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윤현덕,서리빈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1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미래혁신산업 인재양성을 위한‘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과과정 구성에 대한 연구: 대학과 산업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방태웅 기술경영경제학회 202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과과정 구성에 대한 교원과 산업체의 인식차이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IS2020 가이드라인과 기술경영전문대학원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들의 커리큘럼 현황을 바탕으로 ‘기술경영학 핵심영역’ 및 ‘기술경영학 교과목’의 중요요인들을 도출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경영학 핵심영역’의 ‘학문적 중요도’, ‘실무적 중요도’의 경우 각각 교원은 ‘기초’, ‘프로젝트’ 영역을, 산업체는 ‘방법론’, ‘기술’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경영학 교과목’의 ‘학문적 중요도’, ‘실무적 중요도’의 경우 교원은 ‘기술경영개론’, ‘기술경영프로젝트’ 과목을, 산업체는 ‘기술경영 연구방법론’, ‘기술경영 프로젝트’ 과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IS2020과 같이 기술경영학 교과과정에 대한 Frame work를 구성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향후 기술경영 전문대학원 등 직장인 재교육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학계와 산업계의 시각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함의를 갖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about the composition of MOT curriculum. Based on the IS2020 guidelines and the curriculum status of universities operating MOT, the key areas of MOT and important factors in the curriculum were design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n the case of ‘academic importance'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e ‘core area of MOT,' universities recognize the 'basic' and 'project' areas, and industries recognize the 'methodology' and 'technology' areas as th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academic importance'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e 'MOT subjects,' universities recognize 'technology management introduc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project' subjects, and industries recognize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technology management project'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old academic significance as the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MOT in the future, similar to IS2020. Furthermore, the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and industry, especially in MOT and other re-education degree programs for working professionals.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논의의 진화: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병윤,정철우,김길선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technology management by taking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field in the United States. The discipline was established since the World War II when the big research organization was firstly formed in the country. Its focus has varied according to the role of technology in a corporation and the relation of technology and society in general. We identify three distinct stages of the field: R&D management, or project managemen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novation in the 70s and 80s, and the diffusion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its education. The recent discussion on a standard curriculum of technology management illustrates the lack of a coherent identity of the field, however this phenomen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pathological and it demonstrates the widened interfaces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Furthermore, it implies the possibility and need of diverse approaches in technology management.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분야의 발전과정을 통해 기술경영의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미국에서 기술경영은 2차 대전 전후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기술과사회의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내용을 달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1) 2차 대전 전후의 ‘R&D 관리’ 또는 ‘프로젝트관리’ 단계, (2) 70-80년대 초반의 혁신에 대한 이론화 전개 단계, (3) 기술경영논의의 확대 및 기술경영교육의 확산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경영의개념 및 이해가 시대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면서 진화해온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러한 복수적 정체성은 그 자체가 병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기술과 사회의 접점이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술경영교육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이인우,조근태 기술경영경제학회 202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1 No.2
Over the past three decades, Korean universities have developed their management of technology (MOT) education, which became an independent major in the 1990s and has since spread to various institutions.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that has specific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mes of the curriculum in MO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ill this gap by examining the history of MOT education in Korea by period and analyzing the subjects and characteristics covered in the MOT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We categorized the educational courses offered by MOT graduate schools by subject and compared the composition of universit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MOT education program. Our analysis reveals the key characteristics of MOT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s future development tasks for this field. 우리나라 기술경영 교육은 1990년대에 대학에서 독립된 형태의 전공으로 교육과정이 개설된 이후 약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국내 여러 대학으로 확산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 대학에서 제공되는 기술경영 교육과정의 발전과정과 주제들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가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술경영교육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술경영교육의 역사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국내 대학의 기술경영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주제들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학원 과정의 기술경영교육이 제공하는 교육 과목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대학들 간 구성을 비교하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기술경영교육의 특성을 도출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술경영교육의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R&D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성화,조근태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118 Korean firms which has R&D center.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defin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for the board and narrow perspective,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in linking R&D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a financial performance as the growing rate of sales, the growing rate of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s the ratio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as financial and non-financial. Second, the study found that boa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technology strategic planning, technology process, and technology organization has the mediating effect to R&D investment on business performance as the ratio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ird, the study found that narrow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manufacturing and market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erms of business performance as financial and non-financial. R&D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민간기업 118개를 분석한 결과, R&D투자는 기술사업화성과, 매출액증가율 및 영업이익증가율 등 경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술사업화 능력이 R&D투자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분석한결과, 기술전략기획능력, 기술프로세스능력, 기술조직능력인 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났으며,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인 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D투자가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요인이지만, 기술사업화 능력도 경영성과에 매개작용을 하므로 기술사업화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허정보 기반의 바이오 기술개발 트렌드 분석 및 유망기술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감주식,김무웅,현병환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2
As science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as national competitiveness,major nations designate new growth engine industry and establish the effective investment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o enhance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New industrial sectors such as Bio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have been spot lighted as major new growth engines and this competitive situation is getting fierce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each country selected and announced the futur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which will produce ripple effect in the future on a regular basis. In Korea, various research institutions continue to select and announc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tudy the method to deriv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spotlighted as a new growth engine by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We would like to derive the major technological field by colle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using IPC code based technological classification and identifying bio technological trends utilizing text mining method for analysi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with patents. Patent contour of US and Korea i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ext mining to derive the general technological development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After that,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research theme of promising biotechnology focuse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details on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in-depth analysis about technological field which draws interest more and mor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국가들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한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성장동력산업을 지정하여 효과적인 투자 및 발전전략을수립하고 있다. 주요 신성장동력으로는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으며, 점차 치열한 경쟁구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국가별로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향후 파급효과를 나타낼 미래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다양한 연구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분야 도출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허를 통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위해 IPC 코드에 기반한 기술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분야의 국내외 특허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기술개발 트렌드를 파악하고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미국과 우리나라의 특허등고선을 비교분석하여 바이오분야의 전반적 기술개발 분야를 도출한 후,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술분야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기술동향 파악으로 바이오 유망기술분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술상용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김광석,정호진,장용재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Although a commercialization of developed technology is an important factor for firm’s competitiveness, the success rat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significantly low. This fact raises a need of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ucces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us,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tistical analysis is done on 4 different elements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firms: managerial group attitude, market orientation,technology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and developed a causal-relationship model of the above elements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developed model, two moderating variables, corporate ability and industry classification, are added to determine the level of correlations respect to two moderating variable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s, market orientation, managerial attitude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government support, technology quality as an antecedent variable, both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moderating variables,a corporate abilit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connections of managerial attitude,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ut an industry class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link between technology quality and government supp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rv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D efficiency improvement by providing government with direction in science & technology policy.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은 기업의 성패 및 경쟁우위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역이지만, 개발된 기술이 상용화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는 기술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즉, 결정요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기업 내 의사결정권자의 기술상용화에 대한 태도, 기술의 질적수준, 시장지향성, 정부의 지원수준의 측면에서 기술상용화의 영향요인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고, 각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주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더욱이 제안한 모형이 기업능력수준과 산업분야에따라 다른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절변수로 상정하여 조절효과를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정부의 지원수준은 기술상용화에 유의한 양의영향을 주었다. 이 때 경영진의 태도는 시장지향성의 선행변수로, 기술수준은 정부 지원수준의 선행변수로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능력은 경영자의 태도, 시장지향성, 기술상용화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산업분야는 기술의 질적수준이 정부의 지원수준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학문적ㆍ실무적 공헌을 자세히 서술하였으며, 한계점을 바탕으로 한 추후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Capital Budgeting Methods Are Not Enough : Justification of Automation Projects
박용태 기술경영경제학회 199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 No.1
최근, 시장환경 및 생산구조의 변화에 따라 이른바 첨단생산기술(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의 개발과 활용이 산업계 및 학계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첨단생산기술의 급속한 기술적 발전과 전략적 가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산업에의 확산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물론 초기 투자의 재원도달 문제에 기인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일차적으로는 적절한 대안을 선정하고 투자의 정당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의 미비도 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는 전통적(conventional) 생산기술과 비교한 첨단생산기술과 비교한 첨단생산기술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새로운 기술대안들을 비교 분석하는 구체적인 기법의 개발에 관한 접근의 방향성과 개념의 틀(framework)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첨단생산기술의 대안선정과 정당성분석은 다음과 몇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투자대안의 속성이 다양하며(multi-attribute) 각각의 속성이 상위 적(conflicting)일 수 있다. 둘째, 기술대안들의 잠재적 기능이 생산체제의 신축성과 유연성(flexible)의 제고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개별기술의 통합을 통해 시스템 전체의 상승효과(synergy effect)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정량적이고 전략적인 장·단점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의 틀과 기법이 사용되지 않으면 첨단생산기술의 성공적인 도입과 활용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새로운 생산기술의 도입이 공정의 부분적 개선을 위한 소규모 투자일 경우에는 경제성의 분석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재무관리(capital budgeting) 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고 직접적인 공정개선의 효과분석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대안의 규모가 크고 따라서 그 파급효과가 전체공정으로 확산되는 대규모 사업일 경우에는 다양한 장·단점들을 고려하는 종합적인 접근의 틀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들을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보면 (1) 모든 대안들에 대해, 모든 요소들에 관한 비교분석을 동시에 실시하는 동시적 접근(simultaneous approach), (2) 대안 또는 요소들을 그 성격에 따라 계층적 구조로 분할하고 단계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는 계층적 접근(hierarchical approach), (3) 요소들을 속성에 따라 몇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대해 순차적으로 대안들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고려대상이 되는 대안들을 줄여나가는 순차적 접근(sequtial approach)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들의 장·단점들을 사업의 규모나 복잡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동일한 접근방법 내에서도 구체적인 기법의 선택과 개발도 문제의 특성에 따라 달리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오늘날의 첨단생산기술에의 투자는 현금의 흐름에 대한 계량적 분석에만 의존하는 전통적인 기법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기업목표와 생산조직 전반에 관한 전략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바람직하다.
소프트웨어 기업의 기술추격 과정 연구: 한국과 미국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철휘,이희상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prospect whether conventional catch-up theory is also applicable to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like Open Source Software(OSS), and the implication from this study can be working as a stepping stone for followers. To do this, we conducted Korean SW firm’s interview, and examined U.S. firm’s archivings and second source of informations by means of empirical study. We use the inflection point of paradigm shift and difference of technology regime as a framework for empirical study of catch-up process between U.S. and Korean OSS firms. We find that conventional catch-up theory is no more applicable to explain OSS firm’s catch-up processes. We also identified the elements that will accelerate the catch-up processes more effectively from the comparison of technology regime between U.S. and Korean OSS firms. As a result, we diagnos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catch-up theory and discuss the new technology regime which will, ironically, promote the catch-up processes from the condition of low appropriation.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SS)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기존 기술추격이론이 지식 집약적인 OSS 산업에서도 적용되는 지를 분석하고 후발기업들이기술추격의 발판을 마련할 시사점을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SW 기업들의 인터뷰와 미국 SW 기업들의 기록문서 분석 및 2차 출처들의 검토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패러다임의 변곡점 판별과 기술체제의 비교라는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SW) 기업의 기술추격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OSS 기업의 기술추격을 설명하는데 있어 기존 기술추격이론의 이론적 논거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별하였고기술체제의 비교 결과, 후발기업의 기술추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유효한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OSS 기업의 사례연구 결과를 통하여 탈 추격이론이 주장하는 기존 이론의 제약을 진단하고 OSS 의 낮은 전유성이 역설적으로 기술추격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술체제에 대한 해석을 논의한다.
과학지도 작성을 통한 미래기술 발굴 및 정부R&D의 동적 투자방향성 설정 연구
양혜영,손석호,한민규,한종민,임현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3
Korean government built 「2040 Science and Technology Future Vision」 in order to show positive future scenarios and suggest a long-term guideline for a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 Future Vision was built based on an analysis of global megatrends and a prospect of domestic social change. After building S&T Future Vision, the 「Government R&E Strategy」 was established as a follow-up action plan. The Government R&D Strategy consists of lists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for future leadership, government R&D investment status and investment portfolio plans. Exploring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ggressively and making a governmental R&D strategic policy are requirement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leadership in the world. Therefore search and selection for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recently. Generally qualitative methodologies have been used such as expert-panel discussion method and portfolio analysis with expert valuation method in order to explore future technologies. These experts-based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well defined but lacking in some objectivity because size of expert-panels has limitations. We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ology, science mapping method to compensate this shortcoming in this study. There is another limitation related governmental R&D strategy which is that general R&D portfolios are static until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also propose a dynamic R&D investment portfolio which present different portfolios at a intermediate point and a point of technology realization. We expect this try with science mapping method and a dynamic R&D portfolio could strengthen strategic aspect of government R&D policy. 정부는 과학기술이 실현할 긍정적 미래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을 수립하였다. 과학기술 미래비전은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한국사회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적 비전을 수립하였으며 비전달성을 위한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후속작업으로, 과학기술 미래비전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전략이 수립되었다. 연구개발 전략은, 25대 미래핵심기술분야별로 특히 미래과학기술발전을 주도해나갈 미래주도기술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정부R&D 투자현황 분석과 향후 투자방향성으로 구성된다. 미래사회를 주도할 기술의 선제적 발굴과 그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정책설정은 기술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래기술 발굴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미래기술 발굴에는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이나 전문가평가를 통한 포트폴리오분석 등 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에게 의존해야 하는 정성적 방법론은 객관성의 부족 등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량적 방법론이 시도되고 있는데,본 연구에서는 논문서지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을 활용한 미래기술 발굴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미래기술에 대한 정부R&D 정책은 일반적으로 기술이 실현될 때까지정부지원방향을 단일하게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간시점과 기술실현시점 등 2단계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정부R&D에 대한 투자포트포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전략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미래기술 발굴에 대한정량적 방법론과 정성적 방법론의 결합 가능성을 통해 기존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둘째, 정부R&D의 투자방향성을 동적으로 제시하여 전략성을 제고하고 부처간 또는 연구수행주체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2040 과학기술 미래비전」의 구현을위한 실천적 전략으로서 유용하게 적용되는 한편, 미래기술 발굴 및 정책설정의 방법론으로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