's armed forces to play a greater role in international security, marking a shift from severe limitations on the use of its military.

      • KCI등재

        「혼카도리」와 『신코킨와카슈』의 미적기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0 No.-

        본고에서는 『신코킨슈』의 미적기반을 이루고 있는 혼카도리가에 채택된 혼카에 초점을 맞추었다. 『신코킨슈』서 혼카로 채택된 와카를 살펴보면, 단연 『고킨슈』에 수록된 노래가 많다. 그러나, 한 수의 와카가 여러 혼가도리가에 채택된 중복 상황을 조사해보면, 단연 눈에 띄는 것이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노래이다. 본고에서는 주로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혼카를 분석함으로써, 『신코킨슈』 당시의 가인들이 동경하던 미의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세이야기』를 출전으로 하는 혼카의 특징은 『신코킨슈』 당시에 널리 알려진 사랑의 노래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코킨슈』에서는 사랑의 노래뿐 아니라, 계절가나 애상가등에서도 혼카로 채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사랑이야기를 바탕으로 신코킨슈의 작자들은 시각과 청각, 거기에 후각까지 더하여 와카를 읊어내고 있다. 그들이 읊어낸 와카는 현실적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세계를 묘사하지만, 마치 현실인 것과 같이 착각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와카를 감상하는 우리들은 마치 극장에 앉아 3D 영화를 보는 것 같다. 이것이 바로 『신코킨슈』의 작자들이 표현하고 싶어 했던 미적 세계이고, 이러한 미적세계가 신코킨슈의 미적기반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mainly focuses on the “Honkadori” of “Honka” which is the aesthetical base of “Shinkokinshu”. When we look into the Wakas selected as Honka in Shinkokinshu, there are a number of songs derived from “Kokinshu.” However, according to a research about repeated number of songs from several Honkadori, it is prominent to see plenty number of songs from “Isemonogatari”. This paper mainly analyzes Honkas of Isemonogatari and examines the aesthetic viewpoint of the authors and their contemporaries. One of main point of Honkas from “Isemonogatari’ is that they are wellknown love songs at that time. Despite their reputation, they are also known as songs of four seasons and elegies. Moreover, based on these love songs, the authors of Shinkokinshu uses the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features to compose songs. Although their description of the world is virtual, they make people feels as real. Those who appreciate Wakas feels like watching a third dimension movie. These are the aesthetic aspects that the authors of Shinkokinshu wanted to describe and these aesthetic points constitute the Shinkokinshu’s aesthetic foundation.

      • KCI등재

        현대일본 문장어의 「男」 관련어휘 사용실태 ─ 「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를 분석대상으로 ─

        吳美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9 No.-

        현대일본 문장어에서의 「男」관련 어휘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日本國立國語硏究所)의 <白書 1976-2005, 2001-2005년><敎科書 2005- 2007년><弘報紙 2008년> <블로그 2008년>을 분석하였다. 행정적인 보고서 <白書>는 「男女」「男性」「男子」의 형태가 95%로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男女」에서는 <白書>보다 <白書2000年代>에서 연령관련 수식구 제시가 증가되었다. 20%에서 47%로 증가한 「男性」관련어휘는 <가정>과 관련된 테마의 빈도가 높으며, 46%에서 9%로 급감한 「男子」는 白書에서 사용되는 공식적 표현이 2000년대에 이르러 「男子」에서 「男性」으로 대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규범적 문장 <敎科書>에서는 「男性」「男子」가 점유율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白書><白書2000年代>에서는 제시횟수가 낮은 「男」점유율 증가가 두드러진다. 공적인 문장어에서는 제시되지 않는 「男」가 문학이나 회화 등의 작품명, 일반적인 남성의 지칭어로 사용되고 있다. 홍보용 문장 <弘報紙>에서는 「男女」「男」의 점유율이 높다. 「男子」「男性」「男」의 사용이 <白書><白書2000年代><敎科書>와 달리 거의 균등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男子」는 대부분 스포츠 경기에 관련된 내용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주방·레스토랑이나 요리에 관련된 「男」「男性」의 제시가 눈에 띈다. 사적인 문장 <블로그>에서는 「男」관련 어휘의 제시형태가 다양하나 「男女」는 9%에 불과하다. <白書><白書2000年代>에서는 거의 제시되지 않는 「男」「男の子」와 형제순을 나타내는 「長男」「次男」「三男」 등의 점유율 증가가 두드러지며, 플러스 어감의 「男**」「**男」의 빈도수가 높다. The study analyzed the general language use of ‘OTOKO’ in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White papers 1976-2005, 2001-2005><Textbooks 2005-2007><Public relations magazines of 2008> and <Blogs of 2008> from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White papers> which were written as administrative reports suggested that forms such as 「DANJO」 「DANSEI」 「DANSHI」 accounted for 95%. 「**DANJO」 showed the increase of modifying phrases related to age in <White papers 2000s> than <White papers>. 「DANSEI」 was increased from 20% to 47% and a theme related to <Home> had the high frequency of use. 「DANSHI」 was decreased rapidly from 46% to 9% and 「DANSHI」 tended to be substituted to 「DANSEI」 as an official expression used in <White papers> in 2000s. <Textbooks> which contained normative sentences suggested that the occupation rates of 「DANSEI」 「DANSHI」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occupation rate of 「OTOKO」 which had a low frequency rate in <White papers> and <White papers 2000s> was remarkably increased. 「OTOKO」 was not presented in the official written language but used for titles of literature and art or a term of address for an ordinary man. <Public relations magazines> which contained promotional sentences suggested that the occupation rates of 「DANJO」 and 「OTOKO」 were high. 「DANSHI」 「DANSEI」 「OTOKO」were evenly used unlike <White papers> <White papers 2000s> <Textbooks>. 「DANSHI」 was presented mainly at contents related to a sports game and 「OTOKO」 「DANSEI」 were presented remarkably at contents related to a kitchen· a restaurant or cooking. <Blogs> which contained personal sentences presented various forms of vocabulary related to 「OTOKO」 but 「DANJO」 only accounted for 9%. The occupation rates of 「OTOKO」 「OTOKONOKO」 and 「CHONAN」 「JINAN」 「SANNAN」 which expressed brothers in order of age were remarkably increased even if they were hardly presented in <White papers> <White papers 2000s>. Also, 「OTOKO**」 「**OTOKO」with a positive connotation had high frequency rate.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공권력과 강제동원성 ― 일본 재판부의 판결문 속 ‘국가무답책’ 법리를 중심으로 ―

        강경자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1991년 최초로 제기된 ‘위안부소송’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 보상청구소송’-의 원심에서 최종심에 이르기까지의 판결문의 문언에 기초하여, 판결문에 적시된 공권력에 의한 강제동원성 문언을 발굴한 것이다. 특별히 ‘국가무책임의 원칙’, ‘공권력무책임’의 원칙으로도 불리는 ‘국가무답책(國家無答策)’ 법리는 그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위안부’의 피해가 ‘공권력’의 범위에 속한 것인지, 국가의 ‘공권력’ 의 주체적 개입 여부가 핵심적 개념으로 논의 되었던 것에 착안하여 ‘위안부’ 피해자들의 피해가 일본의 ‘공권력’에 의한 피해임과 ‘공권력’에 의한 강제성을 판결문에 적시한 문언을 발굴해 낼 수 있었다. 일본 사법부는 ‘국가무답책’을 통해 피고 일본 정부에 보상책임을 면제해 줄 수 있었으나, 원심에서 최종심에 이르기까지 ‘국가무답책’ 법리를 적용하고 배제, 재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국가무답책 법리의 부당성을 스스로 인정하였으며, 위안소의 설치, 운영 및 ‘위안부’의 모집, 관리에 있어서 제국 일본의 공권력에 의한 강제동원성을 판결문에 적시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본 사법부가 인정한 바와 같이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는 제국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공권력에 의한 강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역사적 과오를 겸허히 인정하고, 전후보상책임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entences of the first case of the comfort women lawsuit in 1991--the compensation suit for Korean victims of the Asia-Pacific War--from the original trial to the final trial, In particular,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ublic power intervention” played a key role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unresponsiveness’, also called ‘the principle of national irresponsibility or ‘the principle of public power irresponsibility, and found court rulings which stated that the forced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and the damage of comfort women victims were caused by the Japanese ‘public power.’ The Japanese judiciary was able to exempt the Japanese government from the compensation liability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national unresponsiveness’, but acknowledged its unfairness while applying, excluding, and reapplying the principle, thus explicitly stating in the ruling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Japanese authority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mfort facilities and in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the comfort women. As recognized by the Japanese judiciary, the damag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victims was forced by the Japanese public power to carry out th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humbly acknowledge these historical wrongs and take a proactive stance on the postwar compensation liability.

      • KCI등재후보

        전후 일본인들의 가치관 변화에 관한 고찰 - 일본인의 국민성연구결과를 중심으로 -

        李利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4 일본학연구 Vol.15 No.-

        According to Japanese national character study by the Institute of Statistical Mathematics, Japanese national traits and belief systems have changed since the 1950s. Their changes due to the influences of rapid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enhancement of education level. And They was partly inverted during in the 1970s or 1990s. For examples, Japanese traditional usual practices have been weakened such as following precedents without reserve, adopting a child, worshiping ancestors,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and inclination of valuing national interests above one's. The other way, lifestyle of enjoying leisure and hobby better than making money, tendency of preferring conservation of nature to exploitation, and inclination of taking a serious view of family have been strengthened. Meanwhile there are some national characters in which have been hardly change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taking precedence of personal capacity in a social organization, setting a high value on filial duty and labor,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others or the whole, and patriotic sentiments are hardly changed until recently.

      • KCI등재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와 동아시아 인식

        전덕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4 No.-

        본 논고는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 성격과 전개, 그리고 신라인의 대일본·발해인식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日本書紀에서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 이래 신라와 고구려, 백제가 日本國의 蕃國이 되었다고 전하지만, 그대로 믿기 어렵다. 701년 大寶令 반포 이후에 일본은 唐을 隣國, 신라를 蕃國이라고 규정하였고, 이러면서 동시에 신라가 일본의 蕃國이 된 淵源을 神功皇后의 新羅征伐에서 附會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신라는 日本을 唐과 같은 宗主國으로 섬겨야 할 大國이 아니라 交隣의 대상이나 또는 잠재적인 敵國으로 인식하였다. 8세기 전반에 日本은 新羅 使臣을 蕃國 使臣의 禮에 따라 대우하였고, 신라는 이러한 일본의 태도에 대하여 크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당시 신라가 일본의 요구를 수용한 것은 그들이 일본 중심의 世界秩序와 天下觀을 받아들여 그들의 蕃國이라고 스스로 自認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일본의 침략을 우려하여 취한 외교적인 제스처(Gesture)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고 보기 어렵다. 730년대 초반에 신라인들은 自國을 중국과 대등한 유교문화를 발전시킨 君子國이라고 자부하였고, 반면에 日本과 渤海를 문화적으로 낙후된 夷狄國으로 貶下하여 차별하였다. 이때 신라인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수용하면서도 自國은 중국과 동등한 유교문화를 발전시킨 君子國이라고 자부하는 한편, 일본과 발해는 신라보다 문화적으로 낙후된 야만적인 夷狄國으로 貶下하여 나름 대내외적으로 자존감을 드러내려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는 730년대 이후에 일본을 夷狄으로 인식하는 對日本觀을 바탕으로 일본에 파견한 自國 使臣들을 번국 사신의 예로서 대우하는 일본측의 태도에 대하여 강력하게 항의하였고, 이에 대하여 일본은 大寶令의 규정에 따라 신라가 蕃國의 예를 준수하기를 고집하였기 때문에 두 나라 사이에 외교적 분쟁이 잦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 and process of Silla’s diplomacy toward Japan, and Silla people’s perception of Japan and Balhae. Although Nihonsyoki(日本書紀) tells us that Silla, Goguryeo and Baekje became the savage country(蕃國) of Japan after Empress Jinggu(神功皇后)’s conquest of Silla, it’s hard to believe it as it is. After the promulgation of Taihoryo(大寶令) in 701, Japan stipulated Tang Dynasty as a neighboring country(隣國) and Silla as a savage country. Simultaneously, they seemed to make an excessively forced analogy that the legend that Empress Jinggu conquered Silla was an origin for Japan’s decision to define Silla a savage country. At this time, Silla perceived Japan as an object of good-neighbor diplomacy(交隣) or a potential enemy, not as a big country like Tang that served with a suzerain state. In the early 8th century, Japan treated Silla’s envoys as envoys of the savage country and this treatment did not meet with big opposition from Silla. But this acceptance from Silla was not because Silla acepted the Japanese world order and the Japanese view of the world or admitted itself as a savage country of Japan. It is hard to say that Silla’s acception was more than a diplomatic gesture from concern about Japan’s invasion. In the early 730s Silla people were self-confident of their country and regarded themselves as people of a country that was a noble-man country(君子國) that developed Confucian culture comparable to that of China. On the other hand, Silla derogated and discriminated Japan and Balhae an uncivilized barbarians country(夷狄國) that fell behind culturally. So it can seem that Silla people tried to show off the internal and external self-regard of a nation through this. After 730s Silla lodged a strong protest against Japan’s treatment that treats its envoys as savage country’s envoys based on its view of Japan that regarded Japan as a barbaric outlander. Since Japan adhered to their prior decision to treat Silla as a savage country according to the rules of Taihoryo, these two countries conflicted each other frequ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