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역할갈등을 중심으로

        설선미 ( Seol Seonmi ),심미승 ( Shim Miseu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3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심화하는 요인으로서 역할갈등에 주목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 불일치를 초래하는 원인과 현상이 어떤 맥락에서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 1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8개 신문의 ‘사회복지사’에 관련된 언론기사를 기초데이터로 하여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역할갈등은 업무환경, 외부충격, 물리적 보상, 사회적지지 및 평가영역의 갈등으로 유형화되었다. 즉, 사회복지사의 과업환경의 열악성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응책, 사회복지 업무수행에 있어서의 안전장치의 필요,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인식 및 업무에 대한 지지 등 사회복지사의 역할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직적 대응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ut an emphasis on role conflic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riggering social worker’s burnout and tries to classify role conflicts in details. To do that, it conducts network analysis using primary data on the articles at 8 major newspapers from December in 1990 to December in 2016. According to analytic results, role conflicts for social worker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working environments, (2) external shocks, (3) physical compensations, (4) social supports and evaluation. At the end, the paper suggests several solution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reduce role conflicts for social workers. First, better working environments should be provided to them. Second, safer devices are necessary for delivering social welfare services to clients. Besides, proper actions should be taken for better treatments, better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and social supports for their job and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 신뢰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도, 정치사회 관심도를 중심으로

        최미연 ( Choi Miyeon ),이형석 ( Lee Hyungseok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4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8 No.1

        Trust in media continues to decline, particularly when media fails to meet public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and their collective impact on social trust.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Media Accepta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aluations of journalists and trust in new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media issues and social trust. Furthermore, the audience’s level of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affai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 evaluations and social trust. Conversely, interest in politics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news and social trus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need to reinforce trust in contemporary society by enhancing the overall reliability of media and news, and ensuring that media roles are in line with societal expectations. 언론의 신뢰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언론 신뢰는 사회적 신뢰를 형성하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 주요 요인으로, 언론 신뢰의 기반인 언론 및 언론인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중요하게 다뤄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신뢰 형성에 있어 미디어 수용자가 인식하는 언론문제 인식과 언론인에 대한 평가 및 뉴스정보 신뢰도,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의 통합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한 <2023 미디어수용자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언론문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사회적 신뢰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론문제 인식과 사회적 신뢰 관계에서 언론인 평가와 뉴스정보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언론인 평가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언론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뉴스정보 신뢰와 사회적 신뢰 간 관계에서 수용자의 정치사회 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신뢰가 갖는 의미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투영하여 언론 및 언론인, 뉴스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켜야함을 강조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성과 영향요인 분석: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를 중심

        이기호 ( Lee Keeho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2

        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운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 거버넌스 전략적 요소로 수요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요소를 연구 분석한 결과, 주요 영향요인은 전문적 설계, 소통적 네트워크, 협력적 참여 순이며, 서비스 체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문적 설계, 협력적 참여, 자율적 구조화 순이고, 정책 호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문적 설계, 협력적 참여, 소통적 네트워크로 분석된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운영은 사회자본의 요소를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향후에는 민관협치 조정기제에 적합한 메타 거버넌스(Meta Governance)의 전략적 요소(strategic constituent)를 접목시켜야 하며 중앙정부는 현행 사회보장위원회로 존치하더라도 각 시도에서 관리하고 있는 사회보장위원회는 운영체제를 현행 시군구 및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같이 자율성, 네트워크와 참여, 전문성 등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민관협치 조정기제(Public-Private Governance Coordination Mechanism)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체제로 과감하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 민간 협력체계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자율성에 기반한 다양하고 다층화한 사회보장협의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혁신적인 운영으로 민관 간 협치 조정기제가 제대로 작동되어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 새로운 사회서비스 플랫폼(Social Service Platform)의 기반 확산을 토대로 체계적인 관리와 고도화된 질 관리가 필요하다. 미래 지역복지공동체 중추적 기능으로서 변화와 혁신을 촉진시켜 나가면서 역량을 확충하여야 하며 동시에 전국의 모든 시군구와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시 메타 거버넌스 체제에 의한 전략적 요소를 접목한 PDCA 관점에서 보는 종합 성과관리(IPRM: Integration Performance Review Model) 체제로 개편하면서 성과 협영(performance-governance) 형태를 접목하므로써, 운영체제와 성과 평가체계로 혁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적 운영 요소를 매년 4년차 사회보장계획 수립과 연차별 평가 시행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result of study, Analyze the strategic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were strategic design, communicative network, collaborative participation. Strategic factors influencing service performance were the professional design, collaborative participation, autonomous structuring. the significance of influencing factors on policy response were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design, coopera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s system should not activate social capital, but it should incorporate the strategic constituent of Meta Governance in the future. Such constituen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emphasizes include autonomy, network,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the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s. The Public-Private Governance Coordination Mechanism requires a bold transition to a system of community security council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ivil cooper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local social welfare community and the social service platform. Based management and advanced quality management are also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mpetency by promoting change and innovation as a pivotal function of the future regional community of welfare.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the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 of the whole country, it is necessary to innovate into operating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y incorporating performance-governance form while reorganizing into IPRM(Integration Performance Review Model) system. Accordingly, these should be reflected in the implementation plan.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가 남한 사회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운석,김명선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5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9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understanding how the social support from someone such as their family, friends and others who takes a deep interest in the North Korea defectors, has the effect on their South socio-cultural adaptation. The research was surveyed with 207 North Korea defectors mostly living in the area of Kyunggi-do.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the longer their terms of residence in South Korea i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they feel the difference to fear, language or cultural aspects on the South Korea community. Whereas it shows that the age or the terms of residence doesn’t have much effect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awareness on relatively low social position as a North Korea defector. Therefore it indicates that in most cases, they live in having the feeling of discrimination or prejudice even though they live for a long period in South Korea. It turned out that the social support from someone who cares for them closely is one of the strongest factor having influence on their South socio-cultural adapt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works as one of the factors making them overcome various stress and progress with confidence in their living by having the effect not onl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in South Korea but also their ability and competency in business drive.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족, 친구 그리고 그 외에 자신에게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특정인의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남한 사회문화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주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탈북이주민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회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남한 사회에 대한 두려움이나 언어 혹은 문화적 측면에 대한 이질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이나 거주기간이 북한이탈주민들의 낮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지각이나, 차별감 및 이탈주민이라는 편견을 극복하는 사회적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은 오랜 기간 남한에 거주해도 차별감이나 편견을 극복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남한 사회문화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정인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임이 밝혀졌다. 이 특정인으로부터 받는 지지는 남한 사회에서 사회문화적 적응뿐만 아니라 자기능력과 업무추진에 대한 유능감에 영향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생활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극복하면서 나아갈 수있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대학 영어행정강좌에서의 직업 개발 주입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앤더슨채드 ( Chad Anderson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2

        취업이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행정학 전공이 아닌 학생들에게도 공무원 등 정부 관련 직종이 인기가 있다. 이는 많은 행정학 학위 보유자들이 정부와 관련된 직종 외의 진로를 고려해야 하고 이미 정부 관련 직종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향후 진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11개의 진로 발전 competency를 제시하고 일반적인 교과강의에 진로 발전과 관련된 콘텐츠를 투입하는 것에 대한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강의자가 학생들의 진로 competencies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진로 발전을 투입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교과과정의 시작과 마지막에 26 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11개의 competency 준비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 묻는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11개의 진로 competency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문조사 자료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상호 작용과 평생 학습을 개발하고 유지하고, 일을 획득하고 유지하고, 경력 개발이 나타났다. 교과과정의 마지막에 시행된 설문조사에서 모든 결과가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모든 competency가 증가했다. 이는 더 많은 진로 발전 투입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s Korean students face job stress, civil service and government jobs are very popular, even for students outside of public administration. Many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s will need to pursue careers outside of government and all still need to manage their career. This study presents a set of 11 internationally-recogniz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views literature on infusing career development content into regular subject classes. An example is presented of a class where the instructor actively infused career development to enhance career competencies. Survey data from 26 students is examined regarding student perception of preparedness in the 11 competencies early in the class, and at the end of class. Survey data is also reviewed assessing student perception of the class in terms of helpfulness at enhancing the 11 career competencies.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for interaction, lifelong learning, securing and maintaining work, and career building. All of the competencies showed increase from the first survey to the second, though not all of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Even though not all of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the experience was positive enough to suggest more career development infusion where reasonable and relevant. Further study is warranted, particular with larger class size.

      • KCI등재

        개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김태희 ( Kim Taehee ),홍근석 ( Hong Geunseok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5 No.3

        국민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고 행복해하는 정도는 각 개인이 속한 사회 전체의 모습에 대한 질적인 평가의 결과이며, 국민들의 삶에 대한 질적인 양태 및 국가의 전반적인 건강성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갖는다. 이에, 국민 전체의 삶의 질 또는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국민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마련에 있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다양한 결정요인 중 일부 요인에만 제한적으로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양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도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국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회미래연구원의 2020년 ‘한국인의 미래 가치관연구’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조건과 인지적 사회적 자본요소인 신뢰, 호혜성 규범 및 사회적 규범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Life satisfaction is considered as one important qualitative indicator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ociety as a whole as well as individuals’ overall well-being. Thus, over the past decades, life satisfaction and its importance have received more scholastic and practical attention. In this regard,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efining and assessing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examining its determinants. While such existing studies on life satisfaction have focused more on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or cultural factors such as social capital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expanded the current knowledge in the area of life satisfac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varying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f South Korean focusing on both socio-economic factors and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reciprocity and social norms. This study uses a data from a survey on ‘public perceptions of the future’ condu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s in 2020.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의 실질적 활용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원희 ( Jo Wonhee ),전미선 ( Jeon Miseon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2

        기존 숙련의 형성과 혁신에 관한 연구는 국가 단위로 제도적 상호보완성과 혁신양상의 유형화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한편, 근로자의 숙련은 기업혁신을 도출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논의되면서도, 기업의 교육훈련을 지원하는 고용보험의 기능적 측면은 많이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사업의 실질적 활용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3차∼7차 연도 통합데이터를 활용하였고, 통계방법은 응답자 간 모형과 고정효과 패널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납부액 대비 교육훈련 시행에 따른 환급액 비중을 통해 실질적인 고용보험 지원사업의 활용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고정효과 모형 분석 결과, 모든 산업에서 기업이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지원의 실질적으로 활용할수록 기업 혁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고용보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revious research on skill formation and firm innovation had investigated a national level with an emphasis on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and type of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while the skillful workers were discussed as a key factor in deriving firm innovation, the functional aspect of employment insurance that supports vocational training in firm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in Employment Insurance on firm innovation.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s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HCCP) 3rd~7th year integrated data, and two types of panel regression model(between-effect and fixed-effec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insurance support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all industries, the more firms utilizing the employment insurance program which supporting workers skill formation, the higher the firm innovation achie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ze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employment insurance support program to activate more innovation of firm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김순옥 ( Kim Soon-ok ),최천근 ( Choi Cheon Geun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4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의 자발적 퇴직은 지나치게 높다. 요양보호사의 높은 이직은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질과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역량 측면에서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서울지역 노인재가요양시설에 근무하는 노인재가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593명으로부터 설문응답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 사이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생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한 매개효과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독립된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국, 노인재가요양시설에 근무하는 노인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high turnover of caregiver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the ability to meet custome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to reduce the intention to turnover of caregiv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 a significant and complex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or caregivers and turnover intentions of caregiver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elderly caregivers working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received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a total of 593 people.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caregivers and the intention to turn over. That is to say, it means tha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generates more powerful effects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일자리 대체의 사회적 영향 분석: 빈곤갭을 활용한 사회적 비용 추계를 중심으로

        이채정,허종호,윤난희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0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impact of job replacement caus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study, the data predicting job replacement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mbined with the data from the 20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in order to estimate the social cost of job replacement using the concept of poverty gap according to the scenarios based on the years 2020 and 2025. In additio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roups vulnerable to reduced disposable income due to job replacement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ocial costs arising from job replacement are estimated at 6.6 trillion won in 2020 and 8.3 trillion won in 2025. Besides, those with relatively high earned income (whose labor market experience is long and the quality of job is high) tend to be vulnerable towards reduced disposable income due to job replacement.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policy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readjustment of taxation systems and social insurance systems that take into account industries, income classes, household composition, etc. to cope with declining unemployment and earned income since job replacement by technological innovation could be a threat not only to the existing vulnerable, but also to the middle clas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nalyze the social impact of the emergence of new jobs crea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ffects of the overhaul of the taxation system, such as robot taxe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유발하는 일자리 대체의 사회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곤갭 개념을 적용하여 기술혁신에 의한 직무대체의 사회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일자리 대체를 전망한 자료와 제20차 한국노동패널 원자료를 결합하여 일자리 대체가 유발할 사회적 비용을 시나리오별로 추산하였다. 또한, 일자리 대체로 인한 가처분소득 감소에 취약한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직무대체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은 2020년 6.6조원, 2025년 8.3조원으로 추산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근로소득이 높은 계층(노동시장 이력이 길고, 일자리의 질이 높은 경우)이 일자리 대체로인한 가처분소득 감소에 취약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술혁신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기존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중산층에게도 위협적일 수 있으므로, 실업 및 근로소득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업종, 소득계층, 가구구성 등을 고려한 과세체계 및 사회보험제도 정비를 통해 사회정책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강화해야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의한 새로운 일자리의 출현과 로봇세 등 과세체계의 개편 효과를 고려한 사회적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농민공 자녀의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주문문,윤광진,주창범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1

        In the recent decades, China has experienc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in this process, farmers in rural areas moved to urban areas, in a large scale, to find jobs. This huge migration of ‘farmers-turned-factory workers’ created new challenges for their children. Some of them need to leave their children behind at home with the care of their grand parents or others. Others bring their children to urban areas for jobs. However, both ‘left-behind children’ and ‘floating children’ have to face a lot of social and educational peri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two types of children face, from three aspects: family, school, and society.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should be government intervention to reverse the unequal opportunities reserved for these neglected children of migrant workers both at home and new places. Especially it is recommended that dual system of birth registration should be reformed, which prevents neglected children in cities from receiving educational benefits that other children born in cities do. 중국은 지난 몇 십년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농촌의 잉여 노동력이 도시로 대거 이주하게되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이 ‘농민공’이다. 중국은 도시-농촌간의 이원호적제도(二元 戶籍制度)로 인하여 농민공과 그 자녀들이 여러 가지 제약을 받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농민공 자녀의 교육문제는 농민공의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 불안정이라는 현실 이외에도 첫째, 가정교육 측면에서는 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과 이해부족 및 낮은 유대감 둘째, 학교교육 측면에서는 교육의 질 저하, 선생님과 자녀 간의 의사소통 부족 및 낮은 적응력 셋째, 사회교육측면에서는 거주환경의 열악과 사회구성원 간의 교류 부족 등에서 보듯이 농민공 자녀의 교육문제는 거시적 수준의 국가체제적 접근과 미시적 수준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통합적 시각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민공의 자녀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사회 구조의 일대 변혁을 통한 국가차원에서의 개혁입법과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농민공 자녀의 교육문제는 가정, 학교, 사회 등에 걸친 사회적 관계의 유대망 구축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그 핵심은 국가주도의 개혁일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농민공의 실태를 기술하였고, 가정교육측면, 학교교육 측면, 사회교육 측면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농민공의 경제사회적 상태와 자녀들의 교육 불평등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호적제도의 폐지, 의무교육제도의개선, 농민공에 대한 재정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